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원복음화 위기 극복을 위한 기독교대학 선교의 신학과 효율적 방안: 한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최영근 한국대학선교학회 2014 대학과 선교 Vol.26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growth andcampus evangelization, and examined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fromthe perspective of campus mission. It aimed at suggesting theology and strategyfor an effective campus ministry of the Christian university by presentinga case of Hannam University. The Korean Church rapidly grew in number between the 1960s and the1980s. The campus evangelization led by campus missionary groups was the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hurch growth. The church growth,however, came to decelerate sharply in the 1990s, and the Korean churchbegan to decrease in number in the 2010s. Accordingly, campus evangelizationcame into crisis. It was the same situation in the Christian universityfacing identity crisis after secularization. Christian universities as well as theKorean churches failed to respond efficiently to the shift in society and culturewhile holding fast to old paradigms. They stuck to dogmatism, proselytism,and cultural exclusivism, and therefore became isolated and marginalizedfrom Korean society and university culture in particular. The collapse ofcampus mission would endanger the church's spiritual integrity and institutionalsoundness, and dim hope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Thus for theology of an effective campus ministry of the Christian university, this paper suggested holistic mission and incarnational theology. TheChristian worldview and morality should shape and inspire all the spheres ofthe life and culture in the university. For this regard, Christian universityshould reestablish Christian educational goals, foster Christian worldviewwithin the community, and integrate faith and knowledge to build upChristian scholarship, morality, and spirituality. For successful evangelization,furthermore, Christian university should focus on training ofChristian students into leaders of campus ministry and utilize all the possibilitiesas missionary opportunities. 이 논문은 한국교회 성장과 대학선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당면한 캠퍼스 선교의 위기와 한국교회 위기를 상호검토한 후에, 한남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기독교대학 선교의 신학과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60년대와 1980년대에 이르는 한국교회 급성장의 중심에는 대학선교단체들의 활발한 학원복음화가 있었다. 한국교회 부흥의 시대에 학원복음화가한국교회 부흥과 성장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고 한국교회의 성장은 대학선교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성장감소와 2010년대의 교세감소에 직면한 한국교회의 위기상황은 대학선교의 위기를 동반하고 있다. 진리와 도덕적 가치가 상대화되고 다양한 문화와 개성이 공존하는 변화된포스트모던의 사회 환경 속에서, 특히 학문과 지성의 전당인 대학에서, 위기에 직면한 대학선교는 새로운 신학과 전략을 요구받고 있다. 이는 설립정신의 쇠퇴로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며 효율적인 대학선교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독교대학도 예외가 아니다. 일방적 교리전달과 문화적 배타주의, 하나님나라를 교회로 환원하는 개종과 이식 유형의 선교방법은 이미 한계를 노출시키며 복음을 대학사회에서 고립시키고 대학문화의 주변부로 내몰고 있다. 효율적인 기독교대학 선교의 신학으로서 이 논문은 하나님 나라의 가치와 삶을 대학의 학문과 삶과 문화 속에 이루어가는 통전적 선교를 제시하였다. 곧 기독교의 진리가 구성원들과 학생들의 신앙과 지성과 인격을 형성하는 성육신적 선교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신학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선교의효율적 방안으로서, 구성원들 가운데 창학이념과 교육목적을 분명하게 확립하고,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신앙과 학문을 통섭하고, 전공교육과 학교활동을 통해, 특별히 채플과 기독교 교과목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기독교정신에기초한 인성과 도덕적 탁월성과 봉사정신을 겸비한 인재를 길러내는 전인격적, 통전적 기독교 교육을 지향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기독교대학은 교목실을 중심으로 구성원들의 비전과 소명의식을 회복시키고, 기독학생들을 양육하고 훈련하여, 이들을 대학 선교의 자원과 주체로 양성하면서, 기독교대학이 가진 다양한 기회와 여건들을 충분히 활용하여 종합적인 대학선교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대학교회의 성격과 선교적 과제 - 연세대학교회를 중심으로 -

