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요인으로 분석한 한류산업의 형성과 발전 연구

        박동렬(Park, Dong Rhy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첨단기술 집약형 산업구조를 갖게 된 한국경제는 21세기에 이르러 제3차 초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의 진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서비스 산업중에서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IT산업과 더불어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가 국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콘텐츠 산업은 한국경제의 기본이 되는 철강 산업 부문을 능가하고 있으며, 예상 밖의 이러한 한류산업의 형성은 직접적인 효과 이상의 시너지(파급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연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아시아문화의 유입에 폐쇄적인 경향이 보이던 일본이 어떻게 한류산업을 꽃피우게 되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함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이 외래문화, 특히 한류문화를 유입하게 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민족문화상품론, 경쟁우위론, 대체적 서브컬처론, 퇴줄-항의 이론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콘텐츠산업은 타국에게 자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하여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형태를 영국이나 필리핀과 같은 다른 섬나라 국가와 구분하여, 일본인 내지 일본문화의 독자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근-현대사적 역사에서 볼 때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은 구미 중심이었지만, 오늘날 일본은 아시아 문화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외래문화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셋째, 일본의 콘텐츠산업의 발전현황을 케릭터나 애니메이션, 영화, 만화등 다양한 장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의 콘텐츠산업이 발전하게된 동기와 현황등을 소개하고, 한류산업이 성공하게된 요인을 서술하였다. 특히, 한국드라마인 경우에는 퇴출과 항의 이론에 근거한 분석을 시도했다. 마지막으로, 한류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함과 더불어, 일본에서의 한류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금후의 전망등을 논하였다.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untry introduce the products of another country.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Japanese form of introducing foreign culture. Formerly, Japan concentrates on introducing Western culture, however, today Japan is actively introducing other Asian culture and is making then the foreign culture in Japan more multi-national. Thirdly, this paper surveys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es that deals with animation and movie characters. Fourthly, this paper introduces the rise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discusses the factors which have led to its success. Also, the Korean drama industry is analyzed in terms of exit-protest theory.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vision of the Korean wave industry and discusses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첨단기술 집약형 산업구조를 갖게 된 한국경제는 21세기에 이르러 제3차 초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의 진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서비스 산업중에서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IT산업과 더불어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가 국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콘텐츠 산업은 한국경제의 기본이 되는 철강 산업 부문을 능가하고 있으며, 예상 밖의 이러한 한류산업의 형성은 직접적인 효과 이상의 시너지(파급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연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아시아문화의 유입에 폐쇄적인 경향이 보이던 일본이 어떻게 한류산업을 꽃피우게 되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함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이 외래문화, 특히 한류문화를 유입하게 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민족문화상품론, 경쟁우위론, 대체적 서브컬처론, 퇴줄-항의 이론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콘텐츠산업은 타국에게 자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하여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형태를 영국이나 필리핀과 같은 다른 섬나라 국가와 구분하여, 일본인 내지 일본문화의 독자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근-현대사적 역사에서 볼 때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은 구미 중심이었지만, 오늘날 일본은 아시아 문화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외래문화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셋째, 일본의 콘텐츠산업의 발전현황을 케릭터나 애니메이션, 영화, 만화등 다양한 장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의 콘텐츠산업이 발전하게된 동기와 현황등을 소개하고, 한류산업이 성공하게된 요인을 서술하였다. 특히, 한국드라마인 경우에는 퇴출과 항의 이론에 근거한 분석을 시도했다. 마지막으로, 한류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함과 더불어, 일본에서의 한류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금후의 전망등을 논하였다.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untry introduce the products of another country.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Japanese form of introducing foreign culture. Formerly, Japan concentrates on introducing Western culture, however, today Japan is actively introducing other Asian culture and is making then the foreign culture in Japan more multi-national. Thirdly, this paper surveys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es that deals with animation and movie characters. Fourthly, this paper introduces the rise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discusses the factors which have led to its success. Also, the Korean drama industry is analyzed in terms of exit-protest theory.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vision of the Korean wave industry and discusses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 KCI등재

