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융합을 위한 지방학의 가능성-포항의 경우

        김윤규(Kim, Yun-k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이 연구는 문화융합을 위한 다양한 준거 가운데 지역적 특성의 융합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문화가 생산된 지역적 배경은 그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동일한 소재에 대한 지역적 변화 역시 문화 연구에 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한국문화는 비교적 좁은 국토에서 민족적으로 큰 차이 없이 생산되었지만, 지역을 나누는 산과 강으로 인해 비교적 특수성이 살아 있는 상태로 향유되고 있다. 지난 역사에서는 지방의 면적과 인구분포가 균등하게 이루어져 있었고, 각 지방마다 우수한 지식인들이 자리잡고 있어서 지방 문화가 전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산업화시대로 접어들면서 인구의 편중이 심해지고, 현대에 들어와서는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따라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문화의 편중도 심해지고 있다. 이렇게 편중된 문화는 한국문화 전체를 빈곤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다양성과 생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현상은, 국토의 균형 발전과 원활한 소통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방학은 한국문화를 풍성하게 하는 유용한 통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이미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 전체를 아우르는 문화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전래의 지방학과 함께 세계적 한국학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방학의 한 사례로서의 포항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포항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외래 지식인과 이주 산업인력의 교감을 연구하고 이로 인한 사회변동과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은, 포항이라는 한 지방의 사례를 넘어 한국사회 전체를 조망하는 창구가 될 수 있다. 포항은 전통적인 농어업 사회에서 철강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공업 사회로 이행해가는 과정에서 급속한 인구팽창을 경험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 철강 산업이 퇴조하면서 향후 포항사회의 재편성이 요청되는 상황을 맞았다. 이러한 포항을 세밀히 들여다보는 것이 한국사회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문화를 서울 중심으로 일원화하고 한두 가지 성격으로 특화하는 것은 한국문화를 잘 이해하는 방법이 아니다. 각 지방이 각 특성에 따른 문화적 발전을 이루고 그것을 기술하고 특화하여 다양한 문화현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 한국문화를 진정으로 발전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vergence of local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criteria of culture convergence, is possible. Regional background of a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that culture, and regional change of the same matter is also an essential factor in culture studies. Although Korean culture was created without much diversity in relatively small territory, because of mountains and rivers that divide regions, Korean culture passed down with comparative regional specificity. In the past, area and population of all the regions were even and each region evenly had excellent intellects, so local culture of provinces played important role in national culture. However, as industrialization beg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tensified, and today, concentration of culture is also intensifying as population crowded around the capital city, following political and economic profits. Such intensely concentrated culture might impoverish the whole Korean culture. Cultural phenomena that bases on diversity and vitality can only be gained through balanced development of territory and harmonious communication. In that aspect, local studies can be a valuable method to make Korean culture more abundant. Moreover, to converge Korean culture to embrace all the Korean people who are already spread out in the world,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should be done along with traditional local studies. Study of Pohang, as a case of local studies, is still in beginning stage. Based on Pohang s identity, studying development potential and social changes caused by communion with foreign intellects and immigrant industrial manpower can further be a window to view the whole Korean society, beyond mere province. Pohang experienced drastic population increase in the process of society change from traditional farming and fishing society to industrial society centered by steel industry. However, as steel industry is declining nowadays, Pohang is facing demand to reorganize its society. Carefully looking into this situation Pohang is at will help understand and prospect the whole Korean society thoroughly. Unifying or classifying Korean culture into one or two characteristics with Seoul being the core is not a great wa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well. A true way to develop Korean culture is to maintain various cultural phenomena by developing, recording and specializing each region s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다문화 공간과 타자성 사유 방식- 한국계 해외입양인 소설을 중심으로