        조재국 ( Jae-kook Cho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2 No.-

        본 논문은 지역의 교파교회의 대안으로 새로운 교회의 형성을 목표로 설립되어 학원선교의 미래를 개척하고자 하는 대학교회, 특히 연세대학교회의 성격과 그 선교적 과제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 것이다. 한국교회가 고도 성장기를 지나 오랜 침체기에 들어서고 있는 가운데, 선교의 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역교회의 약점을 보완하고자 노력해 온 대학교회의 성격과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은 시급한 일이라 하겠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먼저 연세대학교회와 연세 신앙공동체의 특성을 알아보고, 교회의 조직과 운영, 즉 거버넌스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으며, 다음으로 예배순서와 내용을 분석하고, 대학교회의 선교적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세대학교회에 관한 심층적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연세대학교 캠퍼스에 위치하는 대학교회와 그 자매교회들은 지역교회와는 다른 독특한 거버넌스를 성립시켜, 총장의 임명에 따른 임기제 목회자에 의하여 목회와 행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장기에 걸쳐 봉사하는 전문사역자들에 의하여 예배와 신앙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경직되고 말았고, 오랜 역사와 노인층 신자들의 증가로 인하여 미래교회를 위한 준비가 큰 과제로 등장하였다. 둘째로, 대학교회는 대학의 행정시스템과 직제에 따른 투명하고 정확한 재정처리와 목회자들과 전문봉사자자들, 평신도지도자들의 역할부담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학의 부속기관장으로써의 임시직으로 인한 담임목회자의 한계로 인하여 장기적인 목회계획이나 평신도 훈련이 어려운 상황이다. 셋째로, 대학교회의 오랜 전통인 예전예배와 성서정과에 따른 설교는 서양교회의 전통적이고 규범적인 기독교예배를 경험하게 하고, 바로크시대로부터 계승된 교회음악의 전통을 지켜올 수 있었고, 그로 인하여 지식인 중심의 예배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었으나, 청년친화적인 교회의 형성이 큰 과제로 남게 되었다. 대학교회는 교회의 본래적 사명인 예배, 교육, 선교를 성취하기 위하여 소속신자들의 신앙성장을 위한 교육훈련과 선교역량의 증대, 그리고 목회적 돌봄을 통한 신앙의 성숙을 기하고자 노력하여 왔다. 그러나 오늘의 대학교회는 오랜 역사와 전임 목회자의 부재, 평신도 중심의 교회운영으로 인하여 새 시대를 열어갈 청년, 학생들을 위한 선교역량의 제고와 예배와 신앙의 역동성 증대가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essay aim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nsei university church and the tasks of campus ministries as an alternative of local churches or denominational churches. The university churches may complement the weakness of local churches for growth slump to be continued. We examine the university church to try to improve new order of worship service and new model of governance system, management and prospect the model for the future church as follows; At first, we seek the university church and its sister churches to form the present unique governance system through its active campus missionary for Yonsei Campus and students, professors, civilians around campus. Secondly, we recognize that the University church has high level`s morality and transparency of church management because of a two-year term senior pastor appointed by the president of the University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used by university administration. Thirdly, we know that the worship service reading by the church choir and the organist is conducted as a ritual worship to follow the lectionary. The western lectionary will need to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alendar. Fourthly, we think that the university church will need the improvement of new emerging power for mission because of institutional rigidities and ageing members. To support the campus mission, the university church should try to welcome new members and deep inspiration and new programs by bible study and pray meetings for new missionary circumstances.

      • KCI등재

        특집 2 : 대학교회와 학원선교 ; 한국 대학교회의 태동과 변천 -연세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정세 ( Chung Se Park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0 대학과 선교 Vol.19 No.-

