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탄뎀소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하수권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2 No.72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Frage, wie die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Erziehungssystems institutionell gefördert werden kann. Die Zunahme ausländischer Studierender an den meisten Universitäten in Korea verlangt eine Intensivierung zur Förderung des interkulturellen Verständnisses. Das Tandem-Lernen ist eine hierzu passende Lernmethode. Es gibt drei verschiedene Realisierungsmöglichkeiten des Tandem-Lernens zur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Studiums. Der Tandemunterricht mit zwei Zielsprachen ist eine Möglichkeit davon. Dabei steht das Sprachlernen an erster Stelle, aber da finde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utomatisch statt, da die Sprecher aus zwei verschiedenen Ländern stammen. Eine weitere Möglichkeit bietet der Tandemunterricht mit über 3 Zielsprachen.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ergibt sich dabei automatisch aus dem kommunikationsstrukturellen Grund. Die dritte und letzte Möglichkeit wird im Curriculum für allgemeine Bildung angeboten. Diese Art des Tandemunterrichts wird hier 'interkultureller Tandemunterricht zur allgemeinen Bildung' genannt. In diesem Unterricht steh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n erster Stelle.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사회 곳곳에서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한국사회로 유입되고 있는 다문화인들의 한국사회 적응교육과 더불어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은 다양한 사회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면서, 초·중등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그리고 평생교육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 필요성은 한국의 산업구조와 일자리 창출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한국에 진출하는 외국기업들로 다양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수출 지향적 산업구조를 가진 한국에 글로벌 시장 개척은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제이다. 대학생들이 전공을 불문하고 상호문화 소통능력을 함양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들이 살아갈 국내외의 생활환경이 이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상호문화 소통능력 함양은 이에 대한 이론적 지식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은 더 이상 논의가 필요 없는 사실이다. 지식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조건에서 상호문화 소통을 경험하면서 노하우를 쌓아야 한다. 오늘날 적잖은 대학생들이 해외여행, 교환학생 참여, 어학연수 등으로 해외에 체류하거나, 국내외에서의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하기, 온라인으로 외국인 친구와 소통하기 등을 경험하면서 나름의 상호문화 소통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가까이에 있고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여건과 기회를 충분하게 활용하지 않는 것이 있다. 즉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되고 있는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인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상호문화 소통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대학교육 환경의 글로벌화를 대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역량 강화에 활용하는 교육적 수단으로 탄뎀학습을 제안하고, 탄뎀학습이 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 역량 함양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선 제2장에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에 대한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기술하고, 이어 제3장에서 탄뎀학습을 통한 상호문화 소통역량 교육의 특수성과 구현방법을 기술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함양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조사한 수업경험과 설문조사 결과를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방법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독일어권 국가 비즈니스문화 교육을 위한 제언

        하수권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3 No.73

        Aus meiner Sicht ist es heutzutage notwendig, das Lehr- und Lernthema „Businesskulturen in den deutschsprachigen Ländern“ im Rahmen des Germanistikstudiums in Korea weiter zu entwickeln. Diese Notwendigkeit kann vor allem aus dem Grund gerechtfertigt werden, dass diese Art von Fachkenntnissen sowie die Vermittlung direkter als auch indirekter Erfahrungen aus dem Bereich Businesskulturen in den deutschsprachigen Ländern positive Auswirkungen auf eine erfolgreiche interkulturelle Businesskommunikation haben. Trotz dieser Notwendigkeit / dieses Bedarfs sind wissenschaftliche Diskussionen darüber aber noch selten. Die vorliegende Studie soll zur Entwicklung des akademischen Diskurses auf dem Gebiet beitragen, wozu in dieser Arbeit die folgenden zwei Aspekte diskutiert wurden: In Bezug auf den ersten Aspekt wurden zuerst einige Lernmaterialien analysiert. Dabei wurden zunächst die Auswahlkriterien diskutiert und dann die ausgewählten Lernmaterialien insbesondere anhand folgender Fragestellungen analysiert: a) Welche Lerninhalte sollen als Lerngegenstände / Themen ausgewählt werden? b) Welche Lernziele sollen angestrebt / erreicht werden? c) In welcher Sprache sind sie geschrieben / werden sie angeboten? d) Welche unterrichtsmethodischen Ansätze werden in den ausgewählten Lernmaterialien antizipiert? In Bezug auf den zweiten Aspekt wurden die Lehr- und Lernmethoden der Businesskulturen in den deutschsprachigen Ländern diskutiert, wobei auch ein Unterrichtsmodell aus meinen eigenen / persönlichen Praxiserfahrungen vorgestellt wurde. 대학교육에서의 ‘이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 필요성은 이제 더 이상 논의를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인정되고 있다. 무엇보다 경제적으로는 한국이 FTA를 확대하고 기업들이 다국적 기업화되면서 한국경제가 글로벌 경제 시스템에 깊숙이 편입되어 있고, 사회적으로도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에게 있어 이문화란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의 문화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상호문화는 한국인이 이문화와 접촉하고 소통하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문화교육은 주로 한국 이 외의 국가나 집단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즉 이문화 이해를 목적으로 삼는 지식교육이다. 이에 비하여 상호문화교육은 한국인들이 다른 문화권 출신 사람들과 성공적으로 문화 간 소통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을 할 수 있는 “상호문화 역량”(이병준/한현우 2016, 7) 함양을 목적으로 삼는다. 글로벌 의사소통 상황에서 소통 참여자들은 이 역량을 기반으로 서로 협상하여 공유할 수 있는 “상호간 문화의 혼합체 Inter-Kultur”(유수연 2008, 97)를 만들어 낸다. 이문화 이해는 상호문화 역량을 향상 시키는데 반드시 필요한 인지능력이다. 잘못된 이문화 이해나 부족한 이문화 이해는 문화 간 소통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 KCI등재