        장미영(Jang Mi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한국계 해외입양인(Korean overseas adult adoptee) 주인공 소설을 대상으로,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회적 소속감에 기반하고 있는 개인 정체성 개념의 문제점을 짚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정체성에 대한 기존의 인식들을 해체하며 정체성의 재-개념화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아직까지 한국 사회에 강하게 버티고 있는 자민족 중심의 배타적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문화 중심의 공동체적 삶에 대한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의미가 있다. 한국계 해외입양인(Korean overseas adult adoptee)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소설은 태생적으로 타자성, 외부성, 소수성을 사유할 수밖에 없는 다문화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다문화 공간이란 제노포비아(xenophobia)를 비롯한 각종 인종차별과 문화충돌 문제 등 다양한 현실적 갈등이 존재하는 곳이다. 이러한 다문화 공간에서의 삶이 보다 개선되고 보다 바람직한 건강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일문화 공간에서의 삶과는 다른 새로운 대안적 모색이 필요하다. 한국계 해외입양인(Korean overseas adult adoptee)은 출생지의 문화와 입양지의 문화 간 차이뿐만 아니라 태어난 곳과 자란 곳 각각의 민족적 또는 국가적 삶의 방식이 상호 다르다는 것을 가장 먼저 외모에서부터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존재이다. 이로써 한국계 해외입양인은 자기 문화와 타자의 문화, 자기 삶의 방식과 타자로서의 삶의 방식과 같은 이분법적 세계로부터 벗어나 어느 한쪽에 깃들 수 없는 경계인(boundarian)의 입장을 갖는다. 한 사람의 정체성은 서로 다른 배합에 따라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여러 요소로 만들어진다. 정체성은 시대적 요구나 생애 주기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둘 이상의 복수 소속을 가진 경우는, 여러 가지 소속이 한 사람 안에서 융합되어 또 다른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정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 개인의 정체성이 단순하게 한 집단에 소속되는 것만으로 정의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국경을 넘는 이주가 세계적으로 활발한 오늘날, 많은 이들의 정체성은 국가나 민족, 인종이나 종교만으로 단순히 규정될 수 없다. 인간의 삶은 애착을 가질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 속에서 정신적인 변화를 겪고, 자신이 몸 담고 있는 공간 속에서 지속적인 영향을 받으며 새롭게 갱신되어 나가는 여정이기 때문이다. 전지구적 이주가 보편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 사회는 다문화의 소통과 공존을 위한 새로운 사유 방식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계 해외입양인소설을 통해 다문화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재고를 위해 적극적이고도 실천적인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point out problems in the concept of an individual identity that is based on the social sense of belonging generally today aimed at novels whose heroes or heroines are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Accordingly, this paper is to seek the possibility of re-conceptualization of an identity while breaking down existing perceptions about an identity. Such a job in this paper is to offer the possibility of new reasoning concerning a new communal life focused on multi-culture by overcoming the ethnocentric exclusive way of life that still exists stubbornly in Korean society. Novels in which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appear as heroes or heroines have a background of a multi-cultural space that cannot help but have reasoning otherness, externality, and minority attributes inherently. A multi-cultural space is a place where various realistic conflicts involving various types of racial discrimination such as xenophobia and cultural conflicts exist. In order to have a life in such a multi-cultural space further improved and to obtain more desirable soundness, it is necessary to seek a different new alternative that is different from the life in the existing single cultural space.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are beings who cannot help but admit to not only a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e of their birth places and the culture of their adopted places but also the fact that each of the ethnic or national life patterns of their birth places and growing places are mutually different beginning from their appearance. In this way,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should be in a position of a boundarian who is very likely not to lean on any side while avoiding a dualistic world such as their culture or another’s culture and their lifestyles or another’s lifestyles. This is because In order for them to live a healthy life, prejudice against and bias about otherness and other cultures should be as little as possible. An identity of one person is made by various factors that create an identity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combinations. An identity becomes also different by the demand of the times or a life cycle. In case of having more than two belongings, various belongings are converged in one person, thereby creating another identity. Therefore, so as to solve an identity issue, there is a need for perceiving that an identity of one person is not defined simply by belonging to one group. Today, in which Immigration over borders occurs very actively, the identities of many people cannot be simply defined only by country, ethnicity, or race. The life of a human experiences mental change in valuable things that are worthy to be attached affectionately. Also, it is an itinerary on which a person receives effects consistently in a space where he or she belongs, and keeps being renewed. At this point when global immigration has become common, it is imperative to have a new type of reasoning for communications and coexistence of multi-culture in Korean society. Subsequently, this paper is to discover practical implications to propose a direction of a new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space through novels about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문화민주주의와 문화센터 : 한국 생활문화센터와 독일 사회문화센터의 비교분석