        한국의 기독교대학에서 캠퍼스 선교와 관련하여 채플과 기독교 과목에 관해서는 여러 면에서 고찰해 왔으나 선교의 중요한 축인 대학교회와 관련하여서는 별다른 연구가 없었다. 이에 한국에서 제일 처음기독교대학으로 출발한 연세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교회의 설립과 변천 및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중원 초창기에는 공식적으로 기독교 선교가 허락되지 않은 상태였으나, 1894년 제중원이 북장로교로 이관됨에 따라 선교의 기회가 생기게 되어 교직원이 환자와 함께 주일예배를 드리게 되고 여기에 인근주민들도 참여함으로써 교회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이 모임은 점차 성장하여 교회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고 교단의 공의회가 모일 수 있는 예배당을 갖게 되었으며, 그 후에는 교회를 신축하기에 이른다. 연희대학교회인 ‘연희협성교회’는 1930년 초에 창립되는데, 당시 서울의 교회는 사대문 안 중심이었으나 이제 성문밖에 새롭게 형성된 교육 커뮤니티는 그 나름대로의 편리와, 연합교단 교회의 필요를 충족하는 새로운 형태로 시작되었다. 또한 이러한 연합 정신은 한 대학의 울타리를 넘어서 인근 이화대학과 공동으로 한 대학교회를 운영하는 데까지 발전한바 있다. 연희대학과 세브란스의학대학이 연합하여 연세대학이 된 후 1962년에 다시 시작된 대학교회는 몇몇 과정을 걸쳐 1975년부터 교목실과 유기적인 관계로 운영된다. 이는 교육기관으로서의 커뮤니티를 기본으로 하여 기독교에 관심을 갖는 학생을 육성하려는 목적을 예배와 프로그램과 친교활동을 통해 조화시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근간에 이르러서는 예배의 부분적 토착화 시도와 국제화에 따른 제반의 필요를 프로그램으로 연결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의 여러 캠퍼스들은 본교 대학교회의 운영방식을 근간으로 하여 그 나름의 특성을 살리고 있다. 의료원 캠퍼스의 병원교회는 환자를 위한 주일예배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으며, 1981년부터 시작된 원주의과대학교회 역시 해외 의료선교 활동을 중심으로 그 특색을 살리고 있다. 또한 1984년부터 시작된 매지캠퍼스 교회는 지방에 위치하며 방대한 기숙사를 가진 대학의 특성을 목회와 프로그램에 잘 반영하고 있고, 2006년에 설립된 삼애교회 역시 기증자의 뜻 (三愛: 하나님 사랑, 노동사랑, 농촌 사랑)을 살려 특색 있게 운영되고 있다. 연세대학교의 대학교회들은 각각 그 시대적 요구와 그 공동체의 요구를 잘 연계하여 교회를 설립하였고 나름대로의 특색을 발전시키고 있음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Although many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on chapel programs and lectures for campus Christian ministry in Korea, research on university churches, an important part of campus ministry, is relatively rare. In this article, the founding and transition of Yonsei University Church, which has the longest history among university churches in Korea, will be examined. Christian missionary activity in Korea was prohibited in the early days of Chai Chung Won - the first modern medical college with a hospital, founded in 1885 and renamed Severance Medical College in 1904. The transfer of the ownership of the institution in 1894 from the King of Chosun (Korea) to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nited States became the first step in missionary work; worship service was initiated for fellows, staff and patients. The congregation can be regarded as the origin of Yonsei University Church. The church was also used as the venue for the general assembl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Meanwhile, Yonhee College Church was founded in 1933. The church, located outside the walled city of Seoul, not only served the people dwelling in and near the college site but also fulfilled the need of an ecumenical church in the campus. This spirit of cooperation expanded to the setting up of a church managed by two colleges-Yonhee and Ewha- in 1935. Although this Hyop-seong Church, or the Union Church, was shut down by oppressi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t was reopened by the two colleges after independence. The consolidation of Severance Medical College and Yonhee College into Yonsei University in 1957 wa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Yonsei University Church in 1962. The construction of University Chapel, or Luce Chapel, in 1975 provided the momentum to develop a renovated mission policy of Yonsei University Church, such as ‘community church,’ ‘bridge church,’ and ‘open church’. Enculturation and globalization of church programs were added recently.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new university sites of Yonsei, new university churches were built in new campuses. These churches, following the ‘main’ Yonsei University Church as a model, have been developing their own programs. For example, Wonju Medical College Church, opened in 1981, organized an overseas medical service team; since 1984 Maeji Campus Church has been focusing on students’ dormitory ministry; Samae Campus Church, founded in 2006, has been trying to develop their own church program following the donor’s ‘Samae (three loves)’ spirit.

      • KCI등재후보

        한국 대학교회의 태동과 변천 ― 연세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정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0 대학과 선교 Vol.19 No.-

