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당ㆍ송대 종교의 변화: 유가밀종 영향 하의 중국종교 신구조의 확립

        다이샤오윈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유가밀교는 당나라 밀종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이밀(理密)과 사밀(事密; 法事)이 있는데, 당나라에서는 유가밀교를 유가교(瑜伽敎), 사밀을 유가교법(瑜伽敎法)이라고 불렀다. 회창법난으로 인해 유가밀교에서 이밀은 없어지고, 사밀만 남았으나, 남송·원·명·청대에는 여전히 유가교로 불렸다. 유가교법은 당 이후 중국 종교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당·송 이후 중국 종교의 발전과 변화를 이해하는 관건이다. 송·원시대의 신도교(=신도법)과 민간종교 등은 모두 유가교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당대에 부흥한 수륙법회는 유가교법의 일종으로 수륙법이라고도 한다. 당·송(唐宋) 이후 중국종교의 새로운 구조가 확립되었고, 유·불·도 3교는 상호 융합을 통해 중국 문화를 혁신하고 발전시켰다. 瑜伽密教即指唐代密宗, 有理密和事密(法事), 在唐代, 瑜伽密教稱為瑜伽教, 事密稱為瑜伽教法. 會昌法難, 瑜伽密教理密喪盡僅存事密, 即是瑜伽教法, 明代称为瑜伽教. 瑜伽教法對唐代以降的中國宗教發展產生了重要影響, 是理解唐宋以降中國宗教發展變化的關鍵. 宋元新道教(法)ㆍ民間宗教等均與瑜伽教法關係密切; 水陸法會是瑜伽教法的一種, 也稱為水陸法. 唐宋以降中國宗教新格局確立, 華夏文化在儒釋道三教彼此交融中創新和發展.

      • 서울 봉원사 명부전 봉안 불화 고찰

        유경희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2

        Bongwonsa (Bongwon Temple) is the headquarter of the Korean Buddhist Taego Order and its Yeongsanjae is the 50th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t was designated as the royal temple of Prince Uiso, who is King Yeongjo's grandson and his firstborn son, Crown Prince Sado's eldest son, and functioned as the royal memorial temple.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temple was rebuilt in a full-scale restoration, including the statues of Ksitigarbha triad and the Ten Kings (十王) at Yongmunsa (Yongmun Temple) in Yangpyeong moved and enshrined there. Compared to the record of the movement of the statues, there is no document of the Buddhist paintings, and even the existing Buddhist painting has no pictorial record left, so it is unknown whether the current Buddhist painting was moved or created together with the statues. Jijangsiwangdo, a painting of Ksitigarbha and the Ten Kings at Bongwonsa was transformed based on the original one (1792) at Heungguksa (Heungguk Temple) in Namyangju.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such as the composition of the overall group of characters, especially the expression of only the Ksitigarbha Triad and some of the kings, and the elements of the Bodhisattva of Six Lights and Ten Directions. It patterned the lotus flower on the polygonal pedestal where Ksitigarbha Bodhisattva sits and the Ksitigarbha Bodhisattva's clothes covering the center of the lotus flower on the one at Heungguksa.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e one at Heungguksa in that the four heavenly kings are omitted, and in that the angels offering to Buddha and Child, which appear to be statues of The heavenly realm, are added to it. Therefore, the copy at Bongwonsa took an example of the iconography of the one at Heungguksa, but it was painted with some changes. On the other hand, Siwangdo, a painting of Ten Kings at Bongwonsa is of a new style in the Geungi area in the late 19th century, sharing the iconography with the ones at Bogwangsa in Paju, at Hwagyesa, at Heungcheonsa, and Bongguksa. These temples were the royal temples in the Geungi area, and Bongwonsa was also that of Prince Uiso, so it is significant.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copy at Bogwangsa, which is the earliest one of this style, the copy at Bogwangsa was likely created later than the one at Bongwonsa, because it omits the details in the originals and sometimes draws them in more detail. Therefore, from my own research, I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Siwangdo at Bongwonsa was earlier than the painting at Bogwangsa in 1872. Jijangsiwangdo and Siwangdo at Bongwonsa are its historical products and the main of netherworld belief. They are meaningful Buddhist paintings in that they show the icons and types popular in Hanseong-bu and Gyeonggi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본 논몬은 서울 봉원사에 봉안되어 있는 연대미상 <지장시왕도>와 <시왕도>에 관한 편년을 고찰한 글이다. <지장시왕도>와 <시왕도>는 화기가 남아있지 않아 조성시기를 알 수 없다. 이에 필자는 <지장시왕도>에 대해서는 남양주 흥국사 시왕전 <지장시왕도>(1792년)의 초본을 근간으로 변용되었으나 일부를 변용하여 그렸다고 보았다. 전체적인 인물군의 구성, 특히 지장삼존과 일부의 시왕만 표현한 점, 육광보살, 시방제불의 요소에 있어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사천왕이 생략된 점, 그리고 천부계 존상으로 보이는 공양천녀와 동자가 삽입된 점은 흥국사본과 다르다. 한편 <시왕도>는 19세기 후반 파주 보광사 <시왕도>를 비롯하여 화계사 <시왕도>, 흥천사 <시왕도>, 봉국사 <시왕도>와 도상을 공유하고 있다. 이 유형의 시왕도 중 가장 연대가 이른 보광사 <시왕도>(1872년)와 비교한 결과 보광사 <시왕도>가 기존의 본을 생락하기도 하고 정밀하게 묘사하기도 하는 등 봉원사본이 보광사 보다 이른 시기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필자는 두 불화의 양식 비교를 통해 봉원사 <시왕도>가 1872년 보광사 <시왕도> 보다 앞선 시기일 가능성을 고찰해보았다. 봉원사 <지장시왕도>와 <시왕도>는 봉원사의 역사적 산물이자 명부신앙의 중심으로 19세기 한성부와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지장시왕도와 시왕도의 도상 및 유형을 살필 수 있는 불화로 의미가 있다.