        강현정(Kang Hyunj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논문은 문화민주주의를 실천하고 있는 한국의 생활문화센터와 독일의 사회문화센터의 비교연구이다. 세계적으로 문화민주주의 이념이 크게 확대되면서 한국과 독일도 문화민주주의 실천을 위하여 생활문화센터와 사회문화센터를 도입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문화민주주의 이념이 거시적인 명분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각 국가에서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과 독일의 생활문화와 사회문화의 기본개념, 생활문화센터와 사회문화센터의 설립․운영 주체, 주민주도 운영방식을 비교하였다. 첫째, 한국 생활문화와 독일 사회문화는 모두 확장된 문화개념으로 접근하며 삶의 총체로서의 문화를 중시한다. 이것은 문화의 민주화에서의 문화가 고급예술과 엘리트예술로 한정되었다면 문화민주주의에서의 문화는 보다확장된 개념인 삶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한국 생활문화센터와 독일 사회문화센터는 설립․운영주체의 차이가 있다. 한국은 정부의 문화정책으로 인하여 생활문화센터가 조성되었고, 운영주체는 지자체 직영, 민간위탁, 주민자율형의 3가지 구조로 나뉜다. 반면 독일 사회문화센터는 민간에 의해 설립되고 운영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국과 독일 모두 생활문화센터와 사회문화센터를 통해 문화민주주의 이념에 따라 주민이 주체적으로 시설운영에 참여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은 주민에 의한 의견수렴과정에 참여하면서 소극적 문화민주주의를보여주고 독일은 주민이 설립과 운영을 직접적으로 주도하면서 적극적 문화민주주의가 나타난다. 셋째, 한국 생활문화센터와 독일 사회문화센터는 모두 주민주도 운영방식을 지향하고 있으나 주민 주도성에 대한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 생활문화센터의 다양한 운영구조로 인해 주민주도 운영방식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독일 사회문화센터는 주민의 의사결정구조와 조직구조에 동참함으로써 주민이 재정, 운영,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여 적극적인형태를 보여준다. 한국과 독일의 문화민주주의에 대한 실천은 모두 같은 지향을 가지고 있지만 각국의 실천과정에서 다른 양상을보여주는데 한국은 정부로부터 시작했기에 다양한 운영주체를 통해 지역적 상황에 맞는 다양한 방식을 취하면서제도적으로 주민에 의한 민주적 결정구조가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반면 독일은 정부지원 없이 민간에서 시작된 만큼 운영과 재정의 문제는 오롯이 주민의 공동책임이 된다. 그로인해 사회문화센터를 운영함에 있어서 주민들의 동의와 합의가 전제되고 주민에 의한 의사결정구조를 제도적으로 보장하여 지속성을 담보해내고 있다. This study compares the living cultural centers in Korea and the sociocultural centers in Germany, which practice cultural democracy. With the significant expansion of cultural democracy ideology worldwide, Korea and Germany are actively striving to practice cultural democracy by introducing living cultural centers and sociocultural centers. Specifically, to analyze how each country’s efforts are being made, this study compares the basic concepts of living culture and social culture in Korea and Germany, the subject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iving cultural centers and sociocultural centers, and resident-led operations respectively. First, both Korean living culture and German social culture approach with expanded cultural concepts, emphasizing culture as a whole of life.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Korean living cultural centers and the German sociocultural centers. Third, although both the Korean living cultural centers and the German sociocultural centers are oriented toward resident-led oper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resident initiative. The practice of cultural democracy in Korea and Germany both have the same orientation, but show different aspects in the practice process of each country. In Korea, starting from the government, the democratic decision structure by the residents has not been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lthough various methods are adopted according to local circumstances through various operating subjects. On the other hand, in Germany, since it was started by the private sector without government support, operation and financial issues are the sole responsibility of the residents. Therefore, in the operation of the sociocultural centers, the consent and agreement of the residents is premised, and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by the residents is systematically guaranteed to ensure continuity.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수업 연구 : ‘한국 사회와 문화’ 교재 개발을 위한 주제 선정을 중심으로