        Although many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on chapel programs and lectures for campus Christian ministry in Korea, research on university churches, an important part of campus ministry, is relatively rare. In this article, the founding and transition of Yonsei University Church, which has the longest history among university churches in Korea, will be examined. Christian missionary activity in Korea was prohibited in the early days of Chai Chung Won - the first modern medical college with a hospital,founded in 1885 and renamed Severance Medical College in 1904. The transfer of the ownership of the institution in 1894 from the King of Chosun (Korea) to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nited States became the first step in missionary work; worship service was initiated for fellows,staff and patients. The congregation can be regarded as the origin of Yonsei University Church. The church was also used as the venue for the general assembl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Meanwhile, Yonhee College Church was founded in 1933. The church,located outside the walled city of Seoul, not only served the people dwelling in and near the college site but also fulfilled the need of an ecumenical church in the campus. This spirit of cooperation expanded to the setting up of a church managed by two colleges−Yonhee and Ewha−in 1935. Although this Hyop-seong Church, or the Union Church, was shut down by oppressi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t was reopened by the two colleges after independence. The consolidation of Severance Medical College and Yonhee College into Yonsei University in 1957 wa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Yonsei University Church in 1962. The construction of University Chapel,or Luce Chapel, in 1975 provided the momentum to develop a renovated mission policy of Yonsei University Church, such as ‘community church,’‘bridge church,’ and ‘open church’. Enculturation and globalization of church programs were added recently.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new university sites of Yonsei,new university churches were built in new campuses. These churches, following the ‘main’ Yonsei University Church as a model, have been developing their own programs. For example, Wonju Medical College Church, opened in 1981, organized an overseas medical service team; since 1984 Maeji Campus Church has been focusing on students’ dormitory ministry; Samae Campus Church, founded in 2006, has been trying to develop their own church program following the donor’s ‘Samae (three loves)’ spirit. 한국의 기독교대학에서 캠퍼스 선교와 관련하여 채플과 기독교 과목에 관해서는 여러 면에서 고찰해 왔으나 선교의 중요한 축인 대학교회와 관련하여서는 별다른 연구가 없었다. 이에 한국에서 제일 처음기독교대학으로 출발한 연세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교회의 설립과 변천 및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중원 초창기에는 공식적으로 기독교 선교가 허락되지 않은 상태였으나, 1894년 제중원이 북장로교로 이관됨에 따라 선교의 기회가 생기게 되어 교직원이 환자와 함께 주일예배를 드리게 되고 여기에 인근주민들도 참여함으로써 교회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이 모임은 점차 성장하여 교회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고 교단의 공의회가 모일 수 있는예배당을 갖게 되었으며, 그 후에는 교회를 신축하기에 이른다. 연희대학교회인 ‘연희협성교회’는 1930년 초에 창립되는데, 당시 서울의 교회는 사대문 안 중심이었으나 이제 성문밖에 새롭게 형성된 교육 커뮤니티는 그 나름대로의 편리와, 연합교단 교회의 필요를 충족하는 새로운 형태로 시작되었다. 또한 이러한 연합 정신은 한 대학의 울타리를 넘어서 인근 이화대학과 공동으로 한 대학교회를 운영하는 데까지 발전한바 있다. 연희대학과 세브란스의학대학이 연합하여 연세대학이 된 후 1962년에 다시 시작된 대학교회는 몇몇 과정을 걸쳐 1975년부터 교목실과유기적인 관계로 운영된다. 이는 교육기관으로서의 커뮤니티를 기본으로 하여 기독교에 관심을 갖는 학생을 육성하려는 목적을 예배와 프로그램과 친교활동을 통해 조화시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근간에 이르러서는 예배의 부분적 토착화 시도와 국제화에 따른 제반의 필요를 프로그램으로 연결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의 여러 캠퍼스들은 본교 대학교회의 운영방식을 근간으로 하여 그 나름의 특성을 살리고 있다. 의료원 캠퍼스의 병원교회는환자를 위한 주일예배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으며, 1981년부터 시작된 원주의과대학교회 역시 해외 의료선교 활동을 중심으로그 특색을 살리고 있다. 또한 1984년부터 시작된 매지캠퍼스 교회는 지방에 위치하며 방대한 기숙사를 가진 대학의 특성을 목회와 프로그램에잘 반영하고 있고, 2006년에 설립된 삼애교회 역시 기증자의 뜻 (三愛:하나님 사랑, 노동사랑, 농촌 사랑)을 살려 특색 있게 운영되고 있다. 연세대학교의 대학교회들은 각각 그 시대적 요구와 그 공동체의 요구를 잘 연계하여 교회를 설립하였고 나름대로의 특색을 발전시키고있음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대학 발전을 위한 복음과 문화 ― 숭실대학교를 중심으로

