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교육전문가의 자격 관리에 관하여

        최지현 ( Ji Hyun Choi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6

        2003년 한국독서학회에 의해 지정된 독서교육 분야의 민간 자격으로서 독서교육전문가는 독서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연구자 및 교육자들에게 그들의 전문성 수준에 부합하는 공인된 전문 자격을 부여하고자 만들어졌다. 지난 11년 동안 독서교육 분야 종사자 약 1,000여 명에게 세 등급으로 나뉜 자격을 부여하면서 이 분야의 대표적 전문 민간자격으로 자리매김되어 왔다. 하지만 독서지도사를 비롯한 기존의 유사 민간자격들이 난립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들어 오히려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자격 자체의 신뢰성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본고는 이 문제의 근본 원인이 공인된 민간자격의 부재에 있다고 진단하고, 실질적으로는 독서교육전문가 자격 규정이 본래의 취지를 실현시키지 못한 것이 문제 요인이 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고는 한국독서학회의 독서교육전문가 자격 규정과 운영 상황을 살펴, 1) 자격 발급 요건의 엄정함에 비해 이를 실행할 방안이 미비했던것, 2) 자격의 권한과 각 자격별 직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것, 그리고 3) 자격 발급 후 질 관리를 위한 재인증과 재교육에 관한 규정과 제도가 마련되지 못한 것 등을 구체적인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보완할 정책 방안으로 자격 양성을 자격 인증과 분리함으로써 자격 관리자로서 한국독서학회의 공공성과 대표성을 강화하고, 자격 급별 직무의 범위와 전문성 분야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협약을 통해 이를 뒷받침함으로써 독서교육 분야 종사자들에게 해당 자격 취득의 구체적인 필요를 갖게 하며, 재교육 및 재심사 등의 자격 유지 요건을 강화함으로써 독서교육전문가의 전문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Reading Association defined the term ``Reading specialist`` as a private qualification of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in 2003, in order to authorize professional qualification apt for the level of expertise of scholars and instructors specializing in reading education. The term has been established as legitimate throughout the past eleven years, endowing over a thousand people in three different levels of credentials. However, similar non-certified qualifications continue to flood, and moreover, recently show a sharp increase in number, ultimately undermining the credibility of the qualifi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diagnosed the fundamental problem to be in the lack of an authorized system, and the failure of the reading specialist qualification to execute its original purpose. Based on observations of the Korean Reading Association`s regulations and the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reading specialist qualification program, I discovered that 1) compared to the strictness of the conditions required for certification, the management was insufficient; 2) the boundaries of the scope of authority given to the qualified and the roles of each specific qualification are obscure; 3) there exists no system nor regulations for retraining or re-certification after once the qualification has been given. Therefore I propose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to complement these problems: First,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and representability of the Korean Reading Asscociation as the qualification manager, the certifi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process of training through establishing qualification programs for institutions and programs. Second, to provide the necessity of the certification to the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the scope and level of expertise of each qualified level should be clearly publicized and recognized through association with respectiv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hird, to maintain the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of reading specialists the conditions of maintaining said qualification should be rendered stricter through re-training programs and re-examinations.

      •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초등학생의 독서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아영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1

        독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요즘 학생들의 독서 행태를 살펴보면 지나치게 양적인 독서에 치중되어 있다. 다독과 속독에 치우친 잘못된 독서습관에 길들여진 초등학생들이 양적인 독서에서 벗어나 한권의 책이라도 제대로 읽는 것에 초점을 두는 독서지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방안으로 인문고전 중심의 독서교육을 제시하여,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아동의 독서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기획주제: 교과 교육과 독서 지도의 방향 : 학교 독서 지도의 방향과 과제