      • 불경의 역경에서 상용어휘 오역 사례 검토

        박영록 세계불학원 2022 세계불학 Vol.- No.1

        The “Archive of Buddhist Culture (Archive of Buddhist Record Cultural Heritage)”, built by Dongguk University's Buddhist Academy, provides translations for most of the Tripitaka into Korean, which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to Buddhist researchers but also to Buddhist beginners and ordinary believers.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they make an error in translation, which engenders controversy. The error in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results from several different causes, rather than that of personal ability to read the original. First of all, the peculiar and difficult letters and those words in Buddhist scriptures can cause misunderstanding, and it may also be a reason that Chinese characters in Buddhist scriptures have many different meanings from those of ordinary ancient texts. Many of the Buddhist scriptures are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text in Sanskrit. These Chinese Buddhist scriptures have reflected the spoken language since the Eastern Han Dynasty(東漢), which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very different from the Chinese characters in Pre-Qin and Han (先秦 兩漢). On the other hand, the poor logic of the context when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is another important cause. There are the common and easy vocabularies such as ‘乃至’, ‘不’, ‘見’, ‘聽許’, ‘謂’, ‘所’, ‘於’, ‘散解’, “佛心則安”, etc. An error was made in their translation when they failed to analyze the logical relationship in the context. For example, “the officials were so happy that they asked what was going on” is a wrong translation without any logic because it has a structure that they were very happy without knowing the reason. Buddhist scriptures consist of the descri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third-person omniscient writer of Buddha and are mixed with indirect speech and direct one. When they fail to distinguish between them, they have a mistake in their translation. ‘乃至’ is one of the words that this writing focuses on. This is not only a common word that appears more than 160,000 times in Buddhist scriptures but also an extremely common word in modern Korean. While the modern Korean word ‘乃至’ is a word that leads to an option, there is no use of ‘乃至’ in Buddhist scriptures. Its original meaning is “so that it reaches where” and is used as “to where it reaches” and “to omit the intermediate process”. But Korean does not include the latter meaning of “乃至” and it cannot be used as Korean translated vocabulary in the latter meaning of “乃至” of Buddhist scriptur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its appropriate alternative in the future. Finally,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and has a poor organization. But From my own research, I focus on exemplifying a methodology to argue it when discussing mistranslation in Buddhist scriptures.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에서 건립한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는 대장경의 대부분에 대한 번역을 제공하고 있어 불학 전문 연구자들 뿐 아니라 불학 연구의 입문자나 일반 신도들에게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어 한국의 불교학에서 획기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번역작업을 하다 보면 오역이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아울러 숙명적으로 오역논란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불경의 오역은 개인적으로 고문을 읽는 능력의 문제라기보다 좀 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우선 불경에 보이는 특이하고 난해한 글자나 어휘 자체가 오해를 낳을 수 있으며, 불경의 한문이 일반 고문과 다른 특징이 많다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다. 불경은 범어원문을 번역한 것으로서 불경의 번역 한문은 동한(東漢) 이래의 구어를 반영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선진(先秦) 양한(兩漢)의 고문과는 자못 다른 특징이 존재한다. 그런데 또 한편으로는 불경의 번역에서 문맥의 논리성을 소홀히 하는 것도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글의 제목에 보이는 “상용어휘”란 한문, 나아가 오늘날의 한자어에서도 볼 수 있는 일상적인 어휘를 말한다. 예컨대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쉬운 한자어로 ‘乃至’, ‘不’, ‘見’, ‘聽許’, ‘謂’, ‘所’, ‘於’, ‘散解’ 및 “佛心則安” 등과 같은 단어나 문구는 이 자체로는 어려울 것이 없다. 이글에서 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쉬운 어휘에 대한 오역이 발생하는 것은 문장을 분석할 때 논리적 관계의 파악이 소홀히 되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기뻐서 어쩔 줄 모르며 어떤 일인지 물었다”는 것은 아직 이유도 모르는 상태에서 아주 기뻐하였다는 구조여서 논리성이 결여된 번역이다. 한편으로 불경은 대체로 부처님이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서술하는 구조인데, 때문에 간접화법과 직접화법이 섞여 있는 것을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개별 어휘 중 이글에서 중점을 둔 것은 ‘乃至’의 용법이다. 이것은 불경에 16만번 이상 출현하는 상용어일 뿐 아니라 현대 한국어에서도 극히 상용되는 어휘인데, 문제는 현대 한국어의 ‘乃至’와 불경의 ‘乃至’가 용법상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번역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크게 보면 ‘乃至’의 원의는 “어떤 행위를 계속 하여서 ~에까지 이르게 되다”이다. 이것이 “심지어 ~ 하게 되다”의 의미일 때는 번역이 가능하지만 중간 과정을 생략하는 용법으로 쓰일 수가 있는데, 이것은 번역이 불가능하다. 향후 이 점에 대해 대안 마련이 필요할 듯하다. 끝으로 이글은 사례연구여서 구성이 다소 산만하지만, 여기에서 중점을 둔 것은 어떤 문장에 오역이 있는지에 대해 논할 때 그것을 논증하는 방법론을 예시하는 것이다.

