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과제

        안윤숙(An Yun Sook),김흥주(Kim Hung Ju)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4

        최근 들어 한국의 복지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지역사회복지와 사회적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유는 세가지다. 첫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국가와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에 혁신적으로 대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둘째, 지역의 일자리와 소득을 증대시켜 자원이 지역에서 선(善)순환하는 지역순환의 복지체제를 만들어간다. 셋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다중 이해관계자들의 협동과 호혜를 통해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publicness)을 실천한다.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체 중에서 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사례들을 검토하여 지역중심의 사회복지실천에 사회적경제가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공익적 경제활동과 제도적 지원, 그리고 공동체 돌봄 활동을 통해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확보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안산의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의료서비스만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지역사회복지운동을 펼치고 있었다. 지역자활센터가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되면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역량이 강화되고, 탈(脫)빈곤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생협은 조합의 이익을 주민과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협동의 가치를 기반으로 사회적 돌봄을 실천하고 있었다. 울림두레생협은 주민의 참여와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지역이 중심이 되는 복지체계를 만들고 있었다. 한살림 생협은 조합원들을 효과적으로 조직화하여 지역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공동체를 만들고 있었다. 일본의 복지클럽 생협은 마을 중심의 커뮤니티 케어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적경제가 주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천과제가 남아 있었다. 무엇보다도 제도화를 위한 정치적 의지, 시민사회의 연대,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였다. 사회적경제가 중심이 되는 지역사회복지는 주민의 참여로 시작되고, 연대와 파트너십으로 완성된다. 여기에 실질적인 지방분권, 신뢰와 호혜의 가치, 시민사회의 성숙, 살아있는 지역조직, 실천가의 적극적인 사회행동이 기반이 되어야 지속가능해진다. Recently, Korea’s welfare environment has changed dramatically, community welfare and social economy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There are three reasons. First,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innovative coping with problems that the nation and market cannot solve. Second, by increasing social jobs and income in the region, creating a community welfare system in which local resources are positively circulated. Third,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practic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on and reciprocity of multiple stakeholders. The study examined cases of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focused on ‘social’ value rather than economic value. This is to find out how useful the social economy is for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Social cooperatives realiz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rough public economic activities, institutional support, and community caring activities. Italy’s social cooperatives were playing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 welfare of the socially vulnerable and securing the universal interests of the community. The medical welfare social cooperative in Ansan was carrying out a community welfare movement to maintain the healthy lives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medical services. As the local self-support center was transformed into a social cooperative, the capacity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cy project was strengthened and the possibility of deserting poverty was increasing. The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practicing social care based on the value of cooperation that wanted to share the interests of the union with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he Ulim-Dure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building a welfare system in which the region was center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social capital. The HanSalim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effectively organizing its members to create a caring community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region. Japan’s welfare club, the association, was conducting community care centered on villag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ere were still some practical tasks for the social economy to be situated as a center of community welfare. For example, political will, solidarity of civil society, and strengthening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cessary.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which is supported by a social economy, begins wit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is completed by solidarity and partnership of civil society. In addition, for the sustainable community welfare system based social economy, the real decentralization, the value of trust and reciprocity, the maturity of civic consciousness, the active social behavior in the community are necessary.

      • 지역사회복지사업 교회서비스의 수준과 관련요인 평가연구-대전지역 교회를 중심으로-

        임구원 ( Lim Koo-won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2016 地域社會開發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사업 교회서비스수준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평가를 연구하므로써 지역별로 교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대전지역교회 중심으로 실증분석한 사례논문이다. 특히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회지도자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지역별, 교단별로 인적·물적자원의 차이 등 그리고 지역사회복지사업 실시가 지역사회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를 파악한 논문이다. 대전지역 5개구에 위치한 교회로 각 교단별로 200여 교회를 선정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중대형교회를 운영하는 지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2월부터 4월까지로 한정하였으며,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회지도자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인식과 인적·물적자원 활동도 차이가 지역별, 교단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지역사회복지사업 실시가 교회발전과 지역사회에 끼치는 영향이 긍정적으로 나타나 대부분 대전지역 교회중 장로교단과 유성구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review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church service for community welfare programs and the relevant factor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s and orders, focusing on churches in Daejeon. It aim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church leaders` awareness of community welfare program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y regions and orders and determine if community welfare programs positively affected communities. About 200 churches were selected for each order in five districts of Daejeon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leaders of medium- and large-sized churches in Daejeon from February to April, 2016. Data were proc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urch leaders` awareness of community welfare program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y regions and orders; the community welfare progra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hurches and communities; and the order of presbyterianism and Yuseong-gu in Daejeon had significant effects.

