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남 교방연향의 음식

        양지선(Ji Sean Yang) 한국교방문화학회 2023 교방문화연구 Vol.3 No.1

        인간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매일 음식을 먹는다. 이러한 일상 음식 외에 특별한 날 의미를 부여하여 먹는 음식이 있다. 이 특별한 음식 중에서 음악과 가무 그리고 의례의 격식을 갖춘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조선시대 궁중의 진연(進宴)과 같은 연향(宴享)이 있을 경우이다. 지방에는 수령이 관아에서 교방(敎坊)의 가무악을 베풀고 음식을 제공하는 교방연향(敎坊宴享)이 있었다. 이 연구는 영남에서도 연향이 많았던 진주, 부산, 고성 지역의 교방연향 음식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영남의 교방연향 형태는 환영연·양로연·백일장·향사례·통신사연이 있었다. 진주의 교방연향 음식은 술·냉면·조서잡채·열구자탕·백합탕·가오리찜·도미찜·닭찜·해삼전·소고기 육전·유곽·떡·전복김치·죽순나물 등이 있었다. 부산의 조선통신사와 일본사신을 위한 연향음식으로는 떡·술·탕·전·약밥·강정·편육·돼지고기전유화·닭찜·꿩전·어만두·전복초·승기악탕이 있었다. 고성의 양로연 연향음식은 술·국수·떡, 밀떡(麪餠)·익힌고기·수육·전·세채(洗菜)·김치·유과·생과(生果)·초장·꿀 등이 있었다. 영남 교방연향 음식의 특징은 술과 함께 먹을 수 있는 요리로 해산물이 많이 이용되었다. 몇 차례 제공되는 술에는 탕이 필수였다. 연향에는 국수, 냉면과 같은 면요리가 주요리로 올라갔다. 궁중 연향 상차림을 참고하여 영남 지역 특산물을 활용하였다. 교방연향 음식은 의례와 가무악이 필수였고, 연향이 끝나면 시(漢詩)를 지어 맛에 대한 감흥을 표현한 예술이었다. Humans eat food every day to sustain life. In addition to these daily foods, there are foods that are eaten with special days. Among these special foods, there are cases where music, singing, and dancing are formal. Typically, there is a case of a lotus flower such as Jinyeon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provinces, there was ‘Gyobang banque’, where the leader performed the song and dance of Gyobang in the government office and provided f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yobang Yeonhyang foods in Jinju, Busan, and Goseong, which were also popular in Yeongnam. The forms of Gyobangyeonhyang in Yeongnam included a welcome banquet, elderly banquet, Baekiljang, shooting arrows banquet, and Tongsinsa banquet. Jinju's Gyobang Yeonhyang foods included alcohol, naengmyeon, japchae, yeolgujatang, baekhaptang, braised stingray, steamed sea bream, braised chicken, seafood pancake, beef meat pancake, yugwak, rice cake, abalone kimchi, and bamboo shoots. Among the associated foods for Joseon Tongsinsa and Japanese envoys in Busan were rice cake, liquor, soup, jeon, yakbap, gangjeong, pyeonyuk, pork jeon, chicken stew, pheasant pancake, fish dumpling, abalone, and Seunggiaktang. Goseong's nursing-related foods included alcohol, noodles, rice cakes, wheat rice cakes, cooked meat, meat, jeon, sechae, kimchi, yugwa, raw fruit, red pepper paste, and honey. The characteristic of Yeungnam Gyobang Yeonhyang food is that seafood is widely used as a dish that can be eaten with alcohol. Soup was a must for a few drinks served. Rice was not provided in Yeonhyang, and noodle dishes such as noodles and cold noodles were mainly served. Specialties in Yeongnam region were used by referring to the royal Yeonhyang table setting. For Gyobang Yeonhyang food, rituals and singing and dancing were essential, and at the end of the Yeonhyang, it was an art that expressed the impression of taste by making a poem.