      • 21세기 불교의례를 위한 세계불학

        윤소희 세계불학원 2022 세계불학 Vol.- No.1

        한국의 불교의례와 율조는 수백년간의 억불과 일제의 억압으로 시대에 부합하는 합리성과 지성적 논의의 기회를 놓친 상태로 20세기를 맞았다. 성인이 된 사람에게 “산타할아버지가 선물을 주신다”는 식의 의례와 신행, 조선조 억불사회에서 불교가 폄하된 상태로 문화재가 된 산대극과 여타의 콘텐츠도 있다. 이들의 본래 모습을 인도・동남아・한・중・일 등, 한국에 영향을 준 외부의 자료를 통해 객관적인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 괘불이운의 원형 탕카의식, 시련의 원형 반차도, 작법무의 원류 티베트 호법무를 보면 전후좌우 맥락이 탄탄할 뿐만 아니라 그 절차만으로도 종일 소요되는 장엄한 의례이다. 그런데 이들이 한국의례에 혼재되어 있으니 옥상옥이 되거나 의례맥락에 혼선을 주기도 한다. 또한 한국에 없는 사료들이 주변국에 있는 경우도 많아 이들 모자이크를 이어 붙여서라도 한국불교문화의 저력을 회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일본 진언종에서는 진언을 설하기 위해서 이중・삼중의 인가를 받아야 하고, 밀교종파는 티베트와 일본 모두 승려만이 범패를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선교통합의 중국, 현교를 추구하는 일본의 법상종은 승려와 대중이 함께 범패를 하는데, 밀교 종파가 아닌 한국에서는 왜 의례와 범패는 승려만이 할 수 있는 것인가? 범패를 누가 하느냐 하지 않느냐 보다 그렇게 해야 하는 교의적 이유와 설행의 일치성이 중요하다. 대만의 성운대사는 “범패는 사람이 들으라고 하는 것이지 불보살이 들으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고 하였다. 매일 10시마다 밥을 올리기보다 조석예불에서 경전염송을 한 구절이라도 하는 것이 더 유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시대에 맞지 않은 여러 가지 신행관습이 있다. 전통은 옛날 그대로 하는 데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옛 것을 현대에 맞게 적용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21세기 현대인의 지적수준과 객관적 합리성에 부합하는 의례와 음악을 위해서 세계불학이 필요하다. Korean Buddhist rituals entered the 20th century with missing opportunities for rational and intellectual discussions which correspond to this zeitgeist. Therefore, Korean Buddhism has sham rituals the same as “Santa will give a present” to an adult or which fail to reflect modern Buddhism. It is due to both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a policy to obliterate Korean culture by Japanese imperialists. This writing considers this issue and how to correct the Korean Buddhist rituals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Buddhism. The Taiwanese Great monk Xīngyún said, “Beompae is not for the Bodhisattvas to listen to but for the people to do.” The ritual of the percussion quartet, the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and Buddhist scroll painting were not in the original rites are not in the original Buddhist rituals. These were performed to attract public attention or by historical custom, rather than to act in accord with doctrinal purposes. It is necessary to obtain double or triple approval in order to chant mantras in the Japanese Shingon sect. Beompae can only be sung by monks in Tibet and Japan who belonged to Esoteric Buddhism. Meanwhile, monks and laymen sang Beompae together in China which belonged to the Seon(Zen) Buddhism, and in the Silla Dynasty which didn't accept Esoteric Buddhism. It is more important to be consistent with the Buddhist doctrine than to sing it. A rite that does not match the rationale and the present situation cannot have the ceremonial function, and even less can obtain the consensus of the people. Both rituals for ritual’s sake and adherence to traditions for tradition’s sake are the ways for Buddhism to a path to extinction from the masses. The words of Ven. Xīngyún has great implications for Buddhist rituals and music. Tradition has no value in keeping it as they were in the past, but in applying its lesson to the present times. We need World Buddhology to have Buddhist rituals and Buddhist music that can meet the level of awareness and rationality of modern people in the 21st century.

