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원태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9 영미연구 Vol.47 No.-
The loss of prestige that Britain suffered as a result of World War II brought about an end to the hegemony of British history in the history curriculum of the Empire, although the immediate postwar history curriculum for Britain remained predominantly Anglo-centric. In early 1956 the British Commonwealth Relations Offic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decided to hold a conference course attended by Commonwealth history professors and school teachers during the summer of 1957 to devise plans for British students to take more interest in Commonwealth history. However, the government discovered that the Royal Empire Society, the leading members of which were Commonwealth history experts whose advice the government needed, was planning to hold its own conference without government participation. In return for cooperating with the government’s plans, the Royal Empire Society demanded that the government’s conference course not be overseen by a rival body, the Imperial Institute, and that a ‘British Commonwealth Trust’ be established to oversee exchange programs between Britain and the Commonwealth. The Imperial Institute was subsequently dropped as the conference organizer, but the Royal Empire Society still pulled out of supporting the government’s conference course when no progress was mad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British Commonwealth Trust. With no clear expert available to supervise the organizing and running of the conference, the government’s plans soon frizzled out and no further attempt to strengthen Commonwealth history education in British schools were made.
학부 문화번역 수업에서 기계번역을 활용한 교육방안 모색
홍승연(Seungyeun Hong),윤미선(Miseon Yoon),최은경(Eun-Kyoung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6 No.-
번역 교육은 언어적 차원만이 아니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증진 등 문화적 차원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 번역교육이 문화적 차원에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탐구하고자 영미권에서 출판된 문화텍스트, 소설 『파친코』를 문화번역 실습과정에 적용하고 기계번역을 학습 도구로 활용하였다. 『파친코』는 한국계 미국 작가 이민진이 2017년 미국에서 출간한 작품으로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인 1980년대까지 4대에 걸친 재일교포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소설 속에는 한국 문화와 관련된 요소들이 다수 포함되어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요소는 기계번역 결과 적절하게 표현되지 않았고 오류도 많았다. 학생들은 실습 과정에서 파친코의 기계번역 결과물을 보고 원문 속 문화적 요소는 무엇이며, 그 문화적 요소를 도착문화권에 맞게 어떻게 번역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논의를 이어갔다. 연구결과 문화번역 수업에서 학부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및 문화특정항목에 대한 개념정리가 더욱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텍스트 상에 명시적으로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맥락상 문화적 요소로 판단되는 지점을 학생들이 충분히 논할 수 있도록 원문 텍스트에 대한 선행학습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문화텍스트 속에 숨겨진 문화적 암시정보를 찾아내어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번역교육 과정에서 기계번역을 학습도구로 적용하고 문화텍스트의 기계번역 결과물을 활용하면 번역에 대한 학생들의 사유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undergraduate translation course should incorporate more training in cultural aspects. The English novel, Pachinko, was used as a translation practice text in the cultural translation class, and machine translation (MT) was applied as a learning instrument. Pachinko wa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in 2017 by Korean American author Min Jin Lee, and tells the story of four generations of Korean-Japanese family memb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80s after liberation. The novel includes a large number of culture-specific items (CSI) related to Korea, as a result the machine-translated text has many errors. The students discuss what types of CSI are found in the source text (ST), and learn how to better translate these cultural elements in Pachinko's MT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ree effective methods to educate undergraduate students in cultural translation class. First, the concept of culture and CSI should be more clearly taught. Second, the source text (ST) must be thoroughly explained in order that students can discuss the cultural elements that are not explicitly expressed in the text. Third,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find implied contextual information in cultural text. This study has shown that MT can be used as a learning instrument to expand students' thoughts on translation.
강형구,이창민,이상엽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2 영미연구 Vol.27 No.-
This paper is to analyze (1) initial market entrance strategy, (2) investment strategy, and (3) foreign real estate invest strategy of global 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and real estate invest fund. Our findings provide substantial implications to Korean firms. In the initial market strategy, in reference to the case of USA and UK, spinning off the real estate subsidiary seems to be the most desirable form for the initial business organization. This has advantages of economics of scale, constructing an image as the professional investment company, acquiring human resources, and building enterprising organizational cultures. Among investment strategies, indirect investment, overseas investment, specialized product investment should be closely reviewed. Finally, it is desirable to accumulate information and know-how of the local market through initial indirect investment and then convert to direct investment when it comes to overseas investment. It is also important to build strong partnership with the local eligible firm in initial overseas investment.