        외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 정립에 관한 모색

        김옥선,김춘동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7 獨語敎育 Vol.38 No.-

        Ein Versuch zur Festlegung der Prinzipien für die Kulturvermittlung in der Fremdsprachendidaktik Kim, Ok-Seon(Chosun University) Kim, Choon-Dong(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der Fremdsprachendidaktik wird heutzutage die Kulturvermittlung immer mehr betont, denn eine Fremdsprache ist ohne Auseinandersetzung mit der fremden Kultur nicht vollständig zu lernen. Obwohl darüber Einigkeit herrscht, gibt es unterschiedliche Auffassungen, wie die Kultur vermittelt werden soll. Meistens betont man entweder die Vermittlung von landeskundlichen Informationen oder Hintergrundwissen für das Gelingen der Alltagskommunkation. Bei der Diskussion über die Kulturvermittlung in der Fremdsprachendidaktik sind jedoch ‘kulturelle Praxis’, ‘Veränderung der Einstellung’ und ‘Reflexion über sich selbst und die anderen in einem multikulturellen Kontext’, was eigentlich die Schlüsselqualifikation für die Kulturvermittlung ist, nur am Rande geblieb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ie Auffassung vertreten, dass Kultur nicht etwas ist, was der Lerner draußen irgendwo als etwas Handfestes finden kann. Vielmehr ist Kultur etwas, was unsere alltägliche soziale Interaktion innehat und dies reguliert. In diesem Sinne wird Kultur als ‘Kultur tun; doing culture’ redefiniert. Dann ist die Frage zu beantworten, wie die Fähigkeit von ‘doing culture’ im Fremdsprachenunterricht vermittelt werden soll. Die Kulturanthropologie, die sich mit fremden Kulturen auseinandersetzt und versucht, fremde Kulturen aus der Perspektive des Insiders zu verstehen, zeigt uns, welche Richtung die Kulturvermittlung in der Fremdsprachendidaktik einschlagen soll.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auf der Grundlage der Ethnographie der Kulturanthropologie Prinzipien der Kulturvermittlung in der Fremdsprachendidaktik festzulegen. 1. 문제 제기 2. 외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에 관한 기존의 논의 3. 상호문화성에서 조망한 문화교육 3.1. 문화란 무엇인가? 3.2. 문화간 만남에서 상호문화성 3.3. 담화 속에서의 문화의 실행 4. 문화인류학의 문화연구방법 4.1. 민족지 4.2. 중층기술 5. 외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방법의 방향과 원칙 5.1. 외국어 학습자는 민족지 연구자 Ethnographer이다. 5.2. 외국어 학습자는 원어민 화자의 모방자가 아니라 ‘문화간 화자 intercultural speaker’이다.