        정서영(Joung Seoyoung),신사명(Shin Sham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최근 중국의 대학 교육에서 사정(思政)교육이 강조되면서 한국어 전공자의 입장에서 한국어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와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지식습득이 필요로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한국 사회와 문화’라는 교과목이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 중심의 언어 통합 교육 측면의 ‘내용 중심 교수법’에주목하였고, 이를 통한 ‘한국 사회와 문화’ 수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한국 사회와 문화’ 수업 내용의 주제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 방법과 집단 심층 면접, 교재 분석을 사용했다. 첫 번째 설문조사방식으로 4년제 대학의 한국 문화 교과목의 ‘개설과목명’, ‘개설 시기’, ‘학점’, ‘교재’ 등의 각 대학의 개설 현황을알아보고 두 번째 교수자의 집단 심층 면접을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 수업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서도 파악하였다. 세 번째로 각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와 최근 중국 내에 출판된 교재 중 5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라는 교과목에서 한국어 전공 학습자가 알아야 할 항목과 적합한 ‘주제’ 15가지를 최종 선정했다. 15개의 주제는 ‘한국 사회와 문화’ 교과목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하는 내용으로 파악하여 향후 국외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습자들의 한국 사회와 문화의 이해를 높이기위한 교과 과정이나 교재를 개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assessments for education have recently been emphasized in Chinese university,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required to have the overall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n Korean society and culture as well as Korean language. Accordingly the subject “Korean society and culture” has been drawing attention. Given this,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contents of the “Korean Society and Culture” to figure out the potentials of classes related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rough a content-oriented approach based on integrated culture-oriented language education. The survey method and analysis of textbook were used as FGI, analysis of textbooks and research methods. As the first survey method, ‘what the subject title is’, ‘when the class opens’, ‘how many credits are’, ‘teachers’, and ‘textbooks’ in a-four-year course university’s Korean culture curriculum were to be identified, secondly,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classes were also to be determined through the instructors’ Focus Group Interview. Thirdly, textbooks used by each university and five among the recently published textbooks utilized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se three research methods, the thing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should know and 15 proper topics for them were finally chosen in the subject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 15 topics are considered essential in the “Korean Society and Culture” subject and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curriculum (content-oriented approach) or textbook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for learners who major in Korean at universities overseas.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 문항 분석 연구 -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