      • 명성황후 발원 불사와 그 의미

        유경희 ( Ryu Kyunghee ) 세계불학원 2024 세계불학 Vol.4 No.0

        전통을 견지하려는 세력과 새로운 물결이 이끄는 세계사적인 변화에 직면하게 된 조선 말기에 명성황후는 고종을 보필하며 강력한 정치력을 행사한 왕실 여성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명성황후는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라이벌이자 비운의 왕실 여성으로 살펴본 측면이 강했다면,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후반에 강력한 불사의 후원자로서 그의 면모를 주목해 보았다. 正祖 이후 조선 말기 왕실은 왕위 계승에 있어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해 있었고 복잡한 정치적 관계의 역학 속에 명성황후는 왕자 탄생을 통해 이를 타개하고자 하였다. 알려진 것처럼 명성황후는 무속이나 굿을 이용하는 등 민간신앙을 통해 바라는 바를 이루고자 했지만 동시대 누구보다도 불교를 신앙하면서 불사를 후원하였다. 명성황후의 불사는 대규모 마애불의 조성이나 영험있는 도량의 전각 중창, 국가의 기도처로서 중요한 기능을 했던 신원사 중악단 중건, 금자 법화경 제작 후원을 통해 ‘書寫의 공덕’이 주목된다. 또한 그의 불사는 현실의 고난을 타개하는 관음신앙, 신속히 염원을 들어주는 독성신앙 등의 신앙적 특징을 들 수 있다. 무엇보다도 명성황후 불사의 특징은 기도처로서 ‘영험’이 강조된다. 이 점은 동시대 정치적 라이벌이자 불사 후원의 한 축이었던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불사와 비교된다. 이하응 역시 대규모 불사의 후원자였지만 원당을 지정하고 大房이라는 기도처로서 사찰을 리뉴얼하였으며 그곳에 봉안되어야 할 불상이나 불화 제작을 시주하며 왕실의 기복을 기원하였다. 명실공히 명성황후는 19세기 중~후반 왕자 탄생을 위해 대규모 불사를 후원했던 왕실 불교의 주역이었다. Empress Myeongseong, a formidable presence in late Joseon Korea, wielded significant political power while assisting King Gojong in governance. This paper focuses on her role as a prominent patroness of Buddhism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aftermath of King Jeongjo's reign, the Joseon royal court faced challenges regarding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Empress Myeongseong sought to address this through the birth of a prince. While utilizing folk beliefs and shamanistic practices to fulfill her aspirations, Empress Myeongseong was deeply devoted to Buddhism, surpassing contemporaries in her support for the faith. Her patronage of Buddhism manifes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Maitreya statues, the establishment of significant prayer halls such as Chungyul Altar, Jungakdan(中嶽壇), and sponsorship for the production of the Lotus Sutra scriptures. Additionally, her patronage embodied the compassionate aspects of Buddhist faith, offering solace amidst worldly hardships and swiftly granting supplications, showcasing characteristics of Avalokitesvara and Dokseong faith. Of particular note is the emphasis on Spiritual Experience in Empress Myeongseong's patronage of Buddhism, distinguishing her efforts from those of her contemporary political rival and fellow patron of Buddhism, Heungseon Daewongun. Empress Myeongseong emerged as a central figure in royal Buddhism of the late 19th century, sponsoring extensive Buddhist rituals in pursuit of the birth of a prince.

