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의 당-국가체제에 관한 일고찰- 당내법규를 중심으로-

        손한기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2 비교중국연구 Vol.3 No.1

        중국은 우리와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정치·사회·경제·문화 등 제반 영역에서 우리와 큰 차이가 있는데, 그 중심에 사회주의제도와 중국 공산당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흔히 중국의 정치체제를 ‘당-국가체제’라고 부른다. 당-국가체제란 하나의 특정 당이, 중국의 경우 중국 공산당이 국가를 운영하는 체제이다. 따라서 중국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반드시 중국 공산당을 알아야 한다. ‘당-국가체제’라는 독특한 정치 시스템을 가진 중국에서, 중국 공산당은 중국을 어떻게 ‘영도’하는가? 이를 알려면 반드시 중국 공산당의 규범 체계를 이해해야 한다. 이는 반대로 국가의 기본법인 헌법과 각종 조직법 등 법률을 통해서는 중국이라는 국가의 운영시스템을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다는 것을 말한다. 중국 공산당은 과거와 달리 정책 중심의 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의법치국 즉 당내법규와 국가법률 등 규범 중심의 국가 운영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2016년 중공중앙이 공포한 ‘당내법규제도건설강화에 관한 의견(关于加强党内法规制度建设的意见)’은 중국 공산당 창건 100주년을 맞아 당내법규제도건설을 위한 강화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내용은 “당장을 핵심으로 하고, ‘당의 조직법규제도(党的组织法规制度)’, ‘당의 영도법규제도(党的领导法规制度)’, ‘당의 자체건설법규제도(党的自身建设法规制度)’ 및 ‘당의 감독보장법규제도(党的监督保障法规制度)’로 구성된 1+4의 체계를 구축하며, 장정(당장), 준칙, 조례, 규칙, 규정, 방법, 세칙으로 구성된 1+6의 규범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당내법규’라는 용어는 1938년 마오쩌둥이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하지만 당내법규의 의미가 명확한 것은 아니다. 현재 당내법규란 당의 중앙조직, 중앙기율위원회, 당 중앙업무기구, 성·자치구·직할시 당 위원회가 제정한 당의 통일적 의지를 구현하고, 당의 영도 및 당의 건설 활동을 규율하고, 당의 기율에 의지하여 실시를 보장하는 전문적인 규장제도를 말한다. 중국의 법치 현실에 있어서 헌법과 법률도 당이 제정 및 개정하며, 하위 법규 또한 당의 동의가 있어야 제정 및 개정될 수 있다. 더욱이 당내법규가 외부효 즉 법규로서 작용함은 물론 당의 규범성 문건의 경우 국가의 법률로 전환되기도 하며, 당정연합공문의 경우 그 자체가 법규로서 외부효를 가진다. 이러한 당내법규의 문제점은 당내법규가 당‘내’에서 효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종종 당‘외’까지 효력을 확장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즉 일부 당내법규는 ‘당의 내부’라는 한계를 넘어서 국가의 법률을 대신하거나 또는 대체하고 있다. 또한 일부 중요 당내법규의 경우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등 국가기밀처럼 취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행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가 중국의 정치 현실과 중국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내법규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제대로 된 연구 성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유는 우리를 포함한 거의 모든 국가에서 당의 강령 및 당헌 등은 내부적 효력밖에 없고, 국가기관은 물론 정당에 가입하지 않은 일반 국민에게는 아무런 구속력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우리와 달리 당 내부의 규정이 법률처럼 당원 이외의 국가기관과 국민을 직접 구속하기도 한다. Although China is geographically similar to South Korea, there are great differences with South Korea in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ields. Its center is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refore, we usually call China ‘party-state system’. The so-called party-state system refers to a specific party, while China is a system in which the Communist Party runs the country. Therefore, if we want to understand China correctly, we must underst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China, which has a unique political system of ‘party-state system’, how doe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lead China? To know this, we must understand the normative system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On the contrary,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ountry’s operating system through laws such as the national basic law, the Constitution and various organizational laws. At present, unlike in the pas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got rid of the policy-centric management method, and has adopted the rule of law, that is, the state operation method centered on internal party regulations and national laws. The Opinions on Strengthening the Construction of the Party's Regulations published by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2016 is the content formulated to strengthen the construction of the Party's regulations o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core content is to build a 1+4 system with the party constitution as the core, consisting of the party's organization and regulation system, the party's leadership regulation system, the party's self-construction regulation system and the party supervision and guarantee regulation system. Articles of Association, Guidelines, Regulations, Rules, Regulations, Methods, Detailed Rules, etc. constitute a 1+6 system. Although the term internal party regulations was first used by Mao Zedong in 1938, the meaning of internal party regulations was not clear. The current inner-party regulations refer to the special rules and regulations formulated by the party's central organization, the Central Commission for Discipline Inspection, the working organs of the Party Central Committee and the party committees of provinces, autonomous regions and municipalities directly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to reflect the party's unified will, standardize the party's leadership and Party construction activities, and rely on Party discipline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In the reality of the rule of law in China, the constitution and laws are also formulated and revised by the party, and many lower-level laws and regulations need to be approved by the party before they can be formulated and revised. What's more, as an external effect, internal party regulations play a role as laws and regulations. Party normative documents can sometimes be converted into national laws. The party-government joint official document itself can have external effects as laws and regulations. However, the problem with internal party regulations is that although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internal party regulations have external effects, that is, legal effects, some important internal party regulations are not disclosed to the outside world, just like state secrets. Of course, the issue of some internal party regulations that exceed their boundaries or replace national laws should also be improved in the future. If we want to correctly understand China's political reality and correctly grasp Chinese laws, we must understand the party's regulation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result on this in South Korea. The reason is that in almost all countries, including ours, the party’s program and party regulations are only internally valid. Therefore, internal party regulations have no binding force on state agencies or ordinary citizens who have not joined a party.