      • 일제강점기 한성권번과 권번시조

        강지혜(ji hye Kang) 한국교방문화학회 2023 교방문화연구 Vol.3 No.1

        본고는 일제강점기 한성권번의 성립과정과 권번시조를 살펴보고, 그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기생제도의 변화 과정을 통해 권번이 설립되는 배경을 살폈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권번인 한성권번의 성립과정을 알아보고 한성권번을 소개한 시조 작품을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기생은 시대 및 제도와 함께 변화되었다. 관기로 국가의 중요한 역할을 하던 조선의 기생들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그 역할과 의미가 바뀌게 되었다. 전문성을 가진 예인으로 인식되었던 기생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성적인 이미지가 강조되었다. 기예를 펼치던 기생과 매음을 하던 창기의 구분이 점차 모호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생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기생의 이미지를 왜곡하고 부정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기생은 변화된 사회와 제도 안에서 자신들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자 했다. 한성권번의 기생들은 조합과 권번이라는 제도 안에서 자신들의 기예를 갈고 닦으며 다양한 사회 활동을 펼쳐 나갔다. 이들의 활동은 당시 신문 매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을 통해 한성권번의 기생들이 예인으로서의 전통성을 계승하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생들 스스로 창기와 명확히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조 작품에서는 비유 및 상징을 통해 한성권번을 표현하고 있으며, 대구 형식으로 문답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조선시대 시조 작품에서 자주 사용되는 특징으로 해당 작품들이 조선시대의 시조 양식을 따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Hanseong Gwonbeon (government female entertainers guild) and Gwonbeon Sijo in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and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meaning. First, this study looked at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of Gwonbeon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Gisaeng (government female entertainers) system. Next, this study looked into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Hanseong Gwonbeon, Korea’s first Gwonbeon, and looked at Sijo works that introduced Hanseong Gwonbeon. In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Gisaeng changed along with the era and system. Joseon’s Gisaeng,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untry as official-government-gisaeng, changed their role and meaning with the change of era. Gisaeng, who was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entertainer, had a sexual image emphasized through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This is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Gisaeng, who practiced skills and arts, and Changgi (prostitute-gisaeng), who engaged in prostitution, gradually became blurred. This change in perception of Gisaeng distorted and made the image of Gisaeng negative. However, in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Gisaeng sought to discover their own meaning and value within the changed society and system. The Gisaeng of Hanseong Gwonbeon honed their skill-art and engaged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within the guild and system of Gwonbeon. As their activities can be confirmed through newspapers at the time, through the contents, it can be found that the Gisaeng of Hanseong Gwonbeon attempted to inherit the tradition as art entertainment professionals. It can be seen that Gisaeng clearly distinguish themselves from Changgi (prostitute-gisaeng). The works of Sijo express Hanseong Gwonbeon through metaphors and symbols, and take the form of a question and answer in the form of a couplet. This method is a frequently used feature in the works of Sijo in the Joseon er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se works follow the style of Sijo in the Joseon era.