      • KCI등재

        문화 또는 지역사정교육 대상으로서의 유럽명품브랜드

        하수권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4 獨語敎育 Vol.61 No.61

        Bei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einen Erfahrungsbericht aus einer unversitären Unterrichtspraxis und einen Versuch, den Horizont des Kultur- oder Landeskundeunterrichts im Rahmen des Germanistik- studiums in Korea zu erweitern. Die Universitäten in Korea sehen sich gegenwärtig strukturellen und curricuralen Reformen ausgesetzt, die ihr organisatorisches Umfeld stark verändern. Mit diesen Reformen sollen die Universitäten auf den voraussichtlichen starken Rückgang der rekrutierbaren Studenten ab 2018 vorbereitet sein 본 연구는 ‘유럽시장 속의 독일’이라는 관점과 독일어권 국가의 지역학 관점에서 유럽명품브랜드를 지역학교육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찾고자 한다. 그리고 최근에 교육부가 편제 단위를 축소하고 대학정원을 감축시키는 강력한 대학구조조정 정책을 시행하면서 적잖은 대학들에서 독일어 관련 전공이 없어지거나 프랑스어 등과 같은 다른 전공과 하나의 학부를 구성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독일어, 독어독문학, 독일어권 지역학 또는 문화학으로 정체성을 확보해오던 것에 인접학문 분야와의 융복합 교육을 고려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고려하여 유럽 또는 독일어권 국가 관련 전공교육에서 지역학교육의 폭을 넓히는 방안에 대하여 학술 담론을 펴고자 한다.

      • KCI등재

        텍스트 그리기를 통한 독일어 번역수업 I - 설계 및 학습과정을 중심으로

        강명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2 No.72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 die Lehrmethode der deutschen Übersetzung durch Textzeichnen behandelt. Dies bedeutet, dass die Lernenden im Übersetzungsunterricht zuerst den deutschen Originaltext ins Koreanische übersetzen und ihn dann im Bild reproduzieren, d.h. die Situationen oder die Objekte, die in dem übersetzten Text beschrieben sind, in einem konkreten Bild formulieren. Mit den Bildern können die Lernenden überprüfen, ob sie den Text richtig verstanden haben und durch Vergleichen der Bilder mit denen anderer Lernender können Fehler objektiv und schnell gefunden werden. Laut Umfrage nach dem Unterricht waren die meisten Lernenden der Meinung, dass diese Methode ihnen hilft, den Text richtig zu verstehen und zu übersetzen, und es wurde festgestellt, dass die Lernenden diese Übersetzungsmethode durch Textzeichnen positiv bewerten. In diesem Beitrag habe ich den Übersetzungsunterricht mit Textzeichnen vorgestellt und die praktische Anwendungsmethode beschrieben. In einer weiteren Untersuchung werde ich die praktische Wirkung behandeln, indem ich die Bildübersetzung und Textübersetzung detaillierter vergleiche und analysiere.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번역교육은 원칙적으로는 직무 영역에서 번역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국내 대학의 외국어 관련 학과 학부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번역교육의 경우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정도의 수준에서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같은 대학 학부 과정의 번역 수업에 관한 연구들은 번역교육의 목표, 기능, 방법, 문제점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김련희 2011, 김순영 2006, 남원준 2009, 이은숙/이은정 2010, 이향 2006, 2014, 정혜용/이향 2009). 김련희는 번역교육을 전공교육과 기본소양교육으로 이원화해서 구분하고, 학부 차원의 번역교육은 전문직업인 양성보다는 전인적 인간양성이라는 철학적 전제하에 기본소양으로서의 번역에 더 역점을 둘 것을 제안했다(김련희 2011, 39-45). 이은숙과 이은정은 학부 차원의 번역교육은 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전문 번역사 양성교육이라 보기 어렵고, 그에 따라 1차적인 목적은 번역사 양성 보다는 번역과 번역사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돕는데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이은숙/이은정 2010, 230). 이향은 번역능력의 핵심이 ‘언어능력’ 혹은 ‘외국어 능력’에 있지 않고 ‘선택과 결정 능력’에 있다고 보았다. 즉, 번역능력은 원문텍스트를 이해하거나 도착어로 표현하는 것에 있지 않고 원문을 번역하기 위한 여러 개의 대안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는 능력에 있다는 것이다(이향 2006, 191). 탄 Tan은 ‘전인적 번역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모델을 제안하면서 번역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능력, 번역에 관한 기본지식이나 스킬 뿐 아니라 번역의 과정이나 결과물에 대해 보다 비판적, 창조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학부 번역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Tan 2014, 597: 이향 2014, 87 재인용).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들이 주장하는 공통된 바는 번역교육이 기존의 전문적인 직무 능력만을 목표로 하는 외국어 중심 교육을 지양하고, 문화간 중재자로서의 소통 능력, 직무분야에 대한 이해 능력, 선택과 결정능력, 비판적, 창조적 능력 등을 포함한 전인적 기본소양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상 번역 능력에서 외국어 실력은 기본 전제로 되어야 하는데, 외국어 학습이 완성되지 않은 학부과정에서의 번역교육은 실질적으로 전문적인 번역가 양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그 출발부터 한계를 가지며, 대개는 외국어 실력 향상을 염두에 둔 체 문법적 번역, 혹은 고급 독해 정도의 수준에서 이루어지곤 한다. 이런 상황 하에 위의 연구들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번역교육을 전문적, 기능적 교육이 아닌 전인적 교육, 기본소양교육 등으로 이해하고 번역 결과물보다는 번역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보다 현실적인 방법일 수 있으며, 동시에 융합이라는 틀 속에 점차 학제간의 경계가 희박해지고 대학의 전공교육 역시 다전공의 확대 하에 전문성이 최소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향후 필연적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는 방향성으로도 여겨진다. 그럼에도 여전히 국내 제 2외국어권의 학부과정에서 번역교육은 언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외국어 실력 향상이라는 목표를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우며, 그러면서 동시에 언어 학습 능력만을 목표로 하는 독해나...

