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생태적 가치 인식과 생태주의 문화콘텐츠 구상

        김진형,류웅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9

        Ecological nature was independently established in cultural content before the industrial society. Cultural contents started to be distributed as products in the industrial society, and since then there has been the coexistence of ecological and anti-ecological nature. Despite this change, community-based festivals and performances as ecological cultural contents encompassing both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industrial society are still transmitted in some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in today's Korea. Based on this aspect, ecological cultural contents can be defined as cultural contents that is practiced in various ways for symbiotic relations between men, man and impersonal being, and further beings surrounding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man and nature. A basic plan for ecological cultural contents would pursue the three following directions: first, establishing a symbiotic system of cultural contents to create synergic effects among elements; second, building a distribution structure of virtuous cycle for cultural contents by reinforcing the productive abilities of consumers and users; and finally, expanding the base of cultural contents to exercise ecological nature. The perception and development of this ecological cultural contents will propose practical acts to help the human society move forward to an environment-friendly future in today's situations where the Earth's self-purification mechanism has collapsed. 1산업사회 이전에는 문화콘텐츠에 생태성이 독자적으로 형성되었다. 그런데 산업사회 이후부터 문화콘텐츠가 상품으로 유통되면서 생태성과 반생태성이 공존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에는 농어촌 일부지역에서 산업사회의 전과 후를 관통하는 생태적 문화콘텐츠인 공동체 기반의 축제와 공연이 여전히 전승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양상에 입각할 때 생태주의 문화콘텐츠란, 인간과 자연은 물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인간외적 존재, 나아가 문화콘텐츠를 둘러싼 존재와 존재 간의 공생관계 형성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되는 문화콘텐츠라 할 수 있다. 생태주의 문화콘텐츠에 관한 기본구상을 집약하면 첫째, 요소 간 시너지가 발생되는 문화콘텐츠 공생체계 실현, 둘째, 소비자 생산능력 강화를 통한 문화콘텐츠 유통의 순환구조 확립, 마지막으로 생태성이 발휘되는 문화콘텐츠 구상과 정책적 저변 확대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생태주의 문화콘텐츠의 인식과 개발은 지구 자정작용 메커니즘이 붕괴된 오늘의 상황에서 우리 사회가 환경친화적인 미래로 나아가는 데 기여하는 실천적 행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위키문화콘텐츠 사례 분석과 제작방안 연구

        정필주(Jung Phil Ju)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3 문화예술콘텐츠 Vol.- No.9·10·11

        우리는 지금 인터넷이 가져온 네트워크와 지식의 광범위한 확장을 통해 급진적으로 변화하는 세상을 체감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웹2.0 , 집단지성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인터넷의 확장으로 사람들의 사고와 생활방식이 변화했으며 우리 앞에 닥친 문제들은 대규모 협업을 통해서 해결가능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본 논문은 웹을 통한 대규모 협업방식으로 제작된 문화콘텐츠를 ‘위키문화콘텐츠’라 명명하고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의 작동원리가 문화콘텐츠에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기존과 다른 제작방식은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향유의 과정에서 대중에게 전달되는 가치를 확장 또는 전복시키면서 혁신적인 즐거움을 발산하고 있었다. 물론 협업의 과정에서 몇가지 문제가 도출되고 저작권에 관한 이슈 역시 해결해야 하지만 위키문화콘텐츠들은 이전과는 전혀 다르고 좀 더 선한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인터넷 혁명의 시대에 등장한 위키문화콘텐츠의 발전 가능성과 구체적 제작 방법론을 모색해보고 그것이 지닌 시대적 함의를 찾아보았다. We are all currently experiencing a world that is rapidly developing through the expansion of knowledge and network, which has been acquired through the Internet. Many scholars use the terms; such as ‘Web2.0’, ‘Collective Intelligence’, ‘Wikinomics’, ‘Produsage’ and ‘Crowdsourcing’ to describe the change of the paradigm. These statements conclude that the lives and thoughts of people have been chang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Internet and our problems can be solved with a mass collaboration. The current research analyses the ‘Wiki Cultural Contents’, which was produced by a mass collabor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look at the fundamentals of the new paradigm and how the cultural contents are being applied. The new form of production brings innovative enjoyment through expansion of the value that is passed on to the public through cultural contents production. Although, there are worries about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where the term “Crowdsourcing” is used to describe the worry about a situation where labor is being exploited. However, Wiki Cultural Contents is certainly different and notable from any other processes that existed before and hopes to create a value of good will. We have searched out to find the implicit points of the method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Wiki Cultural Contents and also have a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new innovative generation, which is centered around a spacious but rapidly connected world.