        중국문화산업정책에 따른 한국 뮤지컬의 중국 진출전략

        이지윤(Lee, Ji-Y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중국문화산업정책 방침과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한국 창작뮤지컬에 대한 국내 시장에서 해외 시장 진출로의 진출 전략에 대해 논하였다. 해외 시장으로는 우선 우리나라와 문화권이 비슷한 동아시아에서‘한류(K-Wave,韩流)’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킨 중국은 눈여겨 볼 시장이다. 다만, 중국은 2000년 들어와서부터 문화산업을 정책적으로 융성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중국은 사회주의 정치노선을 지향하면서, 문화산업의 질적 추구를 정책적인 차원에서 육성하는 부분을 염두 해두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 창작뮤지컬이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 중 중화권, 특히 중국(내륙)으로 뻗어나가기 위해 갖추어야 할 전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국은 경제성장률에 이어 2011년 1인당 국민소득(Gross Domestic Product, GDP)이 5,000달러를 넘어서면서, 양적성장 뿐 아니라 질적 성장에도 포용성 정책을 골격으로 삼게 된다. 따라서, 중국은 문화산업에서도 그 성장률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뮤지컬 공연에 대한 중국 내 관객들 연령대 및 향유 계층이 다양하지는 않다. 우선 중국문화산업정책에 대한 흐름을 살핀 후 중국 문화 예술 공연 및 전시 규정과 부가가치 비중(%)에 대해 다루면서, 중국의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상해지역부터 진출지역으로 초점을 맞추었다. 끝으로 한국 뮤지컬 중 중국에 진출한 작품과 진출방식에 대해 살피고, 한국 뮤지컬이 중국에 진출하고 수입 창출에 이어지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를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sidering Korea musical how to expand in China performing market. After tremendous growth in economy part, also partly adoptingmarket based system, China nowbegin to adoptmany kinds of cultural industry such asmusical,movie, drama etc. Contrary to drama,musical is hard to go to China because Korean musical could b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than those of China. There should be limited study has been done regarding how Korean musical penetrate into China market. This stems from Korean musical begins to go to China market because there should be the huge demand about Korean-based musical in China. This paper examines the how and what extent of the Korean musical would go to the China market. So first, this paper wants to investigate the China government cultural policy then to be specifically, howKoreanmusical industry successfully go to Chinamarket. Fromthis study, we need to re-consider what is the optional strategy to go to China regarding musical industry. This paper can contribute about the current literature. There has been limited study has been done regarding howandwhat extent of Koreanmusical expansion strategy into Chinamarket, then this paper c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s related study. Also Korean musical industry is steady growth period nowadays, even though after 2011’ rapid expansion, China could be the possible country which could be the opportunistic country for the high qualitymusical in Korea.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중국문화산업정책 방침과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한국 창작뮤지컬에 대한 국내 시장에서 해외 시장 진출로의 진출 전략에 대해 논하였다. 해외 시장으로는 우선 우리나라와 문화권이 비슷한 동아시아에서‘한류(K-Wave,韩流)’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킨 중국은 눈여겨 볼 시장이다. 다만, 중국은 2000년 들어와서부터 문화산업을 정책적으로 융성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중국은 사회주의 정치노선을 지향하면서, 문화산업의 질적 추구를 정책적인 차원에서 육성하는 부분을 염두 해두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 창작뮤지컬이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 중 중화권, 특히 중국(내륙)으로 뻗어나가기 위해 갖추어야 할 전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국은 경제성장률에 이어 2011년 1인당 국민소득(Gross Domestic Product, GDP)이 5,000달러를 넘어서면서, 양적성장 뿐 아니라 질적 성장에도 포용성 정책을 골격으로 삼게 된다. 따라서, 중국은 문화산업에서도 그 성장률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뮤지컬 공연에 대한 중국 내 관객들 연령대 및 향유 계층이 다양하지는 않다. 우선 중국문화산업정책에 대한 흐름을 살핀 후 중국 문화 예술 공연 및 전시 규정과 부가가치 비중(%)에 대해 다루면서, 중국의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상해지역부터 진출지역으로 초점을 맞추었다. 끝으로 한국 뮤지컬 중 중국에 진출한 작품과 진출방식에 대해 살피고, 한국 뮤지컬이 중국에 진출하고 수입 창출에 이어지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를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sidering Korea musical how to expand in China performing market. After tremendous growth in economy part, also partly adoptingmarket based system, China nowbegin to adoptmany kinds of cultural industry such asmusical,movie, drama etc. Contrary to drama,musical is hard to go to China because Korean musical could b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than those of China. There should be limited study has been done regarding how Korean musical penetrate into China market. This stems from Korean musical begins to go to China market because there should be the huge demand about Korean-based musical in China. This paper examines the how and what extent of the Korean musical would go to the China market. So first, this paper wants to investigate the China government cultural policy then to be specifically, howKoreanmusical industry successfully go to Chinamarket. Fromthis study, we need to re-consider what is the optional strategy to go to China regarding musical industry. This paper can contribute about the current literature. There has been limited study has been done regarding howandwhat extent of Koreanmusical expansion strategy into Chinamarket, then this paper c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s related study. Also Korean musical industry is steady growth period nowadays, even though after 2011’ rapid expansion, China could be the possible country which could be the opportunistic country for the high qualitymusical in Korea.

