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모래상자치료 사례분석의 십우도 활용 연구

        조미영,김경희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5 모래상자치료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모래상자치료 자아발달 과정과 십우도의 선(禪)수행 과정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 고 모래상자치료 사례에서 십우도를 활용한 분석의 기준을 통해 모래상자치료가 선(禪)수행 과 정으로 분석이 가능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모래상자치료와 십우도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 을 찾아보고 모래상자치료 사례에 나타날 수 있는 정서·행동적 측면을 살펴보기위해 남, 녀 고등학생 2명을 대상으로 각각 26회기와 28회기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하였다. 모래상자치료 사 례에 십우도의 선(禪)수행 과정이 어떻게 표현되어지는지를 알아보고자 다양한 문헌과 자료를 근거로 하여 만들어진 분석기준에 맞추어 모래상자 작품의 내용과 표현을 분류하여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모래상자치료의 자아발달 과정과 십우도의 선(禪)수행 과정은 제1도부터 제8도 까지 자기(Self)를 알아가는 과정으로 목적을 같이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제9도와 제 10도는 종교적인 의미에서 영적차원의 수행으로 볼 수 있어 모래상자치료에서는 나타나지 않았 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래상자치료 사례를 분석하는데 선(禪)수행 방식인 십우도의 과정을 활 용하여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모래상자치료 사례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우울 및 불안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모래상자치료 개성화과정 연구

        이은경(Eun-kyung Lee),이미나(Mi-na Lee)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21 모래상자치료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우울과 불안을 경험하는 중년여성에게 모래상자치료를 적용한 단일사례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모래상자치료를 통하여 외부로 향하였던 에너지를 전환하고 내적 자아에 초점을 맞추어서 전체성을 회복하는 개성화과정을 연구한 사례이다. 본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50대로 두 자녀를 둔 중년 여성이다. 본 참여자는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내면의 우울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내적인 갈등이 신체적 증상으로 드러나고 있어,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내적통합을 이루어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상담을 의뢰하게 되었다. 2020년 11월, 연구대상과의 사전면담을 통해 정보수집 후 상담을 시작하여 2021년 3월까지 매주 1회 60분씩 모래상자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모래상자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eck의 우울, 불안 검사와 SCT문장완성검사, MMPI-2를 사전, 사후 검사하여, 우울과 불안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모래상자치료 과정의 회기별 단계에 나타난 변화를 통해 내담자의 개성화 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상자치료 과정을 경험한 중년여성은 MMPI-2검사, Back의 우울과 불안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문장완성검사 결과에서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모래상자치료 과정을 통하여 중년여성이 가지고 있던 콤플렉스와 그림자, 부정적 아니무스와 페르소나를 확인하고 치유적인 힘이 활성화되면서 정서적 안정감을 찾게 되고, 우울과 불안이 감소하여 내담자의 개성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모래상자치료는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신과의 소통을 통해 상처가 치유될 수 있으며,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찾게 되어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개성화 과정은 자신과 타인을 잘 돌볼 수 있는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모래상자치료의 기초적인 임상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라며 모래상자치료에 대한 다양한 연구사례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applying sandtray therapy to a middle-aged woman experiencing depression and anxiety. This study participant is a case study of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that restores wholeness by converting energy directed to the outside through sandbox therapy and focusing on the inner self.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iddle-aged women with two children in their 50s who live in G city. As this participant entered middle age, he was experiencing inner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ternal conflict was revealed as a physical symptom. As this participant entered middle age, he was experiencing inner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ternal conflict was revealed as a physical symptom. In November 2020, after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 a preliminary interview with the research subjects, consultations began, and the sandbox treatment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until March 202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ndbox treatment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Beck s depression and anxiety test, SCT sentence completion test, and MMPI-2 were pre- and post-test,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anxiety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of the client was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the changes in each stage of the sandbox treatment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the sandbox treatment process showed a decrease in the scores of MMPI-2 test and Back s depression and anxiety. In addition, they showed a positive and hopeful attitude in the result of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Second, through the sandbox treatment process, the complexes, shadows, and negative animus and personas that middle-aged women had were identified, healing powers were activated, emotional stability was found, and depression and anxiety were reduced, leading to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client. And it was found.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andtray therapy can heal wounds through correct awareness of oneself and communication with oneself, and can achieve self-realization by finding one s true self. This process of individuation showed that people can live a healthy life where they can take good care of themselves and other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t will be provided as basic clinical data for sandbox treatment, an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research cases on sandtray treatment will proceed.