      • 글로벌 경제에서 중국의 경제발전 메커니즘과 일대일로 구상

        平川均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0 비교중국연구 Vol.1 No.2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 (COVID-19) that broke out in Wuhan, China at the end of 2019 has spread from neighboring Asian countries to European countries, the United States, and emerging countries since March 2020. The globalization of the economy, which has accelerated over the last few decades, now faces historic crises due to constriction on people’s mobility, severance of production networks, and loss of consumption. Incidentally, globalization has brought economic development to Asia and especially China. China now reigns as the second-largest economy globally and has launched its own hegemonic foreign policy, which poses a growing threat to the United States. To counter the threat, since July 2018, U.S. President Trump (who took office in 2017) has imposed additional tariffs on imports from China, which has led to a trade war. The two countries have waged this war with policy strategies that extend from reducing the US trade deficit to those restricting and regulating technology in ways that infringe on America’s national security. President Trump and his administration’s tariff policies toward China create barriers to international trade and aim to remove the US from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of Chinese ICT companies. These policies also seriously threaten the global acceleration of economic globalization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1990s.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further exacerbates the situation. Currently, the China-centric global production network needs significant changes to cope with infectious diseases and finds itself caught between the US and China in a hegemonic war. Within this backdrop, we confirm the developmental mechanisms of Asia that have led to China’s development over the past half-century. It then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of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s China's foreign policy and examines the impact on China and the country’s responses to both the US-China trade war and the COVID-19 pandemic. Lastly, it explores prospects for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nd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global after COVID-19.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집단 발생한 코로나19(COVID-19)는 2020년 3월 이후, 인근 아시아 국가로부터 유럽, 미국으로까지 심지어는 신흥국가로까지 순식간에 확산되어 역사적인 세계경제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사람의 이동이 제한되고 생산네트워크가 끊어졌으며 또 소비가 사라짐으로서 과거 수십 년 동안에 걸쳐 가속되어왔던 경제의 세계화는 큰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그런데 경제의 세계화는 아시아, 특히 중국의 경제발전을 초래했다. 중국은 이제 세계 제2위의 경제 대국이 되었고 독자적인 대외경제정책을 내세우고 있는 반면, 미국은 중국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2017년에 탄생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18년 7월 이후부터 중국으로부터의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했고 양국은 무역전쟁에 돌입하였다. 이 무역전쟁은 미국의 무역적자 감소문제에서 미국의 안전보장 위협에 관한 기술패권 문제로 그 성격을 바꾸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정부가 채택한 대중 정책은 관세정책을 통해 국제무역에 큰 장벽을 만들고 있을 뿐만이 아니다. 그들은 또한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에서 중국 ICT 기업의 제거를 목표로 삼고 있어서 1990년대 이후 가속화해 온 경제의 세계화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거기에 코로나19의 팬데믹이 덮친 것이다. 중국을 중심으로 둘러쳐져 있는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에는 미·중의 패권 전쟁에 더하여 코로나 방역 대책으로서도 큰 수정의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본고는 이상과 같은 인식 아래, 먼저 중국에 발전을 가져다주었던 지난 반세기에 걸친 아시아의 발전 메커니즘을 확인한다. 이어서 중국의 대외정책으로서의 일대일로 구상의 특징과 과제를 논한 다음 미·중 무역전쟁과 코로나19 전염병이 중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일대일로와 세계경제구조의 변화를 전망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 저장성 기층 혁신정책과 지방정부의 역할 - 특색마을(特色小镇) 건설과 창싱현(长兴县)의 산업정책 사례분석-

