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22년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컨설팅 보고서

        김세인,나은영,이승연,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2 정신건강연구집 Vol.12 No.-

        ▪Study Purpose: This survey was done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and the current state of intensive case management service by focusing on the 25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in Seoul for discussing the project issues and evaluation of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and for using them as the basic material for proposing the Seoul mental health policy. ▪Research Method: This surve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case management of Seoul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on the basis of the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MHIS) statistical data by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of each autonomous district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1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intensive case management of Seoul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on the basi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Intensive Case Management (ICM) service collected through the document survey by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of each autonomous district from January 2021 to December 2021. (※ This survey was done on the current state for the last year, and the results on the part of analysis content were recorded in this study collection.) ▪Study Results: The 25 Seoul autonomous district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in Seoul handled total 250,057 general counseling (submission counseling) cases (10,002 cases in average) in 2021 resulting in the year-to-year increase by 87,713 cases (3,509 cases in average). The depression-related counseling cases take up the large portion of 35.1%. Counseling was done mainly with the type of telephone counseling (66.0%). Information provision (55.4%) takes up the large portion as the major measure. Registered members total 9,926 persons (397 persons in average). The members for maintenance or above total 5,818 persons (58.6%). The F30 code subjects take up the largest portion of 44.1%. New registered members total 2,694 persons (108 persons in average), and the new registration rate is 27.1%. Withdrawing members total 2,393 persons (96 persons in average). For the reason for withdrawal, the withdrawal caused from service end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of 54.3%. Linked members total 2,105 persons (84 persons in average), and it was performed mainly with linkage with an arbitrary program (78.5%). Individual counseling totals 191,030 cases (7,641 cases in average), and resource adjustment totals 17,894 cases (716 cases in average). For the ISP project category, severe mental illness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of 73.2%. Meeting totals 2,500 cases (80 cases in average). Networks such as seminars, advice, MOU, trip, etc. total 1,132 cases (45 cases in average). The total persons having received intensive case management consist of 9,402 subjects and 2,441 case managers. A case manager managed 3.9 subjects. The largest portions of the reasons for selection and end are 38.4% for unstable chronic mental illness subjects and 78.8% for management category change. The average intervention periods increased every year from 175.2 days for 2019 to 202.1 days for 2020 and 205.1 days for 2021.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the project performance of the 25 autonomous district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in Seoul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by analyzing the cas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the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MHIS) and Intensive Case Management (ICM).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ystematic and administrative supports and core function and role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of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doing the central role of a community mental health project and prepare the various policies for creating the proper circulation system and service environment. ▪Keywords: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Intensive Case Manage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연구목적: 본 조사는 서울 지역 25개 자치구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정신건강 사례관리 현황과 집중사례관리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사업 현안 및 평가를 논의하고 서울시 정신건강 정책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 등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조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각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별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MHIS)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시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사례관리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202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서면조사를 통해 수집된 각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별 집중사례관리 서비스(ICM) 현황을 기반으로 서울시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집중사례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 본 조사는 전년도 현황을 조사한 것이며, 분석 내용 일부에 대한 결과를 본 연구집에 수록하였다.) ▪연구결과: 2021년 서울시 25개 자치구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일반상담(접수상담)은 총 250,057건(평균 10,002건)으로 전년 대비 87,713건(평균 3,509건) 증가하였으며, 우울증 관련 상담 건이 35.1%를 차지하며 높게 나타났다. 상담은 주로 전화상담(66.0%)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주요 조치는 정보 제공(55.4%)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등록회원은 총 9,926명(평균 397명)으로 유지관리 이상인 회원은 5,818명(58.6%)으로 나타났으며, F30 코드 대상자가 44.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신규 등록회원은 총 2,694명(평균 108명)으로 신규 등록률은 27.1%로 나타났으며, 퇴록 회원의 경우 총 2,393명(평균 96명)으로 나타났다. 퇴록 사유는 서비스 종결로 인한 퇴록이 54.3%로 가장 높았다. 연계 회원은 총 2,105명(평균 84명)으로 나타났고, 주로 임의프로그램 연계(78.5%)로 진행되었다. 개별상담은 총 191,030건(평균 7,641건) 진행되었고, 자원조정은 총 17,894건(평균 716건) 진행되었다. ISP 사업 구분은 중증 정신질환이 73.2%로 가장 높았으며, 회의는 총 2,005건(평균 80건), 세미나, 자문, MOU, 견학 등 네트워크는 총 1,132건(평균 45건)으로 나타났다. 집중사례관리 연인원은 대상자 9,402명, 사례관리자 2,441명으로 사례관리자 1인당 대상자 3.9명을 관리하였으며, 선정 사유는 불안정한 만성 정신질환 대상자 38.4%, 종결 사유는 관리 구분 변경이 78.8%를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균 개입 기간은 매년 증가하여 2019년 175.2일, 2020년 202.1일, 2021년 205.1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MHIS) 및 집중사레관리 서비스(ICM) 기반의 사례관리 서비스 분석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속에서 서울시 25개 자치구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사업 수행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의 중심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전문 인력에 대한 제도적·행정적 지원, 핵심 기능 및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적절한 환류 체계 및 서비스 환경 조성 마련을 위한 다양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주요용어: 정신건강사례관리,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 집중사례관리, 정신건강복지센터

