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실시간 위치기반의 감성정보 수집방법

        정지민,황민철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8 No.3

        Human emotion can be detected by various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that are widely available these days and be combined with location information to create a location-based emotion data service. With this type of service, various applications based on location-centric human emotion can be achieved on user applications, user interface, marketing, health care, smart cars, etc. In order to create real-time emotion data service, emo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need to be efficiently analyzed to store into databas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collecting location-based human emotion and handling data efficiently to provide the emotion data service with possible applications that can be built on the system and the service. 인간의 감성정보를 위치정보와 조합하면 위치기반의 감성이 발현되는 범위와 강도를 제공하는 감성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다. 감성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면 특정 감성이 주로 발생하는 위치에 특화된 애플리케이션, UI, 마케팅, 헬스케어, 스마트카 등을 통해 사용자의 감성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감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감성인식 기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감성이 발생한 위치와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인식 기술을 통해 수집한 감성데이터를 감성이 발생한 위치정보와 결합하고 분류 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시스템과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구인구직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비교 분석을 위한 연구-해외/외국계 기업 취업 서비스 (피플앤잡, 월드잡 플러스, 글래스도어, 인디드) 중심으로-

        김정호,반영환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3

        People n Job, World Job Plus, Glass Door, and Indeed services, which are platforms that provide overseas/foreign job search and job search information, were selected for this application study. Among them, World Job Plus is operated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and People n Job, Glass Door, and Indeed are companies that provide job information for foreign companies and overseas services. Each of the four applications provides employment information for foreign companies and overseas job search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Therefore, this author considers the mobile application job search experience in the overseas job market and intends to improve the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theory and method of user experience. The research methods are questionnaire, in-depth-interview method, and usability analysis of honeycomb model.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he user's job search problem, the pain point was found during the use proces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it will be a reference for the contribution of more diverse job seekers to use overseas job search services and service development that provides a better user experience in the future. 본 애플리케이션 조사 대상으로 해외/외국계 구인·구직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인 피플 앤 잡, 월드잡 플러스, 글래스 도어, 인디드 서비스를 채택하였다. 이중 월드잡 플러스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피플 앤 잡, 글래스 도어, 인디드는 각 외국계 기업 및 해외 서비스 채용 정보 제공 기업으로서 각 4개의 애플리케이션은 외국계 기업 취업, 해외 구직 서비스 등의 채용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본 필자는 해외 취업 시장에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구직 경험을 고려하고 사용자 체험의 이론과 방법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개선을 하고자 하고 연구 방법은 설문지, In-depth-interview의 방법과 허니콤 모델의 사용성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구직 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사용 과정 중 Pain point를 찾아내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더욱 다양한 구직자들의 해외 취업 구인·구직 서비스의 이용의 기여와, 이후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 개발에 참고가 되길 바라며 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DID기반 대학교 개인정보 보호의 필요성

        윤원석,심미나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1

        Due to the continuou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t various universities in Korea, the image of the university is deteriorated and a huge economic loss is cau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to protect personal inforation of universities, analyze current problem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management, and present the ne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based on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have. To this end, it is revealed that the university's information security system is weak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recent cases of universities that have leaked personal information from interior and the exterior. In addition,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blockchain-based DID, which is a method in whic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students and professors is not protected by a centralized system, but the user's personal identity is directly managed and authenticated. 본 논문은 국내의 여러 대학교에서의 지속적인 개인정보 유출사건이 발생됨으로 인해 해당 대학교의 이미지 실추 및 엄청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므로 대학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 및 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해 DID(Decentralized Identifier)기반으로 국내 대학교의 개인정보를 보호해야하는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를 유출당한 대학교들의 대표적인 최근 사례가 내부에서 일어나는 유출과 외부의 악의적인 방식을 통해서 일어나는 사례를 조사해 개인정보 유출을 통한 피해 량을 분석한다. 대학교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현재 국내의 대학교 종합정보 시스템의 구조를 분석해 대학교의 정보보안 시스템이 취약하다는 점을 밝히고 해당 취약점은 DID 기반의 탈중앙화 신원증명을 통해서 학생 및 교수의 개인정보를 학교의 중앙화된 시스템에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신원을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여 인증하는 방식인 블록체인 기반의 DID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한다.