      • KCI등재후보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이영애(Lee, Young-ea),송 순(Soon Song)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8 모래상자치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학교생활에서 문제가 많다고 의뢰된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이다. 아동은 부모님의 이혼으로(6살 때) 할머니와 아빠 4자매가 함께 살고 있으며 집에서는 큰 문제가 없는데 학교에서 친구 들을 괴롭히고 도벽이 있어 의뢰되었다. ㅇㅇ군 드림스타트 청소년지원사업의 의뢰를 접수하여 모래상자 치료로 2017년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주 1회씩 총 18회기 상담을 진행하였다. 치료적 효과 검증을 위하여 학교적응력 검사, HTP 그림검사, KFD 동적 가족화 검사, SCT 문장완성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모래상자 치료과정은 초기-중기-후기로 나누어 그 변화과정을 기술하였다. 그 결과 치료초 기의 모래상자는 불안정한 가정환경을 역설적으로 표현하나 치료중기로 들어서면서 가족여행이라는 테 마로 스토리를 진행하며 희망을 표현하였으며 후기에는 온 동네 사람들과 행복한 마을을 건설하는 것으 로 사랑을 완성한다. 결과적으로 아동은 모래상자 치료를 통해 정서적인 안정과 함께 도벽이 자연스레 없어지고 교우관계, 가족관계가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This study was a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who had poor adaptability to school life. The child lived with his grandmother, father and four siblings because of the divorce of his parents, and usually has no big trouble at home, but he teased his friends and has some kleptomania at school. In order to help this child adapt to school well, I commissioned to the Dream Start Youth Support Project in oo county and have performed sandtray therapy. A total of 18 sessions of treatment were held once a week from April to August, 2017. To verify the therapeutic effect, the school adaptive test, HTP, KFD, SCT were performed pre-post test. The process of sandtray therapy was divided into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change based on these divisions. As the result, the sandtray therapy in the early stage paradoxically expressed an unstable family environment but as entered middle of the therapy it expressed his hopes as the story progressed under the theme of family trip. And finally he completed his love by building happy village with all the neighborhoods. As a result, sandtray therapy of this children resulted in a disappearance of the kleptomania along with emotional stability and increased his adaptation to school life