      • KCI등재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과점화와 그 영향력에 대한 연구

        이수현(Lee, Su-hyeon),이시림(Lee, Si-lim)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한국 대중음악산업 내 아이돌산업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과점모델이 해당 문화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다각에서는 아이돌산업에서의 성공과 실패가 아티스트의 실력이나 생산물의 경쟁력이 아닌, 소속사의 시장 내 규모와 지위, 또한 그로 인한 미디어 노출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한국 아이돌산업 내 과점화현상을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또한 이러한 과점구조가 실제로 산업 내 생산물들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내 대중음악산업은 상위 9개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과점 모델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이 중 일부 기업은 배급망과 방송사, 온라인 플랫폼 등을 소유함으로써 수직적 통합 구조를 구축해 나가고 있어, 한국 아이돌산업의 다이아몬드 내 주체들이 수평적 관계성을 갖기 어려운 구조가 되고 있다. 또한 실제 과점기업들의 기업 규모와 미디어에의 노출 여부가 아이돌 스스로가 보유하는 작사 · 작곡 능력과 같은 요인보다 아이돌의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아이돌산업 내 산업 구조의 변화가 음악의 다양성, 혁신과 같은 문화 생태계의 자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의미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시장 내 주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행동하기 때문에 현재의 과점화가 곧 한국대중음악의 단일화 또는 산업 내 주체들 간의 위계관계로 인한 갈등을 가져올 것으로 단언할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 아이돌 산업 및 대중음악산업 전반을 주지하면서 향후의 시기적 변화에 대해서도 지속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oligopoly model of the cultural industry, centered on the idol industry in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is affecting the cultural ecology. In recent years, success and failure in the idol industry are no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rtist’s skills or competitiveness, but to the size and status of the company and the resulting media exposure. This study focused on this phenomenon to confirm the oligopoly in the Korean idol industry through case analysis, and also confirmed whether this oligopoly structure actually affects the success or failure of products in the industry. According to the study, the domestic pop music industry is currently forming an oligopolistic model centered around the top nine companies, some of which are vertically owned by distribution networks, broadcasters and online platforms. It also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oligopoly and whether or not they are exposed to the media are having a greater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idol rather than the ability of the idol themselves. This is important in tha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he Korean idol industry can affect the resources of cultural ecosystems such as diversity and innovation. However, since the actors in the market interact each other, the current oligopoly can not be guaranteed to bring about the unification of Korean pop music or conflicts among actors. Therefore, we recommend continuous research on the changing timing of the future,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entire Korean idol industry and pop music industry. 본 연구는 한국 대중음악산업 내 아이돌산업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과점모델이 해당 문화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다각에서는 아이돌산업에서의 성공과 실패가 아티스트의 실력이나 생산물의 경쟁력이 아닌, 소속사의 시장 내 규모와 지위, 또한 그로 인한 미디어 노출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한국 아이돌산업 내 과점화현상을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또한 이러한 과점구조가 실제로 산업 내 생산물들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내 대중음악산업은 상위 9개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과점 모델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이 중 일부 기업은 배급망과 방송사, 온라인 플랫폼 등을 소유함으로써 수직적 통합 구조를 구축해 나가고 있어, 한국 아이돌산업의 다이아몬드 내 주체들이 수평적 관계성을 갖기 어려운 구조가 되고 있다. 또한 실제 과점기업들의 기업 규모와 미디어에의 노출 여부가 아이돌 스스로가 보유하는 작사 · 작곡 능력과 같은 요인보다 아이돌의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아이돌산업 내 산업 구조의 변화가 음악의 다양성, 혁신과 같은 문화 생태계의 자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의미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시장 내 주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행동하기 때문에 현재의 과점화가 곧 한국대중음악의 단일화 또는 산업 내 주체들 간의 위계관계로 인한 갈등을 가져올 것으로 단언할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 아이돌 산업 및 대중음악산업 전반을 주지하면서 향후의 시기적 변화에 대해서도 지속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oligopoly model of the cultural industry, centered on the idol industry in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is affecting the cultural ecology. In recent years, success and failure in the idol industry are no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rtist’s skills or competitiveness, but to the size and status of the company and the resulting media exposure. This study focused on this phenomenon to confirm the oligopoly in the Korean idol industry through case analysis, and also confirmed whether this oligopoly structure actually affects the success or failure of products in the industry. According to the study, the domestic pop music industry is currently forming an oligopolistic model centered around the top nine companies, some of which are vertically owned by distribution networks, broadcasters and online platforms. It also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oligopoly and whether or not they are exposed to the media are having a greater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idol rather than the ability of the idol themselves. This is important in tha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he Korean idol industry can affect the resources of cultural ecosystems such as diversity and innovation. However, since the actors in the market interact each other, the current oligopoly can not be guaranteed to bring about the unification of Korean pop music or conflicts among actors. Therefore, we recommend continuous research on the changing timing of the future,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entire Korean idol industry and pop music industry.