        황명환,민진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네 번째 영역인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한국문화 영역에 대한 실질적인 출제 범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문화 과목과 하위영역의 출제 빈도를 살펴보고 문항반응이론을통해 한국문화 영역 문항에 대한 난이도와 변별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 영역의 적정 출제 범위는 한국의 현대문화, 한국 역사, 현대한국사회 과목 및 그하위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안된 적정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문항 출제 경향성을 파악한 결과, 현대한국사회 관련 문항의 출제 빈도는 한국의 현대문화 및 한국역사 관련 문항 출제 빈도보다 극히 적게 확인되었다. 셋째,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 분석 결과, 극단적 난이도와 변별도 출현이 다수 목격되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한국문화’ 영역의 내용타당도확보를 위한 실제적인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일본 대학의 한국문화 교육의 방향에 대한 제언 : 마쓰야마대학의 ‘한국문화 발표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영(Lee Min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일본에서 한국드라마나 K-Pop 등의 한국의 대중문화는 한국어 학습 동인의 최상단에 위치할 만큼 큰 영향력을 지녔다. 그러나 아직 일본 대학에서 이를 활용한 교재나 교수-학습 모형 등은 개발된 적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일본 대학의 한국문화 교육의 현실을 냉정하게 짚어볼 필요가 있었다. 먼저, 한국어 교재 및 한국문화 관련 교재 중 선행연구가 미처 다루지 못한 중요한 교재들을 분석함으로써 논의를 보다 정교하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현재 출판된 교재의 다수가 문화 항목을 거의 다루지 않거나단원의 목표어와 심각한 불일치를 보여 주었다. 이 과정에서 대중문화가 활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다음으로 마쓰야마대학의 문화 수업 중 특히 한국어2에서 실시한 ‘한국문화 발표수업’의 진행 방식 및 학생들이 발표한 문화 항목을 제시했다. 특히 수업의 진행 방식을 통해 한국문화 수업의 학습 단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① 문화 정보의 습득 단계 ② 문화 이해의 단계 ③ 자문화와 이문화 간의 비교 및 대조의 단계 ④ 문화해석의 단계 ⑤ 문화의 수용과 소통의 단계가 그것이다. 한국어 교육과는 별개로 진행된 이 한국문화 발표수업을통해 학생들은 한국문화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문화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려는 자세를 갖게되었다. 앞으로 이 문화수업이 거둔 성과를 수용하고, 수업 내부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더욱 진전된 한국문화 수업의교육 과정이 설계되기를 희망해 본다. 문화교재의 개발 및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논의는 다음 과제로 넘긴다. Korean pop culture such as Korean dramas and K-Pop are the most important reason that Japanese learner want to study Korean language. However, Japanese universities have yet to develop textbooks or teaching-learning models that utilize such Korean popular culture. First, This study analyzed Korean cultural items in Korean textbooks used in Japanese universities. As a result, most of the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rarely cover cultural items, or showed serious inconsistencies with the target words of the unit. Moreover, Korean pop culture was rarely used in textbooks. Next, I reported examples of “Korean Culture Presentation Class” conducted in Matsuyama University’s Korean classes. Through those classes, I suggested ‘the learning stages of Korean culture class’. And through the classes, students were able to learn how to understand and actively communicate with Korean culture. I hope that the curriculum of Korean culture class will be designed better by accepting the achievements of those classes in the future and improving the problems within the class.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textbooks using popular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odel will be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study.

      • KCI등재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박지애(Park Jee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이 글은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문화교육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한국문화교육의 교육방법에 대한 구체성을 획득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목표 언어에 대한 습득은 언어적 지식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에 대한 문화적 이해가 병행될 때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글에서 제안하는 수업은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문화지도 만들기”이다.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문화지도 만들기’ 수업은 100분 수업을 1차시로 하여 모두 5차시에 걸쳐 단계별로 구성되며, 팀 기반 학습으로 진행된다. 이 강좌는 대학의 교양 수업으로서,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개설된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문화지도 만들기 수업 또한 한국어 쓰기 및 읽기, 말하기와 연계하여 진행되었다. 1차시에는 팀 별로 지역문화자원지도의 콘셉트를 정하게 된다. 2차시에는 팀원 개별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조별 활동을 통해 개요를 작성하게 된다. 개요를 작성한 후, 개인별로 담당 문화에 대한 설명문을 작성한다. 콘셉트와 개요는 조별 활동을 통해 정하지만, 설명문 쓰기는 개인별로 활동함으로써 글쓰기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3차시에는 스토리라인을 작성하게 된다. 스토리라인은 문화수업으로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담당교수가 직접 스토리라인을 정해 주어, 학생들은 스토리라인의 빈 칸을 채워가면서 대상에 대해 깊게 이해하게 된다. 또한 문화의 상대성에 대해 강의를 통해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수강생들 스스로 스토리라인의 빈칸을 채워나감으로써 자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4차시에는 작성한 설명문과 스토리라인을 바탕으로 핵심어와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프레젠테이션을 작성하게 된다. 5차시에는 프레젠테이션 발표를 진행한다. 발표자 한 명을 정하여 발표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작성한 부분을 각자 발표하고 질의응답은 조별로 진행함으로써 모든 수강생이 발표의 기회를 갖고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Korean cultural education plan for international studen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keeps increasing, Korean language teaching has been brought into sharp focus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Research on the teaching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and a breadth of teaching methods have been suggested and implemented to generate and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However, it can be said that so far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mainly focused on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Language acquisition is successfully achieved not only with linguistic knowledge but also with a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target language. This paper advocates the necessit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aims to devise a concrete teaching method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by presenting an example of a cultural education clas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 lesson proposed in this study is titled “Making a local cultural map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Multiculturalism constitute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cultural plurality and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in order to establish one’s identity and integrate another cultu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and Korean culture, this class also compares and contrasts elements of the Korean culture with similar cultural elements of the students’ own countries so as to make them aware of cultural relativism.