      • 만해 한용운과 범어사

        김광식 ( Kim Kwang-sik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본 고찰은 만해 한용운과 범어사와의 상관성을 다룬 논고이다. 한용운은 승려이었기에 그의 활동, 행적은 사찰과 포교당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런 전제하에서 필자는 한용운과 인연이 많은 사찰에 있는 한용운 행적을 찾고, 그에 담긴 역사와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이 글은 한용운이 부산에 위치한 범어사에서 전개한 역사 및 내용을 정리하였다. 첫째, 임제종 운동(1911~1912)과 범어사 경성포교당(1914~1919, 1926~1931)에서의 한용운 행적을 조명하였다. 둘째, 한용운의 저작 『불교대전』(1914)의 발간처가 범어사이었던 연유를 찾았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한용운이 임제종 운동의 좌절을 극복하기 위해 단행한 만주 탐방(1912년, 가을)의 성격, 추이를 살펴보았다. 한용운이 만주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직후 범어사에서 휴식을 취한 것을 그 단초로 보았다. 셋째, 범어사 3·1운동에서의 한용운 행적과 범어사 석가여래행적 비문의 찬술을 하게 된 한용운 행적을 찾고 정리하였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통하여 필자는 그간 베일에 쌓였던 만해 한용운과 근대기 범어사와의 상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추후에는 범어사 출신 인물과 한용운과의 인연, 근대기 범어사 정체성 등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Manhae Han Yong-un and Beomeosa Temple. Han Yong-un was a Buddhist monk, so his activities and activities can be found in temples and cathedr Under this premise, I seek out the activities of Han Yong-un in a temple with a lot of ties to Han Yong-un and summarize the history and contents of the temple. From this background, this article summarizes the history and contents of Han Yong-un's history at Beomeosa Temple. First, Han Yong-un's activities in the Imjejong Movement(1911-1912) and a missionary of Gyeongseong Church in Beomeosa Temple (1914-1919, 1926-1931) were highlighted. Second, the publisher of Han Yong-un's book, 『Bulchondaejeon』(1914), found Yeonyu, which was a Beomeosa Temple. To this end, I looked at the nature and trend of Han Yong-un's Manchurian tour (1912, fall) to overcome the frustration of the Imjejong movement. Han Yong-un took a rest at Beomeosa Temple shortly after his life in Manchuria. Third, the activities of Han Yong-un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of Beomeosa Temple and Han Yong-un's acts of praise were found and arranged. Through this, I wanted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Manhae Han Yong-un and Beomeosa Temple in the modern era. In the future, we will hav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from Beomeosa Temple and Han Yong-un, and the identity of Beomeosa Temple in the modern era.

      • 관음과 준제의 문화적 상호성과 신행양상

        윤소희 ( Yoon Sohee ) 세계불학원 2024 세계불학 Vol.4 No.0

        페르시아의 아나히타 여신은 사막의 갈증을 풀어주므로 물과 관련한 다양한 캐릭터 전이가 있었고, 그 저변에는 고대 인류의 공통 어근과 문화적 상호성이 있다. 아나히타의 초두 발성을 공유하는 인도의 아와로끼떼스와라는 그리스의 아폴로와도 연결이 된다. 아와로끼떼스와라는 1-2세기 무렵 불교로 흡수되어 관세음보살이 되었고, 인도 브라흐마의 아내 사라스와띠 여신은 고려 수월관음도와 같은 구도를 이루고 있다. 찬디 여신을 한자로 음사한 준제보살은 쉬바의 아내인 두르가와 관련이 있다. 가톨릭의 성모마리아는 모성을 바탕으로 하는 점에서는 불모(佛母)인 준제와 상통하지만 외형은 관세음과 유사하여 인도의 아와로끼떼스와라와 찬디 여신이 결합된 양상이다. 마찬가지로 중국과 일본에는 6관음 중 하나인 준제관음이 있다. 중국과 일본은 의례를 통해서 관음·준제 신행을 하는 반면 한국은 암송이 전부다. 이는 불교신행이 공공사회화 될 수 없었던 조선조 억불의 결과로 보인다. 대만의 대비참 법회는 관세음보살 찬탄과 참회로 이루어지고, 일본은 준제법요를 다라니 신행으로 각각 분리하여 행하는데 비해, 한국은 관음과 준제가 천수경 하나에 묶여 있다. 중국(대만)은 약사불 신앙이 관음 보다 더 강하였데, 약사는 불(佛)이고, 관음은 보살이라는 위계의 차등 인식이 보였다. 수륙 외단에도 약사단은 필수이지만 관음단은 기원단(祈願壇)의 일부에 있다. 일본의 주 종단에서는 관음신행의 비중이 약한데 비해 선종(禪宗)에는 일일과송에 관음송주가 있어 한국과 상통한다. 본고를 통하여 유사한 신앙이 전 세계에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을 둘러싼 수많은 이적들이 있었지만 그러한 신앙 즉 상상계를 지닌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형상이었다. 흩어져 있는 햇빛을 돋보기 랜즈로 점화시킬 수 있듯이 기도하는 이가 관음·불모·성모라는 돋보기를 통해 이적(異蹟)을 만들어 내었던 것이다. 21세기 과학시대에는 이러한 이적이 바로 자신의 염력에 의한 것임을 자각할 것이고, 그것이야말로 붓다가 설파한 진리에 도달하는 길이 될 것이다. The Persian goddess Anahita quenches thirst, so there are various character transitions related to water. Underlying this was the common roots and cultural interconnectedness of ancient humans’s language. Around the 1st or 2nd century, when the Mahayana Buddhist movement was taking place, India's Avarokitesvara, who shares Anahita's first vocalization, was absorbed into the practice of Bodhisattva and came to China to become Guānshìyīn púsà(觀世音菩薩) and Saraswati in India has almost the same composition as Suwol-Gwaneumdo during the Goryeo Dynasty(高麗 水月觀音圖). Junje Bodhisattva(準提菩薩), who imitates Goddess Chandi in Chinese characters, is related to Durga, Shiva's wife and motherhood. This goddess traveled to Europe via Greece became the Virgin Mary and to China became the mother of Buddha and the origin of each sutra and to Japan became the Jundeigannon(准提觀音) as the core of the teachings and thoughts of the Souji sect. While Korea's 『Cheonsugyeong(千手經)』 has two objects of faith, Bodhisattva Avalokitesvara and Bodhisattva Junje, Taiwan's the ceremoney of Goanin Fahei focuses only on Avalokitesvara, Bodhisattva Zhǔndī(准提) had a separate dharani or the original idea of each sutra. In Korea, the belief in Avalokitesvara was significant, and in China (Taiwan), the belief in Medicine Buddha was stronger. In there, They had a differential perception of hierarchy, with the Medicine Buddha being Buddha and Avalokitesvara being Bodhisattva. The Japanese practice of Kannon was even less important, in the main religious sects, it is rarely found in daily rituals but Only individuals or certain temples that worshiped Avalokitesvara. Jundei Bodhisattva had some faith as the mother of Buddha and the mother of Buddhism and sutra. In Japan, the proportion of spiritual practices that were a mixture of esoteric Buddhism and Mahayana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Zen temples such as the Linjai sect and the Joudou sect, the practice of Avalokitesvara, as in Korea. This appears to be a convergence of the traditional magical and superstitious esoteric mantra beliefs into Zen Buddhism's Avalokitesvara beliefs.

