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대사의 계보학

        김기봉(Kim Gi-bong)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2

        역사의 3요소는 시간, 공간, 인간이다. 한국사에서 이 삼요소가 무엇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고대사다. 한국 고대사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한국사의 시작은 언제며, 한국사의 영역은 어디고 한국인의 조상은 누구인가가 정해진다. 시간, 공간, 인간의 조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한국 고대사의 구성과 체계가 달라진다. 한국 고대사의 계보학이란 삼국사기 이래의 正史로부터 근대 ‘국사’로 이어지는 한국사학사에서 고대사를 구성하는 방식의 변화에 대한 메타역사적 성찰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탈근대 역사이론은 과거에 대한 역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역사로 서술됨으로써 과거가 존재했던 것으로 인식된다는 전제 아래 ‘과거로서 역사(thehistory-as-past)’가 아니라 ‘역사로서 과거’(the-past-as-history)로의 ‘인식론적 전환(epistemological turn)’을 주장한다. 실제로 한국 민족이라는 정체성이 없었던 시대의 역사까지를 포괄해서 한국고대사를 쓰는 것은 이 같은 ‘인식론적 전환’을 이미 성취한 셈이다. 사실상 ‘국사’라는 역사서술 패러다임도 이 같은 ‘인식론적 전환’에 입각해서 성립했다. 다시 말해 한국이라는 과거가 있어서 한국사라는 ‘국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라는 ‘국사’가 한국이라는 과거를 만들어냈던 것이다. ‘국사’ 패러다임에 입각한 한국 고대사의 체계는 오늘날 다음 두 가지 이유로 수정돼야 한다. 첫째로 이제는 민족사가 아니라 문명 교섭사로 방향전환해야 한다. ‘국사’에 의해 망각된 고대 동아시아 역사세계를 복원하는 동아시아사를 서술하는 것이 문명 교섭사의 출발점이다. 둘째로 한국사회가 앞으로 점점 더 다문화사회로 변하고 있다면, 이제 한국인이란 누구인가의 정체성을 단일민족과 같은 혈통을 코드로 해서가 아니라 인류 보편적 가치에 입각해서 재정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컨대 弘益人間과 같은 민족 고유의 가치를 인류 보편적 가치로 승화시킬 수 있는 한국사 서술이 나와야 한다. 이 같은 新韓國人 정체성 형성 프로젝트의 시작에 한국 고대사가 있다. 나는 한국 고대사학자들이 어떤 역사를 쓰느냐는 바로 우리의 미래가 걸린 문제라고 생각한다. The three elements of history are time, space and human beings. In Korean history, it is especially ancient history which can define these three elements. The questions about when Korean history starts, what the space of Korean history is, and who the ancestors of Koreans are, can be answered based upon how one writes ancient Korean history. The composition and system of ancient Korean history depends on how time, space and human beings are put together. The genealogy of ancient Korean history is the meta-historical reflection upon the change in reconstructing ancient history in Korean historiography from ‘the canonical history(正史)’ since the “Three Kingdom's history” to the “National History(國史).” Presuming that history is not written about the past, but instead the past is perceived to have existed only by being written as history, postmodern history theory suggests an “epistemological turn” from “the-history-as-past” to “the-past-as-history.” This art of epistemological turn is already achieved when the Korean ancient history includes even the periods in which the identity as Korean nation was not formed yet. Actually, the paradigm of “National History” has set its foundation upon this epistemological turn. In other words, writing the national history of Korea was possible no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past of Korea, but instead, because the national history of Korea created the past of Korea. Now, the system of ancient Korean history needs to be corrected for two reasons. Firstly, we should turn around towards civilizational interchange history(=transfer history) from National History. It can begin with restoring ancient East-Asian history which was erased by National History. Secondly, Koreans need to redefine the Korean identity not by the code of blood, but based upon universal human value, in this time that Korean society is more and more becoming multi-cultural. This redefinition demands a historiography which is able to transform such a national value as “Hongik human being” into a universal human value. Ancient Korean history is standing in the first row of this project to form a new Korean identity. Our future depends on what kind of history that the ancient Korean historians write.

