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중 관계의 변화와 한국의 중견국가 전략: 이론, 인식과 정책

        윤대엽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2011 통일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변화하는 미-중 관계 가운데 한국의 중견국가 전략(middle power strategy)을 검토하였다. 미-중 관계는 한국의 국가전략을 구속하는 중요한 환경이다. 북 핵문제, 남북 체제갈등, 그리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 한국의 중대한 국가이익(vital national interests)의 미래에 있어서 미-중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이것이 최근 한국 외교에서 중견국가 전략이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유다. 그러나 한국의 중견국가 전략은 이론과 인식의 한계로인해 체계화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구조적, 객관적 요인으로써상황적 조건(situational condition)과 인식적, 주관적 요인으로써 성향적 조건(dispositional condition)을 통합함으로써 대안적 분석틀을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중재자 역할로써의 코리아 컨센서스(Korea Consensus) 전략, 매개자로써의 코리아 브리지(Korea Bridge) 전략,그리고 주도자로써의 코리아 모델(Korea Model) 전략 등을 개념화함으로써 낙관과 비관, 협력과 갈등이 공존하는 동아시아에서 중견국가로써의 한국의 전략을 검토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Korea’s middle power strategy to improve vital national interest in the context of the rise of China and the changing nature of US-China relations. The rise of China deeply impacts Korea’s national strategy, while the changing rel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has dominated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In particular, the US-China relation is pivotal for the resolution of North Korea’s nuclear crisis, peaceful management of regime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peaceful unification. With regard to South Korean strategy, the country has had no choice but to stick to the US-Korea alliance, thus jumping on the bandwagon with China or neutrality. These strategies have not been practiced because of its lack of objective, diplomatic measure, and clear perception, all of which contribute to the meaning of the middle power discussion for Korea’s diplomatic strategy. The main argument of this research is that comprehensive perception and approach are essential for middle power strategies. A situational condition and dispositional condition are proposed as an alternative framework.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Korea’s middle power strategy is threefold. Firstly, Korea Consensus strategy conceptualizes Korea role as moderator. Secondly, Korea Bridge strategy refers to an inbound mediate role to connect various values, norms and interests. Finally,Korea Model strategy means an outbound strategy to expand Korea’s diplomatic influence in the region and the world.

