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교육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 KCI등재후보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통한 한국문화교육 개선 방향

        로문봉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3 한국어문화교육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개설된 한국문화교 육 관련 교과목과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의 요구조사를 통해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 는 데 있다. 그 결과,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교 육을 부족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어학과 재 학 중인 학습자들은 모두 한국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측면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를 바탕 으로 본 연구에서는 1) 교육 내용의 풍부성, 2) 교수 학습의 다양성, 3) 교재 내용의 실제성, 4) 학습활동의 실천성이라는 네 가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에게 보다 더 적합한 한국문 화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토대를 다루었다는 데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cultural education-related subject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opened by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the University of Chin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Korean cultural education through a survey of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Chinese universities are insufficiently dealing with Korean culture education. In contrast all learners enrolled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demand for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s four improvement directions: 1) abundance of educational content, 2) diversity of teaching and learning, 3) practicality of textbook content, and 4) practicality of learning activities, addressing the foundation for preparing more suitable Korean cultural education measur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Chinese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효과 - 아시아권 출신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윤은주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7 한국어문화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교육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로서, 언어문화교육에 관한 이론을 기초로 매체언어교육으로서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초급 수준의 아시아권 출신 결혼이주여성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 후, 그에 따른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요구에 부합하는 한국어 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의 문화적, 사회적 기대는 여성 이주자에게는 매우 낯선 것이며 그들은 이와 관련 하여 크고 작은 어려움에 놓이게 된다. 이들 중 가장 직접적 어려움은 의심할 여지없이 언어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대구, 경남 지역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3개 한국어 교육기관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뒤, 동질성 검증을 거쳐 진행하였다. 또한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을 6차시에 걸쳐 실험처치 후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 사후로 비교 검증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에 대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실험 집단의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했다. 다만, 한국어 언어기능의 추론하기 영역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드라마 활용 한국어 문화 수업적용 차이에 따른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한국어 언어기능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도에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결혼이주여성의 실생활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문화 수업방식은 결혼이주여성 학습자에게 언어기능과 한국문화에 대한 습득능력을 증대시키고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교수방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cultur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socio-cultural need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its effect. Based on theories about cultural language edu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ar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Asia who are learning Korean via cultural language education watching Korean soap opera. By understanding the effect of this cultural language education on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comprehension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etter cultur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eds of marriage migrant women. Marriage migrant women are unfamiliar with various cultural and societal expectations in Korea, and such unfamiliarity begets problems for them. The biggest problem is language. This study picked subjects in Busan, Daegu, and Kyungnam area and assigned subjects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ree different Korean education centers and tested using equivalence check. Also, the study compared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on subjects before and after cultural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and culture analyzing the effect of cultural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 But, inference ability on Korean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suggesting that cultural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 might be ineffective. But, the cultural language education is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ability overall, the study concludes that cultur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eds of marriage migrant women is effective in teaching Korean culture and language. Also, it provides a motivation to learn Korean for marriage migrant women.

      • KCI등재후보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현황 및 과제 :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장혜림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1 한국어문화교육 Vol.5 No.1

        중국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대학교는 해마다 늘고 있다. 2011년 1월까지 중국 4년제 대학 중 103개 학교에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다고 한다.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문화 교육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문화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는 많지 않다.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한국문화 교육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문화 교육의 부족으로 한국의 사회와 문화와 접하게 될 때 문화적 충격을 받으며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문화 교육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교육 내용, 교자 자질, 자매대학 협력 등으로 나누어서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China that have a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s dramatically increasing each year. As of Jan 2011, 103 universities in China offer Korean language courses to local students. Culture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s.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e should lay more emphasis on teaching culture. Despite its increasing importance, not many universities in China provide systematic culture education. Most of Chinese universities have a tendency to offer less culture education to students at beginner's level than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s. This paper introduces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universities of China, with emphasis on the problems existing in education content, teacher's quality and sister university's cooperation, etc, for the purpose of offering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한국어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연구