      • KCI등재

        一溪 金哲埈

        李泳鎬(Lee Young-ho)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3

        해방 후 한국사학계는 일제잔재를 청산하고 새로운 역사학을 건설하려는 의지로 충만하였다. “국내 역사학의 새로운 건설”을 기치로 역사학회가 창립되었고, 김철준은 그 주동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는 일찍부터 문헌고증학적 역사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대사연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는 특히 인류학적 지식을 원용하여 한국고대사의 문제들을 해명하려 시도하였다. 그가 한국고대사연구에 남긴 최대의 업적은 한국고대사의 체계화였다. 1964년에 저술한 「한국고대국가발달사」는 해방 후 새로운 시각으로 쓴 한국 고대사 개설서였다. 동시에 해방 후 첫 세대 학자가 쓴 한국고대사 개설서의 시초였다. 이는 일제 식민주의 사관에서 벗어나 우리나라 고대국가의 형성과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기준을 세웠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그의 주요 연구들은 충분한 실증과 분석에 의한 결과가 아니었다. 직관적인 해석과 인류학 이론에 바탕을 둔 가설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방법의 참신성에도 불구하고 영향력이 오래 미치지 못하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의 주장들은 연구자들의 비판에 직면하였다. 삶의 후반기 그는 대외적인 활동에 깊이 관여하였고, 학회 활동과는 거리가 멀어져 있었다. 해방 후 월남하여 거의 평생을 독신으로 지낸 그는 한 편의 드라마 같은 삶을 살다간 고독한 역사가였다. 그는 자신의 이력에 관한 글을 남기지 않았고, 가족사는 잘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한국고대사학의 개척기, 그는 연구의 지평을 넓히려 애썼던 시대를 앞서간 선각자였다. 해방 후 한국고대사학계가 이룬 많은 연구 성과의 결실은 그의 문제 제기에서 비롯된 것이 적지 않았다. 우리는 이러한 선학이 있음으로 해서 역사학의 방법론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한국고대사의 체계화에 대한 기준을 세울 수 있었다. 또한 실증에 앞서 선험적 이론에 입각한 가설적인 연구는 역사의 실제와 거리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 learned circles of history were full of willingness to liquidate vestiges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o establish new historical study. As a result, the Korean Historical Association was formed under the banner of "new establishment of Korean historical study," and Kim Chol-choon took the lead of it. From early times on, Kim sought ways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study of history based on bibliographical study and extend its scope. In particular, he tried to explicate difficult problems in ancient Korean history by using the anthropological knowledge and methodology. The greatest academic achievement that Kim left was the systematizat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His work entitled History of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States, appeared in 1964, was an outline of ancient Korean history, which was written in a new viewpoint after liberation. It was also the first work of the sort written by the first-generation Korean historian after liberation. The book is important, since it established a standard to understand formation and growth of Korea’s ancient states, breaking from the existing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But Kim’s major works were not a product of sufficient corroborative evidence and analyses. Since they appeared as hypotheses based on intuitive interpretations and anthropological theories, despite methodological novelty their influence was not sustaining. As time went by, his contentions were subject to criticism on the part of other scholars. In the latter part of his life, he deeply engaged in non-scholastic activities, and therefore he was alienated from the academic world. Kim Chol-choon, who moved south as a North Korean refugee after liberation and remained single almost for life, was a lonely historian, leading a dramatic life. He did not leave any writing on his own personal record, and therefore his family history is clearly brought to light. He was obviously a pioneer who tried to broaden the scope of Korean history in the initial stage of the study of ancient Korean history. In fact, a great deal of achievements in ancient Korean history realized after liberation have owed much to his raising of questions. The existence of pioneer scholars such as Kim Chol-choon leads us to broaden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establish a standard to systematize ancient Korean history. Also, it is obvious that hypothetical studies based on a priori theories rather than actual proofs do not substantiate actual historical facts.

      • KCI등재

        한국고대사의 대중화와 대중문화화

        최광식(Choe, Kwang-Shik)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정부는 2015년 국사교과서의 국정화 방안을 발표하고, 2018년부터 교육 현장에서 역사교육 내용의 획일화된 편찬을 추진하려고 하고 있다. 한편 유사역사학자들 중에는『환단고기』 등 위서를 원사료로 활용하여 한국고대사의 위대함을 보여 준다며 대중들의 역사인식을 혼란시키고 있다. 한국고대사 연구자들은 한국고대사회의 모습을 제대로 복원하려는 노력과 함께 한국사 인식을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하는 역사인식을 학생들과 대중들에게 보여줄 책임이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 고대사 사료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구축하고, 고고학 자료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하여 고대사와 고고학 연구자들이 보다 풍부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고대사 교육이 학교에서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시각의 ‘대안 교과서’나 ‘개설서’ 및 ‘지도’들을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사례처럼 많은 박물관들이 한국사의 체계적 인식을 도울 수 있는 통사적 전시를 추진하도록 하는데 역사학자들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대중들이 한국고대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 기법을 도입하여 한국고대사에 대해 흥미를 갖도록 하는 저서들을 집필 출판하는데 참여하여 한국고대사의 대중화를 이루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대중들이 디지털과 모바일 시대에 영화나 드라마 등 문화콘텐츠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문화콘텐츠 종사자들과 소통과 협력을 통해 한국고대사의 연구결과물을 문화콘텐츠화하여 대중문화를 질적으로 발전시킨다면 ‘한류’를 보다 높은 차원으로 제고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In 2015, the government announced a plan to standardize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attempts unified publication of the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 in education field from 2018. Meanwhile, some pseudo-historians, using Hwantankogi (桓檀古記) as a primary source, is disturbing history awareness of the public, saying they are to show ‘greatness’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The Korean history scholars need to put more effort in rebuilding the aspects of the ancient Korean society, and have a responsibility to introduce the public and students the historical awareness to interpret the Korean history in various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per database for historical sources related to the ancient Korea, while providing ample sources for archaeologists through an archaeological source database. Plus, publishing ‘Alternative Textbooks’, ‘general history books’ and ‘maps’ written in various perspectives are needed, in order to set a proper education system of ancient Korean history in schools. Additionally, Historians ar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carrying forward museums’ exhibition for the general history of Korea, lik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will help methodical understanding in the Korean history. It is also required for historians to join in publishing books that will draw the public’s attention to the ancient Korean history, using ‘story-telling’ metho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supporting the popularization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Considering the public’s high interest in cultural contents such as movies and TV dramas in this digital and mobile era, it is also important to communicate and cooperative with the practicians in the cultural contents business to convert research achievements to cultural contents. Through this cooperation, the historians will have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ublic culture, which will ultimately take the ‘Korean Wave’ to the next level.