      • 붓다 시대의 다양한 장례법 고찰

        조준호 ( Cho Joon-ho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본고는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장례법 가운데 화장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불교의 율장과 경장 등에 화장 다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불교 흥기 당시의 장례법은 대체로 화장, 수장, 매장 그리고 초장 또는 야장과 같은 네 가지 장례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장례법은 모두 석가모니 붓다에 의해 비구들의 입적 시에 행할 수 있는 장례법으로 제시된다. 그렇지만 화장이 최선으로 권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구가 죽으면 시신을 길가나 시타림 등에 투기하는 것은 아니고 가능한 화장을 하라는 것이다. 붓다는 출가비구의 장례를 상황과 여건에 따라 화장 ⇨ 수장 ⇨ 매장 ⇨ 초장 또는 야장(野葬)과 같은 차선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출가자의 장례법에서 붓다는 화장의 한 가지 장례 방법만을 고집한 것이 아니다. 또한 초기경전에서 탑을 세울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존재는 첫 번째는 여래(如來), 두 번째는 벽지불(辟支佛), 세 번째는 성문(聲聞)들, 그리고 네 번째는 전륜성왕으로 나온다. 여기서 성문은 ‘완전한 열반’을 성취한 덕 높은 출가자만을 한정하는 경우로 보인다. 이렇듯 장례의식 후 탑을 세울 수 있는 경우는 모든 출가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일반 재가자는 화장의 경우에 기념탑까지 조성했던 사례가 나타난다. 붓다의 장례는 한역 『유행경(遊行經)』과 이에 상응하는 Mahāparinibbāna Sutta의 빠알리 경전에서 화장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붓다의 장례는 전륜성왕의 장례법에 준할 것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장례는 출가자가 아닌 재가자가 전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붓다의 다비식은 일종의 공양의식으로 축제처럼 묘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같은 다비 전통은 현재에도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불교국가에서 축제처럼 재연되고 있다. 또한 나라마다 다비의식의 규모나 내용이 약간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유행경』과 『대반열반경』에 나타난 부처님의 다비 화장은 불교가 전해진 모든 문화권의 화장 다비와 사리숭배의 근거가 된 것이다. 모든 불교국가에서 다비의식은 입멸자에 대한 최고로 경의를 표하는 장엄한 장례법의 표본이 된 것이다. Throughout human history, there have been many ways to dispose of corpses. Among them, cremation is one method. This paper discussed cremation among the funeral methods foun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For this purpose, we looked at how cremation appears in the Vinaya Piṭaka and Sutta Piṭaka of early Buddhism. At the time of the rise of Buddhism, funeral methods were generally divided into four types: cremation, burial at river, burial under earth, and burial under grass, or wild funeral. The Buddha suggested this funeral method to be performed at the time of death of bhikkhus. However, the Buddha recommends cremation as the best funeral. When a bhikkhu dies, the body should not be dumped on the side of the road or in the cool grove charnel ground(sītavana), but should be cremated if possible. The Buddha suggests the next best methods for the funeral of a bhikkhu, such as cremation(fire funeral) ⇨ burial at river ⇨ burial under earth ⇨ burial under grass and plant or wild funeral,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In the funeral methods of monks, the Buddha did not insist on only one funeral method of cremation. Also, in the early scriptures, the first beings qualified to build a stupa(memorial towers) are Tathagata, the second is paccekabuddha(sk. pratyekabuddha), the third is disciples of the Buddha, and the fourth is the Wheel-turning King. Here, it appears that disciples of the Buddha who can build stupas are limited to highly virtuous monks who have achieved ‘complete nirvana.’ As such, the case where a stupa can be erected after a funeral rites does not apply to all monk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laymen/laywomen even built memorial towers(stupa) in case of cremation. The Buddha's funeral appears as a cremation in the Mahāparinibbāna Sutta in the Chinese and Pali versions. Here, The Buddha's funeral is presented as following the funeral rites of the wheel-turning king. And it appears that laymen/laywomen, not monks or monks, are in charge of funerals. Additionally,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is described as a kind of festival-like offering ceremony. For this reason, this cremation tradition is still being reenacted like a festival in Buddhist countrie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cale and content of cremation rituals differ slightly from country to country, the cremation of Buddha in the Chinese translation and the Pali version of the Mahāparinibbāna Sutta has become the basis for funeral rites and worship of sacred relics in all Buddhist cultural areas where Buddhism was introduced. In all Buddhist countries, the cremation ceremony has become a model of solemn funeral practices that show the highest respect for the deceased.