        한철우 ( Chul Woo Han ) 한국독서학회 2005 독서연구 Vol.0 No.14

        독서 지도의 궁극적 목적은 평생 독서자가 되게 하는 것이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이듯이 글을 읽을 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오히려 글을 실제로 읽는 행위가 중요한 것이다. 한국의 제도권 교육에서 발견되는 독서지도의 문제는 가정에서든 학교에서든 학생들에게 무조건 읽으라는 식의 강요된 독서지도 형태이다. 그리고 독서 텍스트의 정확한 수준별 내용별 분류 문제와 단계화가 안 되어 있다. 또한 전문성을 가진 독서 지도교사의 부재 현상도 현장교육에서의 독서지도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학교 독서 지도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첫째, 독서지도를 담당할 독서전문가의 양성을 필요로 한다. 둘째, 일방적인 지시적 수동적 독서지도보다는 학생들이 스스로 책을 선택하고 능동적으로 독서하도록 안내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학교 독서 행사를 통하여 독서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인터넷을 즐기므로 독서지도에서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독서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다섯째, 학생들은 교과 학습에 대한 부담 때문에 책을 읽지 않으므로 교과학습과 연계된 독서지도를 하게 되면 독서의 효과를 실감하게 된다. 여섯째, 교양과 인성의 함양에 도움이 되는 독서지도가 필요하다. 독서지도는 독자인 학생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학생들이 좋아하고, 학생들이 유익하다고 생각하고, 학생들이 마음으로부터 독서의 필요성과 즐거움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The eventual purpose of reading teaching is to make the lifelong reader. As the beads become a treasure when they are thread on a needle, the actual reading act is more important than reading ability. The problem of reading education in Korea is to request strongly for the students to read the books unconditionally. Another problem is that we do not have the book lists by the difficulty levels and the thema. And also we do not guide how to read 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because there are not reading specialists in the schools. We have many problems to solve in reading teaching. The first, We need to cultivate many reading specialists. Secondly, we should guide to select books for themselves and read actively. The third, we must stimulate reading motives of students through the various school events related to reading. The fourth, The fourth, we need to teach reading by using the internet networks and stimulate the reading needs of students. The fifth, we must teach reading to relate to other subjects areas so that the students know to be useful and helpful in their learning and study. The sixth, we need to foster the students` cultures and moralities through the book reading. We must start to teach reading from students` conditions. We need to guide reading method to the student so that they realize for the book reading to be useful and joyful and they like to read.

      • 학생 자율 독서클럽이 독서실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책톡! 독서클럽 활동을 중심으로

        김명희(Myung-Hee Kim)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4 No.1

        이 연구는 학생 독서클럽이 10대 학생들의 독서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문화재단 씨앗에서 운영하는 책톡!900 독서클럽에 참여한 학생 882명과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면담,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학생들은 친구들과 함께 하는 독서에 대한 참여도와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또한, 참여 교사들은 친구들과 함께하는 독서 실행이 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었다고 보았다. 전반적으로 독서클럽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독서 실행 효과는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tudent reading clubs on teenage students reading action. To accomplish this study, this study collected its data through survey, interview and observations with 882 students and 122 teacher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ent’s book club by Book Culture Foundation Seeart. This result brings up that Participating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in reading with their friends. Also, Participating teachers found that reading activities with friends helped students to develop their reading attitudes and reading habits. Overall, students evaluations of book club activities are very positive.

      • KCI등재

        한국독서치료학회지 『독서치료연구』의 2004(창간호) ~ 2020년 간의 연구동향

        강은주(Grace Eunjoo Kang) 한국독서치료학회 2022 독서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독서치료학회지인 󰡔독서치료연구󰡕에 창간년도(2004)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논문들을 통해 독서치료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미래의 독서치료 연구방향을 예견하기 위함이다. 수집된 117건의 자료를 연도, 발달단계, 연구방법, 연구주제, 학문영역, 학술등급, 연구대상자 수, 치료회기의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도별 게재논문을 분석한 결과, 등재지, 등재후보지, 전국규모 일반학술지 등급 기간 순으로 연간 게재논문수가 높았고 연간 게재호수도 증가하였다. 대상자의 발달단계로는 중년기, 아동기, 유아기, 청소년, 청년기 순으로 높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질적, 양적 연구 순으로 높았다. 연구 주제로는 치료적 접근, 치료매체/기법, 심리정서, 자아, 사회성, 가족, 장애/질환, 텍스트, 학업관련, 프로그램 순의 빈도를 보였다. 치료회기는 1~50회기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보였으며, 빈도는 12회기, 10/8회기, 4회기 순이었다. 참여자 수는 6-10명, 2-5명, 60명 이상, 11-20명 순으로 높았다. 연구 결과, 양적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자가 미확보된 연구물, 다양한 표현예술치료적 접근과 독서치료와의 상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논의 부재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분류체계인 복합학으로서의 독서치료의 학문적 특성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Bibliotherapyl” published by the of Korean Association of Bibliotherapy, to explore and analyze past and present academic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related research, and to foresee the direction of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in the future as well. In this study 114 articles and 3 book review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Bibliotherapy during 2004-2020, were analyz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criteria: of publication year, developmental stages of subjects/participants, methods, themes, academic areas of ​​researchers, number of the subjects/participants, and sessions for group bibliotherapies. Annu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earch frequency was in descending order of academic levels by selected registered candidates, and non-registered journals. The research frequency of developmental stages of subjects/participants were in the descending order of the middle-aged, school aged, preschoolers, adolescence, and youth. The research methods of literatu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ere listed in the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Research topics included the following: diverse expressive arts therapeutic approaches, treatment media/techniques, psycho-emotional issues, self-related, sociability, family related, disability/disease, text related, academic achievement, and diverse programs. As for treatment sessions, the researchers usually implemented their treatment in series of 12, 10 or 8, and 4 sessions, in the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Treatment sessions showed a broad-spectrum range of 1-50 sessions. Quantitative research without a minimum number of subjects was found and examined. In qualitative studies, participant groups of 2-5, 6-10, 11-20, and 60 or more were listed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as group counseling members for bibliotherapy. Correlation between various expressive art therapeutic approaches and bibliotherapy should be fundamentally considered and discussed to help balance and integrate characteristics of bibliotherapy into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With these ideas in mind “Complex science”, a new classification of bibliotherapy since 2014, needs to be further studied.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독서정책 분석

