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지의 문화사회학

        최종렬(Jongryul Choi)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0 No.-

        한국문화사회학회가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이 글은 앞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의 바람직한 미래를 타진하기 위해 “문화사회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첫째, 이 글은 인간을 특정의 삶에서 닥친 문제적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공적 상징체계를 사용하는 상징적 행위자로 볼 것을 제안한다. 문화사회학은 행위자가 공적 상징체계인 문화를 사용하는 방식에 초점을 기울이는 문화화용론적 시각을 채택해야 한다. 둘째, 이 글은 현재 한국이 처한 상황을 비정착된 삶으로 규정하고 문화사회학이 우선적으로 이러한 삶에 처한 행위자의 의미화 실천을 탐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셋째, 이 글은 막스 베버를 따라 문화사회학이 악이 왜 이 세상을 지배하는지 묻고 답하는 ‘의미의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넷째, 이 글은 문화사회학자는 악한 사회를 초월하는 긍정적 언어를 창출하기 위해 시인 이성복이 제안한 극지에 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가 ‘마치 ∼인 것 같은’ 미학적 영역으로 진입하여 사회와 도덕에 대해 논하는 미학적 공론장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Korean Association of Cultural Sociology (KACS) has celebrated its tenth anniversary. To envision the future direction of KACS, this article asks a radical question: “What should cultural sociology do?” First, this paper proposes to see human beings as symbolic actors who use a public system of symbol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atic situations they encounter in their specific lives. And therefore, cultural sociology should incorporate cultural pragmatics into its horizon in order to shed light on how actors use culture as a public system of symbols. Second, this paper defines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s unsettled lives and argues that cultural sociology should, first of all, investigate how symbolic actors under these unsettled lives perform signifying practices. Third, following the lead of Max Weber, this paper argues that cultural sociology should concentrate on the problem of meaning in which the question of why evil prevails in this world is ultimately answered. Fourth, it will be contended that cultural sociologists should move themselves to the ends of the earth, proposed by the poet Lee Seong-bok, in order to create a new positive language that can transcend evil society. Last, it will be argued that KACS should become an aesthetic public sphere in which free men enter into the subjunctive world of “as if” and discuss about society and morality.

      • KCI등재

        문화연구의 사회학화

        박선웅(Sunwoong Par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2005년 설립된 한국문화사회학회가 걸어온 10년의 발자취를 기록하며, 학회의 지난 성과와 의의를 평가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회 출범의 배경으로서 90년대 진행된 한국사회학계의 ‘문화적 전환’을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 학회가 걸어온 길을 다양한 유형의 학술활동, 교재 개발, 학술지 발행 등으로 구분하고, 지금까지의 학술․연구기획 및 활동이 어떻게 학회의 양적․질적 성장과 학회원 간의 소통에 기여하였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비록 학회의 제도화는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회가 가려했으나 가지 못한 길에 대한 반성과 함께 향후 ‘문화연구의 사회학화’를 더욱 진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t to record a decade of the footstep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ultural Sociology founded in 2005, to assess their achievement and significance, and to propose some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To this end, I will briefly examine the “cultural turn” of the Korean sociology taken in the 1990s as a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ssociation. And then, I will explore the roads the association has taken in terms of various forms of academic activities including conference, textbook development, and journal publication in order to shed light on how those activities have contributed to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s of the association and communications among members. Alth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ssociation has been achieved to a large extent, I will to make some suggestions to further promote the sociologizing of cultural studies with self-critical reflection on the roads that the association has failed to take.