      • KCI등재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서비스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도 조사

        조영석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program targeting local residents in the D area of ​​Chungnam, and tri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on the service program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Methods :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6 citizens of the local community from April 01, 2022 to May 31, 2022, mainly in the D area of ​​Chungcheongnam-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 question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6 questions related to the desired service program of a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It was finally analyzed that the response rate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as over 60%. Results : ‘Health and medical service business program (18.6%)’ was the top priority for the desired program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and by age group,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crisis family support (19%)’ were the highest among teenagers. ‘Psycho-emotional support (26.5%)’ was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social education program (35.8%)’ among those in their 40s and 50s, and ‘Health service program (24.1%)’ among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en asked about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welfare center service program, 48% and 61.5% of those in their 40s and 50s and over 60s gave positive answers, respectively, and 85.7% and 61.5% of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swered negatively, indicated the answer. In the health care service program, ‘health treatment (35%)’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habilitation treatment (24.8%)’. As a desired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was the highest at 62% and 54.2%, in teenagers and in their 20s and 30s, respectively, and ‘cognitive (dementia)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ir 40s and 50s and over 60s, 34.7% and 50.6%, respectively were the highest. As for the desired leisure activity program, ‘Adult Certification Class (30.9%)’ was the highest among adults in their 20s and 50s, ‘Senior Health Gymnastics Class (54.2%)’ for those in their 60s and over, and ‘Reading Activities (17.3%)’ in the children’s program was the highest. In the elderly welfare program, both men and women had the highest expectations for ‘health counseling and rehabilitation program’ with 55.3% and 57.8%,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most desired service program among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o answered most positively about using the communit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program was the health care service business program, and among them,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 care treatment and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Among the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s, cognitive (dementia) rehabilitation was analyzed in the order, and they answered that it is the most necessary part of recruiting professional manpower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se program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recruit professional manpower to open and operate these program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목적 : 본 연구는 충남 B지역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고,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04월 01일부터 2022년 05월 31일까지 충청남도 B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시민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정보 11문항,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의 희망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응답률이 60%이상인 최종 306부가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의 희망 프로그램 1순위로 ‘보건의료서비스 사업 프로그램(18.6%)’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연령대별로는 10대에서는 심리정서지원과 위기가정지원(1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30대에서는 심리정서지원(26.5%), 40-50대에서는 ‘사회교육 프로그램(35.8%)’, 60대 이상에서는 ‘보건의료서비스 프로그램(24.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지관 서비스 프로그램에 참여의사를 묻는 질문에서는 40대-50대와 60대 이상이 각각 48%, 61.5%로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으며, 10대와 20-30대에서는 각각 85.7%, 61.5%가 부정적인 답변을 나타냈다. 보건의료서비스 프로그램에서는 ‘보건의료진료(35%)’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재활치료(24.8%)’ 가 나타났다. 희망하는 재활치료 프로그램으로 10대와 20-30대에서는 ‘근·골격계 재활’이 각각 62%, 5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0-5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인지(치매)재활 프로그램’이 각각 34.7%, 5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희망하는 여가활동 프로그램은 20-50대 성인에서는 ‘성인자격증반(30.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0대 이상에서는 ‘시니어건강체조교실(54.2%)’, 어린이 프로그램에서는 ‘독서활동(17.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복지 프로그램에서는 남녀 모두 ‘건강상담 및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각각 55.3%, 57.8%로 가장 높게 희망하였다. 결론 :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프로그램 이용에 대해서 가장 긍정적으로 답한 60대 이상의 그룹에서 가장 희망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은 보건의료서비스 사업 프로그램이며, 그 중에서 보건의료진료와 전문재활치료 프로그램 개설을 필요로 하였다. 전문재활치료 중에서는 인지(치매)재활, 근·골격계 재활 프로그램 순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이들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 충원이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응답하였다. 향후에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에 이들 프로그램 개설과 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충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의 경향과 향후과제