      •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복지상담 예약 서비스에 관한 연구

        유영조,김정현,권지은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3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2 No.5

        COVID-19 팬데믹 이후 온라인을 활용한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복지 분야에서도 디지털 플랫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의 비대면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예약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는 반면, 복지 상담 서비스는 여전히 예약 서비스가 부족하고, 대면이나 전화를 통한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복지 상담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복지상담 예약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복지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예약 서비스 및 현 복지상담 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둘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맞춤 콘텐츠 및 시스템을 고려한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 디자인을 설계하여 방향성을 정립하고 복지상담 예약 서비스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복지상담 예약 서비스의 기대효과와 한계점을 논한다. As digital transformation using online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non-face-to-face services such as digital platforms and mobile applications are spreading in the welfare field. In particular, while various online reservation services are becoming active in daily life, welfare counseling services still lack reservation services, and consultations are conducted in person or over the phon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tatus of welfare counseling services currently in operation, increase user convenience through a welfare counseling reservation service,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welfare service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reservation services and current welfare counseling services used in daily life.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design a UI (User Interface)/UX (User Experience) design that considers user-centered customized content and systems to establish direction and propose a welfare consultation reservation service. Lastly, we discuss the expected effects and limitations of the proposed welfare counseling reservation service.

      • KCI등재

        자취생을 위한 위치 정보와 공공데이터 기반 어플리케이션 연구

        유해영,윤정빈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2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1 No.1

        Future convergence tal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based on core competencies that can insight into daily and solve problems creatively and in order to apply new problem-solving method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technical combination are required. This thesis is the result that is combining local project based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service design process that is defining probl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ers and using ICT-based technology and visualization to solve them.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luding student with living alone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a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continues for a long time, the feeling of isolation is getting wors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hem in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centered on users and to present application prototypes based on open data and location based data.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ervice design process to the project based learning activity,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more easily understand and perform the process of approaching and solving problem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융합형 인재는 일상의 문제를 통찰하고 창의적인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이 기반이 되며 새로운 문제해결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학제적인 접근과 기술적 결합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지역사회기반 문제중심학습 활동을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와 접목하여 진행하고 수요자 관점에서 발견한 문제 정의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ICT기반의 기술 활용 및 시각화 과정의 결과이다. 자취생을 비롯한 1인 가구는 매년 늘고 있으며 비대면이 장기화됨에 따라 타 지역에서 생활하는 자취생들의 고립감은 더욱 심해지는 실정이다. 지역사회에서 자취생들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공공데이터와 위치기반 오픈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과정을 연구하면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문제중심학습 활동 과정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가 문제에 대한 접근과 해결 과정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유아 창의 학습 게임 분석 및 설계

        배재환,변윤희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6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5 No.2

        최근 국내 게임 산업 의 다양한 발전을 위해서, 기능성 게임에 대한 연구가 국제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다. 기능성 게임은 게임의 요소를 충분히 포함하고 있으면서, 재미 외에 교육적, 치료, 심리적, 정서적 요소를 갖는 게임으로 기존의 게임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게임 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 게임 중 창의성 기반의 유아용 학습 게임 분석 및 설계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창의성의 개념과, 다중지능 이론을 바탕으로, 국내 주요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서비스 중인 유아용 학습 게임들 중 인기 있는 게임을 선정하여 창의성 요인들이 있는지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창의성 과 게임성의 관계를 분석 비교 하였으며, 이를 유아를 위한 스마트 안드로이드 학습 게임 설계 요소에 적용 하였다. Recent development of the domestic game industry for a wide variety of functional studies for the game, uh, is an internationally accomplished. Functional elements of the game enough and stay in the game, in addition to fun, educational, therapeutic,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lements of the game is not included in the game category is a new type of game. In this paper the creativity of a game based on functional analysis and design of research on infant learning the game is for the purpose. The first study, the concept of creativity,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major Internet service on your website popular among the baby learning to play the game as i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actors of creativity. Analysis to compare the relationship of our creativity and games and learning games for children it was applied to design elements.