      • 『柳京の話』(1938년)의 부록 ‘妓生の話’ 연구

        신현규(Hyun-Gyu Shin) 한국교방문화학회 2023 교방문화연구 Vol.3 No.1

        이 글은 1938년에 발간된 관광 안내서 『유경の화』의 부록 ‘기생の화’ 중심으로 내용 분석과 그 의미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경성’에 비해 ‘평양’의 『유경の화』 관광 안내 자료는 다소 다른 양상이다. 조선의 역사를 평양 중심으로 설명하면서 과거의 유적에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부록에는 평양 기생이야기가 중심으로 서술되어 본래 의도한 바가 ‘평양’의 관광자료보다는 ‘평양’의 기생 소개 자료로 보일 정도다.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관광단이 가장 보고 싶어 하는 것 중의 하나가 기생이었다. 당시 ‘조선색 농후한 전통적 미를 가진 기생’을 볼 수 있는 곳은 평양 기생학교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일본인들까지도 아름다운 평양 기생의 공연을 보기 위해 ‘기생학교’를 관광 일정에 꼭 포함시키기도 하였다. 따라서 평양의 관광안내서에는 평양이 조선 제일의 미인 산지라 홍보되었고, 전 조선의 유명한 기생의 배출처로서 단연 ‘평양 기생학교’가 꼽혔다. 이에 대한 사진과 설명이 거의 빠짐없이 소개되어 있을 정도 다. 물론 사진엽서는 기생학교의 양성과정에 주목하여 기생들이 수업하는 장면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정규기생학교가 아니라 기생을 양성하는 학교라는 데에 관심의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었다. 현재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사진엽서가 바로 평양 기생학교를 찍은 사진들이다. ‘妓生の話’(기생의 이야기)에서는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 근거해서 인용된 부분이 많다. 기생의 기원은 궁정에서 시작되어 조선 시대까지도 관부기안에 기재되어 그 품성, 기예의 우열에 따라 일패, 이패, 삼패의 등급으로 구분하였다하여 『조선해어화사』의 내용을 근거로 삼고 있다. 그중에서도 ‘갈보’의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여행안내서에서 기생에 대한 기록의 고찰은 앞으로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and reveal its meaning, focusing on the appendix ‘Gisaengのhwa’ of the tourist guidebook 『Yugyeongのhwa』 published in 1938. Compared to ‘Gyeongseong’, the tourism information materials for ‘Pyongyang’ are somewhat different. It explains the history of Choseon with a focus on Pyongyang and shows relics of the past. In the appendix, the story of Pyongyang’s gisaeng is mainly described, so that the original intention seems to be an introduction to the gisaeng of ‘Pyongyang’ rather than a tourist information of ‘Pyongyang’. One of the things that tourists visiting Korea most wanted to see were gisaeng. At that time, it wa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only place where you could see ‘Gisaeng with rich traditional Korean beauty’ was Pyongyang Gisaeng School. Even Japanese people included the ‘Gisaeng School’ in their tourist itineraries to see the beautiful performances of Pyongyang’s gisaeng. Accordingly, in Pyongyang’s tourist guide, Pyongyang was promoted as the best producer of beautiful women in Choseon, and the ‘Pyongyang Gisaeng School’ was singled out as the source of famous gisaeng in all of Choseon. Pictures and explanations for this are almost completely included. Of course, the photo postcards were made with a focus on the training process of gisaeng schools and focused on scenes of gisaengs taking classe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fact that it was not a regular gisaeng school, but a school that trained gisaeng. The most surviving photo postcards are those of the Pyongyang Gisaeng School. In ‘妓生の話’ (The Story of a Gisaeng), many parts are quoted based on Lee Neung-hwa’s 『Choseon gisaeng history』. The origin of gisaeng began in the royal court and was recorded in the official records until the Ch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their character and skills, they were classified into one class, two classes, and three classes. This is based on the contents of 『Choseon gisaeng history』. Among them, the expression ‘galvo’ is also the same. As such, it is judged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records of gisaeng in the travel guides issu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 <춘향전>의 봉건적 낭만성