      • KCI등재후보

        중국 실경공연〈인상유삼저(印象劉三姐)〉에 나타난 공연예술과 지역사회의 문화산업적 요소 연구

        슈아이잉(Xu, Ai Ying),이준표(Lee, Jun Pyo),이승희(Lee, Seung 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실경공연의 개념과〈인상유삼저〉의 개발배경 및 세부사항을 살펴보고 지역사회와의 문화산업적 요소를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에서 적용되고 있는 실경공연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제시하여 현재 진행 중인 실경공연과 지역사회의 문화산업연구에 이론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실경공연에 관한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등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인 고찰 및 신문기사, 인터뷰, 영상자료 등의 자료분석으로 이루어 졌다. 연구범위는 실경공연의 개념과〈인상유삼저〉의 개발배경 및〈인상유삼저〉에 나타난 지역사회와의 문화산업적 요소를 분석하고, 한국의 적용사례와 문제점을 제시한 결과가 포함된다. 분석결과 실경공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환경에 공연요소를 접목한 특징이 있다. 둘째, 지역문화에 뿌리를 둔 소수민족의 민간 전설을 현대적 공연예술로 재창조 했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참여로 만들어진 작품이라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3가지 특징들에 의해 나타난 문화산업적 영향은 지역사회의 경제적 효과이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기획된 실경공연 중〈인상시리즈〉를 벤치마킹한 안동의〈부용지애〉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이 작품 역시 실경공연의 특징이 발견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경제적인 효과 면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인상유삼저〉의 지역사회와의 문화산업적 요소를 모델로 삼아 한국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실경공연 모델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look at the concept of nature scene performance and the developmental background of〈Impression Yusamieo〉to find ways to amalgamate with the local community. Also it is going to analyze nature scene performance cases that is being applied in Korea and find problems to provide theoretical data for the research on the cultural industry of performing arts inside the nature scene performance and local community. Research method includes, theoretical consideration through examining a master’s thesis about nature scene performance and a scientific treatise with investigation on news article, interviews, image materials and so on. The research ranges inside the nature scene performance concept and〈Impressions Yusamieo〉’s developmental background with amalgamative elements in〈Impressions Yusamjeo〉. Also the problems in applying nature scene performance in Korea and the outcomes are includ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in the cultural industry of nature scene performance and local community are shown below. First, it is an cultural industry of performance art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 recreated the people’s legend from a minority race based on local culture through modern performing arts. Third, this performance was made from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ce. Fourth, it is th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resulted from these 3 amalgamative elements. Also researched Andong’s〈Buyong JiAae〉which bench marked〈Insang Series〉, one of the nature scene performance projected in Korea. This performance also showed amalgamative elements with the local society. However, it wasn’t economically successful. Korea should bench mark 〈Impression Yusamieo〉’s cultural industry with local society to make a Korean nature scene performance model customized for Korea. 본 연구는 실경공연의 개념과〈인상유삼저〉의 개발배경 및 세부사항을 살펴보고 지역사회와의 문화산업적 요소를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에서 적용되고 있는 실경공연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제시하여 현재 진행 중인 실경공연과 지역사회의 문화산업연구에 이론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실경공연에 관한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등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인 고찰 및 신문기사, 인터뷰, 영상자료 등의 자료분석으로 이루어 졌다. 연구범위는 실경공연의 개념과〈인상유삼저〉의 개발배경 및〈인상유삼저〉에 나타난 지역사회와의 문화산업적 요소를 분석하고, 한국의 적용사례와 문제점을 제시한 결과가 포함된다. 분석결과 실경공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환경에 공연요소를 접목한 특징이 있다. 