      • KCI등재

        한국문화사회학의 쟁점과 과제

        신지은(Jieun Shi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0 No.-

        이 연구는 창립 10주년을 맞은 한국문화사회학회가 지난 10여 년 동안 중심적으로 다루어온 연구의 주제와 방향을 검토해보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우선 고전사회학에서 현대 문화사회학의 방향과 목적을 새롭게 확인한다. 특히 고전사회학에서 발견되는 사람의 마음과 행복 그리고 ‘종교적인 것’에 대한 관심을 확인하고, 이러한 도덕과 행복에 대한 성찰이 예술과 철학을 매개로 이뤄졌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성과 도구적 합리성, 공리주의적 패러다임에 기반 한 기존의 주류 사회학의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감각, 감정, 비공리적 결속, 정감적 연대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그 다음으로 주류 사회학이 사회조사 방법을 사용할 때 인간 개인을 무시해 온 문제점을 살펴보고, 인간 개인에 대해 주목할 필요, 일상생활 연구나 생활사, 구술사 등의 연구 방법론, 상식 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사회학이 봉착한 위기 속에서 사회 구성원들의 실존적 삶의 의미와 실천이 내포하는 복잡한 리얼리티를 해석해 내기 위해 문화사회학이 새롭게 서사적 전환을 이뤄내야 할 것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subjects and orientations of research l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Cultural Sociology over a 10-year old period, and to examine future research prospects and challenges to be tackled. First, this paper examines classic sociology by exploring the orientations and the objectives of contemporary cultural sociology. It demonstrates that classical sociology focuses on themes such as the hearts of the people, the happiness, and the religion in gathering people together; it then introspects on these themes through the media of art and philosophy. This paper then critically analyses the problems of sociological theories that are based on reason,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utilitarian paradigm; it encourages greater concern about the senses, emotion, affectual solidarity, and non-utilitarian unity. It also examines the flaws in social research methods that neglect to consider each individual pers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sing the methods of life history and oral history, everyday life studies, and common sense.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narrative turn of sociology, seeking to overcome its inherent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the multiple realities that connote the meanings and practices of the real lives of members of society.

      •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지평과 과제

        민문홍(Min Moon-Ho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06 문화와 사회 Vol.1 No.-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의 사회학자들에 의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에 대한 연구 현황을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검토해봄으로써,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 연구에 보완되어야 할 점들을 찾아보고, 이러한 평가를 기준으로 향후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이론 연구가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에 적실성을 가지고 가르치고 연구될 수 있도록 성찰의 기회를 마련해보는 것이다. 이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필자는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과 관련해서 한국 사회학 공동체의 주목을 가장 크게 받은 알렉산더(Jeffrey Alexander)의 저서를 중심으로, 그가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을 강조하게 된 지적 배경과 그가 분류한 뒤르케임 전통의 학문적 후계자들(벨라, 실즈,기 어츠, 우드나우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의 계승을 검토해보았다. 둘째는, 프랑스 사회학 공동체가 주목하는 뒤르케임의 전통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마르셀 모스, 마르셀 그라네, 모리스 알박스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을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특히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이들이 그의 스승인 뒤르케임의 이론적, 방법론적 문제의식을 어떻게 혁신하고 계승해서 현대 문화와 타 문화권에 대한 새로운 문화사회학적 연구 전통을 성공적으로 확립해나갔는가를 탐색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학자들이 해온 뒤르케임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조감하고, 그 특징을 몇 가지 유형별로 기술한 후에 이러한 지적 자원을 가지고 한국에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 전통을 연구와 교육 분야에서 더 적실성있게 계발하려면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전략이 필요한가를 탐색해보았다. This article purports to draw some sociological less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on the basis of study in durkhemian tradion’s sociological studies by korean sociologists. For this purpose, it delves in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some more detailed academic projects of diverse efforts of korean sociologists in this domain. This article composes of three parts. First part examines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analyses the detailed academic programs of korean sociologists’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Within this work, author also includes the academic efforts of translation of major works of french second generation’s (Marcel Mauss, Marcel Granet, Maurice Halbwachs) durkhemian sociology. Second part makes typologies of these works and evaluates the academic activities of korean sociolgists in this domain. On the basis of this work, author suggests some future tasks of korean sociologists i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These tasks are as follows: We must more clarify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post-phase Durkhemian sociology and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tion’s sociology on this basis. We need to explore the second generation durkhemian school’s works. Third part suggests some sociological lessons from the above mentioned analyse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durkhemian and neo-durkhemian cultural sociolog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y. And for this purpose, we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ition’s cultural sociology around the themes of civil religion, new community value system, trust building works through new social movements.