      • 문화원형 디지털 자원의 활성화방안 : ‘컬처링’과 ‘문화콘텐츠닷컴’을 중심으로

        최수진,임대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문화콘텐츠는 인간중심적이고, 심미적이다. 또한 동시에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것에 특별한 가치를 둔다고 이야기 한다. 문화원형을 접목한 콘텐츠는 문화콘텐츠의 가치를 확산하는데 일조하는 분야로 판단된다. 문화원형 디지털 사업화의 목적은 순수예술 및 인문학 가운데 전통문화를 대상으로 디지털 콘텐츠화 하여 창작소재로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를 문학적 요소가 담긴 전통문화, 문화예술, 생활방식, 이야기 등 문화원형 창작콘텐츠를 다양한 문화산업분야에서 활용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문화콘텐츠닷컴1)은 국가기관이 지원해 만든 온라인 서비스로, 콘텐츠 창작소재의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를 온라인상에서 유통시키는 디지털 콘텐츠몰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기록 보존소인 단순한 아카이브 형태를 넘어선 형태이다. 즉 저작권 보호, 각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과금체계 등을 구축하고 있는 시스템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루려는 문화원형 디지털 자원의 활성방안은 다음과 같다. 문화콘텐츠닷컴에서는 문화원형을 산업적으로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재가공 된 정보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사실정보와 복원정보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콘텐츠들의 성공적인 성과를 사례로 콘텐츠산업에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식물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소재의 가능성 연구

        이종호,임대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

        각광받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서 식물문화의 특징과 활용한 사례를 알아봄으로서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문화콘텐츠의 개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정리를 하여 식물문화의 특징과 문화콘텐츠의 요소가 또 다른 인간적인 가치의 문화콘텐츠의 원천이 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영화에 활용된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식물문화가 프랑스영화 <레옹>,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서는 인간이 서로 교감하고 소통하여 치유하는 것과 식물 관련 상품으로 활용되는 예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식물문화의 발달이 문화콘텐츠적 관점을 통해 수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문화콘텐츠학, 어디로 가는가? : 인문학 중심의 문화콘텐츠학에 관하여

        유제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문화콘텐츠학’이라는 명칭을 단 학과가 2002년에 처음 설립되었고, 문화콘텐츠를 연구주제로 내세운 ‘인문콘텐츠학회’가 첫 학회지를 낸 것이 2003년이므로, 문화콘텐츠학이 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지 어느덧 십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사실 ‘문화콘텐츠학은 과연 필요한가?’라는 질문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엄밀히 말해서 ‘문화콘텐츠학’이란 현재 우리에게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화콘텐츠학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하나의 통일된 학문체계’로서의 문화콘텐츠학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물론 통일된 학문체계가 부재하더라도 문화콘텐츠학의 실체(實體)는 분명히 존재한다. 전국에 난립한 다수의 문화콘텐츠학과가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콘텐츠학과의 융성(隆盛)’이 곧 ‘문화콘텐츠학의 융성’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문학도 실용성을 지녀야 한다는 시대의 왜곡된 요구를 반영한 것에 다름 아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황을 감안하여 문화콘텐츠학이 처한 상황을 진단하고,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독서의 선정과 주요 콘텐츠 선정이라는 두 가지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의 문화콘텐츠산업 활용방안 연구

        이동민(Yi Dong Mi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3 문화예술콘텐츠 Vol.- No.9·10·11

        본 논문은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의 문화콘텐츠산업 활용 방안을 강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은 고부가가치 재화 창출의 문화콘텐츠 산업에 있어 원천 소스로서의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은 문화콘텐츠산업의 문화적 재료가 되는 문화원형의 한 부분으로서,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함축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이 문화콘텐츠산업으로 활용되어 성공한다면 국가이미지 상승 뿐 아니라 문화산업 전반의 활성화에 핵심적인 촉매제 역할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한 가치를 지녔음에도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편이며, 이마저도 대부분 디지털 기록화 또는 디자인적 요소의 활용으로 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편향적인 연구시각에서 벗어나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을 문화콘텐츠산업의 활용이라는 새로운 시각적 접근을 통해 ‘고증을 통한 소재 활용’, ‘스토리텔링 활용’, ‘뉴미디어활용’이라는 세 가지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purpose to find out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of crafts for culture contents industry.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rafts has absolute value for finding out highly-produced value for culture contents industry.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raft is part of cultural forms that become culture contents industry. It includes cultural ideology. Thus,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rafts promote not only to national image but also to general culture industry, if they are utilized well on culture contents industry. However, even if they have such an important value, studies on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rafts are not spreaded, and such studies are mostly limited into digitalized recording or design element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utilizations such as material utilization through historical research , story-telling utilization and new media utilization through new visual approach which is called culture contents industry out of original biassed research direction.