        윤정안(Jeong-Ahn Yoon) 한국교방문화학회 2021 교방문화연구 Vol.1 No.2

        이 논문은 이도령과 춘향의 사랑 이야기인 <춘향전>이 상하 모든 계층에서 사랑받을 수 있었던 이유를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의 전제로 <춘향전>은 근대 이전의 작품이며, 당대의 사회 질서 안에서 향유되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 작품이 대중적인 작품이라는 점에서 봉건 시대의 사고방식이 담겨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춘향전>의 주요 인물들의 이념적 지향을 살펴보았다. 이도령과 변학도는 대립적인 인물로 등장하지만, 이들의 차이는 봉건 권력을 어떻게 사용했는가에 있으며, 이들의 의식을 지배하는 것은 봉건 질서였다. 춘향이나 남원부민들, 월매, 방자 역시 이러한 봉건 질서 안에서 사유하고 행동하였다. 춘향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사용한 논리는 유교 질서에서 가져온 것이고, 남원부민들 역시 봉건 질서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부정한 변학도를 징치하는 이도령을 기다렸다. 월매의 기회주의적인 속성은 그녀가 어머니라는 위치를 고려해야 하며, 이도령을 조롱하는 방자의 모습은 이도령이 탕아적인 모습을 보일 때만 작동한다. 이처럼 <춘향전>의 인물들은 봉건 질서를 인정하고 있으며, 불합리한 봉건 권력의 작동 때문에 생기는 삶의 질곡을 극복하려 한다. 그러므로 <춘향전>의 정치성은 봉건 질서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춘향전>이 봉건 체제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고 해서 의미가 격하되는 것은 아니다. <춘향전>의 향유자들은 봉건 질서 안에서 자신들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했으며, 그것은 봉건 질서가 올바르게 작동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양반 계층이나 민중들 모두 이 작품을 향유할 수 있었다. 민중들은 봉건 질서가 올바르게 작동하여 자신들의 앞에 닥친 부조리한 삶이 해소되기를 바랐고, 양반 계층들은 이도령을 자신과 동일시하여 이상적인 양반이 되고자 했다. 즉, <춘향전>은 봉건 질서 안에서 정치적 이상향을 낭만적으로 풀어낸 대중적인 이야기로 규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out why Chunhyangjeon(춘향전), a love story between Lee Doryeong(이도령) and Chunhyang(춘향), could be loved by all classes. As a premise of the discussion, Chunhyangjeon was a pre-modern work, enjoyed in the social order of the time, and it was considered to contain the feudal mindset in that this work was a popular work. To prove this,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main characters in Chunhyangjeon was examined. Lee Doryeong and Byun Hakdo(변학도) appeared as opposing figure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how they used feudal power, and it was the feudal order that dominated their consciousness. Chunhyang, Namwon residents(남원부민), Wolmae(월매), and Bangja(방자) also thought and acted in this feudal order. The logic used by Chunhyang to protect her was taken from the Confucian order, and the Namwon residents also waited for Lee Do-ryeong, who used the feudal order correctly to imprison the unjust Byeon Hakdo. Wolmae’s opportunistic appearance should consider her position as Chunhyang’s mother. The appearance of Bangja mocking Lee Doryeong only works when Lee Doryeong shows the appearance of a warmonger. As such, the characters in Chunhyangjeon acknowledge the feudal order and try to overcome the hardships of life caused by the unreasonable operation of feudal power. Therefore, the political nature of Chunhyangjeon does not deviate from the feudal order. Just because Chunhyangjeon does not reject the feudal system does not mean that its meaning is downgraded. The people who enjoyed Chunhyangjeon tried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in the feudal order, and it was that the feudal order worked properly. Therefore, both the yangban and the people could enjoy this work. The people wanted the feudal order to work properly to resolve the absurd life ahead of them, and yangban wanted to identify Lee Doryeong with themselves to become an ideal aristocrat. In other words, Chunhyangjeon can be defined as a popular story that romanticizes political ideals within the feudal order.