      • 불교 장례 의문에 밴 언어의 미학

        이성운 ( Lee Sung-woon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귀환의 몸짓인 불교의 화장을 뜻하는 다비와 풍장의 시다림 문화가 합해졌다고 보이는 한국의 불교 장례 의문인 다비문은, 대부분 16세기 중반 이후의 자료이다. 다비 절차 가운데 발인 이후의 의식을 떠남의 몸짓으로, 육신을 불태우고 산골하는 의식을 되돌림의 몸짓으로 분류하여 의문의 미학을 살펴보았다. 발인 이후 떠남의 몸짓은 극락세계로 나아가라는 데 초점이 있으며, 떠나는 출발지를 ‘만타청산(萬朶靑山)’ ‘일간홍일(一竿紅日)’으로 대비하는 등 문예 미학으로 깨달음의 법문을 잇고 있으며, “곳곳의 푸른 버들 말을 맬 만하고, 집집마다 문밖은 장안 가는 길”이라고 하는 데서 미학을 맛볼 수 있다. 화장하여 유골을 태우고 부숴 오방으로 뿌려 본래 자리로 돌려보내는 되돌림의 몸짓에도 아름다움은 널려 있다. “삼계의 혼미한 꿈 깨어나 몸 바꿔 법왕 성에 이르소서.”라거나, “번뇌의 고통을 벗고 쌍림 열반의 즐거움을 얻으라”, “오대산 허공 속에서 흰 구름으로 유유히 떠돈다”라고 하며 자유자재를 노래하는 데 아름다움이 넘실댄다. Most of the ritual orations for the Korean Buddhist funeral, Dabimun, which seems to be a combination of Sidarim(Requiem) culture of Dabi meaning cremation and its aerial burial, date from after the mid-16th century. This paper considers the aesthetics of its ritual oration, with the ritual after the departure of the funeral service classified as a gesture of leaving, and the ritual of burning the body and dispersion of ashes as one of returning. The ritual after departure of a funeral procession classified as a gesture of leaving focuses on going to the world of paradise, which shows the teachings of enlightenment through literary aesthetics, such as contrasting the departure point with 'a green mountain with numerous branches hanging down(萬朶靑山)' and 'red sun caught on a fishing rod(一竿紅日)'. The aesthetics can be seen in the sentences that “there are green willows here and there that can be used to tie horses, and that outside the door of every house is the road to Changan.” We can find beauty in the gesture of returning, such as cremation, burning and crushing the remains, scattering them to the five directions, and returning them to their original places. It is full of beauty in singing of perfect freedom, with the lyrics that “May you awaken from the delusive dream of the Three Realms, change your body into a new one, and reach the palace of Dharma-King”, that “get rid of the pain of suffering and gain the joy of entering parinirvana under the twin Sara tree,” and that “become a white cloud and wander leisurely in the air of Odae mountain.”