둘째, 지역문화에 뿌리를 둔 소수민족의 민간 전설을 현대적 공연예술로 재창조 했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참여로 만들어진 작품이라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3가지 특징들에 의해 나타난 문화산업적 영향은 지역사회의 경제적 효과이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기획된 실경공연 중〈인상시리즈〉를 벤치마킹한 안동의〈부용지애〉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이 작품 역시 실경공연의 특징이 발견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경제적인 효과 면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인상유삼저〉의 지역사회와의 문화산업적 요소를 모델로 삼아 한국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실경공연 모델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look at the concept of nature scene performance and the developmental background of〈Impression Yusamieo〉to find ways to amalgamate with the local community. Also it is going to analyze nature scene performance cases that is being applied in Korea and find problems to provide theoretical data for the research on the cultural industry of performing arts inside the nature scene performance and local community. Research method includes, theoretical consideration through examining a master’s thesis about nature scene performance and a scientific treatise with investigation on news article, interviews, image materials and so on. The research ranges inside the nature scene performance concept and〈Impressions Yusamieo〉’s developmental background with amalgamative elements in〈Impressions Yusamjeo〉. Also the problems in applying nature scene performance in Korea and the outcomes are includ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in the cultural industry of nature scene performance and local community are shown below. First, it is an cultural industry of performance art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 recreated the people’s legend from a minority race based on local culture through modern performing arts. Third, this performance was made from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ce. Fourth, it is th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resulted from these 3 amalgamative elements. Also researched Andong’s〈Buyong JiAae〉which bench marked〈Insang Series〉, one of the nature scene performance projected in Korea. This performance also showed amalgamative elements with the local society. However, it wasn’t economically successful. Korea should bench mark 〈Impression Yusamieo〉’s cultural industry with local society to make a Korean nature scene performance model customized for Korea.

      • KCI등재후보

        문화적 배경 차이에 따른 뉴스가치 비교 분석

        홍병기(Hong,Byeong-G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 KCI등재후보

        문화산업론과 문화산업 연구의 계보학

        김성은(Kim, Sung-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 KCI등재

        중국 문화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란희,단가루,배기형 한국문화산업학회 2022 문화산업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문화산업 산업연관표를 작성, 이를 이용하여 중국 문화산업의 경제적 효용을 정량적으로 분석 분석하여 중국 문화산업의 정책 수립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통계국에서 2018년 산업연관표 153개 부문 중 사무용 기계, 신문과 출판, 라디오·텔레비전·영화·영상녹음 제작 등 12개 산업으로선정,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대부분 제조업에 비해 낮은 생산유발효과를 보여 문화산업을 재미와 관심의 대상으로 인식하면서도 간과하고 있다. 둘째, 문화산업이 다른 산업의 발전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간재 역할을 하지 못하며, 문화산업의 수요변화가 제조업의 수요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문화산업은 32개 산업 중 제조업보다 높으나 서비스산업에서는 부동산사업을 제외하고는 제일 낮은 소득유발효과를 나타나며, 32개부분 중 19위를 차지하고 있다. 넷째, 중국 문화산업이 생산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제조업과 건설업보다 필요한 노동력을 유도하는 일자리 창출 산업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끝으로 문화산업의 최종수요액 24,210.4 억 위안을 국가경제에 투입할 경우 문화산업의 생산유발액은 39,817억위안, 세금유발액은 1,009억위안, 소득유발액은 6,792억위안, 그리고 부가가치유발액은 12,933억위안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 통계청의 2018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그동안 소홀했던 문화산업의 역할을 거시적 입장에서 계량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벤처캐피탈 활성화를 통한 문화산업 발전방안 연구