      • 한시에 나타난 적빈(赤貧) 양상

        양훈식(Hoon-shik Yang) 한국교방문화학회 2021 교방문화연구 Vol.1 No.2

        이 논문은 한시에 등장한 적빈(赤貧) 양상을 고찰하여 당대의 식문화와 핍진한 삶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예식(禮食)과 식관(食觀)의 배경을 고찰한 결과 밥을 먹는 일은 예(禮)를 바탕으로 한 정신적 가치의 추구이자 정서를 공유하는 것이며 타인을 배려하는 예식이 강조되어 나타난 것이었다. 이는 의로움과 정신적인 가치에 주안점을 두고 절약하는 삶의 유학적 식관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적빈의 형상화 양상은 자탄과 술회의 감성의 표출로 드러났고 보은과 지향하는 인물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자탄과 술회의 감성 표출에서는 탁물우의(託物寓意) 기법과 가난한 삶을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정서를 반영한 것, 궁핍한 삶을 촉각과 청각의 복합감각으로 제시하여 고단한 정서를 핍진하게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은과 지향하는 인물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 먼저, 보은하는 인물로 한신(韓信)이라는 특정 인물을 용사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지향하는 인물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 자신이 동경하는 인물들이 거론되었다. 이들은 중국의 인물로 자문(子文), 백거이(白居易), 왕교(王喬), 범염(范冉), 맹상(孟嘗), 유고지(庾杲之), 왕유(王維) 등이었다. 이들을 용사하여 적빈한 삶을 극복하고자 하는 인식을 드러낸 것을 알 수 있다. 밥을 먹는 일은 예를 통해 대동(大同)의 세계를 열어가고자 하는 ‘함께 하기’의 일환이며 정신적 가치의 추구뿐만 아니라 자신이 지향하고자 인물과 같아지기를 희망하는 인식의 반영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시 속에 나타난 적빈의 양상을 살펴본 시론적 성격의 논문이라는 점과 한시 연구의 영역을 새롭게 확장한 성과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extending the awareness of the contemporary dietary culture and verisimilar life by contemplating how Chinese poetry bears extreme poverty in it. First of all, traditional dining manner and its standpoint on dining have them that just eating boiled rice is not only pursuing some psychological values and sharing emotions based on traditional courtesy(禮), but also a way of highlighting the dining manner that requires to consider ‘other’ thoughtfully. Furthermore, the embodiment of boiled rice and extreme poverty has the expression of complaining to themselves and relating their thoughts, and the reflection on returning favors and being aware of revered figures. Firstly, those poems, in terms of complaining to oneself and revealing oneself, surely exhibit Tak-mul-u-eui(託物寓意) and attribute their poverty to themselves, and verisimilarly express their own worn-out emotion by presenting their extreme poverty in tactile sensations and auditory sensations combined. Secondly, the poems show they’d cite Hanshin’s poetry, as one of the revered figures, due to returning favor and being aware of the revered. And, those poems also deal with those figures respected by contemporaries based on the reflected recognition for the established. Among their names are a variety of ones, such as Jamun(子文), Baekgeo-i(白居易), Wang-kyo(王喬), Beomyem(范冉), Mang-sang(孟嘗), Yugoji((庾杲之), Wang-yu(王維), and they also exhibit their recognition for surmounting their poverty through those names. Eating boiled rice is considered as an effort of ‘being together’ to start to open ‘Daedong World’ through traditional courtesy and ,therefore, it means not only pursuing psychological values, but also reflecting their own awareness of the hope of resembling the figures that they respected. This study has a surely significant meaning in regard to the poetical orientation dealing with the boiled rice and the aspects extreme poverty, and pursuing to extend the original area of Chinese poetry.

      • 자유학기제를 위한 진주검무의 교육콘텐츠 연구

        양지선(Ji Sean Yang) 한국교방문화학회 2021 교방문화연구 Vol.1 No.2

        자유학기제는 교육부에서 2013년에 시범 운영학교를 지정하여 운영하였고 2016년 전국 중학교에서 실시하게 되었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에서 한 학기를 학생들이 시험부담에서 벗어나 진로탐색 활동과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자신의 꿈과 끼를 키우기 위한 것이다. 2009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추가되어 교육에서 ‘창의’라는 코드가 부각되었지만 실질적인 창의교육이 실현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제시한 것이 바로 ‘자유학기제’이다. 2015년 자유학기제를 실행한 학교의 경우 자유학기제가 추구하는 근본적인 취지와는 다르게 기존의 동아리 활동과 방과 후 활동에서 했던 프로그램을 자유학기제 수업으로 연장한 경우가 많았다. 자유학기제를 통해 잠재된 끼를 계발할 수 있는 교육은 바로 예술교육이며 그 중에서도 국가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체험과 교육이 필요하다. 국가무형문화유산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성, 문화적 원형을 간직하고 있어 교육적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현재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전승은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세대 간에 공감할 수 있는 현장성 있는 문화유산으로써 활용되지는 못했다. 무형문화유산이 과거의 유산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교육콘텐츠를 통해 현재의 유산으로 재창조 될 수 있어야 한다. 연구자는 중학교 교육현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 12호 진주검무를 가르친 경험을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진주검무 교육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designated test operation school in 2013, and as of 2016, this system got to be implemented at the middle schools around the country. The free semester system aims to build up one’s dream and talent through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diverse experience activity away from the burdens of taking an examination for one semester among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With the addi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o the 2009 curriculum, the code ‘Creativity’ was highlighted, but practical creative education wasn’t realized. To overcome such a limit, what was suggested at a national level was the very “Free Semester System.” In case of a school which put the free semester system into practice in 2015, unlik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ystem,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programs, which were conducted in a club activity and after-school activity, were extended as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education which can serve to develop a potential talent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is no other than arts education, and among others, the educational field stands in need of experience and education of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t’s because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provide diverse elements which can be used as educational contents as they cherish our people’s identity, historicity and cultural prototype. At present,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s in good progress, but they have not been properly used as cultural heritages which arouse sympathy between generations, and have the property of realism(presentness). In order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not to be the heritages in the past,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s should be recreated as the present ones through education contents. This researcher is intending to propose Jinju Sword Dance education contents which are suited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in teaching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2, Jinju Sword Dance.