        서혜란 ( Suh Hye Ran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1

        한국과 일본의 독서문화진흥 관련 법률과 그에 근거를 두고 발표된 독서 문화진흥 계획 문서들을 대상으로 양국의 독서정책을 분석하였다. 그 작업 의 목적은 지속가능하고 체계적인 독서정책 추진을 위한 몇 가지 전략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한국에서 독서문화진흥을 입법 목적으로 명시한 최초의 법률은 1994년에 제정된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이다. 그러나 이 법률은 뚜렷한 가시적 성과 를 거두지 못한 채 .독서문화진흥법.으로 대체되었다. 2007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이 법률은 모든 국민이 전 생애주기에 걸쳐 독서정책의 수혜를 받기 위해 필요한 기본사항을 규정한 한국 최초의 독립적 법률이다. 이 법률에 의해 독서문화 진흥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와 독서정책과정이 체계화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 전문가의 제도적 참여가 배제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두 차례 발표된 기본계획이 다루는 정책범위는 넓지 만 계량적 성과를 지나치게 의식하는 등 독서문화에 대한 전문적 이해 수준 은 미흡하다. 또 각종 사업에 대한 로드맵, 재정 및 인력 지원 대책이 불확실 하다. 일본에서는 2001년에 .어린이 독서활동의 추진에 관한 법률., 2005년 에 .문자.활자문화진흥법.을 제정하는 등 독서정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중앙정부는 5년 마다 어린이.청소년의 독서능력 향상을 위한 장기계 획을, 지방정부는 매년 추진계획을 수립한다. 일본에서 독서정책의 관점이 독서행위 자체로부터 리터러시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 모든 이해당사 자들의 협력과 참여, 기본계획과 추진계획의 체계적 연계로 정책의 실천성을 높이려고 노력한다. 지속가능하고 체계적인 독서정책의 조건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독서 거버넌스 구현으로 참여와 협력 정책모델 실현, 둘째, 전문인력과 안정 적 재정지원 확보 전략으로 독서정책의 질적 성과 보장, 셋째, 기초자료 수집의 고도화로 계획의 유효성 담보, 넷째, 정보통신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디지털 독서능력의 개발. National reading policies of Korea and Japan were analysed by scrutinizing some laws and national and/or regional plans to promote reading culture of each country. Which would lead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sustainable and systematic reading policies. ‘Library and Reading Promotion Act’ of 1994, the first ever Korean law that declared that promoting reading culture is one of its aims, was succeeded by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of 2007. The Act which regulates matters to guarantee every peoples’ lifetime reading proclaim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duty to promote reading culture. It also systemizes the reading policy process. However, experts’ exclusion in that process is a drawback of it. Korean government has issued two versions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master plan. Both of them covers very broad areas of policies, but reveals limited understanding about reading culture. They don’t give any specific road map and plans to get financial resources and manpower. In Japan, one can recognize many kinds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ies like ‘Act on the Promotion of Children’s Reading’ of 2001 and ‘Text and Printing Culture Promotion Act’ of 2005. Central government devises a long-term plan to develop literacy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every five years; local governments devises an acting plan every year. The focal point of the reading policies in Japan is changing from reading itself to literacy.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feasibility of policies through collaboration and involvement of every interest groups, systematic linking of long-term plan and acting plans.Here are some strategic suggestions to get sustainable and systematic reading policies: reading governance to realize involvement and collaboration policy model;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stable financial resources to guarantee some level of outcomes in reading culture; levell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up to have efficient plan;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ICT.