      • 문화콘텐츠 글로벌 창작소재 개발 방안 연구

        이일섭(Lee Il-sup)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8 문화예술콘텐츠 Vol.- No.2

        문화콘텐츠 산업은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최근에는 문화콘텐츠 산업을 발전시킬 새로운 동력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의 문화콘텐츠 산업은 자국 시장의 성공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과 초국적 시장 진입을 위한 글로벌 창작 소재 개발에 보다 관심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지원사업인 “2007년 대학원국제협력프로젝트 지원사업” 중 하나인 ‘영웅서사시 게세르 칸 글로벌 창작 소재 개발 사업’을 2007년 9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총 8개월간 사업을 수행하면서 나타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 창작 소재 개발 사업의 현황, 한국에서 해외창작 소재를 차용하여 문화콘텐츠를 개발한 사례, 세계적으로 글로벌 창작 소재 개발을 통해 성공적인 콘텐츠를 제작한 사례를 분석하고 글로벌문화콘텐츠 창작소재 개발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industry of cultural contents has been concentrated but recently it is true that the new power to develop is not obtained. Especially the korean industry of cultural contents should be concerned about developing global creative source not only for the success at domestic market but also for entering global and supernational market. This is why the theme of this article was taken, as study on global cultural content source development strategy. Though the need has been referred shortly on developing global creative material for cultural contents, the concrete result on the study has not been acquired. Therefore in this article the whole process of the project on developing global creative material, which has been achieved actually, will be analyzed, and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n developing method will be found. And it will be the case study to be referred for developing similar business. The subject is the business for developing global creative material from epic poem Geser Khan, which is one of the business supported by KOCCA(Korean Cultural Contents Associatoin) as international cooperative project of graduate school in 2007. It was accomplished for 8 months from September in 2007 to February in 2008, and the animation pilot film, the Geser Khan, the hero epic poem in mongol, was actually produced.

      • 전통등(燈)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 연구

        이윤수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6 콘텐츠 문화 Vol.8 No.-

        등(燈)은 불을 밝히는 도구이다. 어둠을 밝히는 일 뿐 아니라 일상의 통과의례에서 적극 활용되어왔다. 불교가 전래되면서 등불에는 어둠 을 밝히는 일 외에도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었다. 등불을 밝히는 연등 (燃燈)은 탐욕과 욕심, 어리석음의 삼독(三毒)에 젖은 자신의 무명(無 明)을 지혜로 밝힌다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등불을 밝히는 전통은 이러한 상징성 아래에 정성스럽게 이루어져 왔다. 중요무형문화재 제 122호 연등회는 1,200년 역사를 이어오는 ‘등 (燈)’으로 대표되는 축제이다. 연등회가 주목받으면서 연등회를 벤치 마킹한 다양한 등관련 축제, 혹은 등을 소재로 한 축제들이 곳곳에서 마련되고 있다. 본 논문은 축제 현장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전통등 의 역사와 현주소를 진단하고, 전통등 문화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를 제안하는 연구이다. 등을 주제로 하는 축제, 등을 소재로 하는 축제, 소망등을 연계한 축 제를 통해 전통등이 축제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 면서 전통 등문화의 활용에 관해서 궁중문화콘텐츠, 공예문화콘텐츠, 교육문화콘텐츠, 종교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특히 궁중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문화재청의 ‘살아 숨쉬는 5대궁 사업’과 실록에 전하는 4월초파일 기록을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교육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고령화 시대에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한 노년층의 전통등 만들기 사업을 역설하였다. 공예문화콘텐츠 분야에 서는 전통등 장인을 제대로 대우하며 육성할 것을 제시하였고, 종교문 화콘텐츠 분야에서는 종교 기념일마다 전통등 만들기가 다채롭게 진 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전통등 만들기의 전과정은 한국의 전통문화가 총체적으로 집합된 종합예술이다. 닥종이가 활용되고 천연 염색이 뒤따르고, 오방색으로 의 채색이 이루어지는 전 과정이 친환졍적이면서 한국적 고유성과 미 의식을 보여주는 과정이다. 손수 등을 만들고 만든 등을 걸어놓고 불 을 밝힌뒤 즐기는 관등문화를 통해 잃어버린 신명을 회복하는 것이 오늘의 과제이다. Not only were lanterns a tool used to light up darkness, but they were also widely used in ceremonial rites of passage and festivals. Lighting a lantern is called yeon-deung. Yeon-deung bear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brightening one’s self tainted with the Three Poisons—greed, anger and ignorance. Under the symbolism, the tradition of lighting a lantern has continued.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22, Yeong Deung Hoe is the most renowned lantern festival with 1,300 years of history. There are today many lantern-related festivals replicating Yeon Deung Hoe as it has gained public attention. The thesis initially places its focus on the history of traditional lanterns. It comprehensively lists for the first time the types and roles of traditional lanterns from Silla Kingdom up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rough written records. The thesis then examines the OSMU (One Source Multi Use) of traditional lanterns used in Yeon Deung Hoe through various festivals of today. Through the festivals in which a lantern the motif, the material and the medium of expressing people’s wishes, it explores how traditional lanterns are utilized. The thesis eventually suggests several way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lantern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s of royal court culture content, craft culture content, education culture content and religion culture content. In the part of royal court culture content, the thesis proposes to link the record on Buddha’s Birthday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ith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Five Palaces Project. In the part of education culture content, it advocates a project employing the elderly in making traditional lanterns under the context of today’s aging society. In the part of craft culture content, it advises cultivating grounds for both today’s and tomorrow’s traditional lantern artists with fair treatment and due respect. In religion culture content, it emphasized the idea of making traditional lanterns during religious holidays. Every process of making traditional lanterns is a composite art in which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re comprehensively collected. The whole process in which Dakjongyi (a paper made from the bark of a paper mulberry) is used, natural dye is followed, and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re employed for coloration is not just environmental-friendly but also authentic and aesthetic in Korean way. The challenge faced today is to restore the lost “festivity” once prevalent in and among Koreans through the lantern culture.

