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시기 대학평생교육 현황 분석 -뉴스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이다인,고장완,박지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2 평생교육 · HRD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시기의 대학평생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평생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2월 1일부터 2022년 2월 1일까지 신문·방송에 보도된 347건의 뉴스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코로나19 영향으로 평생교육, 융합교육, 온라인교육을 확대함으로써 미래교육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학은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융합교육을 적극 추진하고 있었다. 또한, 코로나19로 평생교육 영역에서도 온라인교육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수업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한 사이버대학이 주목을 받았고 정부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의 양적·질적 성장을 도모하였다. 둘째, 코로나19 시기 비수도권 대학은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였다. 이들은 학령인구 감소와 코로나19로 학생 모집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지역사회는 심각한 청년 유출 문제를 경험하였다. 이에 비수도권 대학과 지역사회는 평생교육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평생직업교육과 정부의 평생교육 지원사업에 관한 토픽도 중요하게 주목받았다.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성인학습자의 직업전환교육, 재취업교육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정부는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을 통해 일·학습 병행 재직자의 평생학습을 장려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일본 생애학습(生涯學習)의 연구동향 -『일본생애교육학회연보(日本生涯敎育學會年報)』 2004-2013년을 중심으로 -

        정일선,최은수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5 평생교육 · HRD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이 겪고 있는 저 출산, 고령화 등의 사회문제를 먼저 겪어 왔고 그 해결점을 평생교육(平生敎育)에서 찾아 그 해결 사례가 비교적 축적되어 있는 일본의 생애학습(生涯學習)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평생교육(平生敎育)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 그 연구의 방향성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본의 평생교육(平生敎育)에 관한 중요한 학회지라 할 수 있는 ‘일본생애교육학회(日本生涯敎育學會)’에서 발행한, 『일본생애교육학회연보(日本生涯敎育學會年報)』에 게재된 논문 중 권두언과 포럼 발표 자료를 제외한 137편을 대상으로 그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준거는 한국과의 비교가 용이하도록 이지연(2013)의 도구를 이용하되, 지역 및 대상 등은 일본의 상황을 고려하여 조금 수정하였다. 분석결과, 논문저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비율이 48.7%로 수도권 집중이 심한 편이며, 논문저자의 소속은 대학이 64.3%였고, 정부 및 기관이 29.9%였다, 연구대상은 기관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27.0%이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7.5%였다. 연구주제별로는, 평생교육자 및 평생학습 담당자, 평생교육기관 및 현장, 평생교육제도 및 정책에 관한 연구가 12.4%, 28.5%, 19.7%로 많았으며,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질적연구가 62.0%, 20.4%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on the lifelong learning of Japan that has experienced social problems such as low-birth rates, aging, etc. as Korea now has and accumulated best solution practices and to find ou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137 papers with the exception of prefaces and forum presentation published in the yearbooks of Japan's Lifelong Education Association, one of the leading academic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of Japan. For the analysis criteria, the analytical tool by Lee(2013) was utilized by a little modification of areas and subjects of Japan's situation to be easily compared with conditions in Korea.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48.7% of the authors of research papers lived mainly in the capital city and its metropolitan areas. The institutions of authors were 64.3% belonging to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29.9% to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The areas of research subject were 27.0% to organization-oriented and 17.5% to adult learners-oriented. By clas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lifelong educators and practitioner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nd field, and lifelong education systems and polices were 12.4%, 28.5%, 19.7% in the top list. The research methods were 62.0% to the literature review and 20.4% to the qualitative study.