      • KCI등재후보

        폴란드의 포퓰리즘 정치: 민족주의적 수사학의 대중적 동원력과 그 한계

        강혜련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2011 통일연구 Vol.16 No.2

        In this study, the author is investigating one phase of Eastern European transformation, that of the populist,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case of Poland. The two-year period beginning from the 2005election, in which populist forces won and were at the peak of their popularity, can be defined as the populist phase of Polish politics. While the populist phase was triggered by emerging populist parties and movements, as a whole it was actually created since their blow was not acceptable in the established political structure and, therefore,the forces entered politics, based on popular feelings of anti-politics. In the case of Poland, the post-communist left-wing declined in the 2000s, and following that, the right-wing grasped the core of politics. As a result, the phenomena of the combination of populism and nationalism, and the strengthening of illiberal democracy, became visible in mainstream politics. Almost all political forces, not just the populist forces, underwent this influence respectively in positive or negative terms. Current populism is tinged with radical, right-wing ideologies at its core, as well as nationalist sentiments. Populism in Poland is characterized by the banner of being anti-corruption and anti-establishment; challenges constitutionalism and procedural democracy; disregards the minority; and emphasizes ethnic, national interests in foreign relations. In spite of its willingness to represent directly the interests of the people rather than through institutional arrangements, its realization failed; as a result, the formation of the government began to hand itself over to liberal and moderate center-right forces around the Civic Platform. In the development of the party itself, the Civic Platform initially showed a populist orientation in some degree, but in general, it is evaluated as being cautious in the implementation of policy, including economic and social policy. According to the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oderate rather than extreme political forces, Polish politics caught up in radical changes may become more or less stable. 이 연구는 전환과정에서 포퓰리즘이라는 한 국면을 넘고있는동유럽 상황을 폴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2005년 선거에서 포퓰리즘 세력의 승리를 정점으로, 이어지는 2년의 기간은폴란드 정치의 포퓰리즘 국면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포퓰리즘 국면은 포퓰리즘 정당과 운동의 등장을 주요한 계기로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들이 주는 타격을 기존 정치권이 수용하지 못하고 대중적인 반정치의 정서에 의거한 세력이 정치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조성되었다. 폴란드의 경우 포스트공산주의적인 좌파세력이2000년대 들어 일정부분 퇴조하면서 전체적으로 우파성향의 세력들이 중심으로 위치지어지게 되었고, 포퓰리즘과 민족주의의 결합, 그리고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 노선의 강화 등이 정치의 전반적 주류로 들어서게 되었다. 포퓰리즘 세력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정치세력들에게 이 부분은 찬과 반의 입장에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포퓰리즘 세력은 그 원천에서 급진적, 우파적이며 마찬가지로민족주의적 색채를 띠고 있다. 폴란드의 경우 반부패, 반기득권,법제주의와 절차적 민주주의에 대한 반론, 소수자에 대한 무시,대외관계에서 민족적, 국가적 이익의 강조 등을 중심적으로 내세운다. 결국 포퓰리즘 세력은 제도적 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국민적 의사를 대변하겠다는 의지에도 불구하고 그 실현에 실패하며 시민강령당을 중심으로 한 자유주의적 중도우파 세력에정부의 구성을 넘겨주게 되었다. 시민강령당은 정당 자체의 발전과정에서 초기에는 일부 포퓰리즘적 성향도 보였으나 경제사회정책을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정책실행에서 신중하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극단적이기 보다는 온건한 정치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급격한 변동의 와중에 있던 폴란드의 정치는 일정정도 안정적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A Look at West Germany’s Adaptation Program for East German Migrants from a Social Integration Perspective

        심성지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2011 통일연구 Vol.15 No.1

        Within the term “Social Integration,” there are differing meanings. The first of these is “Social Inclusion,” referring to urgent reception and acceptance; a second meaning is “Social Integration,” which means a job that provides equal rights or social security; and last is “Social Cohesion,” which can be seen to mean social assimilation or social fusion. This can be seen as differences in the definitions of the same term, but we can also see different assimilation processes implied in the definitions. This paper will look at the social integration of East German migrants into the formerly West Germany from this perspective. The West German government’s policy goal for migrants and its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was social integration through employment, and the government continuously intervened with aid and policies to eliminate social integration into West German society through unconditional or coercive means. Through its dual support structure for refugees, West Germany was able to meet the demands for labor for its rapidly developing industries and provide something of a social safety net for refugees wanting quickly to find stability in West German society. The government did not directly enforce integration policies, but civilian organizations themselves prepared and operated programs such as seminars and consultations. The government only provided the financial means. The implications that Germany’s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migrants have for us are as follows:First, it is necessary for us to strengthen our emergency aid measur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who face difficulties from the very beginning in Korea, which has a poor social safety net. Second, civil service organizations sh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on programs by forming their own social adapt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side from the governmentassigned programs.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on through the cultivation of experts in government ministries that handle North Korean defector issues, such as the Ministry of Labor and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Issues, so as to increase individualized access.