        박흥순,연요한 한국대학선교학회 2010 대학과 선교 Vol.18 No.-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 그리고 세계를 위한 지도자를 교육하고 양성하기 위해서 기독교 정신의 이념을 바탕으로 설립한 교육기관 가운데하나가 기독교대학이다. 기독교대학의 교육 목적에 적합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대학교의 중요한 구성원인 비기독교인 대학생을 포함한 모든 대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첫째로 기독교대학의 교양필수 과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숭실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기독교 교양필수 과목 <현대인과 성서>에 대한 수강생의 “강의 만족도결과 보고서”를 분석할 것이다. 2008년 2학기에 실시한 “강의 만족도결과 보고서”를 토대로 부정적 평가와 긍정적 평가를 구분하여 기독교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의 관점을 조사하고자 한다. 둘째로 본교에서 운영하는 대학 채플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점검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대학 채플 운영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할 것이 무엇인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로 기독교대학 기독교 교양필수 과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기독교 교양필수 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수와 학생의 상호이해가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넷째로 기독교대학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가 ‘대화’와 ‘공존’을 위한 ‘쌍방향 소통’이라는 것에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비기독교인 대학생 선교를 위해서는 ‘상호존중’에 근거한 인식의 전환, 변화 가능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자한다.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upon Biblical teachings in order to foster potential leaders for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es. It should be indicated that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tend to deliver Christian principles to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ho are not Christians and even have harbored ill feelings against Christiani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students to communicate each other. In this paper, firstly, we intend to investigate attitude survey from students about “Contemporary Person and the Bible” which is the compulsory subject related to Christianity before graduating university. Secondly, we will look at perspectives from students who should participate in a chapel at Soongsil university. Students must keep a chapel during six semesters once a week. Thirdly, I would like to suggest an alternative insight for the compulsory subject related to Christiani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improv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conduct a 32compulsory subject, “Contemporary Person and the Bible”, run by Soongsil University. The term “two-way communication” is an essential concept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should be stated that faithful dialogue between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students is a primary task in order to educate appropriate leaders in the light of Christian world-view.

      • KCI등재

        신학 내 독립된 분과로서 "대학선교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이대성 ( Dae Sung Lee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0 No.-

        “대학선교학”은 1970년에 출범한 “한국기독교대학교목회”가 1997년에 “한국대학선교학회”를 발족하고 2000년 2월에 학회지 .대학과 선교.(Universityand Mission) 창간호를 발행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되어 온 신학의 한 분야이다. 그동안 대학선교학은 학술지 게재 논문의 양적 질적 발전과 꾸준한 학술발표회를 통해 신학 내에서 독특한 관심영역을 형성해 오면서 그 내용의 폭이나 깊이, 그리고 교회와 대학에 끼치는 영향력 면에서 크게 발전해왔다. 대학선교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대학선교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이제 대학선교학이 한 단계 더 학문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또 그렇게 함으로 대학선교에 더 크게 공헌하기 위해서는 대학선교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해 깊은 성찰을 할 때가 되었다. 본연구는 기독교 신학 내의 고유한 분과로 자리잡아가는 대학선교학의 현재상태와 특징, 한계 등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앞으로 대학선교학이 독립된학문 영역으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기 위해 취해야 할 방안과 방향에 대한 제안을 한다. “University Mission Studies”(UMS) is an emerging academic discipline in the field of theology. Its development was accelerated by the found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University Mission Studies” in 1979 and the creation of the academic periodical, University and Mission in 2000. So far UMS has achieved significant growth through the publication of increasing number of high quality research papers through University and Mission and regular academic conferences. Its influence to the churches and universities in Korea is great. In spite of the long history and visible development of UMS, there have not been any serious studies on the academic identity of UMS. It is time to do the research on this topic. This paper evaluates the status of UMS as an academic discipline by examining its current situation, characteristics, and limits. Based on the evaluation, this paper makes sugges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UMS.