      • KCI등재후보

        학대피해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사회적 능력과 상징물 사용경향을 중심으로-

        조미영,이리다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7 모래상자치료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가정에서 아버지로부터 정서적 신체적 학대를 당한 아동이 모래상자치료를 통해 정서적 회복을 하게 되면서 얻게 되는 사회적 능력의 차이와 모래상자치료에 사용되는 상징물 의 사용경향이 피해 아동의 회복과정 특성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 여 전체 30회기의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하였고 모래상자치료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 피해아동은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한 후 사회적 능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대상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에서 사용한 상징물은 주로 인물 소품과 가구가 많이 나타났으며 인물을 통해 자신을 동일시하였다. 인물 중에서도 공주를 주인공으로 표현하였는데 이것은 나약한 공주가 힘을 얻거나 주변의 도움으로 다시 회복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가구 중에서도 주로 식탁과 의자를 많이 사용하였 는데 이것은 음식을 먹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관계적 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아동이 음식을 통해 에너지를 얻고 와해된 가족관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바람으로 알 수 있다. 둘째, 모래상자 에 등장한 인물들을 초기에는 바닥에 누워있는 형태로 표현하였다가 회복되어가면서 모두 세워 놓거나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듯한 동적인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것은 내담자가 힘을 얻어 정서적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구들도 초기에는 단조롭게 표현하였다 가 서서히 사람들과 음식들을 주변에 같이 놓으면서 좀 더 풍성하게 표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의 위축된 자존감의 회복과 관계적 측면의 상처가 치유되면서 사회적 능력이 향상되었고 모래상자에 주로 사용된 상징물은 인물과 가구로서 이러한 과정을 뒷받침 해주는 상징물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알코올 의존증 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김재옥(Je-Ok Kim),백현옥(Hyun-Ok Baek)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20 모래상자치료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알코올 의존증 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상담기간은 2018년 10월부터 2019년 1월까지 노인요양시설에서 의뢰되어 진행한 단일사례이며, 내담자는 알코올 의존증을 호소하는 82세의 할머니이다. 본 연구의 상담목표는 첫째, 모래상자치료는 내담자의 알코올 의존성향을 감소시킬 것인가? 둘째, 모래상자치료는 고독감과 대인관계 어려움이 있었던 노인들의 관계회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를 설정하였다. 본 내담자는 과거 너무 열심히 살았던 모습 회상, 고립감과 불안감 감소를 위해 알코올에 의존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습관성 알코올 의존증으로 요양시설 관계자와 찾아오는 가족들에게 공격성 및 분노행동으로 인해 대인관계가 급격히 어려워졌다고 하였다. 웰다잉 즉, 나이 듦과 죽음을 어떻게 고귀하고 존엄하게 맞이하고 준비할 수 있겠는가를 모래상자치료라는 매체를 활용하여 심리치료적인 접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누구에게나 죽음은 피할 수 없지만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숙명적으로 받아들이고 신께 의탁할 수 있을 때 보다 평안하게 지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아통합 및 대인관계 개선을 하도록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모래상자치료와 같은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for well-dying in the elderly with alcohol dependence. The counseling period of this study was a single case requested and conducted in a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from October 2018 to January 2019, and the client was an 82-year-old grandmother complaining of alcohol depende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First, will sandtray therapy reduce the client s alcohol dependence? Second, can the sandtray therapy improve the recovery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elderly who had a feeling of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This client said that she had become dependent on alcohol to recall her past lives too hard and to reduce feelings of isolation and anxiety. It was report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 became rapidly difficult due to aggressive and anger behavior to nursing facility officials and families visiting due to habitual alcohol dependence. Well-dying, that is, how to greet and prepare for aging and death with nobility and dignity, was attempted to provide a psychotherapeutic approach using a medium called sandtray therapy. Death is inevitable for everyone, but you will be able to live more peacefully than when you can accept death as a fatal part of your life and rely on God. From this point of view, various studies using media such as sandtray therapy as a program for the elderly to improve self-integr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ll be needed.

      • KCI등재후보

        모래상자치료와 연금술의 관계

        김경희(Kim Kyung Hee)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9 모래상자치료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모래상자치료과정과 연금술의 작업과정의 관계를 알아보고, 모래상자치료사와 연금술사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모래상자치료와 연금술은 개성화과정으로 이끄는 작업이다. 개성화과정의 목적은 자기(Self)와 의식의 관계를 성취하는 것이다. 연금술 과정의 목적은 대부분이 철학자의 돌을 발견해내는 것이다. 철학자의 돌은 자기(Self)의 상징이다. 모래상자치료는 내담자가 자기를 발견하고 통합하는 과정이다. 상담사와 내담자의 일체성이 영향을 주므로 상담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모래상자치료와 연금술은 세계의 혼을 발견한다. 모래상자치료에서 상담자의 자기성찰이 중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ndtray therapy process and the alchemy working process, the sandtray therapist and the alchemist. Sandtray therapy and alchemy lead to individualization. The purpose of the individualization is to achiev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e alchemy process is to discover the philosopher s stone. The philosopher s stone is a symbol of Self. Sandtray therapy is the process by which a client discovers Self. The role of the counselor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he unity of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Sandtray therapy and alchemy discover anima mundi. Sandtray therapy is important of counselor s self awareness.