      • KCI등재

        학교에서의 한국고대사 교육 현황과 교과서 서술의 올바른 방향

        송호정(Song, ho-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학교 현장에서의 한국고대사 교육 문제를 전문 연구자와 교사, 그리고 학생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연구자의 연구 성과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잘 반영되어 학생들에게 교육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전문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는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논문으로 그치고 교과서나 개설서에 잘 반영되지 않고 있다. 한국 고대사 서술은 지나치게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정리되어 있다. 역사의 민족주의적 서술은 우리 역사를 중심에 놓고 이해하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결함과 위험 요소도 가지고 있다. 즉 우리 민족체에 대한 충성 의무를 앞세움으로써 내적으로는 개인이나 소수 집단에 대한 억압 이데올로기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배타적 국수주의로 발전할 위험성도 있다. 한편, 한국 고대사 내용은 증거가 부족하고 다양한 설이 많은데, 아이들에게 다양한 설에 대해 이야기해주거나 생각해보게 하지 않고 많은 학자들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설을 사실인 것으로 가르친다. 현행 교과서 고대사 서술에는 많은 학자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설을 하나의 사실처럼 서술해놓은 부분이 많다. 이에 대해 다양한 설을 제시해주고 학생들이 생각해보게끔 하는 부분이 많았으면 좋겠다. 많은 교사들이 교과서 속 한국 고대사 서술과 역사교육 실천 과정에서 여러 문제의식을 갖게 된 것은 그간 학계에서 연구되었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교과서 서술에 반영되지 않거나 늦게 반영된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학교에서의 고대사교육 실천과 관련해 공통의 견해를 마련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미 학계에서 합의된 내용이나 정리된 내용들을 교과서나 개설서에 반영토록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하다. 나아가 연구 분야 및 방법론상의 다양화를 모색하는 일 역시 필요하다. 예를 들면 문화사나 일상 생활사에 대한 연구 성과를 교과서에 반영하기 위한 교과서 기술의 방향이나 맥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ddressed the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on ancient Korean history from the viewpoints of historians, history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 was that the findings of historians was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r the textbook and also was not well passed to students. Historians’ findings are mostly ended in their exclusive contents and are scarcely included in textbooks or compendiums. Ancient Korean history tends to be described from a nationalistic perspective. Nationalistic description has the merit that the historic view is shaped centered on the nation, but at the same time, it has shortcomings and risk factors. Specifically, it may push an ethnic community to be loyal to their country, but the loyalty to their country may be an ideology to oppress individuals or minority groups. Moreover, it can lead to exclusive nationalism. For ancient Korean history, there are a variety of views rather than historical evidences. Nevertheless, students have little opportunity for listening to such views and pondering of them. Instead, they are just taught the views regarded by many historians as reasonable. In the current textbooks of ancient Korean history, there are many cases where historians’ views are described as if they were true. Thus, students need to have more chances to learn various views and ponder of them. Many teachers are aware of issues about ancient Korean history in textbooks and practical education on it. The reason is that lots of historical findings have not been included in textbooks, or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include them in textbooks. Accordingly, historians need to find common ground with one another regarding practical education on ancient Korean history. In particular, it is more important and urgent to include consensual or definitive contents in textbooks or compendium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seek a way to diversify the fields and methodologies of historical studies. For instance, descriptive or contextual reconstitution is expected to enable the textbook to cover the findings of cultural history and life history.