      • KCI등재

        청주공예비엔날레 디지털 아카이브 필요성에 관한 연구

        방슬기,김연희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6

        In recent times, digital archiving has been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Digital archiving is a system that increases the value of the use of record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oviding high-quality information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necessity of a digital archiving for the Cheongju Craft Biennale, which is an important research and data repository in the field of crafts. The Cheongju Craft Biennale needs to build a digital archiving system based on the data it has accumulated over the past 20 years to make it easier for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craft experts to access it. To this end,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archives were analyzed,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chives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prior research. Then,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heongju Craft Biennale, the necessity of a digital archive system was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archiving in the field of biennales, but also to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ories in the field of crafts. 최근 들어 디지털 아카이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아카이브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있어 기록물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시스템으로, 문화예술 분야에 있어서도 시공간의 제약없이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예 분야의 중요한 연구물이자 자료의 보고인 청주공예비엔날레의 디지털 아카이브의 필요성에 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청주공예비엔날레는 근 20년간 쌓아온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카이브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인뿐만 아니라 공예 전문가의 접근을 수월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 사례를 분석했고, 선행 연구를 통해 디지털 아카이브의 분류 체계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청주공예비엔날레의 현황을 살펴본 뒤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비엔날레 분야의 디지털 아카이브 발전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공예 분야의 이론 형성과 확립에 일조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휴대전화 활용 실종자 찾기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이건수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8 No.4

        In the case of a missing person, police have been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which they called in the range of 3 to 5 kilometers, after checking the data stored at the news agency to find the missing person. However, it is impossible to find a missing person as they are often in urban areas or hilly areas afte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n modern society, most of them carry cell phones from elementary school to old age group. In case of a missing persons case,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cellular phone GPS receiver,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ere devices and people communicate, and lo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bout objects and people can be used to identify missing persons. When using a mobile phone using WiFi, if the location is a restaurant, movie theater, or cafe,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issing person, IP of the access terminal, the time of use, etc. are displayed on the sharing device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of the missing person, and other data such as the address of the receiver (AP) are left on the missing person's mobile phone. In addition, these data can identify the movement, behavior analysis, criminal iden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complices us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issing persons, and real-time tracking of missing persons based on accurate indoor location. The disappearance should be resolved by utilizing the latest convergence technology related to mobile phones. 실종사건이 발생하면 경찰은 실종자를 찾In the case of a missing person, police have been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which they called in the range of 3 to 5 kilometers, after checking the data stored at the news agency to find the missing person. However, it is impossible to find a missing person as they are often in urban areas or hilly areas afte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n modern society, most of them carry cell phones from elementary school to old age group. In case of a missing persons case,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cellular phone GPS receiver,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ere devices and people communicate, and lo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bout objects and people can be used to identify missing persons. When using a mobile phone using WiFi, if the location is a restaurant, movie theater, or cafe,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issing person, IP of the access terminal, the time of use, etc. are displayed on the sharing device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of the missing person, and other data such as the address of the receiver (AP) are left on the missing person's mobile phone. In addition, these data can identify the movement, behavior analysis, criminal iden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complices us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issing persons, and real-time tracking of missing persons based on accurate indoor location. The disappearance should be resolved by utilizing the latest convergence technology related to mobile phones.기 위해 통신사에 보관된 자료를 확인하고 3-5km의 범위에 통화한 기지국 중심 위치추적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기지국 중심 위치추적 후에 직접 방문을 해보면 도심지역이거나 야산인 경우가 많아서 실종자를 발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대사회에서 초등학생부터 노년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다. 실종사건이 발생 할 경우에 휴대폰 GPS수신기, 기기와 사람 등이 소통하는 사물인터넷(IOT) 등 융복합기술, 사물과 사람에 대한 위치정보 기술 등은 실종자 발견에 적극 활용 할 수가 있다.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핸드폰을 사용 할 때, 그 장소가 식당, 영화관, 카페 등일 경우,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공유기에 실종자의 기기 정보, 접속단말기의 IP, 사용시간 등이 표시되고, 실종자의 핸드폰에도 공유기(AP)의 주소 등 자료가 남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자료는 실종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활용한 동선 분석 및 행동 분석, 범죄성여부 파악, 공범자 파악 등을 파악하고 정확한 실내 위치에 기반하여 실시간 실종자 추적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폰과 연관된 최첨단 융복합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실종사건이 해결되어야 한다.