        주현정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언어문화 교육을 위해 영상매 체를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해서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에 내재되어 있는 언어문화에 대 해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 문화와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는 상이하므로 그 문화적 배경 차이로 인해 학습자는 한국어 언어문 화를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언어문화 를 교수하기 위해 언어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교수하기 위한 영상매체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상매체는 실제적인 담화 상황을 수반하여 학습자가 한국인의 발화를 직접 적으로 보게 하는 적절한 매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트 콤은 영상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드라마나 영화보다 실제 담화 상황과 거의 흡사하므로 언어문화를 교육하는 데에 효과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시트콤을 활용한 언어문화 수업모형을 제시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언어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고 실제 담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영상매체는 작품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기준이 까다롭다는 한계점이 있다. 차후 연구에는 한국어 언어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매체 활용법과 수업 모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lass model using video media for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To learn Korean, Korean language learners need to understand the language culture inherent in the Korean language. However,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becomes an element that makes it harder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because Korean culture and cultur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orean language culture has to offer and suggested the use of video media to teach that. Video media is accompanied by actual discourse situations and can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dia that allows learners to directly see the spoken words of Korean. Among them, sitcoms are effective in educating language culture because the length of the video is relatively short and contains conversations that are almost the same as the actual conversation than drama or movi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helping Korean language learners to build background knowledge o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o lead to actual discourse by suggesting a language culture class model using sitcom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re are strict consideration and standards when selecting visual media. Various media usage methods and class model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culture will have to be presented in future research.

      • 한국과 핀란드 수학교과서 삽화의 다문화적 내용 비교분석

        조문주(Moon-Zoo Cho)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1 다문화교육 Vol.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핀란드의 수학 교과서에서 다문화관련 삽화 및 이름, 문제 속 그림을 중심으로 다문화관련내용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에 일조를 하는데 있다. 교과부는 2006년 12월 다문화 관련 교과 교육과정 시안 연구 개발을 발표하였으며, 2007개정 교육과정에 다문화 관련 내용을 삽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새 교육과정에 다문화 관련 내용이 얼마나 반영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중요한 일이며 수학교과서도 예외 일수 없다. 이에 교육 선진국이며 다문화 교육 정책을 앞서 실천하고 있는 핀란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와 비교하여 한국 수학교과서의 다문화적 내용 분포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한국정부와 핀란드정부의 수학 교육과 다문화정책에는 차이가 많다. 지리 경제적 여건과 문화적 환경 등이 다르기에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에서 다문화적 관련 요소에 현격한 차이가 있는 점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 수학교과서 삽화에서는 외국계 학생이라고 여겨지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반해 핀란드 교과서에서는 다문화 학생이 함께 어우러지는 삽화가 많으며, 한국인 아이의 이름까지 제시될 정도로 이름도 범세계적이다. 또한 수학문제 속에서도 다문화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생활경험 중심의 교육이 많이 거론되며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서에 다문화적 내용이 많이 제시되어야한다. 수학교과서에서도 다문화적 내용의 문제를 접하며 다문화 학생들의 이름이 등장하고 다문화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고 놀이하는 모습이 많이 제공될 때 비로소 다문화정책의 실효성에 좀 더 다가갈 수 있게 됨을 시사하는 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mathematics textbooks in South Korea and Finland multicultural illustration and name, the problems by analyzing the multicultural more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help. Since announcing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December 2006, the Minstry of Education has decided to insert a great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new curriculum has been reflected in the multicultural look at how much information. Math textbooks can never be an exception. The Korea mathematics textbooks is compared with the Finnish that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developed to practic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There is a lot of difference mathematics education & the multicultural policies of the government in South Korea and Finland. As geographical and economic conditions and cultural environment is different. But in mathematics textbooks illustrated striking differences in cross-cultural-related factors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int. In mathematics textbook illustrations Korea is considered unlikely that foreign students do not. But Finnish textbook illustrations often come together in the multicultural student and Koreans presented to the child's name is enough to name the world. Multicultural information is presented with math problems. The current is discussed a lot of life experiences and inclusive Education, a lot of multi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s should be provided. If it will contact with the problem of multicultural content, Multicultural students' names appear and students study to play with multicultural content in Mathematics textbooks, the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policies will receive more.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의 문제점과 제언- 다문화정책 유치원을 중심으로 -

        정선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2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1

        본 연구는 다문화 정책학교-유치원에서 진행되는 한국어 수업의 상황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다문화 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한국어 강사 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3명의 한국어 강사 인터뷰를 통해 문제점과 관련된 의견을 듣고 이에 대한 요구사항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강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기관(유치원)과 한국어 강사가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고는 다문화 유아 대상의 맞춤형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가 시급함을 역설하고 표준이 될 만한 교재 및 활동 자료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다문화 유아를 위한 보편성 있고 학업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한국어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만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의 대상자가 적어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 아쉬움이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다문화 유아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법 및 교육자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결혼이민자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재 문화영역 개선 방향에 관한 고찰-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관점 중심으로