      • KCI등재

        초등 사회교과서 국사영역의 한국고대사 서술 검토

        임기환(Lim Ki Hwan)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4

        본 연구는 2007년도에 반포된 개정교육과정에 의거하여 편찬된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교과서의 한국 고대 역사와 관련된 서술 및 교육과정상의 문제점을 검토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초등 역사 교과서상을 제시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행 교과서를 좀더 완성도 높은 방향으로 보완하려는 목적에서 마련하였다. 2007년도 개정교육과정의 초등 한국사 영역은 기본적으로 통사(通史)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고대사 영역도 마찬가지로 선사시대부터 통일신라와 발해시대까지 통사 구성을 하도록 되어 있다. 내용상으로는 초등 역사교육의 수준에 맞추어 각 시대별로 생활사 중심의 서술, 인물 중심의 역사 이해, 유물과 유적을 통한 문화상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도록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선사, 고조선, 삼국, 통일신라와 발해라는 각 시대별로 생활상과 인물의 활동을 파악하도록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각 시대를 단계별로 설정할 수 있는 정치사의 기술이 기본이 되어야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한국사 교육에서 초등과 중등과정이 내용상 반복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서술 내용에 대한 검토는 주로 학술 연구성과와 내용이 다른 오류, 역사 인식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서술 내용, 문화 관련 서술의 문제점, 지도(地圖)의 오류, 연표(年表)의 오류, 사진 자료 제시의 타당성 등에 대한 검토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동안 한국사학계나 역사교육학계에서는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였다. 앞으로 초등역사교육을 활성화하고 역사교과서를 올바르게 편찬하기 위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학계의 노력이 더 많이 필요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reviewed for the potential problems the current elementary history curriculum and the account relevant to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5th-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a compilation product of the Reform National Curriculum put into effect since 200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not a model textbook for an elementary history course, but some complements o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current elementary history curriculum revised following the 2007 reform offers a structure encompassing the entire periods in Korean history. Similarly, the section on ancient history covers from a prehistoric period to Unified Silla to Balhae. For content, adjusted to an elementary level, the curriculum consists of, for each period, life history-oriented accounts, an understanding of history through historical figures and of culture through historical artifacts and sites. However, such content composition demands an understanding of life history and historical figures’ achievements, fundamentally, by historical period. It, thus, requires a prerequisite account of political history that can appropriately establish the stages of each period. As a result, there are some problematic content overlap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history courses. The review on the content focused on the following: discrepancies from widelyaccepted research findings, confusing or misleading accounts potentially incurring historical misperceptions, problematic descriptions regarding culture, errors in maps and chronological tables, and the validity of photographic data presented.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in Korea have so far shown little interest in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Efforts fo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and the relevant textbooks with better validity and accuracy seem warranted.

      • KCI등재

        체험형 역사콘텐츠와 한국고대사

        최희수(Choi, Hee-Soo)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최근 한국고대사와 관련된 일반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좋은 일이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우려스럽기도 한 일이다. 왜냐하면 그 관심이 역사학계의 연구성과를 바르게 받아들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학계가 대중들과 소통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한국고대사 학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 볼 때 매우 바람직하다. 대중과의 소통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은 콘텐츠이다. 그 가운데에서 대중들의 역사인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역사콘텐츠임은 물론이다. 역사콘텐츠는 역사를 소재로 하거나, 역사를 주제로 삼은 콘텐츠를 의미한다. 역사콘텐츠는 콘텐츠가 유행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부터 급격히 발달해 왔다. 역사드라마, 역사영화 등이 대중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학계에서는 역사콘텐츠들이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을 토로해 왔다. 따라서 역사학과 콘텐츠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절실하다. 역사콘텐츠는 우선 역사지식을 집적하는데서 비롯되었다. 민간주도의 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가 선행되었고, 뒤이어 국가주도의 지식정보 집적 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일반대중들이 접근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갖고 있었다. 그 때문에 새롭게 대중들에게 다가설수 있는 콘텐츠들이 기획되고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일반대중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서비스를 개선하고, 콘텐츠를 다시 가공하는 사업들이 진행된 것이다. 역사학의 목표는 대중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시켜서 올바른 역사인식을 하게 만드는데 있다. 그 가운데 콘텐츠는 역사적 상상력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사료상의 공백으로 인해 생기는 역사상의 빈 공간을 역사적 상상력으로 채울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역사적 상상력에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는 ICT와 결합된 체험형 콘텐츠이다. 대표적인 기술이 가상현실, 증강현실이다. 그것은 인간의 체험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우리가 접할 수 없었던 과거시대의 역사상을 재연하고, 감정이입을 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같은 방식을 디지털세계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메타버스는 증강현실과 가상세계, 거울세계, 라이프로깅의 4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을 기반으로 체험콘텐츠가 제작되면 과거 역사상에 대한 대중들의 구체적 경험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역사적 사고력을 제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사학계에서 ICT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콘텐츠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역사콘텐츠에 대한 비판도 역사적 사고력에 필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그 기준을 정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역사학은 학계의 성과를 콘텐츠에 반영하고, 콘텐츠는 대중들의 역사적 상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the general public has increased interest related to ancient history. On the one hand it is good, but, on the other hand, is a worried thing. Because it is not accepted properly research the history of academia. So it is a very critical one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history of academia. Such attempts that scholars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various ways are highly desirable. Content is exercised enormous influence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Of course, it is an historical content, as well as being profoundly affect public perceptions of history. Historical content means content include history as a material, or history as a subject. Historical content has been developed rapidly since the 1990s. Historical dramas, historical movie, it started to exert greater influence on the public. However, academics have complained these contents failed to reflect historical facts faithfu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win-win between the content and history. Historical contents were first derived from the accumul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he private sector was leading database of historical documents, subsequently it was pursued state-led projects accumu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there were, despite the many achievements, has a lot of limitation in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Therefore, content that appeal to the masses began to have a new development. It was carried out to improve and re-processed content services to facilitate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 goal of history is making the proper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masses by cultivating historical thinking. Among them has the content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imagination. The empty space in the history caused by space of the historical documents that will need to fill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 Conte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historical imagination is combined with experimetial content with ICT. Typical technology i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It is allows us to reproduce the history of a bygone era could not access, and empathy by expanding the area of human experience. Such a method is described the concept of meta-bus in the digital world. Metaverse is divided into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worlds, mirror world, life logging area. If experimetial these product based on these area, it can implement detail experience of the public about the history of the past, also can enhance the historical thinking. Therefore, academic history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historical content produc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ICT technology. In addition, the history academics shall define the criteria by considering the elements needed for historical thinking about criticism of the historical content. Thereby, the academic history refl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ntent, and the content sh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historical imagination of the public.