李永傑 檀國大學校英美文化硏究所 1992 英美文化 Vol.4 No.-
영미시에 있어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대체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시풍을 일컫는 개념이다. 찰즈 올슨 Charles Olson(1910~1970)의 투사시, 로버트 블라이 Robert Bly(1926~ )의 「주관적 이미지」의 시, 로버트 로월 Robert Lowell(1917~1977)의 고백시 등은 금세기 전반의 모더니즘 대가들의 시풍과 구분되는 새로운 경향이다. 각각 시의 리듬ㆍ이미지ㆍ소재 면에서 모더니즘과 공과를 의식하며 미비점을 보완하려는 새로운 시풍들은 부분적으로는 선배 시인들의 업적을 출발점으로 삼는다는 면에서 모더니즘을 연장한 것이라 할 수있겠으나 선배 시인들의 한계에 착안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독자적인 성격을 지닌다.
노동당의 복고주의 실험의 실패 : 코비니즘(Corbynism)과 좌파 포퓰리즘 논쟁
김용민(Kim, Yongmin)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0 영미연구 Vol.49 No.-
2019년 12월 12일 이례적으로 실시된 영국의 조기 총선거에서 노동당은 역사적인 참패를 당하였고 이는 너무나도 과격한 좌파 포퓰리즘 정책에 기반한 코빈의 코비니즘 때문이라는 평가가 많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정확히 코비니즘이 목표로 하는 정책이 무엇이고 과연 그것이 실제로 좌파 포퓰리즘이라고 규정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어서 다양한 좌파 포퓰리즘과 우파 포퓰리즘이라고 분류되는 포퓰리즘 정당, 정치인들의 정책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실제 유권자 획득 수단으로서의 포퓰리즘을 고찰해 본다. 이는 현재 포퓰리즘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개념이 국내와 해외가 다르며 유럽과 영미권에서도 다른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실제 여러 포퓰리즘 정당과 정치인들을 비교함으로서 언론이나 만들어진 이미지로서의 포퓰리즘이 아닌 실제 정치적지지 획득 방법론으로서의 포퓰리즘을 규명하려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이를 통하여 코비니즘의 실패가 포퓰리즘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존재하는지 고찰하는데도 이 논문의 연구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하여 앞으로의 영국 노동당의 방향성과 앞으로의 영국 정당정치 전개를 예측하며 국내에 아직 논의가 활성화 되지 않는 좌파 포퓰리즘 논의의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The British Labour Party suffered a historic, crushing defeat in Britain’s early general election on December 12, 2019, which has been said to be caused by Corbynism based on extreme leftist populist policies. In this paper, I examine these policy aims and whether they can be defined as left-wing populism. Then, I consider populism as a means of obtaining actual votes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policies of various populist parties and politicians classified as left populism and right populism. The current concept of populism is different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populism has a different meaning in Europe, Britain and America where it is as a method of obtaining real political support. It is not populism that the media has branded and created by comparing various populist parties and politicia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lso to examine whether the failure of Corbynism is due to extreme left populism or if other reasons have caused it. Finally, I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British Labour Party and its future political development. This paper will serve as the basis of research for left populist discussions that have yet to be considered in Korean academia.
롤링스톤즈(The Rolling Stones)의 1960년대 음악에 나타나는 블루스 전통의 양상들
최영진(Choe Young jeen),정은지(Chung Eun ji)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6 영미연구 Vol.38 No.-
1962년에 결성된 이래 반세기 넘게 활동하며 최장수 록그룹으로 인정받고 있는 롤링스톤즈는 ‘브리티쉬 인베이전’이란 문화사적으로 기념비적 사건의 주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통 블루스를 고수했던 롤링스톤즈는 단순히 사운드를 모방하는 것뿐만 아니라 흑인노예 역사의 특수한 경험이 깃든 블루스 전통과 사회문화적 가치를 백인청년들에게 수혈하여 블루스의 대중화를 선도하였다. 블루스는 복종과 저항의 경계선상에 있던 흑인노예들이 그들의 시련과 고뇌를 정신적으로 승화시킨 예술적 표현이었다. 그런데 이 그룹은 블루스 곡들의 소재와 서사전략, 언어들을 기성세대의 가치관을 거부하며 억압과 소외의 감정을 느끼는 백인청년들의 관점으로 재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들은 젊은 대중들의 감정적 동일시를 이끌어 내며 1960년대를 휩쓸었던 청년문화의 촉매제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롤링스톤즈의 60년대 대표곡들을 통해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문화의 원형인 블루스가 당대의 백인 청년들에게 어떤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대중의 창조적 에너지가 창출하는 대중문화의 다양한 가능성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The British Invasion,” a cultural phenomenon that struck the US in the 1960s, triggered the blues revival and helped white youth to re-evaluate African-American music during a racially discriminatory period. The Rolling Stones was a central force for this cultural wave.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music genre, the group was devoted not only to imitating the blues sound but also to reinterpreting its cultural value as a ‘rebellion’ against the dominant white society of both UK and US. The transfusion of blues attitudes into white youth gave rise to an influential impact on society. Many Anglo-American youngsters regarded the blues theme and argots in the songs of Rolling Stones as an explicit expression of refusal of traditional values, which ultimately contributed to igniting the youth movement at that time.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Rolling Stones approached and repackaged the blues out of a social context, by analysizing the lyrics and themes of the songs released in the 1960s. In so doing, this paper seeks to illustrate that the transatlantic blues, initiated by intellectually curious white British youth, is a significant example of popular music truly reflecting society, fueled by the genuine potential of the consumer public.
