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상사학의 성찰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2

        이 글은 해방 후 한국사상사학의 전개 과정을 제도, 담론, 실천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제도의 측면에서 한국 사회에서 생산된 ‘한국사상사’ 저술들을 일별하고 특징을 논했고, 담론의 측면에서 한국사상연구회에서 담론적으로 제기한 ‘주체’에 주목하여 사상과 주체의 관계를 살폈으며, 실천의 측면에서 한국사학계의 사상사 연구 과정에서 논란된 ‘사회’에 주목하여 사상과 사회의 관계를 살폈다. 그 결과 제도권에서 한국사상사에 관한 저술들이 개설서, 총서, 교양서, 교재, 입문서 등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었으나 아직 엄정한 단행본 연구서가 출현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또, 한국사상연구회의 한국사상 담론이 한국사상사의 반성과 주체의 재발견에 놓였고, 이러한 견지에서 동학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의 다양한 주체를 검출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 한국사학계의 사상사 연구는 주로 사회사상사를 지향했는데, 고대사상 분야에서는 교리사에서 벗어난 사상사가 추구되었고 조선후기 실학 분야에서는 사회경제사와 밀착한 사상사가 추구되었다. 전자의 경우 교리사 위주의 사상사 연구를 비판하고 사상과 사회의 관련 속에서 사상사의 외재적 문맥을 중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후자의 경우 이에 대한 비판으로 사회경제사에 포박된 사상사 연구를 비판하고 사상사의 내재적 문맥을 중시하는 제언이 대두하였는데, 이는 모두 사상사 연구의 실천 과정에서 획득한 사상사 방법론에 관한 중요한 논점이었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iography of Korean thoughts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kind of books has been published or compiled as works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since the year of 1945? What kind of questions can we ask about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ubject which was central to basic studies of the Research Society for Korean Thought(韓國思想硏究會), and also what kind of question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ociety which was core to early studies of Korean history? From these questions this paper arrives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not a few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primers, textbooks, introductory books, books of culture, series books and so forth, but strictly speaking, no professional research book covering all kinds of Korean historical thoughts appeared in public. Secondly, studies of the Research Society for Korean Thought(韓國思想硏究會) made significant discourses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in the direction of two ideas of the reflec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and the re-discovery of true subjects of thoughts in Korean history. Donghak(東學) was considered exemplary enough to satisfy these two ideas, namely ‘reflction’ and ‘re-discovery’, and welcomed as such among contributors and editors of the above research society. Lastly, Early studies of Korean historical thoughts tended towards social history of ideas, for instance,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e ancient Korea and the late Joseon Korea. In this case, the former research approached ancient thoughts out of religious doctrines, the latter research drove late Joseon thoughts into socioeconomic historical contexts in favor of the so called Shilhak(實 學). Both of them were in search of the external contexts of Korean thought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ociety. It was characteristic of early studies in the academic circle of the Korean history. However, the critique of the external context and the pursuit of the internal context came to grow up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oughts in the late Joseon Korea. This tendency finally resulted in questioning the historical knowledge of Shilhak formed on the basis of the socioeconomic contexts.

      • KCI등재

        한말 일본유학생들의 자기인식과 계몽논리: 1900년대 일본유학생을 중심으로

        이태훈 ( Tae Hoon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5

        1900년대 일본유학생들은 자유로운 조건 속에 일본에 유학한 첫 번째 유학생집단이자, 스스로를 한국사회를 근본적으로 개혁할 주체라고 인식한 지식인 집단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한국사회의 남루한 현실과 계몽의 목표사이에서 한국사회를 근본적 개혁대상으로 사고하였고, 이는 한국사회와 한국민의 주체적 능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이어졌다. 또한 한국사회를 ‘근본적’ 개혁대상으로 간주하는 사고는 존재의미를 무시당한 한국사회의 반발을 가져왔고, 이는 다시 현실에 대한 유학생들의 실망으로 이어졌다. 결국 불안한 현실에서의 위상, 한국사회의 중견이라는 과잉된 자부심, 외면당한 한국사회에 대한 실망감 속에 유학생들은 내적으로 끊임없이 동요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일거에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정치적 모험에의 투신과 자기 자신만을 위해 살아가는 ‘이기적 삶’의 모습들이 점차 대두하였다. 한말 애국심의 고양을 주장하며, 근대국가로의 개혁을 열정적으로 제창한 일본유학생들이 자신들의 주장과 달리 대거 식민지배에 포섭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근대 문명국가와 낙후된 한국사회, 계몽주체로서의 자신과 근본적 계몽대상으로서의 한국인민이란 대립구도 속에 한국사회와 인민을 주체로 상정할 수 없었던 그들의 사고가 배태한 한계점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사회의 주체적 자립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민을 조작과 계몽의 대상으로 위치 짓는 사고에서 벗어나 계몽지식인 자신의 한계를 발견하고, 민의 주체적 의지, 조건에 기반한 새로운 사상과 활동의 전망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그것은 계몽의 절대적 주체라는 자기 인식을 비판적으로 극복하여, 한국사회의 현실로부터 사상을 재구축해야 함을 의미하였다. 한말 유학생단체의 간부로서 유학생집단이 갖고 있는 자기성찰의 결여, 거만한 계몽선지자적 모습을 비판한 조소앙이 민족운동에 투신하여 삼균주의를 제기한 것은 그런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Korean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around 1900s were the first group of students who went to Japan with their own free will. They also had proud as the enlightening leader of Korean nation. However, they saw Korean society and Korean people negatively not possessing an ability to make their own subjectivity. They believed that Korean society and people was an object of enlightenment, and should be radically reformed. As a result, they had serious tensions with Korean people, an object of enlightenment. The anxiety on their social status accruing from the discredits for their leadership in Korean community, and yet excessive proud for themselves, made these students disappointed and stratified from their earlier path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hey started to pursue a new political experiment and rather to focus on “private life.” It was not an accident that many study-abroad students abandoned their previous national vision and began to adapt themselves in colonial governance. It was the result of their despair in applying their theory to Korean society and people as an absolute object of enlightenment. The limits of these study-abroad students` movement required a further national vision that could reflect upon peoples` real life. One of the study-abroad students` leaders, Cho So-ang`s criticism on his fellow students for their lack of self-reflection, and his later dedication to nationalists` movement and enthusiasm for egalitarianism, thus, were from this historical less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하가(下嫁) 의례의 구성과 특징