      • KCI등재

        고대사연구 60년의 동향과 과제

        문창로 한국고대사학회 200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0

        This is a study on a trend and a task of ancient Korean history studies centering around its results of value for the tim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o Korea. In 1950's, there were groped for new theme and methodology in the part of ancient history as positive history was established. Granting that it was evaluated simply, the attempts like this became the basis to test subjective recognition of Korean ancient history thereafter. That is to say, its main products in 1960's wiped out distorted history of ancient Korea by colonial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also meant the opportunity to extend the sphere of ancient history studies, to embody the subject for inquiry from then on. In 1970's, research activities of this part could be lively with the discussion about an issue, the formation of early states in ancient Korea. And it made a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process of ancient Korean society deepen. Since then, it was possible to systematize ancient Korean history with increase of learned men and variety themes, deepening of research contents. For the last 60 year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re has been lots of efforts constantly in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ancient history. It was to conquer colonial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to systematize ancient Korean history. As a result, it was rapidly progressed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with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activities throughout increase of learned men, excavation and extension of related materials, groping of new methodologies, a diversity approach to the matters etc. This is totally based on exertions of First-generation, that laid the foundations for Korean ancient history studies, and concrete products accumulated by Second, Third-generation, that succeeded to the former. 본고는 지난 60년 동안 이룩한 한국고대사 연구의 주요성과를 살펴서 그 동향과 과제를 정리한 글이다 . 光復과 함께 전개된 좌·우 대립의 정국과 분단의 고착화 과정에서 일제의 植民史學을 청산하고 고대사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기는 쉽지 않았다. 1950년대에 實證的 연구풍토가 정착되는 가운데 새로운 주제와 방법론의 모색은 비록 소박한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이후 한국고대사의 주체적인 인식을 모색하는 토대가 되었다. 곧 1960년대에 이루어진 연구성과는 식민사학에 의해 왜곡된 한국고대의 歷史像을 불식시켰으며, 이후 고대사연구의 범위를 확대하고 연구주제를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1970년대에 古代國家의 形成問題가 제기되면서 연구활동을 촉진하였고, 고대사회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다. 또한 고대의 사회구조 및 구성단위 문제와 함께, 小國 間의 연맹과 통합과정을 거쳐 성립한 고대국가의 支配體制가 논의되면서 삼국의 지배세력 동향, 중앙 및 지방 통치체제의 정비, 군사조직의 운영, 民에 대한 편제방식 등에 접근하여 고대사회에 대한 구조적인 인식이 가능하였다. 1980년대 이후 연구자의 증가, 다양한 주제와 연구내용의 심화로 고대사의 체계적 구성이 더욱 튼실해졌다. 실제로 民族의 형성문제와 함께 檀君 및 古朝鮮史와 관련된 구체적인 논의가 있었고, 신라와 백제사에서 축적된 연구성과가 가야와 고구려사 연구로 자연스럽게 확장되었다. 渤海 역시 귀속문제에서 점차 발해사 자체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으며, 이밖에 樂浪·帶方郡의 재검토, 夫餘史의 전개과정, 三韓의 성장과 대외관계, 영산강유역의 甕棺古墳과 그 축조세력을 둘러싼 논의 등을 통해 고대사의 지평을 넓혀갔다. 1990년대로 접어들어 祭儀 및 建國神話, 고대 女性史와 관련된 문제, 농업생산 및 交易에 관한 접근 등도 다양한 연구주제의 모색에 일조하였다. 나아가 '고대 동아시아와 백제', '古代 韓·中關係史의 새로운 조명', '동아시아에서의 낙랑' 등의 학술회의를 통해 고대 동아시아의 정치적 국제질서나 문화적 교류에 대한 이해를 더하였다. 이와 함께 고대와 중세의 시대구분 문제, 三國의 遷都 및 都城制, 불교사상사 연구의 심화, 촌락문서 및 통일신라의 토지제도에 대한 재검토, 장보고와 청해진을 중심으로 한 해상활동, 나말여초 豪族의 동향과 후삼국의 성립, 필사본 「花郞世紀」를 둘러싼 진위논쟁 등의 문제도 부각되었다. 한편 考古學的 成果와 새로운 金石文의 發掘은 고대사연구에 커다란 활력소가 되었다. 실제로 百濟本紀의 신빙성 확인, 백제문화사의 이해증진, 삼국의 중앙정치 및 점령지 통치방식, 민의 존재양태, 고구려-신라의 대외관계, 신라의 정치·경제·제도사 정리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처럼 광복이후 60년 동안 고대사학계는 식민사학의 폐해를 극복하고 고대사의 체계화를 위해 부단히 노력한 결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연구주제의 다양한 접근, 관련자료의 발굴 및 확대 등을 통해서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연구성과가 크게 진전하였다. 이는 전적으로 어려운 여건을 딛고 고대사연구의 디딤돌을 마련했던 1세대 연구자들, 그리고 이들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2·3세대 연구자들의 노력과 구체적인 성과물의 축적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고대사 연구와 공동체 이론