      • 서울시 정신응급대응 현황조사 보고서(2022년)

        이중수,조연정,양선혜,김지영,이승연,이해우,나은진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3 정신건강연구집 Vol.13 No.-

        • 조사목적: 본 조사는 서울지역 정신응급 데이터를 통해 정신응급 근거자료를 생성하고자 25개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와 보건소, 서울경찰청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행하였으며, 2022년 조사에서는 서울시 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에서의 정신응급대응 현황이 추가되어 서울시의 24시간 정신응급대응 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조사방법: 조사대상에 따라 별도 문항을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첫째, 정신응급 대응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자치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에 조사표를 발송하여 202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의 정신응급대응 현황을 익월마다 서면 모니터링하였고, 둘째, 서울경찰청 생활질서계 정신질환자 보호조치부서에 2023년 4월 서면조사를 실시하여 2022년 연간 응급입원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셋째,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데이터정보운영팀에서 실시한 ‘서울시 정신건강 관련 기관 및 서비스 현황조사’를 통해 자치구 보건소의 정신응급대응 업무 관련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넷째, 서울시 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 개소 시점인 2022년 10월 17일부터 2022년 12월까지의 정신응급대응 실적을 분석하였다. • 조사결과: 2022년 연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평일 주간 정신응급 출동 현황은 총 1,060건으로 ’21년 1,268건 대비 감소하였다. 출동 요청 기관 중 행정기관이 767건(72.4%)으로 가장 많으며, 그 중 경찰 요청이 655건(85.4%)으로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21년과 동일한 추세이다. 응급개입 소요시간은 평균 2시간 45분, 최장 9시간 18분이며, 1시간 이상~3시간 미만이 613건(57.8%)로 가장 많았다. 이는 작년 평균 소요시간 3.8시간보다 1.05시간 단축되었다. 전체 응급출동 건 중 출동인력 2인이 출동한 건수는 909건(85.8%)이며, 1인 출동의 경우도 151건(14.2%)으로 나타났다. 이는 ’21년 2인 출동인력 비중 83.1%보다 2.7% 상승한 수치이다. 개입 대상자는 남성(51.6%), 50대(24.3%), 건강보험(48.6%)이 많았으며, 정신건강 문제로는 조현병이 426건(40.2%), 기타 우울 225건(21.2%), 알코올 및 물질중독문제 194건(18.3%)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자살 문제가 있는 경우는 452건으로 42.6%를 차지한다. 이는 ’21년과 비교하였을 때 비중 차이가 다소 있으나 동일한 개입 대상자 특성 순 을 보이고있다. 정신건강복지센터 미등록 대상자인 경우가 843명(79.5%)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있 다. 정신응급 출동의 주요조치는 정보제공이 324건(30.6%), 응급입원 연계 214건(20.2%) 순으로 나타났다. 정신과적 입원연계 건은 총 436건으로 서울지역 내 입원된 건은 248건(56.9%), 서울 외 지역 입원연계 건은 186건(42.7%)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21년과 비교하였을 때, 서울 내 입원 51.6% 대비5.3% 증가한 수치이다. 서울경찰청의 응급입원 모니터링 현황을 보면 정신응급 신고 건 중 응급입원건이 ’21년 881건에서 ’22년 1,162건으로 증가하였다. ’22년 1,162건 중 953건(82.0%)이 응급입원이 수용된 건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1년 77.3% 대비 2.7% 높아진 수치이다. 응급입원 불가사유는 ’21년 진료 후 퇴원(137건, 68.5%) > 병상부족(33건, 16.5%) 주요원인으로 나타난 것에 비하여, ’22년에는 병상부족(68건, 32.5%) > 타 질환(48건, 23.0%) > 진료 후 퇴원(37건, 17.7%) 순으로 나타났다. 25개 자치구 보건소의 진단 및 보호신청 건은 2022년 한 해 741건, 외래치료지원제 청구 및 결정 건은 각 0건으로 조사되었다.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비 지원은 ’21년 연인원 874명에서 ’22년 연인원 1,121명으로 247명 증가하였고, 주요 증가 요인은 발병초기 치료비의 연인원이 ’21년 대비 ’22년에 185명(65%) 상승하였고, 응급입원 치료비 지원 연인원은 ’21년 대비 ’22년에 135명(52%) 상승하였다. 서울시 24시간 정신응급대응 현황을 보면 2022년 주간(22.10.–22.12)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요청된 정신응급 의뢰는 252건, 야간 및 공휴일(22.10.17.-22.12.) 442건 총 694건으로, 의뢰 건수는 주간(252건)< 야간·공휴일(442건)으로 야간·공휴일에 의뢰 건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출동 건수는 주간(114건) > 야간·공휴일(114건)으로 주간에 출동 건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328건 미출동 의뢰 중 전화 안내를 통한 ‘현장 자체처리’ 55.8%, ‘단순 보호조치대상자’ 37.5% 등 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 전화 상담을 통한 현장 지원, 개입 대상이 아닌 경우들로서 이러한 이유로 야간 및 공휴일에는 의뢰 건수 대비 출동 건수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월별로 평일 주간과 야간 및 공휴일의 출동 비중의 평균은 주간 6.5 : 야간·공휴일 3.5로 균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주간 응급개입소요시간은 3시간 미만인 경우가 132건(63.4%) 차지, 야간·공휴일에는 39건(34.2%)로 나타나고 있다. 주간보다 야간·공휴일에 개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결론: 이번 조사를 통해 첫째, 정신응급대응 시 정신건강복지센터와 경찰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외래치료 지원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제도 및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입원치료를 위한 정신과 병상 확보를 해야한다. 