      • 새로 발굴한 『満鮮旅行案内』(1920)에 나타난 평양 기생학교 탐방기

        신현규(Hyun-Gyu Shin) 한국교방문화학회 2021 교방문화연구 Vol.1 No.2

        1920년 발행된 『만선여행안내』는 일제 강점기 다양하게 배포된 여행안내서로 현재 많이 남아 있다. 특히 평양기생학교를 탐방한 내용은 다른 시기에 알려진 탐방기에 비해 간략하고 내용이 추후 재인용된 부분이 많다. 『만선여행안내』에 소개된 기생학교는 1924년 정식 설립되기 이전에 기생 교육 시설이었다. 이처럼 정식 인가가 되지 않았던 1920년 5월의 발간된 탐방기이기에 대략 1919년에 여행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노래서재’의 성격이 강할 것이다. 아마도 평양에 있었던 4개의 기생학교 중에 신창리 23번지 김은혜학교를 본 것이라고 추측된다. 당시 평양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독립적인 기생 기예 교육의 전통이 있어서, 노래서재·가무학교·기생서재·기생학교 등에서 기생에게 음악과 노래를 교육 시키고 있었다. 아직도 소개되지 않은 평양기생학교의 자료가 많다. 현재 1930년대 『삼천리』 잡지에는 2번에 걸쳐 “평양기생학교 인터뷰 방문기”가 남아 있다. 그 외에 ‘평양기생학교 탐방기’는 1910년대, 1920년대, 1940년대에 1, 2편씩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기생의 음악과 춤을 매개로 활동함으로써 단절된 위기에 있었던 여악과 전통 예술을 비롯한 민속 음악을 교육하고 전승한 공로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Manseon Travel Guide』, published in 1920, is a travel guide that was distributed in various way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remains today. In particular, the visit to Pyongyang Gisaeng School is brief compared to the visits known at other times, and many of the contents were later recited. The gisaeng school introduced in 『Manseon Travel Guide』 was a gisaeng educational facility before it was formally established in 1924.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trip was made in about 1919 because it was published in May 1920, which was not officially authorized. Because of this, the character of ‘song study’ will be strong. It is presumed that he saw Kim Eun-hye School, 23 Shinchang-ri, among the four gisaeng schools in Pyongyang. At that time, the Pyongyang region had a tradition of independent gisaeng arts educa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music and song were taught to gisaengs in song study, song and dance school, gisaeng study, and gisaeng schools. There are still many materials about Pyongyang parasitic school that have not been introduced. Currently, in the 『Samchully』 magazine in the 1930s, there are two “Memory of Visit to Pyongyang Gisaeng School”. In addition, ‘Pyeongyang Gisaeng School Exploration’ is known in one or two pieces each in the 1910s, 1920s, and 1940s.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data to confirm the achievements of educating and transmitting folk music, including Yeoak and traditional arts, which were in crisis due to their activities through the music and dance of gisaeng.