        이현혜(Yi, Hyun-Hae)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이 글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활용된 공동체 이론의 연구사를 간단히 살펴 보고 한국 고대사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공동체 이론의 효용성을 검토한 것이다. 공동체라는 용어는 19세기 사회학자나 경제사학자들이 사용한 Gemeinschaft(공동사회) 또는 Gemeinde (공동체)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 개념이 다양하고 적용 범위도 크게 확대되어 공동체(Community)의 범주 안에 가족, 친족, 농촌 마을을 넘어 거대 도시의 지역사회, 민족 혹은 국가와 같이 다양한 대상을 포괄한다. 현재 대부분의 사회학자들이 공동체의 핵심 요소로 꼽는 것은 지리적 공간, 공동의 유대, 사회적 상호 작용 등이다. 1950년대 이후 한국사 연구에 활용된 공동체 개념은 두 갈래이다. 하나는 칼 막스 계열의 경제사학이고 다른 하나는 서구 사회학의 공동체 개념이다. 이들 연구의 중요 논쟁점은 원시공동체 해체 시기와 그 이후의 사회의 편제단위로 등장하는 공동체의 성격에 대한 것으로 세대공동체, 친족공동체, 농촌공동체, 지역공동체, 정신공동체 등 연구자에 따라 용어와 기준이 다양하다. 토지소유관계의 변화라는 기준만으로는 한국고대사의 각 시기별 정치사회적 발전단계와 공동체의 변화를 검토하는 데는 한계가 많다. 혈연이나 물리적 힘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념적 요소 내지는 동일한 정치체의 구성원이라는 유대 의식 등 정신적인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사회학자들은 농촌공동체의 중요 요소로 사회적 상호 작용, 지리적 영역, 자족성, 공동의 삶, 동류 의식, 목표, 규범, 수단의 공동 소유 등 다양한 측면을 주목한다. 이러한 다양한 접근 방법론에도 관심을 가진다면 지역별, 시기별로 다양한 성격의 공동체의 존재가 부각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동체라고 하는 개념 틀은 한국고대사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ty theory of ancient Korean history as a research methodology by surveying the history of community theories of ancient Korean history. The term “community” originated from “Gemeinschaft” and “Gemeinde”, which were terminology used by 19th century sociologists and economic historians. However, the concept of community has expanded greatly in terms of its usage, and now it not only incorporates families, relatives, and agrarian communities, but also covers areas such as communities within mega cities and even entire nations as a whole. In present times, most sociologists consider geographical area, communal bonding, social interactions as the core in defining communities. Since the 1950s, the concept of community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branches. One of the two branches was drawn from the study of Karl Marx’s economic history, the other was drawn from the concept of community from Western sociological studies. The main discussion points in these studies are the historical timeline of when primitive communities broke up, and how these communities shaped into the formation of units of society. Thus, the term and standards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varies by scholars. These standards include concepts such as generation communities, kinship communities, local communities, spiritual communities, and so on. There is great variation depending on who conducted the study. The standard we use, the change in land ownership, has numerous limitations in studying the changes in communities and socio-political development by specific time periods. Therefore, we also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deological factors and sense of community as a common polity, rather than focusing simply on physical factors and kinship. Sociologists pay much attention and focus on diverse aspects such as social interactions, geographical boundaries, self-sufficiency, communal life, sense of community, and cooperative ownership of goals, regulations, and instruments as a crucial aspect of agrarian communities. If we were to put more emphasis on taking various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in studying communities, we will be able to uncover a more diverse range of communit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periods of time. It is then that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e concept of community as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in studying ancient Korean history.