더하여 서울시 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의 운영으로 공백 없는 24시간 정신응급 대응을 실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주간/야간·공휴일에 월 평균 6.5:3.5의 비중으로 출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주간보다 야간·공휴일에 개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야간·주말의 정신응급 대응을 통해 정신응급 현황 정보를 축적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관 간의 정신응급 대응체계 구축, 정신응급 대상자에 대한 정신건강 서비스 유입 방안 마련 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 주요용어: 정신응급, 정신응급대응체계, 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시 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 지역사회 정신응급대응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local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nd public health centers of 25 districts and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gather evidence-based data on psychiatric emergencies in Seoul. In 2022, the survey expanded its scope to include the assessment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tatus at the newly established Seoul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enter. This expansion allowed fo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24-hour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ystem in Seoul. ▪Methods: Distinct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for each survey subject. First, a survey sheet was dispatched to the local mental health centers in the districts responsible for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tasks. This involved monthly monitoring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tatus from January to December 2022. Second, a documentary survey on the Life Order Sec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the department handling a protective action on a mental patient, in April 2023 to collect the annual emergency hospitalization monitoring data for 2022. Third, the currents status on the work on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of community health centers of autonomous distric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agencies and services in Seoul’ done by the Data & Information Management Team of the Seoul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Fourth,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overing the period from October 17, 2022, when the Seoul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enter opened, through December 2022. ▪Findings: In 2022, there were a total of 1,060 weekday psychiatric emergency calls made to local mental health centers, a decrease from the 1,268 calls received in 2021. Among the organizations making these requests, administrative bodie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with 767 calls (72.4%), while the police made up the largest proportion, contributing 655 calls (85.4%). This trend closely mirrored that of 2021. The average duration of emergency interventions was 2 hours and 45 minutes, with the longest intervention extending to 9 hours and 18 minutes. A significant portion, 613 cases (57.8%), fell within the range of 1 to less than 3 hours. This average duration was notably 1.05 hours shorter than the previous year’s average of 3.8 hours. Of the total number of emergency calls, 909 (85.8%) received responses from a two-person crew, while 151 (14.2%) were attended to by a single individual. This marked a 2.7%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where 83.1% of the responses were carried out by two-person team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in need of intervention, a higher proportion were male (51.6%), in their 50s (24.3%), and possessed health insurance (48.6%). The mental health issues encompassed 426 cases of schizophrenia (40.2%), 225 cases of other forms of depression (21.2%), and 194 cases related to alcohol and drug addiction (18.3%). Notably, 452 cases were related to suicidal behaviors, accounting for 42.6% of the cases. This distribution exhibited a slight difference compared to 2021 but maintained similar intervention target characteristics. An important observation is that 843 cases (79.5%) were not registered at a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dicating a significant portion of individuals in need of assistance were not previously engaged with such centers. The main actions taken by psychiatric emergency dispatch services were as follows: providing information in 324 cases (30.6%), initiating emergency hospitalization in 214 cases (20.2%), a total of 436 psychiatric hospitalizations were recorded, with 248 cases (56.9%) and 186 cases (42.7%) occurring in and outside of Seoul, respectively. This marked a 5.3% increase compared to the 51.6% hospitalization rate in Seoul in 2021. Accord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s monitoring of emergency hospitalizations, the number stemming from psychiatric emergency calls increased from 881 in 2021 to 1,162 in 2022. Of the 1,162 cases in 2022, 953 