“돌봄의 교수법”을 찾아서: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발발과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의 도전
김유곤(Yug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1 영미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필자가 2020년 하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운영한 학부 온라인 영문학 수업의 사례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팬데믹 시대에 국내 온라인 교육이 어떠한 어려움과 과제를 지녔는지 함께 점검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부 신입생의 전공기초 교과목인 <영미시 입문>과 학부 고학년 학생들의 전공심화 교과목이자 국제어(영어)로 수업을 진행한 <영미 생태문학 읽기>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 글의 목적은 단순히 팬데믹 시대 비대면 온라인 강의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온라인 강의의 설계과정에서 학습자를 배려하는 민주적 소통이나 동료를 배려하는 공동체 의식과 같은 교육의 보편적 가치와 원칙을 실천하는 일이 훨씬 더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런 한계를 익명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화이트보드’, 교수와 학습자의 실시간 질의응답 활동을 돕는 ‘슬라이도’, 그리고 협업을 통해 완성하는 온라인 마인드맵 프로그램인 ‘마인드마이스터’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극복해보려는 일련의 고민의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필자가 수업사례를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크게 ‘상호작용’과 ‘협력학습’이라는 대학 교수법의 보편적 원칙이며, 본문에서는 이 두 가지 요소를 팬데믹 시대의 온라인 교육이라는 문맥 속에서 각각 ‘멀리서 소통하기’와 ‘자기주도적 협력학습’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온라인 영문학교육이 현재 응급의 단계를 넘어 팬데믹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생들의 특성과 수요에 맞춘 유연한 수업 진행방식과 함께 디지털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돌봄의 교수법”을 수업 설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역설하고자 한다. Due to the threat of COVID-19,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begun to offer online classes to help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Onlin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pandemic can be best described what Charles Hodges calls “Emergency Remote Teaching” (ERT), a term that suggests the paradigm shift of instructional delivery during a crisis. This paper provides a case study that shows the challenges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line in South Korea. The move to ERT requires that instructors take more control of the cours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varying levels of digital fluency, especially in the use of educational tools for distant learning. By sharing my experience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course with emerging digital learning tools such as Zoom Whiteboard, Slido, and Mindmeister,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nline teaching pedagogi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 interaction in the virtual classroom and manage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Ultimately, I suggest a “pedagogy of care” for online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at instructors should be more attentive to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challenges in this uncertain time.