      • 관학파가 만든 '민족사'에서 우리를 만든 '한국사'로

        이종욱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09 한국고대사탐구 Vol.1 No.-

        There is a reason that we founded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Korean History, publishing our academic journal.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national school historians (Gwanhakp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ost-colonization historians invented "the national history" arguing for the legitimacy of Tan-gun, based on nationalism and positivism, since the Liberation of 1945. Furthermore, they completely denied the initial records of Samguksagi,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erasing the substantial portion of Korean history. In particular, Son Jin-tae, who describes Tan-gun Chosun as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 history, praised the history of Goguryo with the glory of the national history, denouncing the history of Shilla which unified the Korean peninsula in alliance with T'ang as the disgrace of the national history. This kind of historiography based on Korean nationalism has long been continued without any criticism, and even the Korean official textbook has followed this tendency. The 'national history' fabricated by the post-colonization historians in the name of positivism, however, is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history. In Gwanhakpa's explanation, 'Minjok' does not mean a nation, but rather a 'race' - they fell into an error to categorize all races which have existed in Korean history as 'Korean nation.' If a Korean wants to trace his/her origin, he/she should chase the history of countries which have left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family names and cultural heritages to the Korean society. In this context, we can find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from the Shilla at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We should trace the origin of Korea and Korean people, therefore, in the history of Shilla ascending to the reign of King Naemul, which has been forced to remain silent by the national history, not in the history of the Kochosun - Goguryo separated from the Korean history. Now we propose a brand new research model, "Model 3": we aim to reconstruct the early part of Samguksagi arguing for its authenticity, beyond the scope of the national history. 우리들이 한국고대사탐구학회를 만들어 학술발표회를 갖고 『한국고대사탐구』라는 학술지를 발간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일제시대 관학파 사학자들의 연구방법론을 계승한 후식민사학자들은 해방 후 '민족'과 '실증'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단군을 정통으로 하는 '민족사'를 발명해냈다. 이와 더불어 그들은 『삼국사기』 초기기록을 철저히 부정함으로써 우리나라 역사의 상당 부분을 말살하기까지 하였다. 특히 단군조선을 민족사의 출발점으로 규정한 손진태는 고구려의 역사를 민족사의 영광으로 칭송하였고 당나라를 끌어들여 삼국을 통일한 신라의 역사를 민족사의 수치로 여겼다. 이러한 민족사 서술 경향은 별다른 비판 없이 현행 국사교과서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다. 그러나 관학파 후식민사학자들이 실증이라는 이름으로 의도적으로 조작해낸 민족사는 '한국사'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며 한국사는 민족사와는 별개로 인식되어야 한다. 관학파가 말하는 민족이란 '민족공조'와는 무관하며 사실상 '種族'에 가까운 개념이다. 그들은 nation 개념이 도입되기 이전 우리 역사상 존재했던 모든 종족을 민족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오류를 범하였다. 현대의 한국인이 자신의 근원을 찾고자 한다면 한국인에게 가장 많은 성씨와 문회유산을 물려준 역사 속 국가들을 추적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사는 마땅히 조선→고려→대신라→삼국시대 신라로 거슬러 올라가 역사를 시작한다는 점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ㆍ한국인의 오리진은 한국사와 단절된 고조선ㆍ고구려에 있는 것이 아니라 민족사가 철저히 침묵시켜왔던 내물왕 이전의 신라사에 있다. 이제부터 민족사의 한계를 뛰어넘어, 『삼국사기』 내물왕 이전의 역사를 인정하고 재구성하려는 〈모델 3〉의 세상을 활짝 열어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 KCI등재