      • KCI등재후보

        전문직 여성의 대인관계 회복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정진희,이미나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22 모래상자치료연구 Vol.12 No.1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for the restor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women. Among the difficulties of professional women, the biggest part is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and they are doing two things at once, so they are experiencing stress from 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work overload. Therefore, in this study, sandtray therapy was performed to resto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women and analyzed by session to suggest changes in the counsel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resolve interpersonal conflicts and demonstrate professional leadership in the workpl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professional women(hair stylist, insurance agent) in their 40s and 50s living in G city. The study period was from July 2020 to December 2020, and sandtray therapy was performed once a week. As such, the promo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professional leadership and smooth work performance will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rofessional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client A showed an effort to improve self-esteem and resto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le receiving support and encouragement during the sandtray therapy process. Client B said that during the sandtray therapy process, she had an experience of comfortable communication with her family and interpersonal along with the recovery of maternity. This is to suggest the effect of sandbox therapy and the direction of professional women's research to resolve interpersonal conflict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growth through sandtray therapy. 본 연구는 전문직 여성의 대인관계 회복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이다. 전문직 여성의 어려움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이 일과 가정의 양립으로 두 가지 이상의 일을 한 번에 진행하고 있어 업무과중은 물론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 여성들의 대인관계 회복을 위한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하고 회기별로 분석하여 상담과정을 변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인관계적 갈등을 해결하고 직장에서 전문적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돕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40대∼50대의 전문직 여성 2명(헤어디자이너, 보험설계사)이다. 연구기간은 2020년 7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이며 주 1회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하였다. 이처럼 전문성에 대한 리더십과 원만한 업무수행을 위한 대인관계 증진은 전문직 여성으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연구결과, A내담자는 모래상자치료과정에서 지지와 격려를 받으면서 자존감 향상과 대인관계를 회복하려는 노력이 보였다. B내담자는 모래상자치료과정에서 모성성의 회복과 함께 가족과 대인간 편안한 소통의 경험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는 모래상자치료를 통해 대인관계의 갈등을 해결하고 자기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모래상자치료 효과와 전문직 여성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중년 여성의 모래상자에 나타나는 뱀의 상징적 의미

        이복순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6 모래상자치료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모래상자에 나타난 뱀의 상징적 의미를 고대 신화를 중심으로 고찰 하고, Jung의 개성화 과정과 Neumann의 자아발달단계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뱀의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뱀의 생태학적 특성과 고대 여러 문헌들과 신화에 서 뱀이 어떻게 묘사, 해석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1. 모래상자치료과정에서 형상화한 뱀의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모래상자치료과정에서 형상화한 뱀은 개성화과정과 자아발달과 어떤 상관관계 인가? 연구결과 뱀은 부정적, 긍정적 이미지를 가지며, 뱀이 허물을 벗는 모습은 실제 사례에서 재탄생의 신비와 지혜를 상징하였다. 모래상자치료는 의식과 무의식의 간격을 좁혀가는 작업이 며, 무의식의 욕구를 의식에 동화시켜 살아갈 때 정신구조에 변환이 오고 삶이 통합될 수 있 다. 이때 뱀은 부정적 특성에서 벗어나 지혜와 통합의 상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년여성의 모래상자치료 과정에서 등장한 뱀의 상반된 정신요소가 통합 되어가는 과정과 뱀이 형상화되는 것에 상응하여 내담자의 정신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안내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래상자에 나타난 뱀의 상징이 내담 중년여성의 개성화과정과 자아발달과정을 한 눈에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불안과 자아개념에 대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조정진(Jeong-Jin Cho),김경희(Kyung-hee Kim)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8 모래상자치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모래상자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불안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 하였다. 연구대상은 W군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아동 2인을 대상으로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하였다. 모래 상자치료를 실시하기 전과 후의 불안검사 도구는 최진숙과 조수철(1990)이 번안한 한국판 RCMAS(Revised Children s Manifest Anxiety Scale)와 자아개념 검사도구는 송인섭(1996)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투사검사인 HTP 검사를 통해 아동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모래상자치료과 정은 Dora Kalff.의 발달과정인 1단계, 동식물 단계와 2단계 투쟁단계, 및 3단계 집단적응과정 통하여 아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안검사와 자아개념 검사에서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t검 증하여 비교 분석하였을 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불안감을 감소하였으며, 자아개념의 점수는 상승하였다. 또한, HTP 그림에 나타난 변화과정에서는 자율성이 획득되었으며, 긍정적인 자아형 성에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모래상자치료가 아동의 불안감소는 물론 자기의 정체성 을 확립하여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sandtray therapy on anxiety and self-conception of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 Objects of study are two children at W community child center. The anxiety test tool is Korean RCMAS(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adapted by Choi Jin Sook and Cho Soo-Chel(1990). The self-conception test tool is made by Song In Sub(1996). Changes of children are observed by the HTP that is a projective test. The changes are analyzed through a process of the sandtray therapy that are the animal-vegetative stage, the fighting stage, and the collective and the resolutions stage by Dora Kalff. Consequently, the children reduced their anxiety and a grade of self-conception was improved. The HTP drawing test showed that they also obtained personal autonomy. Therefore, the sandtray therapy effects on reducing anxiety and developing self-conception.