        이재영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2 비교중국연구 Vol.3 No.2

        Since 2015, the link between Characteristic Towns and industrial upgrades, which started in Zhejiang Province, China, has now been extended to all parts of China. And the central government led by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in 2020 tried to prevent resource waste, redundant investment,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by strengthening supervision and enforcement. Therefore,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why the characteristic towns in Zhejiang Province, China, started relatively successfully and became an innovation policy recogniz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at spread nationwide. The argument of this study is because the differentiated role division of each level of local government in China, especially, the ability of the county-level government with enhanced autonomy and fiscal capacity to carry out policies was excellent. In accordance with this argumen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aracteristic towns and industrial policies are connected and implemented, focusing on the case of Zhejiang Province, where the characteristic towns were first initiated, through the cases of the characteristic towns and Changxing County in Zhejiang Province. And in the process, this study analyzes differentiated role of local government’s each level, the importance of the 'county' government role, and finally,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se grassroots innovation policies. 2015년 이래 중국 저장성에서 시작된 특색마을과 산업 업그레이드의 연계는 이제 중국 전역에 확대되었고, 중앙 정부는 자원낭비, 중복 투자, 환경 파괴 등을 막기 위해 2020년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주도적으로 특색마을 사업에 대한 감독과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질문은 중국 저장성에서 특색마을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된 중앙으로부터 인정받은 혁신정책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주장은 중국 지방정부 각 계층의 차별화된 역할분담, 특히 자율성과 재정 능력이 강화된 현급 정부의 정책 추진 역량이 뛰어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장에 따라 본 연구는 특색마을이 가장 먼저 시작된 저장성 사례를 중심으로 특색마을과 산업정책이 어떻게 연계되어 시행되는지를 저장성의 특색마을과 창싱현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지방정부 각 계층의 차별화된 역할과 ‘현급’ 정부 역할의 중요성,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층 혁신정책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미국한화(美國韓華)의 다중정체성 저글링 -보산운동과 중화민국 무호적여권 차별 반대운동을 중심으로-