      • KCI등재

        불확실성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항공 이미지 객체 탐지

        박주찬(Joo-Chan Park),이선훈(Seon-Hoon Lee),정준욱(Jun-Uk Jung),손성빈(Sung-Bin Son),오흥선(Heung-Seon Oh),정유철(Yuchul Jung)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0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6 No.11

        Object detection in aerial images is an important task because it is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land management, disaster monitoring, national security, and map production, However,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erial images, such as high resolution, data imbalance between classes, lack of data, and densely appearing objects,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performance even with the recent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model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this paper proposes an uncertainty-based max-margin learning method and a data augmentation method based on attribute transformation specialized for aerial images.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s based on a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model is revealed by it winning the aerial image object detection contest 2020.

      • 주제중심 통합교과와 연계한 독서지도 방안 연구: 어휘력과 학습태도 효과를 중심으로

        주혜경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2

        본 연구는 주제중심 통합교과와 연계한 독서지도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어휘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책 읽어주기와 KWL을 적용한 주제중심 통합교과 독서교육의 효과와 그 가능성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주제중심 통합교과 연계 독서지도를 위한 수업모형 및 주제 관련 문헌 탐색 및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독서지도 교수?학습안을 작성하여 이를 실험집단인 초등학교 2학년 학급에 적용하고, 자유독서를 통제집단인 2학년 학급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주제중심 통합교과 연계 독서지도가 학생들의 어휘력과 학습태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주제중심 통합교과 연계 독서지도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학생들의 통합교과와 관련된 지식이나 흥미를 높여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독서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수경,유정림,유순애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독서프로그램의 적용과정을 탐구하여 초등 고학년 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을 적용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것이 모델이 되어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다양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중지능 독서프로그램이 널리 적용되어 참여자의 강점 지능은 더욱 개발하고 약점 지능은 보완되어 누구나 자기주도적인 독서 습관을 형성하고 즐거운 독서생활과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에서 학제적 독서 교육의 실제와 전망

        한금윤 ( Keum Youn Han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5

        본 논문은 현재 대학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독서 교육의 특징 및 전망을 고찰한 것이다. 대학에서 독서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활동이다. 대학에서 독서 활동은 사회적 자아를 신장시키기 위해서 중요하며, 지적인 성찰을 통하여 사회 문제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사회 변화의 주체가 되기 위한 활동으로써 중요하다. 그런데 최근 한국 대학생들의 독서 실태를 보면, 독서를 기피하거나 흥미 위주의 독서에 치우친 경향이 강하다. 그리하여 대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낳고있다. 더욱이 21세기는 정보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폭발적으로 제공되는 사회로, 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대학생들에게는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는 안목과 새로운 정보를 만들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이 요구된다. 즉, 문제를 다각적이고도 종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 대학생들에게 필요하다. 이러한 안목은 개별 전공의 사유 방식을 넘어서서 보편적이고 종합적인 사유 방식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많은 대학에서 교양 학부를 개설하여 기초 교양 교육의 일환으로 독서 교육이 강조되면서 학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다. 현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학제적 독서 교육은 기존의 국문과 중심의 독서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전공의 교수가 공동으로 교양 필수 과목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철학과 교수들의 진입으로‘비판적 사고’중심의 독서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비판적 사고중심의 독서 교육은 문제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를 배양하는 데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지닌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독서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비판적 사고 중심의 독서 활동은 자유롭고 창의적인 독서 활동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비판적 사고가 복잡한 현실에 대한 명확하고 올바른 판단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도 독서에 대한 거부가 강한 대학생들의 독서 기피 상황을 극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부분을 통해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다른 사람과 공감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제 학제적 구성을 넘어서는 통합적 독서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것은 특정 전공의 영역을 넘어서는 기초 교양 교육을 다시 정립하는 제3의 교육 영역의 개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등?중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서 교육과도 의사소통하여 고등 독서 교육의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and to suggest new goal of reading in liberal education. Recently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is regarded as a new, developing, a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 in lib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complicated and various problems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professors consist doctors of diverse department. This is effective to teach the freshman who ha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creatively. But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as the goal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which the philosophy doctors are emphasizing the point of. It is not easy for freshman to read difficult books for developing of critical thinking. To read for critical thinking makes student`s feel difficult. It is hard for them to read the classic books, and also they can`t enjoy reading books in their classes. Also it is not easy for students to develop creative and flexible thinking through learning of reading for critical thinking, which is more inclined toward logical than creative thinking. The reading education has to arouse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books, because Korean university students don`t read even once a good books. Most importantly, it is necessary for freshman to be interested in and enjoy reading books which are regarded as academic classics. So the new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is beyond the developing of critical thinking. It should be the creative and liberal reading. That is not only logical but also various thinking. For that, it is necessary to communicate the diverse interdisciplinary approach. Also the liberal education professors have to communicate the primary education and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The reading education has to go forward developing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come the world citizen beyond the local interest. This is the liberal education suited to the new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