      •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판소리 정책적 지원 방안 연구

        박병호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9 문화예술콘텐츠 Vol.- No.3

        ‘PanSori’s unique epic, musical and dramatic elements have been transferred to and influenced many different genres. As a Korean traditional form of art, it should be preserved for its own sake by Korean people, but it is not easy for the Korean public to have chances to enjoy the original PanSori. Hence, regarding experiences on PanSori, many people usually think of movies involving PanSori such as ‘서편제’ or PanSori stories adapted for nursery tales, plays and movies like ‘Simcheongjeon,’ ‘Heungbujeon’ and ‘Chunhyangjeon’. The year 2001 saw huge worldwide successes of ‘The Lord of the rings’ and ‘Harry Potter.’ Originating from an old English fantasy novel, the movie, ‘The Lord of the Rings’ earned New Zealand a fortune making the shooting sites famous to tourists, and ‘Harry Potter’ showed the strength of the Britain’s entertainment business in terms of storytelling. These were pleasant surprises indicating the prospects of the content-based economy. Similarly In Korea, although ‘Korean traditional subjects’ were recently highlighted as sources for the content industry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promoted digitalization of Korea’s original cultural content, PanSori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ject. In order to make PanSori popular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popular media in the global standard should be used effectively. In that sense, we need to seriously take the examples of ‘Ballet 심청’ and ‘춘향’ which were adapted from PanSori for ballet and praised by the foreign press. Meanwhile, needless to say, the purpose of making economic value underlies the content industry. Furthermore, for the purpose of economic value, the industry must produce fun and touching content and attract as many customers as possible. Hence, if Korea is able to spread its culture and as well as make economic profits with cultural products using PanSori, the cultural content will be an ideal example for Korea. Not every cultural product made from tradition will be successful, but regarding the current Korean cultural industry in need of fresh subjects, PanSori of many interesting and well-known subjects is complementary enough to the industry. Tradition should be preserved and developed further for a country’s artistic and cultural objectives. Moreover, beyond the artistic and cultural value, if the tradition can be shared by a larger public and eventually contributes to generatingeconomic value, the existing government policies for tradition may need to apply different approaches. There are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proving the influence of culture, but what matters is carefully commercializing the culture to be economically successful. Both popularizing and commercializing traditional cultures are not simple matters. Because the probability of a market failure on cultural products is high, the Korean government has even designated the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that needs to be fostered. The US accounts for around half the entire market for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 help of its dominant economic power while France supports its cultural industry without stopping claiming that developing France’s own cultural industry is necessary for cultural pluralism. If Korea also continues its government-level support for creating a variety of content utilizing many traditional sources including PanSori, the country will be sure to grasp chances for transmitting its culture and generating economic value. 판소리가 지니고 있는 서사적 요소, 음악적 요소, 극적 요소로 인하여 각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장르로 계승ㆍ발전 되어왔다. 판소리는 자체로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이며, 소중히 보존해야할 의무도 있으나, 일반인들이 본래의 판소리를 접하고 향유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많은 대중들은 판소리에 대한 경험을 떠올릴 때, 명창들의 판소리 완창을 떠올리기 보다는 영화 〈서편제〉, 〈춘향전〉, 동화나 연극으로서의 〈심청전〉, 〈흥부전〉 등을 먼저 생각게 되는 경우가 많다. 2001년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시리즈〉가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킨 한해였다. 신화를 모티브로 뉴질랜드에 막대한 관광수입을 안겨준 〈반지의 제왕〉과 스토리텔링으로 영국 문화산업의 저력을 보여준 〈해리포터 시리즈〉의 성공은 콘텐츠 기반 경제의 가능성을 보여준 신선한 충격이었다. 국내에서도 ‘전통문화 소재’가 부각되어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을 추진하였으나 판소리가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았다. 판소리의 대중화를 넘어 글로벌화를 생각한다면 그들의 정서에 익숙한 매체를 활용하여야 효과적이다. 우리의 전통 판소리가 유니버셜발레단에 의해 〈발레 심청〉과 〈춘향〉과 발레로 재창조되어 많은 해외 언론들로부터 호평을 받을 수 있었던 것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고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한편 문화콘텐츠는 경제적 가치 창출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그 이면에는 가치 창출을 위해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창조하여 보다 많은 향유층을 확보해야 한다는 당면한 과제가 있는 것이다.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인 판소리를 활용하여 우리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경제적 이윤까지 확보할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인 형태일 것이다. 물론 문화콘텐츠로 재창조 된다고 하여 모든 상품이 성공을 거두는 것은 아니지만 콘텐츠 소재발굴에 목말라 하는 문화콘텐츠산업과 보편성이 높은 콘텐츠소재를 지니고 있는 판소리가 상호 보완해야 하는 당위성은 충분하다고 하겠다. 우리의 소중한 전통을 문화예술적 관점에서 보존하고 계승 발전시켜야 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다만 그것이 예술적 가치로서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대중들에게 확산되고 재화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면 정책적 지원의 관점을 달리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외 사례를 통해 문화가 갖는 파급력에 대해 이미 알고 있지만 문제는 이것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작품화 하여 성공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전통문화의 대중화, 문화콘텐츠산업으로의 상업적 성공 모두 간단치 않다. 시장실패의 가능성도 그 만큼 높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에서 문화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할 분야로 정해 놓은 것이다. 미국은 거대 자본의 힘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고, 프랑스의 경우 문화다원주의를 외치며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도 판소리를 비롯한 전통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재창조 하는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문화의 전파와 경제적 부의 창출 모두 거머쥐는 날이 올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에서의 민족문화콘텐츠 ‘태권도’: 가치와 전망을 중심으로