        안병일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1 비교중국연구 Vol.2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thnic identity of the meiguo hanhua (美國韓華), overseas Chinese in Korea (OCK) who migrated to the U.S. by employing the concepts of identity juggling. In particular, it focuses on 1) how they evolved into meiguo hanhua, a new sub-ethnic group of Chinese instead of being simply Chinese Americans and 2) in what context they flexibly choose to present themselves as Americans, Koreans, and loyal citizens of the ROC(Republic of China). This research reveals that meiguo hanhua’s seemingly flexible selection of ethnic identity, in fact, demonstrates their commitment and loyalty towards OCK. For example, they present themselves as Americans to amplify OCK’s concerns and voices to the PRC and the ROC consulate/embassy in the U.S. so it could attract international attention to the matters. They also recommended OCK to be Korean citizens to maximize their legal protection and access to welfare benefits in South Korea when the Taiwanization of the ROC withdrew ROC’s protection over OCK. In conclusion, it was their untiring and firm commitment towards OCK that determines when and which ethnic identity they choose to present among Americans, Koreans, loyal citizens of the ROC. In other words, ironically, the “flexible” identity selection of meiguo hanhua was another side of same coin of their “firm” and “fixed” commitment towards OCK. 본고는 미국으로 이주한 한국 출신 화교들의 종족 정체성(ethnic identity)을 다중정체성 저글링(multi-identities juggling)과 마음의 체제(regime of the heart)라는 분석틀을 통해 검토하였다. 우선, 그들이 미국으로 이주한 후 중국계 미국인이나 중국인으로 살지 않고 어떻게 미국한화(美國韓華)라는 또 다른 인종 카테고리를 만들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이 한국 화교가 서울 수표동 소재 구 중화상회 건물의 소유권을 둘러싸고 주한타이뻬이대표부를 상대로 벌인 보산운동과 중화민국의 타이완화 가운데 나타난 무호적 여권 차별에 대한 반대운동과 관련하여 보여준 다양한 사회 활동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미국한화는 이 두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구체적인 국면마다 자신들을 미국인,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출신 화교, 충성스로운 중화민국인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국화교를 지원하였다. 즉, 이들이 미국한화 또는 표면적으로 내세우는 다양한 정체성의 기저에는 한국화교에 대한 강한 헌신의 마음이 자리잡고 있던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략적 유동성을 강조하는 다중정체성 저글링과 특정 종족집단에 대한 헌신의 마음은 일견 모순되어 보인다. 그러나 미국한화의 경우에는 그들이 한국화교에 대해 유지하고 있는 지속적이고 공고한 헌신과 충성이 바로 그들의 다중정체성 저글링을 창출하는 원동력이 되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베트남의 중국계 주민‘명향(明鄕)’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응우옌 티 탄 하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2 비교중국연구 Vol.3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the term, “Minh Hương” (明郷, Ming-xiang in Chinese), the Chinese-Vietnamese in Vietnam, by overviewing the historical changes of "Minh Hương" and the current reality based on Vietnamese and Japanese data and previous studies. In Vietnam, the category of Chinese residents is called "Người Hoa(華人, Huaren in Chinese)" and is one of the 53 ethnic minorities. This category includes: the group of people maintaining the consciousness of Chinese-ness and their descendants, and the indigenized ethnic Chinese as vanishing the ethnic consciousness and their descendants. “Minh Hương” is the latter. “Minh Hương” is not officially recognized as a minority group by the Vietnamese government, but is registered as a "Kinh" ethnic group, the majority in Vietnam. The origin of the term "Minh Hương" dates from 1644 to the 17th century in the late Ming and the beginning of Qing dynasty of China. At that time, the Chinese immigrant group who moved to Vietnam was called "Minh Hương.“ "Minh Hương" people were widely known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fled from China during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from the 1600s to the late 17th century, seeking for permanent residence in Vietnam. Those Chinese immigrants and the mixed-heritage children who were born between them and the local women were also called as "Minh Hương 明香". The meaning of the term has been historically explained either as “Ming refugees” or “people who maintain the incense of the Ming dynasty".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communities named "Minh Hương Xa 明香社" have been established in many parts of Vietnam. It was estimated that around 1650 a colony of "Minh Hương Xa“ Temple was formed by the Confucian scholars who came to Vietnam without obeying the Qing Dynasty. Founded in 1802, the Nguyen Dynasty implemented a policy to establish a self-governing organization called "Minh Hương" for the mixed blood of marriage between Chinese immigrants and Vietnamese women, who had been emigrated to Vietnam for the purpos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tion growth. The name “Minh Hương明香” was officially changed to "Minh Hương 明郷" in 1827. In fact, these two words are homophones in Vietnamese language. In 1849, the Nguyen Dynasty induced the indigenization of the Chinese immigrants by granting “Minh Hương” the qualification for taking the imperial examination so that they could work as civil servants. During the French colonial period, “Minh Hương” enjoyed their special legal status as the colonial government arbitrarily treated them as Vietnamese or Chinese. Since the 1950s, the South Vietnamese government's assimilation policy had officially defined "Minh Hương" to be Vietnamese with Vietnamese nationality, and the name "Minh Hương" disappeared from official administrative documents. Since then, "Minh Hương" has been only registered both as Vietnamese nationality and "Kinh" ethnicity. Due to this policy, they have legally become the same as ordinary Vietnamese. Currently, in cities such as Huế, Hội An, and Hồ Chí Minh City, there are people who keep claiming themselves as descendants of “Minh Hương”or descendants of “Minh Hương”. Through conducting case studies in those localities, this paper argues that although of Chinese or Chinese origin, most of those people’s families or lineages had immigrated to Vietnam since 18th century. Among them, "Minh Hương" has been inheri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haring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at began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and having various meanings. 베트남의 중국계 주민‘명향(明鄕)’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중국 향토재건(鄉土重建)의 이론과 실천 -링왕촌(嶺王村)의 사례를 중심으로-