      • KCI등재

        한국 대학평생교육의 특성 변천에 관한 연구: 1900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별 특성을 중심으로

        양흥권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9 평생교육 · HRD연구 Vol.15 No.2

        This study is about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 south Korea. Researcher examine historical transition of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Korea's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Korea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s characteristic transition could divide four periods. The first period is the departure period(1900 - 1979) at this period Korea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had started. At this period few university offer an open extension lecture to social people whom were not university student. At this period many university offered an enlightenment of the farmers course, too. The second period is the development period(1980 - 1999) at this period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had much evolution. At this period many university had established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based on 『The Social Education Law, 1982』. The third period is the proliferation period(2000 - 2007) at this period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had proliferate rapidly. At this period the regulation on the establis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had changed pliable. As that result majority university operat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at this period A Credit Bank Degree Course had started in 1998 and actively operate timely registration student program also. And the forth period is a transition period(after year 2008) at this period Korea's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had characteristic transition extremely. At this period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focused on degree course for nontraditional university students. 연구자는 한국 대학평생교육의 특성 변천과정을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한국 대학평생교육은 출발기(1900년대 ~ 1970년대 후반), 발전기(1980년대 ~ 1999년), 확산기(2000년 ~ 2007년), 전환기(2008년 ~ 2019년 현재)로 구분 할 수 있다. 각 시기의 대학평생교육의 특성을 살펴보면, 출발기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대학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형태의 교육과 대학생 대상으로 농촌봉사활동과 현장실습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발전기는 대학 내에 부설 평생교육원을 설치하여 일반인 대상의 평생교육을 운영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확산기는 「평생교육법」이 제정되고, 대학부설 평생교육시설 설치 보고제, 설치 장소의 공공시설 임대 등의 제도적 유연화로 인하여 전국 대학에 대학평생교육 설치가 본격화된 시기이다. 전환기는 평생학습중심대학 지원사업,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 등으로 대학평생교육을 통해 비전통적 학습자에게 정규 학위과정을 제공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오늘날 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대학이 사회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성인계속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즉, 비전통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정규학위과정을 운영해야하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은 그동안 국민의 다양한 평생학습 기회 제공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해 왔다. 향후 대학은 일반인의 계속고등교육과 다양한 전생애 발달과 성장을 지원하는 종합평생교육 기관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성인학습자 특성이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을 중심으로

        안현용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1 평생교육 · HRD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중심의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가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수도권 대학의 성인학습자가 수도권 소재 대학의 성인학습자보다, 신입학 학생이 재학생보다, 예체능 전공의 학생들이 인문·사회·교육 및 공학·자연 계열 학생들보다, 40대 학습자들이 타 연령대의 학생들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고,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 역시 높았다. 둘째, 남성 학습자는 여성 학습자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으나,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입학전형에 있어서는 평생학습자 전형과 특성화고졸 등 재직자 특별전형은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 변수 차이에서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친화형 전담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 요인은 교육내용,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이며, 그 가운데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colle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Furthermore, th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ed on degree courses dedicated to adult learners on policy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at universities in the suburban area was higher than that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re were more freshmen than enrolled students in the popul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arts, sports, music was higher than humanities, social studies, education, engineering, and nature, learners in their age of 40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education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s than students of other age group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policy was also high. Secondly, male learner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than female learners.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olicy. Third, learners of the lifelong learner program who recruit adult learners and incumbent special admissions such as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variables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policy were educational content,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and the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 KCI등재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 KCI등재

        평생학습 프로그램 요구분석: 성인학습자와 교육 제공자의 요구 차이

        김은경,전예니,배현경,조대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2 평생교육 · HRD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 및 교육 제공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평생학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 중인 성인학습자와 평생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평생교육 교·강사 및 교육 담당자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대연(2009)이 제안한 요구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요구가 높은 우선순위 프로그램은 외국어 프로그램, 4차산업혁명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인문·교양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육 제공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요구가 높은 우선순위 프로그램은 4차산업혁명 프로그램, 경제·경영 프로그램, 자격증(컴퓨터) 프로그램, 가정·생활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성인학습자 및 교육 제공자의 요구분석 결과 공통의 제1우선순위 프로그램으로 4차산업혁명 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의 흐름과 교육환경을 반영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