      • 비구니 교계인의 자질에 관한 고찰

        이수창 ( Lee Soo-chang ) 세계불학원 2024 세계불학 Vol.4 No.0

        이 논문은 ‘비구니 교계인(比丘尼敎誡人, bhikkhunovādaka)’의 자질에 관해 논한 것이다. 모든 율장의 바일제법(波逸提法, pācittiyā-dhammā) 제21조 「교계니계(敎誡尼戒)」에서 비구니를 교계(敎誡, ovāda) 할 수 있는 ‘비구니 교계인’의 자질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각 율장에 따라 이 계를 제정하게 된 배경과 원인은 물론 ‘비구니 교계인’이 갖추어야 할 자질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도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빨리율』 바일제법 제21조에 나타난 ‘비구니 교계인’의 자질에 관한 학자들의 번역과 해석도 각기 다르다. 필자의 연구에 따르면, 『빨리율』에 나타난 ‘비구니 교계인’이 갖추어야 할 여덟 가지 자질은 다음과 같다. 즉 ⑴ 지계자(持戒者), ⑵ 다문자(多聞者), ⑶ 이부(二部) 바라제목차를 암송하고 해석할 수 있는 자[善能誦解二部戒], ⑷ 좋은 음성으로 설법을 잘하는 자[善能說法者], ⑸ 비구니들에게 설법하여 기쁘게 해줄 수 있는 자[堪與比丘尼衆說法勸令歡喜], ⑹ 비구니를 교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자[能善比丘尼敎誡具足者], ⑺ 출가 이후 중대한 법을 범한 적이 없는 자[不爲出家而犯重法], ⑻ 법랍이 20세 혹은 20세 이상인 자[滿二十歲, 若過二十歲]이다. 또한 여러 율장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비구니 교계인’의 자질은 다음과 같다. 즉 ⑴ 지계자(持戒者), ⑵ 다문자(多聞者), ⑶ 만이십세 이상(滿二十歲 以上), ⑷ 선능설법(善能說法), ⑸ 선능송해이부계(善能誦解二部戒) 등이다. 여기에 하나를 더 추가한다면, “일찍이 몸으로 필추니를 더럽히지 않은 자[不曾以身汚比丘尼]”이다. 왜냐하면 출가 이후 사미·사미니·비구니를 더럽힌 자는 ‘비구니 교계인’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In Article 21 of the pācittiyā-dhammā of all Vinaya Piṭaka, the attributes of bhikkhunovādaka (exhorter of nuns) who is entitled to teach nuns are mentioned. However, according to each Vinaya Piṭaka, not only the background and reasons for enacting this precept but the detailed qualities that a ‘bhikkhunovādaka’ must have appear differently. In addition, scholars translate and interpret the qualifications of ‘bhikkhunovādaka’ written in Article 21 of the pācittiyā-dhammā of the Vinaya Piṭaka in Pāli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uthor's research, the eight qualities that a ‘bhikkhunovādaka’ must have as documented in the Vinaya Piṭaka in Pāli are as follows. ⑴ One who keeps precepts (持戒者), ⑵ One who has much learning (多聞者), ⑶ One who can recite and interpret the two paṭimokkhas (善能誦解二部戒), ⑷ One who can preach the Dharma with a good voice (善能說法者), ⑸ One who can make nuns happy by giving sermons to them (堪與比丘尼衆說法勸令歡喜), ⑹ One who has the ability to teach nuns (能善比丘尼敎誡具足者), ⑺ One who has not violated any serious laws since he was ordained a monk (不爲出家而犯重法), and ⑻ One who is 20 years old or over (滿二十歲, 若過二十歲). In addition, the qualities of ‘bhikkhunovādaka’ that appear in common in various Vinaya Piṭaka are as follows. ⑴ One who keeps precepts (持戒者), ⑵ One who has much learning (多聞者), ⑶ One who is over 20 years old (滿二十歲 以上), ⑷ One who can well preach the Dharma (善能說法者), and ⑸ One who can recite and interpret the two paṭimokkhas (善能誦解二部戒), etc. If we add one more thing here, it will be “One who has never defiled bhikkhuni’s body (不曾以身汚比丘尼).” This is because a person who defiles a novice (sāmaṇera), a female novice (sāmaṇerī), or a nun (bhikkhunī) after being ordained a monk cannot become ‘bhikkhunovādaka.’ Finally, this paper is the first in Korea to discuss the qualities of a bhikkhunī. This is because even scholars who specialize in the Vinaya Piṭaka do not know exactly what the eight qualities of a ‘bhikkhunovādaka’ are. Furthermore, in Korea, senior monks who hold important positions in the sect are often asked to teach or preach to bhikkhunīs. This paper is not intended to express the author's original views. It is intended to accurately present the eight qualities of a ‘bhikkhunovādaka’ and to prevent the harm caused by those who do not possess these qualities from preaching or teaching Nuns. I hope this paper will be of some help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bhikkhunī saṅg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