        조성숙(Cho, Sung-Soo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1

        본 연구는 최근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들을 새롭게 조망하여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역사회복지의 학문적 정체성 및 이론적 체계의 확립을 위한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약 10년간 한국과 미국에서 출간된 지역사회복지 문헌을 편의표집하여 문헌에 나타난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경향을 파악하였고, 주요 이론들을 상호작용 범위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나아가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들의 한계점을 제시하였고, 지역사회복지의 전문성 향상 및 발전을 위한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raw limitation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by newly examining theories appeared in the recent community welfare literatures and further seek for future tasks toward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theoretical systems of community welfare.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explored the recent trend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based on the community welfare literatures publish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pproximately the last ten year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further reclassified these main theories according to the scale of interaction. Finally, this study concluded by presenting the limitation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appeared in the literatures and the future tasks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최현숙(Choi, Hyeon-suk),최경인(Choi, Kyeong-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0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을 찾기 위하여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표준화 과정을 검토 분석하고, 지역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서(2010)의 내용을 분석틀에 근거하여 교육과정(목표, 교재, 내용, 방법) 현황과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 가입한 75개 대학/개인회원 중 지역사회복지론 담당교수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이메일)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대상은 25명이다. 조사결과,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현장과 밀착된 교육과 더불어 지역사회복지 실습 강화, 한국적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의 연구 보완, 실천방법/기술 교육의 강화, 새로운 분야 포괄, 지역사회복지론 교수방법을 위한 연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andardization Process of CWE(Community Welfare Education) and present that current situation of a curriculum and improvement direction on analysis form of subject guide(2010). Survey was carried out by Delphi method to charge professors of community welfare subject among 75 university/individual members who are joined in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trengthening practice and education that weld in first-hand field, Supplement study for Korean practical model, Solidify education about practice method/technology, Including new boundary, Necessity of study for instructional method based on the survey result.

      • KCI등재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 비교

        최균(Choi, Gyun),장영신(Jang, Young-Sh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5

        본 연구에서는 지역복지 네트워크 이론인 사회교환이론, 상호조직이론, 사회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분석하고, 지역복지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를 하였다. 이를 위해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을 비교했다. 분석결과에 의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은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의 경우, 상호조직이론과 사회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활용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이고, 남양주시 지역복지협의체는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활용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복지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으로 시 군 구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 강화, 시군 구사회복지협의회 확대설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조직운영 강화 등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community welfare network models and to suggest what is the best way to activate community welfare network. This study made analysis and comparison of roles and functions between Pyeongtaek Council of Social Welfare(PCSW) and Namyangju Community Welfare Council(NCWC)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interaction organization theory, social capital theory. As a result, PCSW"s medel was found that had more elements of interaction organization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NCWC" model had more elements of social exchange theor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community welfare network that empowerment of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and Community Welfare Council, establishment of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and reinforcement of ability of organizational operation at Community Welfare Council should be performed successfully.

      • KCI등재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ity Care) 관련기관의 협력관계 형성에 관한 연구 - 부산 북구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을 사례로 -

        이태헌,정하영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1

        Community care is important to integrate support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 care, daily life, and housing.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ommunity including the neighbors is required so that the subject can receive continuous support throughout their daily life in the familiar environment in which they originally li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system of networks that can understand how networks between local organizations are being made in the actual field of community care. To this end, we conducted a social network survey and analysis of organizations at various levels and fields involved in the project in Buk-gu, Busan, which has been conducting the leading project since 2019.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the actual support organization role was identified. In addition,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local residents, which is important for achieving policy goals.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보건의료 지원, 일상생활 지원, 주거 지원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내용 통합을 특징으로 한다. 지원 대상자가 원래 거주하던 익숙한 환경에서 일상생활 전반에 대한 다분야의 연속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이웃을 포함한 지역사회 조직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부에서 각자 다른 역할을 하는 기관 혹은 단체간의 다채로운 협력연결망 형성이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실제 사업 현장에서 지역사회 조직 간의 네트워크 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특징과 형성 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선도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부산 북구를 대상으로 해당사업에 관여하는 다양한 층위와 분야의 조직에 대한 사회연결망 조사와 분석을 실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의 분석 지점을 가진다. 첫째, 해당 사업을 담당하는 주요 행정기관인 행정구청과 보건소 내부의 팀 간 협업관계에 대한 접근을 실시하였다. 둘째, 행정조직, 복지관, 민간조직을 연결하는 다양한 층위간의 연결체계를 파악하였다. 셋째, 사회연결망 내부에서 지역사회주민 조직이 가지는 네트워크 강도와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중간지원조직 역할 수행기관을 파악하고 중간지원조직 역량강화가 요구되는 지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지점인 지역사회 주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협력적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를 중심으로