      • KCI등재

        한국 문화사회학 연구의 구조와 흐름

        박근영(Keun-Young Par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0 No.-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한국문화사회학의 논문 생산의 주체는 누구였으며 그들의 주요 관심사는 무엇이었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발행된 한국문화사회학회의 공식 학술지『문화와 사회』게재 논문의 저자와 키워드를 대상으로 일반 기술통계 및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화사회학의 논문 생산 주체와 그들의 관심사 변화를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초기 『문화와 사회』는 소수 저자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지만 최근 들어 저자 및 그들 소속 기관의 다양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초기 『문화와 사회』의 주요 관심사는 문화사회학의 정체성을 정립하려는 몇몇 특정 주제에 상당히 편중된 모습을 보였지만 최근 들어 주제의 집중도는 떨어지는 대신 보다 포괄적인 영역으로 관심사를 확대하는 보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본 논문은 『문화와 사회』가 학문적인 중심과 정체성을 성공적으로 확립하였으며 전형적인 학술지 설립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정화의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who has been the subjects of thesis production in the KACS (the Korean Association of Cultural Sociology) and what has been their major research topics for the last decade. Applying social network analysis as well as descriptive statistics to ‘authors’ and ‘key word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KJCS(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an official journal of KACS) between 2006 and 2015, it traces the changes in research trends and interests of Korean cultural sociology.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two. First, while the KJCS heavily relied on a small number of authors before 2010, it recently obtained lower level of concentration with regard to authors and their affiliations. Second, before 2010, KJCS stuck to a narrow range of research topics mostly related to its academic identities, it recently extended its topic areas significantly. All these changes consistently suggest that the KJCS has overcome the typical setbacks attached to new academic journals, and developed into a phase of stabilization.

      •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최샛별(Choi SetByol) 한국문화사회학회 2006 문화와 사회 Vol.1 No.-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특수성을 근거로 문화 자본의 존재를 부정하는 논의에 대해, 한국 사회의 보다 심층적인 구조와 재생산 메커니즘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문화 자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반론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미국 문화사회학에서의 부르디외 문화 자본론 관련 연구들을 한국사회 연구에 있어서의 함의점이라는 측면에서 문화 자본론의 적용성, 문화자본과 계급의 상응성, 그리고 문화 자본의 생성과 제도화라는 세 주제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이 세 가지 주제는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이를 비판적으로 확장 발전시켜 문화사회학의 주요 분야로 자리잡은 대표적인 예들이다. 다음으로 그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되어온 문화자본에 대한 연구들을 이 세 주제의 맥락에서 개괄하고 보다 활발하고 풍부한 문화 자본 논의와 경험적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 번째, 문화 자본을 좀 더 광범위하고 적응성 있는 개념으로 재개념화하고 좀 더 폭넓은 시각에서 문화 자본론을 해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작용하고 있는 문화 자본의 형태와 그 작동 방식을 밝혀내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 자본의 실증적 연구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문화 활동 및 취향 전반에 관한 광범위한 실태 파악과 지속적인 조사 자료의 집적이 중요하다. 셋째, 서구의 고급문화, 대중문화, 그리고 생활양식들이 어떻게 한국 사회에 스며들어 제도화되어왔는가에 대한 사회사적인 시각을 가진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Some sociologists argue cultural capital does not exist in Korea because of historical and social uniqueness of the society. I raise a counterargument by contending that in-depth study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is essent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structure and the reproduction mechanism of Korean society. In an attempt to find implications on Korean society, I address American studies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ree subjects: applicability of his theory; correspondency between class and cultural capital; and gene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ultural capital. Around these three subjects, Bourdieu’s theory has critically expanded and become a major part of sociology of culture in America. Then, I summarize Korean studies on cultural capital in the light of the three subjects and demonstrate the importance and the pertinence of researches on cultural capital in Korea. For more active discussions on cultural capital and more appropriate empirical studies, I make three suggestions. Firstly, we need to investigate the forms of cultural capital and their operating mechanism in Korea. In order to do that, we should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to make it more extensive and more adaptive. Also, we should interpret the theory of cultural capital in broader context. Secondly, for active empirical studies on cultural capital, we should collect and accumulate data on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tastes. Thirdly, with socio-historical perspective, we should perform systematic studies to reveal how western high culture, popular culture, and life style have permeated throughout Korean society and become institutionalized.