      • KCI등재후보

        1950년대 한국 기독교 대학에서의 정체성 정립의 한 사례 : 신앙과 생활의 일치의 의미 - 전희철의 일기를 중심으로

        안승병 한국대학선교학회 2014 대학과 선교 Vol.26 No.-

        In the Korean society, university education is facing severe crisis. Alongwith the pressure to downsize student quota due to reducing student numbers,Christian universities are forc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employmentincubation center rather than academic institution therefore losing its originalscholar identity. This paper aims to seek a proper measure to overcome thecurrent educational crisis through examining some examples of universityidentity establishment during the beginning period of university education. After the Korean War, many efforts were made to reconstruct the nationand during this period many universities were founded in order to cultivatenational leaders with Christian spirit and professional knowledge. Amongthese newly-founded universities, Mokwon university which is formerlyDaejon Methodist Seminary set its founding philosophy as to raise professionalChristian leaders for rural ministry. Such philosophy was not onlythe demand of the time, society and industry, but also it was requested inKorean Methodist Church. The realization of such philosophy required devotingconviction based on true faith since university graduates would haveto go against the current of the time which is to live in the city and work inthe office and rather go to rural areas. At that time, most of the common people were living in the rural area and the industrial driving force was comingfrom agriculture. The responsibility to realize this difficult philosophy was assigned to thefirst head of administration Jeon Hee Chul, and he showed successful practicecase based on his personal experience through life. Jeon's personal aspectssuch as wealthy background, studying in aTokyo, various agriculturalexperiences, self supporting ministry, assiduous creed of life, sincere integrationof daily life and faith, heavy responsibility as head of administration,devotion to God, and sensitivity to Holy Spirit had led him to set amonumental example to educational history. Thankfully Jeon has left an extensive amount of diary and documentswhich can guide Mokwon University, a Methodist university, to overcome itsidentity crisis. The prerequisite of his legacy would be that the goal of educationmust be to make an integration of daily life and faith. His life hasshown us that the education should be practical and meet the need of the society,and that the university graduates must serve the others while makingtheir own living, and take the initiatives and set examples through unselfishdevotion. The Christian identity that the Christian universities of today must reestablishlies on the education and missionary which pursue practice of love,redefinition of ethics and morality, and development of ability to reconcileconflicts. The fact that the society demands reliable leaders rather than competentones does not change and the Christian universities must reflect thisneeds in their educational venue. 기독교 대학의 설립 과정에서 기독교적 정체성 확립과 그 정체성의 실현을 교육이나 행정 영역에서 해 나간다고 하는 일은 쉽지 않은 과제이다. 시대와 사회의 변화가 반기독교적이어서 그 구현을 위협하게 되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어서 이를 타개해 나가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 사례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인 바 목원대학교의 사례를 통해서 찾아보고자한다. 한국 전쟁 후 국가 사회의 재건이 시작되는 과정에서 기독교 정신과전문 지식을 함께 갖춘 지도자 양성을 위하여 대학들이 세워졌지만 그 중목원대학교의 전신인 감리교대전신학교에서는 다른 대학들과는 달리 농촌목회를 위한 기독교 전문 지도자를 키운다는 건학 이념을 세웠다. 이 이념은시대적, 사회적, 산업 구조적 요청이었을 뿐만 아니라 감리교단적 필요에서도 요구되며 무엇보다도 특별한 신앙적 동기에 근거한 이념이었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농촌지역에 살면서 산업 생산도 주로 농업에서 이뤄지던 시기였기에 대학 졸업자들이 진로를 정할 때 상식과 시류에는 역행하는 결정이었지만 도시와 사무실로 가지 않고 농촌으로 가야 한다고 결정한 것은 각별한 신앙적 결단과 단단한 교육을 받은 뒤에 결정된 것이었다. 이를 실제로 구현할 책임은 초대 행정 책임자인 전희철에게 지워졌는데그는 자신의 일생의 경험을 토대로 성공적인 실천의 사례를 보여주었다. 자신의 인생의 만년에 주어진 대학 설립과 그 대학의 독특한 기독교 정체성확립을 위해서 그가 가진 부유한 가정 배경, 장기간의 동경 유학, 자비량목회의 여유, 여러 종류의 영농 경험, 근면 성실한 생활 신조, 진실한 신앙과생활의 일치, 행정 책임자로서의 무한한 책임감, 자신의 주님께 대한 헌신의마음, 성령의 지도에 민감한 신앙심 등을 잘 활용해 섬김과 나눔이라는 기독교적 정체성을 남기게 되었다. 다행히 그는 방대한 일기와 자료집을 남겨 놓았고 이를 토대로 감리교종합대학교인 목원대학교의 기독교 정체성의 위기를 타개할 구체적 방안과열정적인 모범을 남겨 주었다. 그것은 바로 교육의 목표란 ‘신앙과 생활은일치가 되어야 한다’는 대 전제이다. (1) 교육은 실용성이 있어야 하기에현장의 요구와 대학 교육의 목표와 질이 부합되어야 한다는 점을 농업을통해 가르치고, (2) 대학 졸업자는 스스로 자신의 생계를 꾸려나가는 자력갱생을 통해 타인을 섬기는 것을 가르치고, (3) 신앙적 가치의 현실적인 덕목인 도의, 정의, 근검 절약을 통해 자신이 책임 맡은 기관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소명감 실천을 가르치고, (4) 섬기고 나누는 사랑의 실천을 지도자의 솔선수범을 통해 가르쳐야 한다는 점들을 보여주었다. 오늘의 기독교 대학이 재설정해야 하는 기독교적 정체성은 사랑의 실천, 윤리와 도의의 재정립, 갈등을 화합시킬 수 있는 도량과 능력을 갖추게하는 교육과 선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사회가 요구하는 일꾼들도 결국에는 정보와 기술을 갖춘 능력 있는 자보다는 그 삶의 자세와 태도를 신뢰할수 있는 봉사자라는 사실은 시대가 아무리 변화하더라도 변치 않는 사실이다. 이 점이 정체성 위기를 맞고 있는 이 시대의 기독교대학들이 복음의능력으로 학문의 전당에서 구현해 나가야 할 과제요 목표인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사회의 이해와 대학생 선교