      • KCI등재후보

        남북한지역간 갈등 최소화와 공영을 지향하는 통일비용 지출

        이상근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2011 통일연구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stimated costs of Korean unification and provide direction for alternative plans for expenditure. Most expenditure plans are mainly targeted at easing the income gap between southerners and northerners. Estimated costs vary depending on each plan’s assumptions on when Korea will be unified, how to integrate the North Korean economy with the South Korean economy,what will be the economic effects of unification, etc. Therefore, before estimating concrete costs, consensus on these issues should be built. In Germany, the conflict between westerners and easterners has not been alleviated despite a drastic income gap reduction. If southerners sacrifice too much to raise northerners’ income, the conflict between southerners and northerners will be amplified. Subsidy to most northerners may force them to survive on welfare. To avoid these problems, expenditure plans should focus on building infrastructure and encouraging northerners to start their own businesses. 본 논문은 기존에 발표된 통일비용 추정치들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 통일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비용 부담을 둘러싼 남북한주민들간의 갈등을 줄일 수 있는 통일비용의 지출방안을 탐색한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남북한의 극심한 소득격차를 감소시키는데 드는 비용을 중심으로 통일비용을 추산해왔다. 이들의 추산결과는 개별 연구자들이 통일의 시기, 방법, 통일 시점 및 이후의남북한 경제상황 등을 어떻게 가정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이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비용을 계산하기에 앞서서 통일의 방법및 통일비용 지출 방안에 대한 합의를 이루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 이후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여 구동독지역과구서독지역간의 소득격차를 줄이는데 성공하였음에도 양쪽 주민들 간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독일의 예가 시사하듯이, 한반도통일비용도 소득격차 감소만을 목표로 지출되어서는 안 된다. 북한주민들의 소득 향상이 남한주민들의 일방적인 희생과 지원에만의존한 결과일 경우 남북한 주민간의 갈등이 표출될 위험이 크다. 또, 북한주민들의 생활비 보전 등을 통한 소득증가 정책은 오히려북한의 실업률을 높이고 북한지역의 경제가 자생력을 잃어버리게만들 수 있다. 통일비용 지출은 사회간접자본 건설과 함께 북한주민들이 스스로 생산활동에 나서는 것을 독려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 문화외교의 발전 과정과 제 문제

        판보싱,남창희,장영덕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2011 통일연구 Vol.16 No.2

        The rise of China has become increasingly visible after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2008 Beijing Olympics, which contrasted markedly with the relative decline of the US economic leadership revealed by the recent financial crisis. Beijing aims to realize its national goal of building an equally affluent society by 2020, while simultaneously promoting greater diplomatic influence that matches its economic power. Beijing has recognized that its favorable reputation in international society would be a necessary condition to achieve its ambitious objectives as planned. Against this backdrop, cultural diplomacy is regarded by China’s leadership as an important instrument to deal with spreading concerns overseas over Chinese hegemonic ambition. In an effort to emerge as a new Soft Power, Beijing has launched various cultural diplomacy programs, which include the Confucius School program, the Olympics, and the Chinese Culture Year programs. While these aggressive cultural diplomacy initiatives attract attention worldwide, problems still remain to be addressed by their planners.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성공개최와 대조적으로 2008년 금융위기로 노출된 미국 경제력의 상대적 쇠퇴로 중국의 부상은 더욱 빨리 가시화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내적으로는 2020년까지 소강사회(小康社會)를 건설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고, 대외적으로는점진적으로 중국의 국력에 걸맞는 외교적 지위 신장을 추구하고있다. 하지만 이러한 야심적인 목표의 실현을 위해서는 우호적인국제 환경의 조성과 긍정적이고 매력적인 국가이미지의 전파 역시 중요한 필요조건이다. 문화외교는 여러 가지 외교수단 중 하나로서 중국의 부상에 따른 외부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전략적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중국은 문화외교를 통해 서양문화의 일방적 수입에 제동을 걸고 한편 새로운 소프트 파워로서 외교력을배양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중국은 문화외교 초기 미국, 프랑스 등 선진국의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경제력 상승에 따른 자신감에 힘입어 문화외교에 있어서의 독자노선을 구상하기 시작하였다. 문화외교는 공공외교 영역에서도 특별히 문화의 매력적 내용과 그 속에 담긴 가치를 중시한다. 중국은 막강한경제력을 통해 공자학원, 올림픽, 문화년 등 다양한 문화행사와프로젝트를 통해 중국문화를 전 세계에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문화외교 행보가 대체로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동시에 향후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구조적 문제 역시 도전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북한인권 관련 법안 주요 내용과 쟁점