      • KCI등재

        외국무용단 초청공연을 통해 본 문화매개자로서 한국의 신문사

        박은혜 한국문화사회학회 2022 문화와 사회 Vol.30 No.1

        This research focused on Chosun Ilbo, Joong-Ang Ilbo, Dong-A Ilbo, which were not only major newspaper media in South Korea but also agencies that arranged to invite foreign dance troupes. By undertaking a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se newspapers functioned as cultural intermediaries in Korea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ly, as performance agencies, three newspapers mediated Western ballet, modern dance, and folk dance in the Korean society while they excluded non-Western dances. In addition, they preferred classical ballet among Western dances. Secondly, these performances were well received by the educated, middle and upper class in Korea, who possessed distinct taste in ballet. Thirdly, newspapers as media varied in the amount of articles, which depended on dance genres, and consequently, cultural legitimacy was given to ballet and modern dance, more than to Western folk dance. 본 연구는 과거 한국사회에서 무용의 위상이 매우 낮았음에도 현재에는 고급스럽다고 여겨지는 무용장르가 존재하며 그 대부분은 한국 고유의 예술이 아니라 외래의 문화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이들 무용이 어떠한 사회적 과정을 거쳐 지금의 위치를 점하게 되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세기에 외국무용단의 내한공연사업을 활발히 펼쳤던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한국사회에서 무용장르 간 위계형성에 영향을 준 문화매개자로 간주하면서 이들이 수행했던 기능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외국무용단 초청공연의 기획사임과 동시에 관련 기사를 생산하는 언론사이기도 했던 세 신문사가, 문화매개자의 두 가지 측면 즉 생산과 소비의 중간자 그리고 미디어 담론을 통한 문화적 정당성의 기여자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 것이라고 이해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신문사가 서양무용 내한공연의 생산과 소비를 어떻게 매개하였으며, 관련 기사를 통해서는 각 무용장르의 정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풍부한 문헌고찰과 양적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공연기획사로서 신문사들은 서양의 발레와 현대무용 그리고 민속무용을 한국사회에 매개했던 반면, 비서구권의 무용들은 배제하였다. 세 신문사는 서양의 무용 중에서도 고전발레를 가장 많이 기획하였다. 둘째, 이들 신문사는 발레공연을 중심으로 한국의 교육받은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을 관객으로 매개하였다. 셋째, 언론사로서의 신문사들은 무용장르별로 기사생산에 있어 차이를 보이면서 서양의 민속무용에 비해 발레와 현대무용에 보다 많은 문화적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매개자로서 세 신문사가 한국사회에서 발레와 현대무용을 상위로 하는 무용장르 간 위계형성에 있어 일정부분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 강신표 교수의 ‘대대(對待)문화문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실하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2 No.-