      • KCI등재

        블룸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른 독일어 교육과정 <목표> 진술의 분류 및 분석 - 제 7차 교육과정, 2007/2009 교육과정, 2015 교육과정의 독일어Ⅰ의 <목표>를 중심으로

        이경택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6 獨語敎育 Vol.65 No.65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die Lernziele für das Fach Deutsch in dem 7. Curriculum, Curriculum 2007/Curriculum 2009 und v.a. Curriculum 2015 anhand der Bloom’schen Taxonomie zu analysieren und einzuordnen. Die 1956 von Benjamin Bloom herausgegebene Taxonomie ist heute bereits durchaus als Klassiker anzusehen. Ihr Grundmuster ist eine Liste von sechs kognitiven Lernzielen, von denen jedes wiederum unterschiedlich detailliert unterteilt ist. Die Taxonomie ist damit eindimensional aufgebaut. Darin besteht ein wesentlicher Unterschied zu ihrer zweidimensionalen Erneuerung, die von Anderson u.a. in Form einer Tabelle entwickelt wurde. In der Grundform der Taxonomie nach Anderson u.a. gibt es auf der X-Achse sechs kognitive Prozessdimensionen. Das Gliederungskriterium ist hier also die Komplexität der jeweiligen kognitiven Prozesse. Die Y-Achse stellt Dimensionen der Wissensarten dar. Die grundlegende Idee der taxonomischen Einordnung besteht darin, dass Lernziele als Sätze gebildet werden, die den kognitiven Prozess(Verb) auf ein Thema(Substantiv) anwenden. In den Lernzielen der Schulcurricula, vom 7. Curriculum bis zum Curriculum 2015, für das Fach Deutsch in Korea wurden zum einen ‘Begriffswissen’ und ‘prozedurales Wissen’ im Bereich der Dimensionen der Wissensarten dominiert (80%). Im Bereich der kognitiven Prozessdimensionen wurden zum anderen vorwiegend ‘2. Verstehen’ und ‘3. Anwenden’ beherrscht (78%). 교육부는 지난해 9월 23일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확정·고시하였다. 이로써 독일어교과는 공식적으로 1954년 제 1차 교육과정이 공포된 이래로 지난 60여 년간 총 9번의 개정을 거쳐, 10번째 국가수준 독일어 교육과정의 시행을 앞두게 되었다. 이번 교육과정개정 총론의 주요사항에서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창의·융합형 인재가 갖추고 배양해야 할 핵심역량으로는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그리고 ‘공동체 역량’을 제시했다는 점이다(교육부 보도자료 2015.09.23.). 이는 교육과정 총론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및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제시함으로써, 각 교과의 교육과정이 추구해야 할 <목표> 각진 괄호 <>는 <목표>, <내용/성취기준>, <교수·학습방법>, <평가>와 같은 교육과정의 구성항목을 의미한다. 의 틀을 규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교육과정 개발단계에서는 교육과정 <목표>의 내용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이는 <목표>가 어떻게 설정되느냐에 따라 교육과정 <내용/성취기준>의 선정 및 조직의 방향이 달라지고, <목표>가 불분명한 상태에서는 교육을 통하여 변화시키려는 행동의 방향을 잡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육계획의 수립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