        리 페이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1 비교중국연구 Vol.2 No.1

        After promulgation of China’s policy of economic reform and opening(改革開放) in the late 1970’s, rural China modernized along three general paths. The first consisted of farmers who voluntarily constructed and installed needed rural hardware using their capital acquired through the ‘rural migrant economy(打工經濟)’. The second path involved government-led projects. While these two paths functioned primarily on the logic of free-market mechanisms and state power-driven developmental assumptions, a third path manifested as a critical response to both: the intellectual-driven practice of ‘rebuilding earthbound rural China’. Despite its failure to become mainstream, the intellectual-led path has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in recent years. In pursuit of an explanation for this popularity, this paper first surveys the theory of rural rebuilding and the intellectual class’s turn, though admittedly realizing that no distinct separation from the other two paths exists. Secondly, it probes a joint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project that local farmers, local government, and intellectual installed in the Zhejiang Province’s mountainous Lingwang vill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ass-roots level, this paper observes how the three paths compete and cooperate to coordinate with Lingwang's practice of rebuilding the rural, aligning in ways that restructure conceptions and perceptions of rurality. It specifically exposes problems arising from the intellectual's ideals becoming reduced to matters of tourism and commercialism. Finally,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ose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project of Lingwang village and the coordination effor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people, this paper proposes suggestions for enhancing intellectual-driven rural development.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농촌개발과 농촌 근대화는 대략 3가지 경로가 존재한다. 첫 번째는 ‘외지노동경제(打工經濟)’를 통해 농민이 외지노동에서 번 돈으로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농촌 하드웨어 정비이다. 두 번째는 정부가 주도하는 각종 농촌개발사업이다. 세 번째는 지식인들이 주도하는 ‘향토재건(鄉土重建)’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경로는 각각 자유시장경제의 논리와 근대 국가권력의 논리로 작동하고 있는데 반해, 세 번째 경로는 주로 이 두 가지 논리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갖고 있다. 흥미롭게도, 지식인들이 주도하는 향토재건이 결코 주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앞의 두 가지 경로보다 더 많은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다. 본고는 우선적으로 향토재건의 이론적인 구조에 대한 재구성을 통해 지식인들이 이끄는 향토재건이 왜 다른 두 가지 경로와 이론적인 괴리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이론적인 괴리가 지식인들에게 어떠한 실천적 난관을 초래했는지를 검토한다. 이에 본고는 농민들에게 있어 실현 가능성이 적고 정부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지식인의 향토재건은 불가능하며,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향후 농촌개발과 향토재건은 민·관·학이 공동으로 경합하는 장(場)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본고는 중국 저장성(浙江省)의 산간마을 링왕촌(嶺王村)에서 실시된 민·관·학 공동 주도의 역사문화관광마을 개발사업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상술한 3가지 경로가 실질적으로 향토성에 대한 사회적인 재구성에 있어 어떻게 경합하고 있는지를 밝히려고 한다. 특히 지식인들의 향토재건에 대한 이상이 경합 과정에서 어떻게 모더니티 관광과 장소에 대한 소비로 전락되었는지에 초점을 두어 서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링왕촌 개발사업에 대한 직접 참여로 얻은 현지경험을 바탕으로 지식인들이 주도하는 향토재건의 성공적 진행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한국화교 청소년의 이중언어와 화교식 변이구조 -부산과 인천의 화교중학교를 중심으로-