        정행득(Chung, Haing-Deuc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3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문화콘텐츠산업이 중추가 되는 창조경제 구현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가 창출되어야 한다. 특히 청년인력들이 다양한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매우 중요하다. 문화콘텐츠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벤처캐피탈의 활성화가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기술 및 인적자원 집약적인 문화산업 발전이라는 지속가능한 새로운 성장 모멘텀은 창업기업과 혁신적 중소·벤처기업 새로운 시장과 산업에 진입하여 성장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금수급상의 불균형 문제 보완과 이를 통해 기업이 단절 없이 성장하는 생태계 조성·제공을 요구하고 있다. 창의적 자산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벤처자금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벤처·창업기업의 고위험·고수익 구조에 부합한 지원이 되도록, 창업기업의 자금조달 구조를 융자로부터 투자 중심으로 변경하고, 엔젤투자 활성화, 기술혁신형 M&A 활성화 등을 통해 성장 단계별 투자·회수 시스템을 갖추어 나가면서, 지적재산권 보호, 재도전 환경개선 등 벤처생태계의 하부 인프라가 확충되어야 한다. For sustained growth of Korean economy. new markets and job positions should be created through materialization of "creative economy" in which culture industry plays the key role. A circumstance in which young people are very active in various fields of cultural contents should be provided by the government. How we revitalize the venture capital market is crucial in the process. A sustainable growth momentum of technology and human capital intensive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can be secured only through construction of venture capital ecosystem, in which innovative venture companies’ financial matters are alleviated drastically. The structure of fund raising systemshould be changed fromloan to investment. This change can assist the financing of venture businesses that have sufficient technology but lack capital. In addition, subsystem of venture ecosystem should be enlarged including M&A vitalizatio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expanding rechallenging opportunities for the venture failures, etc.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문화콘텐츠산업이 중추가 되는 창조경제 구현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가 창출되어야 한다. 특히 청년인력들이 다양한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매우 중요하다. 문화콘텐츠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벤처캐피탈의 활성화가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기술 및 인적자원 집약적인 문화산업 발전이라는 지속가능한 새로운 성장 모멘텀은 창업기업과 혁신적 중소·벤처기업 새로운 시장과 산업에 진입하여 성장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금수급상의 불균형 문제 보완과 이를 통해 기업이 단절 없이 성장하는 생태계 조성·제공을 요구하고 있다. 창의적 자산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벤처자금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벤처·창업기업의 고위험·고수익 구조에 부합한 지원이 되도록, 창업기업의 자금조달 구조를 융자로부터 투자 중심으로 변경하고, 엔젤투자 활성화, 기술혁신형 M&A 활성화 등을 통해 성장 단계별 투자·회수 시스템을 갖추어 나가면서, 지적재산권 보호, 재도전 환경개선 등 벤처생태계의 하부 인프라가 확충되어야 한다. For sustained growth of Korean economy. new markets and job positions should be created through materialization of "creative economy" in which culture industry plays the key role. A circumstance in which young people are very active in various fields of cultural contents should be provided by the government. How we revitalize the venture capital market is crucial in the process. A sustainable growth momentum of technology and human capital intensive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can be secured only through construction of venture capital ecosystem, in which innovative venture companies’ financial matters are alleviated drastically. The structure of fund raising systemshould be changed fromloan to investment. This change can assist the financing of venture businesses that have sufficient technology but lack capital. In addition, subsystem of venture ecosystem should be enlarged including M&A vitalizatio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expanding rechallenging opportunities for the venture failures, etc.