        고미정 한국문화교육학회 202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ultural technology items and question types among elementary and intermediate Korean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with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textbook revision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cess was followed. First, we examined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overseas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econd, elementary and intermediate Korean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recently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ere selected, and the proportion of cultural items included in each selected Korean textbook was identified. Third, among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Korean textbooks, questions contained in the cultural are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comparing them with curriculum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items contained in Korean textbooks showed limitations that they were concentrated in daily lif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ttern of question types, it was analyzed that the questions presented as examples are relatively simple and have limitations in reflecting various situations. Therefore, when supplementing elementary and intermediate Korean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in the future, it wa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bias of cultural items and diversify questions in the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초, 중급의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내용 중 문화 기술항목과 질문 유형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여 향후 교재 개정시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따랐다. 첫째, 미국과 유럽의 해외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문화 교육 관점과 문화 교육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립국어원에서 최근 출간한 결혼이민자 대상 초, 중급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한국어 교재 각 단원별로 수록된 문화 항목의 비중을 파악하였다. 셋째, 선정된 한국어 교재 내용 중 문화 영역에 수록된 질문을 교육과정 기준과 비교하여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화 항목은 일상생활에 편중되어 있다는 한계점을 보였다. 둘째, 질문 유형 양상을 살펴본 결과 예시로 제시된 질문이 비교적 단순하고 다양한 상황을 반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초, 중급 한국어 교재를 보완할 때는 문화항목의 편중성 극복, 교재 수록 질문의 다양화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핀란드와 한국의 초등 예비교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사례연구

        문지영,서지희,김지윤,엄문영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2 다문화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o we comparatively analyz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 teachers are implemented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Finland and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rimary and secondary data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s programs by intentionally selecting prim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two countries. The data from 3 institu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considering multi-cultural context and perspective in two countries, and suggested practical and progressive perspective to student teachers program.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교원 역량 함양을 위해 다문화 교육이 핀란드와 한국의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교사교육 해외 사례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실증자료를 제시하며, 한국 사회에 적합한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핀란드와 한국의 초등 교원양성 교육기관을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1차, 2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문헌 분석을 통해 질적 분석을 위한 분석 요소와 기준을 추출하였다. 비교 분석결과 핀란드는 다문화 교원 양성을 위해 별도의 5년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 교원에게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역량을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이중언어 교육이 강조되었다. 반면, 한국에서는 학기 단위로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지역 단위의 요구와 연계한 교육을 수행하고 있었다. 다문화 교원 역량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향후 한국 교원양성기관에서는 다문화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장 연계성과 지역적인 특징을 반영한 교원양성 교육기관의 특색 있는 프로그램 운영 확대 및 기초 의사소통 교육 그리고 이중언어 강사와의 협력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교원양성 교육기관에서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부티크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김학희(Hakhee Kim)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2

        이 논문은 한국에서 최근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특성을 메타 지리적으로 성찰하고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지리적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인종ㆍ젠더ㆍ계급 문제와 분리된 관광객 접근법을 선호하고 피상적 문화 소개에 그치는 등 부티크 다문화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다문화 관련연구와 이론적 논의에서는 북미, 서유럽, 호주의 다문화 교육의 논의와 동향을 주로 참고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메타 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서구중심주의 및 개발주의가 내재된 메타 지리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티크 다문화주의 및 피상적인 다문화교육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연구자 및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자신의 메타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정형성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대안적 세계관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특히 학습자의 일상생활 세계를 글로벌 권력의 관계망 속에 위치시키고 다양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ㆍ환경적 이슈와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지리적 상상력의 도입과 지리 교육적 처방은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과제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ritical reflections on the meta-geographical framework adopted 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explore geographical perspectives which go beyond tokenistic multiculturalism. A form of 'boutique' and 'touristic' multiculturalism which excludes features of race/gender/class seems to be prevalent in South Korea and this is reinforced by the adoption of theoretical and research trends borrowed from North America, Western Europe and Australia. The paper argues that to achieve a meaningful and authentic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ers and educators working within the South Korean context, need to keep examining their own meta-geographical framework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resist conventional ideas or regional stereotypes. The paper argues that educators can do this by exploring an alternative world view. In this process, geographical imaginations can play a central role by locating learners within the realities of global power politics and help them to connect their everyday life-worlds with diverse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geograph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