        이승신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2011 통일연구 Vol.16 No.2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ending bill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to suggest an appropriate direction that the bill must tak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are paying attention to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in both South Korean and international society today. The adoption of the UN Resolutions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by the UN Human Rights Council (UNHRC) and the UN General Assembly show how dir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s in North Korea. When the UN Resolution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was adopted during the 63rd Session of the UN General Assembly in 2008,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ctively supported the adoption of the resolution.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four bills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have been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by Congressman Hwang Woo-yeo,Congressman Hwang Jin-ha, Congressman Hong Il-pyo and Congressman Yoon Sang-hyun. All four have been consolidated into one bill, which is now pending.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Bill clearly state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adopt regulations that assure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 bill includes the following objectives: 1) to establish a North Korean Human Rights Record Depository; 2) to establish a North Korean Human Rights Foundation; 3) to establish a North Korean Human Rights Advisory Committee; 4) to outline basic plans which aim to resolv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and to report to the National Assembly;5) to appoint a North Korean Human Rights ambassador; 6) to provid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7) to increase support for NGOs that are working to improve human rights conditions in North Korea. Although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Bill is currently under examination at the National Assembly, the bill is likely to face many obstacles. Many worry that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will deteriorate even more with the enactment of the bill,so it might be better to pass the bill when the relationship is at its worst poin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raise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by enacting the bill; however, at the same time, it must take a flexible and careful approach towards the North, avoiding further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북한인권에 관한 국내외적 관심이 증대되는 현 시점에서 국내에서 추진중인 북한인권 관련 법안의 주요내용과 특징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북한인권법안의 방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을두고 있다. 최근 계속되는 UN 인권이사회와 UN 총회의 북한 인권 침해에 대한 결의안은 그 만큼 북한 인권 상황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증이다. 우리 정부도 2008년 제63차 UN총회에서북한인권결의안 채택시 처음으로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여 적극적인 찬성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현 18대 국회에서 황우여 의원, 황진하 의원, 홍일표 의원, 윤상현 의원이 법안 4개를 발의하였다. 현재 국회에서는 4가지 법안을 하나의 법안으로 통합ㆍ조정한 안이 국회에서 계류중이다. 북한인권 관련 법안에서 핵심 쟁점으로 되고 있는 사항들은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설치, 북한인권재단 설립ㆍ운영, 북한인권자문위원회 설치, 북한인권 기본계획 수립 및 국회 보고, 북한인권대사 설치, 인도적 지원 원칙, 민간단체 활동 지원 등이다. 현재 국회에서 동 법안에 대해서 논의가 진행중이긴 하지만, 북한인권법의 국회 통과에는 많은 난관이 있다. 북한인권법의 제정이 남북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일부의 우려도 있지만, 현재 남북관계가 상당히 악화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오히려 북한인권법을 제정하기에는 좋은 시기일 것이다. 북한인권법 제정을 통해서 북한인권 개선 필요성을 대내외적으로 널리 알리면서도 북한과의 관계를 감안하여 법안을 유연하게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적 인권거버넌스의 특징과 아시아지역으로 확산 가능성

        서창록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2011 통일연구 Vol.16 No.2

        Human rights governance in Korea has transformed from top-down governance to bottom-up governance by the end of 1990s through Korea’s democratization process in the 1980s. The process of rat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from the ‘70s to the early ‘90s was highly top-down and heavily influenced by international factors or government polici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00s, the process of formation, ratification and implementation is characterized as bottom-up governance where the civil society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process.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expect a prolif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human rights governance in the Asian region. A widespread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beyond nationality and ethnic groups is critically needed. Above all, Korean leadership in the field of human rights should develop and exhibit itself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diverse non-state actors in the process. 한국의 인권거버넌스는 1980년대 민주화과정을 거쳐 1990년대이르러 하향식(top-down)에서 상향식(bottom-up)으로 변화하였다. 국제인권규범의 한국에서의 비준과 이행과정을 보면 70년대부터90년대 초반까지 비준이 이루어진 규범의 경우, 국제정치적 상황이나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그 과정이 정부주도로 이행되었다. 반면에, 2000년대 이루어진 장애인권리협약의 경우, 성안, 비준,이행과정에 있어서 시민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상향식 거버넌스의 특징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한국의 인권거버넌스의발전이 아시아지역으로 확산되는데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다. 한국내에 국경과 민족을 초월한 보편적 인권에 대한 인식 확산이 필요하며 보다 발전된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인권 선진국으로의 도약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한국이 발휘해야 할 리더십은 정부주도의 방식이 아닌 다양한 비국가행위자들의 자율적 참여와 그들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통한 거버넌스 확산과 공통된 인권 지반의 모색을 통해 인권개선을 이루어 내는 리더십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