      • KCI등재

        360 VR에서 GUI 종류에 따른 시선 이동 경향성에 대한 연구

        최하람,남상훈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2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1 No.4

        The 360 ​​VR video has no frame boundaries and the user’s eye movement is characterized by increased freedom.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users may miss an essential part of the 360 ​​VR video narrative, and their gaze may not mov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narrative intended by the director. Therefore, a directing technique that considers the movement of the user’s gaze in the 360 ​​VR video is required. In order to analyze the directing technique consider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gaze in the 360 ​​VR vide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user’s visual information, and in this case, eye-tracking technology is used. In this paper, the user’s gaze movement tendency according to the type of GUI in the 360 VR video was analyzed using the 360 ​​VR eye tracking system. Based on the gaze tracking syste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ser’s gaze movement tendency according to the size, frequency, time, and number of GUI. The results were derived that the larger the GUI size, frequency, time, and number values, the more active gaze movements were induced, and the longer the GUI exposure time, the more subjects’ gaze movements were induced. 360 VR 영상은 프레임의 경계가 없으며 사용자 시선 이동의 자유가 높아졌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사용자는 360 VR 영상 내러티브의 필수적인 부분을 놓칠 수도 있으며 연출자가 의도한 서사의 흐름대로 시선이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360 VR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이동을 고려한 연출 기법이 필요하다. 360 VR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이동을 고려한 연출 기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시각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때 시선 추적 기술이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360 VR 시선 추적 시스템을 활용하여 360 VR 영상에서 GUI의 종류에 따른 사용자 시선 이동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시선 추적 시스템을 기반으로 GUI의 크기, 빈도 시간, 개수에 따른 사용자 시선 이동 경향을 분석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GUI의 크기, 빈도, 시간, 개수의 값이 클수록 시선 이동이 활발하게 유도되며 GUI의 노출 시간이 길수록 가장 많은 피실험자의 시선 이동을 유도하였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수요자 중심의 군 모바일 서비스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연구

        유해영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In recent years, the generations in their early twenties enlisting in the military in an environment changed by the media are clearly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there is a need to provide non-face-to-face services, strengthen mobile communication, and improve the environment.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service design that improving the military mobile platform for customer-centered service innovation while carrying out the citizens policy design group project. According to the process promoted step by step, it's designed for application service to change the perception of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life, and to increase convenience. With the focus on 'communication', a meaningful result was drawn to propose a customized integrated mobile platform service such as welfare, medical care,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 It is hoped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pread policy development to other forces (Navy, Air Force) through collecting opinions of consumers in the future. 최근 미디어로 인해 변화된 환경에서 군에 입대하는 20대 초반의 세대들은 기존 세대와는 분명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고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 제공과 모바일 소통 강화 및 복무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책 공급자 중심의 정책 개발을 지양하고 정책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혁신을 위한 군 모바일 플랫폼 개선을 위해 국민이 참여하는 국방부 국민디자인단 과제를 진행하면서 수요자의 잠재적 요구를 반영한 군 정책을 디자인하는 서비스디자인을 수행한 결과이다. 단계별로 추진된 국민디자인단 프로세스에 따라 수요자의 특성과 군 생활에 대한 인식 전환 및 편의 증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상하여 ‘소통’을 중심으로 복지, 의료, 행정, 정보 등의 맞춤형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를 제안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향후 수요자의 의견 수렴을 통한 정책 개발을 타군(해군, 공군)으로 확산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