      • KCI등재

        마카오 문화창의산업 정책 환경 요인 분석

        정기은,김세훈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4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Macau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policy focusing on the policy environment factors. For the purpose, it investigates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factors in the macro level and resources, institutions and ‘related-policies’ in the micro level around the policy. According to the result,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the Macau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policy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mainland China's policy. In addition,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Macau that interrelated Portugese culture and Chinese culture enables Macau to use Lusophone countries as a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icro level explain the reason why tourism is entangled with the industry, an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arts are not funded by the Culture Fund. The approach to cultural industry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environment factors helps clarifying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cultural industry.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for analysis of cultural industry policy by examining Macau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policy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policy analysis in the area of culture industry. 이 연구는 마카오 문화창의산업 정책의 특징을 정책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요인을 거시적 차원의 환경 요인으로, 자원, 제도, 유관 정책을 미시적 차원의 요인으로 분류하여 살펴 본 바에 따르면, 마카오 문화창의산업 정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마카오 문화창의산업 정책은 중국 반환 이후 중국 중앙정부 정책의 직접적 영향력 아래 진행되고 있지만, 경제적인 차원에서는 일국양제 아래서 중국에의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둘째, 포르투갈의 오랜 식민 역사와 이로 인해 형성된 마카오만의 독특한 역사문화 배경을 루소폰 국가의 활용이라는 방식으로 문화창의산업정책 추진 전략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셋째, 미시적 차원에서는 문화창의산업 발전에 역사문화 및 관광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문화창의산업과 문화관광이 긴밀하게 연계되고 있다. 넷째, 제도적 차원의 요인으로 문화산업기금과 문화기금간의 역할 구분이 문화창의산업 영역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중앙정부의 문화산업진흥정책 및 마카오 발전 정책, 마카오 특별행정구에서 마련한 상위의 발전 계획 등 상위 및 유관 정책들이 마카오 문화창의산업 정책 수립 및 집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마카오 문화창의산업을 정책환경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이 연구는 왜 마카오 문화창의산업이 다른 국가와 달리 다른 지향, 전략들을 채택하였으며, 나아가 그 구체적 내용으로 어떤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어떤 방식과 수단을 가지고 정책을 추진하려고 하였는지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틀을 마련함으로써 문화산업정책 분석에 있어 국가간 특징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문화산업과 우리나라 수출함수에 관한 연구

        정행득(Chung, Haing-Deuck),이상호(Lee, Sang-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1

        문화콘텐츠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는 다른 산업들의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통상에서도 문화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수출에 따른 한류의 확산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상승하고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여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문화산업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하나의 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단순한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수출 증대를 통한 국가 경제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검토되고 시행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수출행태함수 추정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율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환율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거시경제 정책이 매우 중요하지만, 우리나라 수출의 지속적 확대를 위해서는 국가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환율 정책보다는 문화산업을 글로벌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정책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류가 글로벌 무대로 확산됨으로써 국가 수출 증대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업그레이드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Through the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Hallyu), the culture industry is contributing to Korea’s export and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culture industry on the Korea’s export. According to the export behavior function discussed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the culture industry, exchange rates obviously have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export. Therefore macro-economic policy efforts to stabilize exchange rate is important to support Korean firms’ export activities. However, exchange stability policy measures such as government intervention to the foreign exchange market often cause unnecessary conflict among trading nations, whichmay bring adverse effect to the national economy as a whole. This situation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development of the culture industry is more efficient way to enhance Korea’s export capability than exchange rate related macro-economic policies. We may conclude tha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 to continue the diffusion of KoreanWave(Hallyu) throughout the world and to build globally competitive culture industry through appropriate policymeasures. 문화콘텐츠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는 다른 산업들의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통상에서도 문화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수출에 따른 한류의 확산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상승하고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여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문화산업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하나의 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단순한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수출 증대를 통한 국가 경제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검토되고 시행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수출행태함수 추정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율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환율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거시경제 정책이 매우 중요하지만, 우리나라 수출의 지속적 확대를 위해서는 국가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환율 정책보다는 문화산업을 글로벌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정책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류가 글로벌 무대로 확산됨으로써 국가 수출 증대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업그레이드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Through the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Hallyu), the culture industry is contributing to Korea’s export and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culture industry on the Korea’s export. According to the export behavior function discussed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the culture industry, exchange rates obviously have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export. Therefore macro-economic policy efforts to stabilize exchange rate is important to support Korean firms’ export activities. However, exchange stability policy measures such as government intervention to the foreign exchange market often cause unnecessary conflict among trading nations, whichmay bring adverse effect to the national economy as a whole. This situation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development of the culture industry is more efficient way to enhance Korea’s export capability than exchange rate related macro-economic policies. We may conclude tha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 to continue the diffusion of KoreanWave(Hallyu) throughout the world and to build globally competitive culture industry through appropriate policy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