        강재원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ound theoretical basis for traditional Korean cultural contents. This was done by finding ideal values and possibilities of taekwondo as ethno-cultural content in global and multicultural contexts. The functional, educational and social values of taekwondo have become core elements of traditional and modern products of taekwondo around the world. The study also concluded that a number of taekwondo values as ethno-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very useful for developing (1) a new paradigm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between local and global dimensions; (2) national economic growth through global taekwondo families and the Korean diaspora networks; and (3) international education contents. 민족문화콘텐츠인 태권도는 다문화 시대에서 희석되어 가고 있는 민족문화 정체성 유지와 고유문화로 계승 발전된 한국의 문화가치를 세계화하는데 있어 독창적이며 창의적인 자산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태권도의 세계화에 따른 기능적, 교육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민족문화콘텐츠로서 태권도의 가치는 세계적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태권도콘텐츠는 세계화와 다문화 시대에서 세계문화와 한국문화의 가치를 동시에 포용하며 글로벌 경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새로운 한국문화 발전 패러다임을 창출해 나갈 수 있는 시너지역할이 가능하다. 둘째, 전 세계 7천만 이상의 태권도인들과 700만 한인 디아스포라 등 충분한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는 태권도콘텐츠의 지속적인 생산 보급을 촉진하고 유통·마케팅 비용절감에 실효를 거둘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한 무주 태권도원(園)과 국기원 등의 태권도관련 문화시설콘텐츠와 이벤트콘텐츠는 전통문화와 역사 체험 및 관광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문화 보급과 국가경제 활성화에 큰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 셋째, 이미 미국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태권도가 정식교과과목을 채택되어 운영되고 있는 시점에서 인성 교육의 가치를 지향하는 태권도는 전 세계 태권도교육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및 캐릭터 개발 사업에 큰 파급 효과를 줄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