      • 점토 재료의 예술적 삶과 도구적 삶

        최명진(Myungjin Choi) 한국교방문화학회 2022 교방문화연구 Vol.2 No.1

        조형 예술의 역할은 재료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그리고 새로운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주체로 바뀌고 있고, 우리는 현재 그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과거 점토(Clay)의 쓰임은 강도가 높고 쓰임새가 용이한 그릇이라는 실용적인 도구로써의 삶이었다. 그리고 195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시기부터 점토 고유의 특성과 작가의 즉흥적인 표현력을 강조하여 제작된 점토 조형물들을 제작하면서부터 예술적 삶이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후 점토 재료를 소재로 하여 실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설치작업과 타 예술분야와의 콜라보레이션 작업 그리고 오늘날 공공예술의 한 분야로 대중이 직접 예술작품제작에 참여하는 커뮤니티 아트까지 확대·전개하였다. 제작자(작가=본인)는 본문에서 오늘날 융복합 시대에 점토 재료가 쓰임을 목적으로 하는 도구적인 삶 이외에 재료의 표현력과 소통능력을 확장하여 현재 인스톨레이션 작업과 콜라보레이션 작업, 커뮤니티 아트 작업 등의 예술적 삶을 재현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e role of plastic arts is changing from material-centered to user-centered and to a subject capable of creating a new culture, and we are currently at the center of that change. The use of clay in the past was a life as a practical tool, a vessel with high strength and easy use. And from the post-modernism period of the 1950s, artistic life began with the production of clay sculptures made by emphas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lay and the artist's spontaneous expressive power. Since the 1980s, it has expanded and expanded to experimental and various forms of installation work using clay materials, collaboration work with other art fields, and community art in which the public directly participates in art production as a field of public art today. In the main text, the creator (the author = himself) expands the expressive power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material in addition to the instrumental life aimed at using clay materials in today’s convergence era, to lead an artistic life such as current installation work, collaboration work, and community art work. We focused on the reproduced works.

      •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교방문화의 술

        이화선(Hwa-Seon Lee) 한국교방문화학회 2023 교방문화연구 Vol.3 No.1

        이 논문은 조선시대 궁중과 교방의 연향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인 술과 그 제조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궁중연향에 나타난 술과 민간전승 양상을 조선시대 고조리서와 고농서류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가운데 궁중연향에 나타난 술로서 정조연간 혜경궁홍씨의 회갑연에 쓰인 ‘소주’를, 교방연향의 상차림에 등장하는 술로서 영남지방의 ‘국화주’와 ‘백주’의 경우를 들어 고찰하였다. 특히 연구 과정에서 민간에서 전승되고 있는 ‘향온주’라는 술이 궁중에서 왕이 내리는 술을 뜻하는 ‘향온’이라는 일반명사에서 유래하였음을 밝혔다. 한편 1910년 전·후에 교방의 예술문화가 기생조합, 권번으로 이어지는 변천 속에서 교방의 음식문화에서 나타난 술의 양태를 경남계열 신문과 잡지를 중심으로 진주지역의 합성청주와 맥주 광고의 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이는 대표적인 교방 예술문화의 중심지로 ‘북은 평양, 남은 진주’라고 불리어온 데 따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alcoholic beverages and its brewing method,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banquets of the royal court and Gyob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the aspects of alcoholic beverages and folklore shown in court banque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 classic cooking book of the Joseon Dynasty.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Soju’, which was used at the 60th birthday party of Hyegyeonggung Hong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as the alcoholic beverage that appeared in the royal banquet, and makgeolli in the Yeongnam region were examined as alcoholic beverage that appeared in the table setting of the Gyobang banquet. In particular,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the alcoholic beverage called ‘Hyangonju’, which has been handed down in the private sector, was derived from the common noun ‘Hyangon’, which means the alcoholic beverage that the king gave in the royal court. On the other hand, before and after 1910, Gyobang's artistic culture led to the ‘Gisaeng association’ and ‘Gwonbeon’, and the aspects of alcohol that appeared in Gyobang's food culture were examined, focusing on Gyeongnam-affiliated newspapers and magazines, with examples of synthetic sake and beer advertisements in the Jinju region. It is a representative center of Gyobang art and culture, and it has been called ‘Pyongyang in the north and Jinju in the s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