        박흥순 한국대학선교학회 2009 대학과 선교 Vol.16 No.-

        Since the 1980s, migrants, including: migrant workers, female marriage migrants, and defectors from North Korea, have been living as productive members of Korean society.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term ‘diaspora’, we can properly understand the lives of migrants in Korea. Modern-day migrants to Korea have often faced the same kind of obstacles to living a happy life, just as Abraham who was led by God to settle as a ‘stranger in a strange land’ in the promised land of Canaan. As Koreans strive to coexist with foreigners who have come to Korea from different: cultures, languages, and traditions, a crisis of identity often occurs among both groups of people. And, as we know, prejudice results from ignorance, which does not accept the diversity of different: cultures, ethnicities, languages, traditions, and religions. When we study carefully the new identity created by migrants as members of an alternative commun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useful to understand that the creation of a ‘migrant’ identity within Korean society also contributes to the self-perception that native-born Koreans have of themselves. The first step that should be taken in determining the nature of cultural diversity in Korean society is to look at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this paper, I intend to indicate that a proper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begins with the a correct perception of migrants in Korea. Only when we discover the full meaning of the terms ‘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will such terms become a useful tool for conducting campus missions in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roughout Korea. 다문화 사회로 급격하게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는 사회, 경제, 문화, 종교, 교육을 포함한 전 영역에서 ‘다문화’(multi-cultral)와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가 중요한 담론이 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다문화적 상황에 직면했던 서구의 국가들과는 달리 한국 사회의 다문화 경험은 새로운 경험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사회 구성원의 대부분은 낯선 환경과 문화를 지니고 살아왔던 이주민과의 공존에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는 이주민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될 뿐만 아니라 다문화 상황에 직면한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한국 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이 다른 환경과 낯선 문화에 정착하고 적응하는 것은 매우 커다란 어려움이 있다. 이 글에서는 다문화 사회의 이해는 이주민에 대한 이해와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는 것을 지적하려고 한다. 다문화 사회의 이해가 비기독교인 대학생 선교를 위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세계관이나 성서적 교훈을 배우지 못하거나 인식하지 못했던 비기독교인 대학생의 상황이 한국 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정체성과 흡사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먼저 다문화 사회를 지향하는 한국 사회를 진단하고, 인식의 전환을 요청하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 상황을 고찰한다. 다문화 사회의 이해가 한국 사회 구성원과 이주민의 상호의존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지적함으로써 대학생 선교가 상호관계와 상호호혜에 바탕을 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이주민과의 소통과 공존을 지향하는 다문화 사회의 이해는 기독교 대학에서의 대학생 선교를 위한 대안적 관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미국 아그네스스캇대학(Agnes Scott College)의 사례 연구-

        최영근 ( Youngkeun Choi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대학과 선교 Vol.43 No.-

        이 논문은 미국장로교가 설립한 여자대학인 아그네스스캇대학(Agnes Scott College)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대학이 추구한 기독교 정체성의 내용과 방식을 규명하고, 대학발전 과정에서 기독교 정체성이 변화되는 배경과 논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대학의 역사와 관련된 일차자료를 분석하는 역사연구이며, 대학의 역사기록, 연례보고서, 대학의 카탈로그와 학보를 비롯한 일차자료를 활용하였다. 아그네스스캇대학은 여성을 위한 기독교 인문교육의 틀 안에서 신앙과 학문을 통합적으로 추구하는 기독교 여자 인문대학을 지향하였다. 교단과 종파를 넘어서 다양한 학생들이 입학하고, 학문의 자유에 따라 다양한 배경의 교수들이 임용되고, 다양한 배경의 이사진이 자리를 차지하면서 대학의 기독교 정체성은 점차 약화되었지만, 다원화된 사회와 문화의 도전 속에서 기독교적 가치를 변화된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독교대학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한국기독교대학에 선행적 교훈을 준다. This paper deals with a case of Agnes Scott College established in 1889 by the Presbyterian Church (U.S.A.)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the Christian identity has been maintained and changed in a long period of time when a Christian university has developed. As a historical study it reviews primary sources of the college including historical narratives, annual reports, catalogues, magazines, and other documents as well as secondary materials. Seeking a high-level Christian liberal arts college for women, Agnes Scott College has strived to unite the Christian faith and academic excellence, and developed into a scholarly open-minded Christian but not sectarian college: accepting students with no regard to their religious traditions or non-religious belief; employing the faculty and staff members under conditions they would consent to the Christian identity of the college; and inviting various persons from outside Presbyterian or Christian religion to board of trustees. Although a strong Christian identity diluted so far, the college in pluralistic culture is still struggling to keep and apply the Christian values to its academic and spiritual life, and their efforts will give a precedent lesson to the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as well.