        혁거세신화를 통해 본 서라벌소국의 형성

        이종욱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4 No.-

        It could be inferred the clan, which progenitor was Hyeok’geo’se, has flourished in Korea, since there are many Koreans who has family name ‘Park’. Therefore, this article will be a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present of Korea. The origin of Korean identities are not only consisted with clan which progenitor was Hyeok’geo’se. According to Silla National Origin Myth, there are clans which progenitor were Six Chonjang, Talhae and Alji. There were titles about these family clans that later generation had designated. The clan that produced King of Silla was called Jongseong or Chungangseong by later generation. The clans, which progenitors were Seorabol Six Chonjang and whom appointed Hyeok’geo’se as their leader, called their family name as Youkbuseong or Toseong. However,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had not focused on Jongseong and Youkbuseong which progenitor was Hyeok’geo’se as well as the presence of other clans. This research tendency means to conceal Korean identity. There are many Korean family names or family clans which progenitor was from Silla, not from Koguryo or Baekje, and it could be inferred that Korean origins are related with Silla. Above all, Early Silla History including Silla National Origin Myth contains starting point of Korean origins. As it was inferred in previous paragraph, Silla origins which indicated starting point of Korean is related with Silla founded by Hyeok’geo’se. However, Contemporary Korean History neglects Hyeok’geo’se. Contemporary Korean History does not acknowledge Hyeok’geo’se and his clan with family name Park. This trend of argument, which had started by Professor Tsuda Sōkichi and was inherited to Professor Lee Byung-Do, contains critical problems. Real Korean History is different with what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has created. Silla people remembered Hyeok’geo’se who had founded Seorabol community that were developed into Silla. Similar with other countries, Kings of Silla secured their legitimacy by Silla National Origin Myth or tales of progenitors, gained authority as king by tracing genealogy, and assure their power or dignity by tomb of their progenitor or ancestrial rites in palace. The descendent of Hyeok’geo’se had secured their authority by ancestrial rites on their progenitor, Hyeok’geo’se, and existence of Royal Tomb of Hyeok’geo’se. Therefore, existence of Hyeok’geo’se was sacred to Silla people from Early Silla History. Professor Lee Byung-Do’s question related to existence of the Silla Kings genealogy proves that he did not understand history of Silla. Victimized Korean history by Korean Ethnic Extermination Policy during Imperial Japan, scarred history of Silla, and erased Hyeok’geo’se should be restored, and Korean origin research should be restarted. This article will be the starting point. 현재 박씨 성을 가진 한국인이 많다는 사실로 보아 결국은 혁거세(赫居世)를 시조로 하는 씨족(氏族)이 현재 한국인의 다수가 될 정도로 번성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현재 한국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에는 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세력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신라 건국신화에 나오는 6촌장을 시조로 하는 씨족과 탈해를 시보로 하는 씨족, 알지를 시조로 하는 씨족 등이 있다. 이들에 대해 후대 사람들이 칭하던 명칭이 있다. 신라의 왕을 배출했던 씨족은 후대에 종성(宗姓) 또는 천강성(天降姓)이라 불렀다. 그런가 하면 혁거세를 추대했다고 하는 서라벌6촌장을 시조로 하는 씨족이 가졌던 성을 육부성(六部姓) 또는 토성(土姓)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근현대 한국사학은 종성과 육부성 중 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박씨족 만이 아니라, 다른 씨족들의 존재를 주목하지 않았다.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을 은폐해온 것이다. 고구려나 백제인들이 아니라 신라인들을 시조로 하는 성이나 본관을 가진 한국인이 많다는 사실은 신라가 한국인의 오리진이라는 것을 뜻한다. 그 중에서도 신라 건국신화를 포함해 신라 초기 역사가 바로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이 된다. 이 같이 신라 오리진의 한국인을 만든 출발점은 혁거세가 건국한 신라에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현대 한국사학은 혁거세를 푸대접해왔다. 현대 한국사학은 혁거세 그리고 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박씨 성을 가진 씨족의 존재도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쓰다 소키치에서 시작했고 이병도 선생이 이어받은 이 같은 주장은 본질적인 오류를 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역사는 근현대 한국사학이 만들어낸 것과 다른 것이었다. 신라의 모체가 된 서라벌소국을 세운 혁거세를 신라인들은 처음부터 기억했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신라의 왕들도 건국신화나 시조에 대한 설화를 통해 정통성을 얻고, 계보파악을 통해 왕의 지위의 정당성을 얻었고, 시조묘나 신궁의 제사를 통해 왕의 권위나 권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혁거세의 후손들은 혁거세를 모신 시조묘 제사와 혁거세왕릉의 존재를 통해 그들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혁거세는 신라 초기부터 신라인들의 기억 속에서 지워질 수 없는 신성한 존재였다. 이병도 선생이 신라 왕의 세계(世系)의 확실성에 대해 의문을 가진 자체가 신라의 역사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지금까지 제국 일본의 한국인 폐멸정책을 위해 희생된 한국사, 상처받은 신라의 역사, 그렇게 지워진 혁거세를 살려내고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을 되찾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