      • KCI등재

        비대면 융합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권현우(Hyunwoo K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시대의 비대면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에서 테크놀로지와 예술이 융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해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을극복하고,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목적을 위해 2021년 7 월부터 11월까지 거쳐 온라인으로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또 다른 i”의 사례를 중점적으로살펴보았다. 당초 대면 교육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이었으나, 펜데믹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비대면 온라인교육으로 기획, 설계, 시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운영되었다. “또 다른 i”는 VR과 스토리텔링이 결합된 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현실 세계의 나를 바탕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나와 만나보며 또 다른 새로운 나를 찾아가는여정을 담은 프로그램이다. 본 사례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활용한 소통으로 라포 형성의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기술과 예술이 융합한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운영결과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으로는 온라인 플랫폼의 한계, 참여자 간의 소통 문제,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적정 기술 수준 문제 등이 나타 났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프로그램 준비과정에서 더욱 세밀한 준비와 시큘레이션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한시사점으로 비대면 온라인교육에 대한 시각의 변화 요구, 비대면 상황에 맞는 라포 형성 활동, 다양한 플랫폼과소프트웨어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 기술과 결합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융합교육이 대면 수업의 대안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의 한 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향후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art in non-face-to-face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seek ways to practice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the case of “Another i”, the weekend art campus of Dream 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which was conducted online from July to November 2021. The program was originally planned as face-to-face education, but due to the pandemic, it was switched to non-face-toface an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was operated through four stages: planning,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other i” is a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VR and storytell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apport was confirmed through communication using an online platform, and a new development and operation ca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converges technology and art was presented.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results include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 platform,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participants, and problems with the appropriate skill level in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ration is required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suggested a change in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rapport form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non-face-to-face situations, continuous efforts to adapt to various platforms and software, and preparation of program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mbined with technology.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so that non-face-to-face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can move forward as a new form of cultural arts education rather than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근대전환기 내한선교사의 선교사역과 한국문화이해: 안애리(安愛理)의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1913)를 중심으로