        At a meeting of the 〈2005 Sociological Conference for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Prof. Kang Shin-pyo critically reviews my understanding about his ‘The ‘Dae-dae(待對) Cultural Grammar’. This paper is prepared as an answer to his comment. Prof. Kang Shin-pyo examines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erms of ‘The Dae-dae cultural grammar’. ‘The Dae-dae cultural grammar’ originated from ancient Chinese socio-cultural traditions. The core of the grammar consist of categorical thinking of yin(陰) and yang(陽). Prof. Kang Shin-pyo suggested ‘The Dae-dae cultural grammar’ as ‘The Cultural grammar of Korean Traditionl Culture’. In this paper, I critically review ‘The Dae-dae(待對) Cultural Grammar’ of Kang Shin-pyo. In many papers and books, I suggested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that is spreaded out 1-3-9-81.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is unique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The Holy numbers 3, 9 and 81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are already seen in the Neolithic Age ‘Hong-san(紅山) culture’ in North-east Asia. So, I suggest that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philosophy.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the Holy numbers(3ㆍ9ㆍ81) are also seen in Korean Taoism and Ethnic religions of Korea. I accept ‘The Dae-dae cultural grammar’ as a ‘Cultural grammar of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But I think, that is an just one element of ‘The Cultural grammar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many papers and books, I suggest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as the core element of "The Cultural grammar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It origins in the north-eastern Shamanism. I accept the concept of ‘The Dae-dae cultural grammar’ as one element of "The Cultural grammar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But it is not enough. Finally, I think that my concept of "The World view of Trichotomy" will escalates his argument. 2005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학술대회 동양사회사상분과(충남대학 2005. 6. 17)에서 강신표 교수는 필자를 직접 지목하면서 「‘대대(對待)문화문법’에 관한 이해와 오해(1)」라는 글을 발표하였다. 이 글은 강신표 교수의 글에 대한 답변이다. 강신표 교수는 중국에서 기원한 음양적 이분법에 입각한 ‘대대문화문법’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한국 전통문화를 탐구하고 있다. ‘대대문화문법’은 고대 중국의 사회-문화적 전통에서 기원한 것으로, 음(陰)과 양(陽)이라는 이분법적인 범주적 사고로 구성되어 있다. 강신표 교수는 ‘대대문화문법’을 한국 전통문화의 ‘문화적 문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글에서 필자는 강신표의 ‘대대문화문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필자는 이미 여러 논문과 책을 통해서 ‘1-3-9-81’로 분화되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북방 샤머니즘의 고유한 사유 체계로 제시한 바 있다. 3, 9, 81 등을 성수(聖數)로 삼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은 만주 지역 요하 일대의 신석기시대인 홍산문화 만기(紅山文化 晩期: 기원전 3500~기원전 3000) 유적에서도 확인된다. 그래서 필자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동북아시아 ‘모태(母胎) 문화’라 고 부른다. 이런 ‘3수 분화의 세계관’은 한국 전통문화의 기저에 흐르는 선도사상이나 민족 종교에서도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필자는 강신표 교수의 ‘대대문하문법’을 ‘한국 전통문화의 문화적 문법’의 하나로 수용하다. 그러나 이것으로 충분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결론적으로, 필자의 ‘3수 분화의 세계관’ 개념은 강신표 교수의 논지를 좀 더 발전적으로 확대하였다고 생각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재미 한인의 미국과 한국사회 만족도 비교연구

        인태정(In, Tae-Jeong),오중환(Oh, Joong-Hwa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2 문화와 사회 Vol.12 No.-

        본 연구는 한인들이 비교적 많이 밀집해 있는 미국의 동북부, 특히 뉴욕, 뉴저지, 보스턴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미 한인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한국인 혹은 아시아인의 고유하고도 동질적인 특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필자는 재미 한인집단이 동일하거나 동질적인 집단이 아니며 오히려 개인의 사회경제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의해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음을 주시하였다. 그래서 본 논문은 개인의 다양한 배경- 이주 시기 및 체재 기간, 수입, 직업, 학력-에 따라 미국과 한국의 사회적 조건에 대한 만족도의 차별적 분화상을 분석하고 그럼으로써 한인 이주민 집단 내의 이질성과 다양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과 한국사회에 대한 만족도 평균 비교에서 미국사회의 만족도 평균은 3.54이고, 한국은 2.92로서 미국사회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미국은 교육 조건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한국은 문화적 적응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에서의 치열한 입시경쟁문제에 직면하기보다는 미국에서 교육을 받는 것이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들의 미래에 더 많은 기회와 성공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 것 같다. 둘째, 이주 시기 및 체재 기간, 수입, 직업, 학력별로 미국과 한국사회 만족도의 차이를 보기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미국사회에서 체재 기간이 오래될수록, 수입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미국사회의 만족도가 높았다. 한편 미국사회에서 체재 기간이 오래될수록, 수입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한국사회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이는 미국사회의 만족도와 비교적 상반된 결과였다. 이는 미국사회에서 체재 기간이 오래될수록, 수입이 높을수록, 미국사회에 적응도가 높아짐으로써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미국과 한국사회에 대한 만족도가 재미 한인의 개인적 배경, 혹은 사회경제적 배경, 그리고 두 국가 간의 경제적, 사회적 차이에 따라 다양한 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American society and Korean society among Korean Americans in New York, New Jersey, and Boston areas. Moreover, we further argue in this paper that Korean immigrants of different backgrounds in the United States are in different stages of incorporation in the American societ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d the extent to which different social-economic backgrounds among Korean American immigrants(length of residence, 1- and 1.5- generation immigrants, earnings, occupation, education) associate with the satisfaction degree of American society and Korean societ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degree of social conditions of Korean Americans is more high that of American society than that of Korean society. Especially the satisfaction degree of educational condition of America is the most high, while the satisfaction degree of cultural adaptation of korea is the most high. Seco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American society of Korean Americans who dwell for a long time, are old generation, have high earning, have low schooling are apt to be high, while the satisfaction degree of Korean society of Korean Americans who dwell for a long time, are new generation, have high earning, have low schooling are apt to be low.