        백동인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2

        This article compared the wedding ceremony of Goryeo princess with that of China, and analyzed the way Goryeo changed Confucian rituals. The wedding ceremony of princess in Goryeo is summarized in Goryeo History( 高麗史 ). The source of this record is likely to be Sangjeonggogeumrye( 詳定古今禮 ) compiled in the period of King Uijong(毅宗), and its contents were greatly influenced by Zhenghe New Five Ceremonies( 政和五禮新儀 ), the representative ceremony books of Song dynasty. The wedding ceremony of princess in Goryeo History is much simpler than those of Kaiyuan Ritual Code( 大唐開元禮 ) and Zhenghe New Five Ceremonies, eliminated all five stages of wedding ceremony except bride bringing(親迎). The ritual between princess and her parents-in-law was renamed as a bowing ritual, not a meeting ritual. Another royal wedding in Goryeo History, the wedding of Crown Prince also omitted five stages, but proposal(納采) and fixing a date(請期) seem to have existed in their own way. However, by changing the name of bride bringing toCrown Princess’s entrance, Goryeo History showed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China on bride bringing. Since this book did not deal with other royal weddings, it can be said that the wedding ceremony of princess was treated very exceptionally. Moreover, the procedure for sending envoys after other royal weddings was stipulated to be the same as that of princesses, making the wedding ceremony of princess the standard for royal weddings. Goryeo was unable to follow the six stages of wedding due to the customs of endogamy and matrilocal residence. Since patriarchal clan(宗法) and ancestral shrine(禰廟) were not established in a Confucian way, the wedding ceremony became an event for parents and relatives, not ancestral shrine. Princess couples went through the bride bringing procedure, but did not fully embody the ethics of a wife following her husband(夫唱婦隨) and lived in palaces of princesses. However, the Goryeo royal family actively practiced acts related to filial piety. The giving advice with alcohol(醮戒) in which a father ordered his son to marry followed almost the original ritual. Although the Goryeo people did not greatly sympathize with the Confucian value that marriage was a solemn generation change ritual, there was a three-day interval between weddings and banquets. The wedding ceremony in Goryeo History shows many traces of adjusting the details to suit the situation and needs of Goryeo. In the case of the Song Dynasty, the rules of Zhenghe New Five Ceremonies and actual rituals were very different. It can be seen that Sangjeonggogeumrye reflects many worries and experiences and contains contents optimized for practice. 본고는 고려 하가(下嫁) 의례를 중국의 것과 비교하여, 고려가 유교 의례를 변용한 방식을 분석했다. 고려 하가 의례의 규정은 고려사 예지(禮志) 공주하가의(公主下嫁儀) 항목에 정리되어 있다. 원전은 고려 의종(毅宗) 대에 편찬한 상정고금례(詳定古今禮) 가 유력하며, 그 내용은 송의 대표 예전(禮典) 정화오례신의(政和五禮新儀) 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고려사 공주하가의는 대당개원례(大唐開元禮) ・ 신의 하가보다 절차가 훨씬 간략했으며, 특히 육례 중 친영을 제외한 오례를 모두 삭제했다. 공주와 시부모 사이 의례는 뵙는(見) 의례가 아닌 절하는(拜) 의례로 개칭했다. 또 혼례 후 사신 파견을 중요한 절차로 다루었다. 고려사 예지의 다른 왕실 혼례인 왕태자 납비 역시 오례를 생략했으나, 납채・청기 절차는 나름대로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친영을 비입내(妃入內)로 개칭하여, 친영에 대해 중국과 다른 관점을 보였다. 고려사 예지는 이외의 왕실 혼례를 다루지 않았으므로, 하가 의례는 매우 예외적으로 취급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왕실 남성의 납비 이후 사신 파견 절차는 하가와 똑같이 하도록 규정하여, 하가를 왕실 혼례의 표준으로 삼았다. 고려는 족내혼・남귀여가 풍속 때문에 육례를 그대로 따를 수 없었다. 종법 질서와 니묘(禰廟)가 자리 잡지 못했기 때문에, 혼례는 종묘가 아닌 부모와 친척을 위한 행사가 되었다. 친영 절차를 밟았으나, 부창부수를 충실히 구현하지 않았고, 부부는 공주궁에 거주했다. 하지만 효행과 관련 있는 절차는 적극적으로 실천했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혼례를 명령하는 초계는 본래의 의례를 거의 그대로 따랐다. 혼례가 엄숙한 세대 교체의 의례라는 유교적 가치관에 크게 공감하지 않았음에도, 혼례와 연회 사이 3일의 말미를 두었다. 고려사 공주하가의는 이렇듯 고려의 실정과 필요에 맞게 세부 사항을 조정한 흔적이 여럿 보인다. 송의 경우, 신의 의 규정과 실제 의례가 크게 달라 대조가 된다. 고려의 상정례 는 많은 고민과 경험을 반영하여 실천에 최적화한 내용을 담았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