        오지석(Oh, Jie 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는 개항 후 한국에 와서 동학,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겪고 한일병탄을 함께 한 미국선교사 안애리(安愛理)의 Inside Views of Mission Life를 중심으로 선교활동과 한국문화 이해를추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안애리는 한국근대전환기 문화변용의 한축을 담당했던 외국인 선교사로서의 역할 뿐만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데 해외에 있는 인적·지적 네트워크를 사용했다. 안애리는 초기의 작품인 Fifty Helps의 부록에서 신입 선교사들에게 서구문화에 대해 갖기 쉬운 편견과 우월감에서 벗어나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주문한다. 이런 태도는 마지막 작품인 Inside Views of Mission Life에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는 한국의 근대전환기에서 서구인의 시선으로 한국문화를 바라보지 말고 한국사회의 생활방식과 문화를 존중해야한다는 생각을 놓치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에게 근대전환기 미국식 근대가 시험 되었던 평양에대한 관심을 불러준다. 우리는 안애리를 선교사의 부인, 교육가, 문학가로 기억하기보다는 19세기‘한국학’ 세우기에 동참한 한국학의 개척자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trac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focusing on the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by Annie Baird, an American missionary who came to Korea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warring period of Korea (e.g., the Korean-Japanese war with Donghak,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Ae-ri Ahn used her intellectual connections abroad to introduce Korean culture, as well as her role as a foreign missionary who played a part in the transformation of culture during this Korean modern transition period. In the appendix of her early work titled Fifty Helps, Ahn asks new missionaries to assume an attitude of respect for Koreans and Korean culture, and to set themselves free from the prejudice and superiority they tend to have toward Western culture. This attitude continues to feature in her final work,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and she does not miss the idea of respecting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instead of looking at Korean culture through the eyes of Westerners in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 Thus, this study argues that Ahn should be evaluated as a pioneer of Korean studies who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nineteenth century rather than remembering her as a missionary s wife, educator, and literary woman

      • KCI등재

        한국 힙합의 하위문화 연구 : 딕 햅디지의 하위문화론을 중심으로

        이한노(Hanno Lee),이도협(Dohyoup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

        최근 문화연구에서 시도되는 세계화에 따른 논의는 당연한 흐름이라 할 수 있다.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가속화된 문화의 초국적 흐름은 현시대(現時代)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에서 다방면으로 발견된다. 대중문화 역시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해석이 가능하며, 이는 동질화의 경향이 나타날 수 있음을 뜻한다. 이에 본고는 대한민국의 대중문화 중 하위문화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한국 힙합 음악의 가사들을 분석함과 동시에 미국으로부터 도입된 한국 힙합 음악의 특성을 살펴보고 하위문화 담론의 영역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중문화의 성장과 더불어 세계화의 영향으로 토착화된 하위문화의 특성을 가진 한국의 힙합문화를 분석함으로 주류에 상응하는 언더그라운드 힙합의 특징을 이해한다. 이를 위해, 하위문화 이론가 ‘딕 햅디지’의 저서 <하위문화: 스타일의 의미>의 하위문화의 대표적인 세 가지 특징인 ‘의도적으로 규칙 위반’, ‘브리콜라쥬’, ‘저항’의 기반으로 한국 힙합 음악의 발전과정과 가사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힙합 곡의 가사들에서 하위문화적인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발견함과 동시에 햅디지의 이론과 한국의 힙합 음악의 가사 및 문화 발전과정에서 세 가지의 큰 차이점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차이점을 가지게 된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원인을 규명한다. 위의 과정들을 통해 하위문화의 담론 영역을 확장함과 동시에 주류문화의 지배적인 유행을 가질 수 있는 대중문화 속의 하위문화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는 논의이다. Recently, cultural studies attempted to discuss globalization, and it followed a natural flow. The transnational flow of culture accelerated with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and this has entered people’s lives in several ways. Popular culture can also be interpret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which implies that homogenization tends to occur. Thu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lyrics of Korean hip-hop music that has a sub-cultural characteristic to examine the features of Korean hip-hop music introduced by the United States, and to expand the scope of sub-culture discourse. The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hip-hop corresponding to the mainstream is understood by analyzing the hip-hop culture of Korea, which has imbibed the indigenous subcultures’ aspects owing to the growth of popular culture and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The Korean hip-hop is based on the “intentional violation of rules,” “bricolage,” and “resistance,” which are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subculture according to the subculture theorist, Dick Hebdige’s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This genre’s development and its music lyr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nsequently, they found that Korean hip hop songs demonstrated sub-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y showed three deviations from Hebdige’s theory. Furthermore, this course examines the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at led to these deviations, and identifies their causes. Finally,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discourse of subculture and identify the role of subculture in popular culture that can have the dominant trend of mainstream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