      • KCI등재후보

        한국교회의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교회로서의 대학교회: 계명대학교회를 중심으로

        허도화 한국대학선교학회 2010 대학과 선교 Vol.19 No.-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university church as an alternative church as well as an adaptable and a competitive paradigm for overcoming the crisis in the Korean church in the post-modern era. To the end, the study analyzes crisis in the secularized churches and suggests pastoral alternatives for overcoming the crisis. The first step for the purposes is to make a diagnosis of the causes of main crises in the contemporary church and to propose theological solutions to the problems. For second step, the study proceeds to examine pastoral possibilities in the university church as an alternative model for the renewal. And the last step deals with a particular university church with healthy ecclesiology and organization. The study finds out that the main crises of the contemporary Korean church are in the minus growth and the loss of social confidence. The basic cause of the crises based on the endless seeking of quantitative growth, without qualitative one. It argues that the solving prescription of the crises is to recover the nature and mission of the church and to reform the organization and method of ministry. It presupposes that the particularity of the university church has the possibility to be an alternative paradigm. The university church is established by the Christian university as an alternative church especially for the campus mission and its family. The university church is free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quantitative growth and thus devotes itself to achieve the nature and mission of the church. It also belongs to the university much more public institution than normal churches and thus seeks to maintain its social confidence. In this sense, the paradigm of the university chur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which seeks quantitative growth,nominal faith, church, and clergy-centered authoritative organization which are causes of the crisis, rather than qualitative growth, practical faith, society, and laypeople-centered democratic organiza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paradigm leads the university church as an alternative model to be more creative and sensitive to the challenge by the postmodern society.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에 속한 대학교회를 한국교회의 위기 상황을극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안교회로 그리고 포스트모던 시대에 적응력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으로 그 가능성을 탐색해보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대안교회로서의 대학교회에 대한 필요성과가능성을 전제로,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세속화에 따른 위기 현상들을분석하고 그 원인들을 근거로 교회 갱신의 당위성이나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장하는 데 그치지 않고, 위기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까지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첫 단계로, 본 연구는 한국교회가 맞이하고 있는 주요 위기 현상들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들에대한 신학적 진단과 그 처방을 제시하려 한다. 두 번째 단계는 그 근본적인 원인들에 대한 실제적인 두 가지 처방들―교회의 본질과 사명 회복, 그리고 목회의 구조와 방법의 개혁―을 중심으로 위기 극복을 위한대안교회로서 대학교회가 지닌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로, 그 가능성을 위한 구체적인 사례의 하나로 계명대학교회(1999-2010)의 교회론과 목회구조를 중심으로 포스트모던 시대를 위한 목회적 대안을 제시하려 한다. 한국교회가 맞이하고 있는 주요 위기 현상들은 교회의 양적 마이너스 성장과 그로 인한 사회적 공신력을 상실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 위기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들은 교회성장제일주의로부터 시작되었다. 또한 위기 현상들에 대한 처방은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회복하고 목회의 구조와 방법을 개혁할 필요로 나타난다. 이 두 가지 처방은 건강한교회론과 목회구조를 지닌 대학교회의 특수성이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교회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학교회의 패러다임이 한국교회의 위기 현상을 초래한성장, 신앙, 교회, 그리고 조직 중심의 전통적인 패러다임에 대한 목회적 대안을 제시한다. 대학교회의 설립 목적과 그 목적을 성취하는 목회구조와 방법이 전통적인 패러다임에 빠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대학교회의 목회 구조와 방법이 일반교회의 것보다 21세기 포스트모던 시대의 변화된 현실에 창조적으로 적용하기에 더 단순하기 때문이다. 대학교회의 목회 구조는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숙, 개인 구원중심의 신앙보다는 삶의 실천, 개교회보다는 지역사회, 그리고 권위주의적 조직보다는 평신도 중심의 패러다임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