        김선효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0 비교중국연구 Vol.1 No.1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de-switching of bilingual Korean-Chinese adolescents living in Busan and Incheon, South Korea. It used survey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variance of Overseas Chinese in Korea’s (OCK) of 87 Korean-Chinese adolescents from these regions to extrapolate an OCK Linguistic Variation Struc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found that while old OCK youth used the same or similar expressions of variation structure, new OCK youth couldn’t understand and did not use in. The data presented several findings. First, OCK youth showed the following tendency in preferred language construction for their daily speaking needs: Korean > Chinese > Korean-Chinese Mixed. Second, in Busan, third-generation Chinese adults showed signs of OCK Linguistic Variation Structure in their speaking (speaking in Korean), besides old OCK youth also did. Third, OCK Linguistic Variation Structure had no interfering effect in adopting the Busan dialect though the probability as such with older community youth remains high. Fourth, while OCK Linguistic Variation Structure seemed to have influence on old OCK youth, it did play roles in language acquisition and speaking of new OCK youth. Fifth, OCK Linguistic Variation Structure showed no signs of leading to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roblems; however, it did present evidence of influencing the lexifier language adopted in language contact environments. 이 연구는 부산과 인천에 거주하는 한국화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코드전환 현상 및 화교식 변이구조의 인식과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화교식 변이구조는 한국어나 중국어가 변이되어 굳어진 구조로서, 부산과 인천에 거주하는 화교 청소년 총 87명(신화교와 구화교)을 대상으로 화교식 변이구조의 사용 양상을 설문조사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화교 청소년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화교식 변이구조 표현을 사용하였지만 신화교 청소년은 이러한 표현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거나 사용하지 않았다. 한국화교 청소년이 사용하는 이중언어의 특징은 첫째, 일상생활에서 ‘한국어 > 중국어 > 혼합어’ 순서로 언어를 사용한다. 둘째, 화교식 변이구조는 부산화교 3세에서만 통용되는 것이 아니라 부산과 인천에 거주하는 청소년들도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화교식 변이구조는 부산 방언의 간섭이 아니라 구화교 공동체 간에 통용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넷째, 화교식 변이구조는 구화교의 공동체에서 굳어진 표현이지만 신화교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다섯째, 화교식 변이구조는 제2언어 학습과정에 나타나는 오류나 중간언어의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언어 접촉 환경에서 흔히 나타나는 지배어의 영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코로나19와 싸우는 요코하마차이나타운

        이토 이즈미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2 비교중국연구 Vol.3 No.1

        요코하마차이나타운은 막부 말기부터 지금까지 16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1923년에는 칸토(關東) 대지진, 1945년에는 요코하마 대공습이라는 피해를 입기도 했지만 그 때마다 부활했다. 패전 후에는 70년 이상 번영을 이어와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에는 매년 2000만 명이 넘는 국내외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었다. 2020년 1월 중순 가나가와현 내 거주 중국인이 일본 국내 최초의 코로나19 감염증자로 발표되었는데 이 인물이 차이나타운 관계자라는 오해가 퍼졌다. 요코하마는 가나가와현의 현청 소재지이며, 코로나19가 중국 우한(武漢)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차이나타운 사람들은 정신적, 경제적 타격을 받았다. 정신적 타격은 증오의 비방으로, 그 하나는 “중국인은 쓰레기다, 세균이다, 악마이다, 중국으로 돌아가라”라고 쓰인 중국 요리점 경영자에게 보낸 편지였다. 이 사건은 차이나타운 사람들에게 심한 상처를 입혔다. 왜냐하면 그들 대부분은 요코하마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2020년 2월부터 차이나타운 방문객들이 급감했고, 4월 7일부터 5월 25일까지 일본 정부가 긴급사태선언을 하면서 차이나타운 가게의 90%가 폐점했다. 2021년 8월 현재는 제3차 긴급사태선언이 발령 중이며, 음식점은 영업시간 단축과 알코올류 제공 중지를 요청받고 있다.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차이나타운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요코하마차이나타운 발전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차이나타운 발전회는 개별 가게들이 은행 대출과 공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도시 주차장을 활용한 드라이브 스루라던가 직역(職域) 백신 접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노화교, 신화교, 일본인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연대가 확산하고 있다. 또 코로나19 위기를 계기로 지역사회와의 교류 및 관계 강화를 도모하는 등 새로운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Yokohama Chinatown has a history of over 160 years since the mid-19th century. It has suffered and overcome the Great Kanto earthquake of 1923 and the air raid of 1945, and continued to prosper after WWII.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Chinatown had over 20 million domestic and overseas visitors every year. In mid-January 2020, a Chinese man living in Kanagawa pref. was reported to be the first case of COVID-19 infection in Japan. He was falsely associated with Yokohama Chinatown because Yokohama is the capital city of Kanagawa pref. and COVID-19 might originate at Wuhan of China. People in Chinatown suffered mental distress and economical damages. Mental suffering was caused by hate crimes, which included the letters sent to the Chinese restaurant owners saying that “Chinese are garbage, virus, and evil, go back to China.” The people in Chinatown were deeply hurt by this incident because many of them were born and raised in Yokohama. Since February 2020, the number of visitors and tourists to Chinatown has dropped dramatically. The Japanese government declared a state of emergency from the 7th of April to the 25th of May, 2020, during which 90 % of restaurants and shops in Chinatown were closed. As of August 2021, the area is under a state of emergency for the third time, and the restaurants are requested to shorten the hours of operation and not to serve alcohols. In this difficult situation, people in Chinatown have launched various efforts to survive this crisis, in which the Yokohama Chinatown Development Association plays a key role. The Association provides assistance to restaurants in obtaining bank loans and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 public sector, and has implemented a drive-through system at the Chinatown Parking. It has also organized workplace vaccination in August 2020. Through these efforts, people with different backgrounds such as old comers, newcomers, and Japanese have become more and more united in their fight against COVID-19. Moreover, this crisis has also facilitated closer communication and strengthened ties between Yokohama Chinatown and local communities.