셰이머스 히니의 「장소 감각」과 21세기적 장소 감수성: 『디스트릭트 노선과 써클 노선』(District and Circle)을 중심으로
염정인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4 No.-
This paper analyzes Seamus Heaney’s poems in District and Circle, in terms of Heaney’s ‘Sense of Place’ which was the title of his lecture given in the Ulster Museum and later included in his selected proses Preoccupations. This study focuses on how his prose and poems can be connected to other 21st century’s works trying to reinterpret the ‘sense of self,’ inspired by various places, human spirit, eventually. It can lead to the possibility of rediscovering Heaney’s well-known prose, “Sense of Place” which has been mentioned repeatedly. First, some poems in District and Circle show how the ‘sense of place’ nourishes the ‘sense of self.’ They present the process of recomposing specific and private stories relating the place. Each poem divining private places, stories and experiences owes its universality to the strategy of language which delivers the fundamental human sense of being unsettled and insecure. Secondly, Heaney’s sequence sonnets “District and Circle” presents how established metaphor of ‘subway’ fluctuates and grows into private metonymy serially. This study analyzes five sequence sonnets which shows the process of retrieving personal ‘resurrection’ in the most public place through daily unrest and mental breakdown. This analysis examines how Heaney’s poems in District and Circle can be adapted to the sense of place and self in this new era. Consequently, other 21th centuries’ works are mentioned and referred, in terms of verifying Heaney’s contemporary sensibility. 본 논문은 히니의 2006년 시집 『디스트릭트 노선과 써클 노선』에 실린 표제 시 「디스트릭트 노선과 써클 노선」 및 여타의 시를 그의 1977년 얼스터 박물관 연설인 「장소 감각」 시론과 연결 지어 분석해보려는 시도이다. 또한 히니 연구에서 자주 언급되어온 히니의 「장소 감각」을 동시대 여러 작품의 21세기적 ‘장소 감각’과 연결 지어 새롭게 조명하는 계기를 만들어봄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21세기에 발표되거나 주목받는 여러 문화권의 작품에서 히니의 2006년 시집의 장소 감각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을 참고하고 언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 시집을 기억의 무작위성, 설명의 불확실성, 장소의 유동성 등에 근거하여 장소 감각 및 자아 감각의 발상의 전환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설명할 것이다. 이로써 2006년에 발표된 히니의 이 시집이 동시대의 장소 감각과 자아 감각, 나아가 장소와 관련된 타인에 대한 공감의식까지 포괄하는 21세기적 감수성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조충환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3 영미연구 Vol.58 No.-
The American official discourse about the September 11 attacks has focused on how the collective trauma of Americans can be overcome without self-reflection. “Official narratives” use patriotism as the solution to collective trauma.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U.S. historical events and the September 11 attacks has not been examined in depth by the mainstream media, despite terrorism on U.S. soil not being unprecedented. Meanwhile, counter-narratives in literature and films have wrestled with self-pity, but have not been able to overcome completely the official narrative ornamented by patriotism and sentimentalism. However, counter-narratives have challenged the notion of the September 11 attacks as an isolated and unprecedented historical event. Instead, they posit that these attacks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broader historical trajec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st of the world. In addition, the voices of “the others” have been heard and embedded within the context. Through these representations, the impact of the September 11 attacks can be reevaluated and reinterpreted beyond collective trauma and victimhood. Falling Man suggests a counter-narrative by challenging the stereotypical chronology of narrating a story and shedding light on “the others’” voices using a multi-perspective approach. DeLillo attempts to avoid the trap of the disaster genre and pursues an alternative way of describ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9/11 with its circular structure or Möbius time loop. The novel also includes the narratives of survivors, survivors’ families, a former terrorist, and hijackers while wrestling with the issue of how to represent the September 11 attacks, even though the attempt is limited to allow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hijackers.
Rhetorical Analysis as Analytical Technique for Critical Thinking
김언조(Kim, Eun-Jeo)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0 영미연구 Vol.48 No.-
본 연구의 목표는 수사 분석과 비평적 사고가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논의하는 것이다. 즉 고대의 수사적 기술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어떻게 비평적으로 사고하는데 강력한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수사 분석과 상관관계가 높은 비평적 사고는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성차별기반의 논쟁이 어떻게 수사적으로 구축되어 있는지, 그리고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언어적, 수사적 선택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 자각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의 가장 근본적인 인식론적인 입장은 언어의 수사적인 유산이 이해가능한 체계적 틀 안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언어 사용자는 언어의 수사적 유산을 이용하여 쓰여진 텍스트이거나, 말해진 텍스트이거나, 시각적 텍스트이거나 혹은 세 가지의 방식을 모두 종합한 다중 기호적 텍스트에서 전달되는 복잡한 메시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기호적 문서를 분석하기 위해서 챔 패럴만의 새로운 수사학과 케니스 벌크의 드라마주의를 채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how rhetorical analysis can support critical thinking (CT) as an analytical technique; how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ancient art of rhetoric is a powerful aid to thinking critically. CT coupled with rhetorical analysis can create awareness of how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gender-based debates are rhetorically forged and how linguistic and rhetorical choices are made in particular situations. One of the fundamental epistemological positions of this study is that the rhetorical heritage of a language is within a comprehensible systematic framework. With its assistance, language users evaluate the complicated message conveyed by a text, be it written, spoken, visual, or intersemiotic one that blends the three modes. As a discriminative value of this study, Chaïm Perelman’s New Rhetoric and Kenneth Burke’s dramatism are adopted to analyze a multi-semiotic document. The study implies that rhetorical analysis is a persuasive technique to reveal a kind of truth which at first seems contradi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