      • KCI등재후보

        모래상자치료 사례에 나타난 영웅의 여정 - 등교 거부하는 아동을 중심으로-

        조미영(Mee-Young Cho)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8 모래상자치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학교생활의 부적응으로 등교 거부를 하는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과정을 Campbell의 영웅 신화의 구조에 따라 분석하였다. Campbell은 세계 여러나라의 영웅 신화를 찾아 공통점을 연구하였고, 다양한 신화들의 비교 분석 속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구조를 발견하여 ‘원질신화(Monomyth)’라 정 의 내렸다. 원질신화 안에서 영웅들은 공통된 경험을 통해 탄생하며, 이들이 겪는 과정을 크게 분리, 입 문, 귀환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모래상자치료 사례에 나타나는 영웅의 여정이 어떻게 표현되어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체 34회기의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하였고 모래상자치 료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교거부를 하는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 는 Campbell이 정의 내린 원질신화의 영웅의 여정에 따라 분리, 입문, 귀환이라는 단계로 진행되고 있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세부 단계에서 Campbell은 17단계를 제시하였으나 아동의 모래상자치료 사례에서는 생략되는 단계들이 있어 사례에서는 보통세상, 모험에의 소명, 소명에 대한 거부, 초자연적 조력, 관문의 통과, 고래의 뱃속, 시련의 길, 여신과의 만남, 신격화, 귀환의 준비, 회귀관문의 통과, 두 세계의 주인(삶의 자유) 12단계가 표현되었다. 본 연구는 영웅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들이 거치는 여정이 모래상자치료 사례에 나타나고 있으며 생략 되는 단계들이 있지만 독특한 자신만의 영웅적인 삶이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a sandtray therapy process of a student refusing school as maladjustment the school using hero’s journey of Joseph Campbell. He studied common things of hero myths, and found structures that appear repeatedly. It is defined as Monomyth. Heros in Monomyth are born by same experience. Such processes are Departure, Initialization, and Return.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Hero’s Journey is expressed in sandtray therapy. The sandtray therapy is performed 33 times and changes that appear are recorded. First, sandtray therapy of the student follows 3 acts through hero’s journey. Secondly, this example is expressed 12 stages contrasted that Campbell’s 17 stages. 12 steps were expressed which examples include the world, the calling to adventure, the rejection of vocation, the supernatural help, the passing of gates, the whale s stomach, the road of trials, the meeting with the goddess, the preparation of return, the passage of regressive gates and freedom of life. Consequently, Hero’s Journey is occurred at sandtray therapy and their own heroic life is exp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