      • 동아시아와 능력주의 관료제의 탄생: 기원전 천년 중국을 중심으로

        박노자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1 비교중국연구 Vol.2 No.2

        The present paper is an attempt to look at the rise of a consolidated bureaucratic statehood in China in the late first millennium BC from the comparative historic perspective. As a general rule, the Bronze and later Iron Age statehood of the third to first millennia BC was a machine for resource extraction; the positions of the rulers and the ruled were typically inherited or otherwise contingent on clientelist ties, even in the Achaemenid Persia, Ptolemaic Egypt or Seleucid Empire, which ruled the areas with the longest statehood traditions in the world. The societies of the third to the first millennia BC were mostly unconsolidated, the rulers and the ruled often belonging to separate ethno-cultural groups. While the bureaucratic machines across the vast spaces of Eurasia were gradually advancing further than the original patrimonial model, this advance was nowhere as pronounced as it was in China which, by the Qin (221-206 BC) time, managed to construct the first-ever regularized bureaucratic empire in the world. This paper argues that such a development was brought forth by a unique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s. One among them was a very high intensity of warfare during the Zhou period (1046-221 BC). It facilitated the growth of conscript armies and merit-based promotion system in the military which was later applied to civil bureaucracy as well. Other factors include submersion of the main religious and ritual institutions into the state apparatus which was conducive to empowering the state, and was uncharacteristic for contemporary Middle Eastern or Indian states. In addition, China could by the Qin time boast an unbroken tradition of governance which stretched back through more than a millennium, and a society which was relatively more homogenized compared to its peers elsewhere in Eurasia. All these factors are understood to have contributed to China’s uniquely early bureaucratization. 이 논문은 주(周)에서 진(秦)에 이르기까지 관료국가 건설의 과정을 비교 역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대개 청동기 및 철기 시대 초기의 ‘국가’란 민(民)으로부터의 자원 수취를 위한 기제에 불과했으며, 그 구조 안에서 치자(治者)와 피치자(被治者)의 역할 배정은 세습적이거나 각종 혈연적 내지 가신적(家臣的) 등의 관계 설정에 좌우됐다. 아케메네스 왕조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등 국가 통치의 전통이 수천 년에 이르는 지역들을 통치한 왕조 정부들도 가신들을 통해 민으로부터 잉여를 수취하는 가산(家産) 국가의 모델을 탈피하지 못했다. 유라시아 대부분의 왕조 사회들은 사회적 통합을 이루지 못했으며, 치자와 피치자는 서로 다른 종족ˑ문화 집단에 속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가산 국가 모델을 탈피하려는 움직임들은 기원전 1천 년의 유라시아 곳곳에서 나타났지만, 중국만큼 그 움직임이 크게 진척된 사회는 없었다. 이 논문은, 진나라(기원전 221-206년) 시대에 이미 세계 최초의 정기적 관료국가를 건설했으며, 그러한 중국의 ‘조기 관료화’는 몇 가지 요인에 힘입었다고 논증한다. 첫째, 주나라(기원전 1046-221년) 시대의 전례 없이 치열한 전쟁들은 거대한 징병제 군대들의 편성과 차후 민간 관료 사회에도 적용된 ‘군공’(軍功)에 의한 승진 시스템의 발전을 촉진했다. 둘째, 중동이나 인도의 사회와 달리 중국에서 국가는 주요 종교적 및 의례적 기능까지 담당함으로써 ‘공공’의 영역을 거의 독점할 수 있게 됐다. 이는 관료조직의 발전에 탄력을 제공했다. 셋째, 상(商)나라 이후 거의 천년 정도의 관료조직 운영의 지속적 전통과 비교적 더 동질적인 인구 구성 등은 능력주의적 관료 문화로의 전환을 더 용이하게 만들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