        한상윤,윤나비,허아름,이선우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81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llaborative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in Korea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diverse social problem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case analysis of the successful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 and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which have a local status as a core institute of local welfare governance and network in Korea. Four staff members of two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s and two local councils of social welfare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common strengths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institutes. Also, several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surrounding them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developing strategies for collaborative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and suggest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환경과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협력적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역할 수행에 있어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받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지역사회복지협의회 4곳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각기관은 공통적으로 참여성, 분권화, 책임성이 확보된 거버넌스 구조에 기반한 강점과 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다양한 외부 환경적 어려움과 향후 개선이필요한 과제들 또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협력적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가 지역사회복지 발전과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에 있어 유의미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정체성 탐색

        최옥채(Choi, Ok-Chai)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8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해 사회복지실천 측면에서의 지역사회복지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회복지실천 관점과 사회복지실천 정체성과 지역사회복지 핵심범주로부터 지역사회복지 정체성 요건을 도출해 지역사회복지가 갖추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즉 사회복지실천 측면에서 지역사회복지는, 1) 지역사회복지를 통찰하는 지식, 2) 지역사회복지를 규정하는 목표, 3) 지역사회복지를 이끄는 기술, 4) 지역사회복지를 견제하고 지원하는 환경, 5) 지역사회복지를 지향 및 통제하는 가치와 윤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이 같은 요건은 개인이나 집단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과 공통 사항을 철저히 가려 지역사회복지론 내용을 사회복지실천론과 사회복지실천기술론교과목에 분산 배치해야 함을 강조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in the context of Social Work Practice. Five requisites which revealed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are convinced from the analytic frame composed by the perspective and identity of Social Work Practice and the core theme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That is, the content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could be structured as follows; knowledge for penetrat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objectives for prescrib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skills for lead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environment for restraining and support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and values and ethics for aiming and control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Additionally, differentiated contents from that of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Practice should be distributed to Theories of Social Work Practice and Skills and Techniques of Social Work Practice accordingly.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주체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의의

        이해진(Lee, Hae-Jin),김철규(Kim, Chul-Ky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1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시장화의 경향 속에서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과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실천주체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의의를 밝혀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을 공공성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사회복지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사회적협동조합의 네 가지 실천기제로서 지역사회 기반, 참여와 신뢰, 네트워크, 협동과 호혜를 제시하였다. 이를 분석틀로 삼아,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과 안산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실천주체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의의를 확인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특히, 협동과 호혜를 통한 새로운 지역사회복지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지역사회복지실천 주체들과 구별되는 새로운 실천주체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함의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공공성과 사회적협동조합의 의의에 관한 후속연구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social cooperatives as an agency to ensure public interest and to identify community welfare services in the context of marketization of social services. Suggesting that the publicness needs to be included in discussing and analyzing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this paper presents four critical factors as community welfare practical mechanisms to enhance the publicness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community-based practices, participation and trust, networking, and cooperation and reciprocity. Then, by applying this framework into the case studies of the Italian social cooperatives` historical experiences and the Korean Ansan Health and Medical Welfare Social Cooperative, the study found empirical implications of social cooperatives in ensuring and strengthening publicness in community welfare services. Given that social cooperatives, in particular, present a new community welfare paradigm based on cooperation and reciprocity, this paper emphasizes that social cooperatives need to be actively considered as a new practical agency which can accomplish the publicness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facilitating the following research to look into roles and implications of social cooperatives in terms of identity and publicness of community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