      • KCI등재

        한국 노래방의 성장을 둘러싼 사회문화사

        문지현(Ji Hyun Moo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1 No.-

        ‘가라오케’의 발명으로 시작된 노래방 문화는 범지구적 유행이자 한국의 독특한 대중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래반주기의 발전에 따른 노래방의 성장과 그것이 한국 사회에서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의 노래방 문화는 일본의 노래반주기 기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성장했다. 1970년대에 등장한 8트랙테이프와 80년대 카세트 테이프의 녹음 기술은 음악 반주만을 재생하는 아이디어를 만나 ‘가라오케’라는 이름으로 일본에서 한국으로 들어와 유행하기 시작했다. 노래반주기의 탄생은 시공간의 제약을 초월하는 연주의 장(場)을 재생산하며, 청중의 위치에서 일방적인 음악 수용자의 역할에 머물러있던 대중들에게 ‘비(非)전문적’ 가창의 즐거움을 제공하며 음악의 연행 방식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빠르게 전개되는 노래방의 양적 확산 및 테크놀로지의 발전과는 달리, 노래방 문화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 변화는 늦게 이루어졌다. 언론에서 가라오케라는 단어는 ‘왜색적인’, ‘불건전한’, 퇴폐적인 ‘유흥’으로 묘사되는 반면, 노래방은 ‘민족적인’, ‘건전한’, ‘놀이’라는 문화적 의미가 투영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많았다. 이러한 지점에서 ‘노래방’은 ‘가라오케’의 단순한 언어적 번역 이상의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노래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은 90년대 국내 기업이 확보한 노래반주기의 기술력이었다. 특히 MIDI 작곡 방법의 도입과 컴퓨터 메모리칩의 응용은 일본의 기술에 의존하던 한국의 노래방이 하나의 독립된 음악 시장을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대중매체에서 소비되는 노래방의 이미지도 점차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노래연습장의 캔 맥주 허용에 대한 찬반 논쟁은 끊임없이 ‘건전한 우리’의 가치를 기대하는 제도권과 대중들의 인식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요컨대 한국의 노래방 문화는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창출한 음악 풍경과 이를 향유하기 위한 한국 사회의 문화적 충돌을 발견할 수 있는 독특한 단층인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growth of noraebang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karaoke equipment and its socio-cultural meaning. Korean noraebang culture grew when it formed a close relationship with Karaoke technology. When the recording technology of eight-track tapes and 80s cassette tapes emerged in the 1970s, Korea was introduced to Japanese karaoke, which presented the idea of along to only musical accompaniment. The development of Karaoke enriched musical performances, which reproduced music scenes that transcended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providing amateur singers with the enjoyment of singing to the public. Compared to the spread and development speed of noraebang technology, change in social perception happened slowly. The word karaoke is described as meaning stranger, Japanese, unwholesome, and decadent pleasure and entertainment, while noraebang tends to be used while projecting cultural meanings such as we, ethnic, wholesome, and play. What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presenting noraebang as part of an Korean pop culture was the technological prowess of noraebang equipment that a Korean company secured.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a MIDI composition method by a Korean company, and the application of a computer memory chip,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Korean noraebang, which had depended on Japanese technology before, to form an independent music market. Consumption of noraebang images through mass media also contributed to a perceptional restructuring. The improvement of laws surrounding noraebang, and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permission of canned beers at noraebang, illustrate the perception of the system and public that expect to uphold the value of the “wholesome we.” In short, Korean noraebang is a unique space where one can enjoy the musical landscape that technology created and bear witness to the cultural conflict of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