cases (82.0%) were approved for emergency hospitalization, reflecting a 2.7% increase from the 77.3% rate in 2021. The main reasons for emergency hospitalization shifted from discharge after treatment (137 cases, 68.5%) and a lack of available beds (33 cases, 16.5%) in 2021 to a lack of beds (68 cases, 32.5%), other conditions (48 cases, 23.0%), and discharge after treatment (37 cases, 17.7%) in 2022. In 2022, the number of diagnosis and protection applications at 25 borough health centers reached 741, while the number of claims and decisions within the outpatient treatment services was reported as 0. Significantly, treatment assistance for mental illness increased by 247 individuals, rising from 874 individuals in 2021 to 1,121 in 2022. The main increases were attributed to a rise of 185 individuals (65%) receiving initial treatment assistance from 2021 to 2022 and an increase of 135 individuals (52%) receiving emergency hospitalization assistance during the same period. In terms of Seoul’s 24-hour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tatus for 2022, the data revealed 252 psychiatric emergency referrals to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during daytime hours (from October 10th to December 12th) and 442 referrals during nighttime hours and holidays (from October 17th to December). This added up to a total of 694 referrals. Interestingly, while the number of referrals was higher during the daytime (252) compared to nighttime and holidays (442), the number of dispatches showed a different trend. During the daytime, there were 114 dispatches, which was higher than the 114 dispatches during nighttime and holidays. The discrepancy in dispatch numbers was primarily due to the nature of the referrals. Among the 328 referrals that were not dispatched, 55.8% were related to “on-site self-treatment” through telephone guidance, and 37.5% were for “simple protective measures.” These cases did not qualify for on-site support or intervention through telephone consultation with the Seoul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enter, resulting in fewer dispatches during nighttime and holidays. When examined on a monthly basis, the average ratio of dispatches on weekdays to those on nights and holidays was 6.5 for weekdays and 3.5 for nights and holidays. This indicated that more dispatches occurred during the daytime and on weekdays. Additionally, during the daytime, 132 emergency interventions (63.4%) required less than 3 hours, whereas during nighttime and holidays, 39 interventions (34.2%) took longer. Th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times tended to be longer during nighttime and holidays compared to daytime hours.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several key actions are required: First, there is a need to enhance collaboration betwee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nd the police for an improved response to psychiatric emergencies. Secon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ystem and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outpatient treatment support for individuals facing mental health challenges. Third,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securing sufficient psychiatric beds for inpatient treatment to meet the demands of individuals in mental health crises. Furthermore, the Seoul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enter effectively provides 24-hour mental emergency response without any gaps. Dispatches occur at a monthly average ratio of 6.5:3.5 during the day, night, and holidays, with intervention times being longer during nighttime and holidays compared to daytime hours. The Seoul Mental Health Center continues to accumul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us of psychiatric emergencies during nighttime and weekends. Building on this data, the center plans to persist in its effort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ystem across agencies and develop a strategy to provide mental health services to those in need during psychiatric emergencies. ▪Keywords: psychiatric emergency,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ystem, mental health center, Seoul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ommunity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 서울시 정신응급대응 현황조사 보고서(2021년)

        김지은,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2 정신건강연구집 Vol.12 No.-

        ▪조사목적: 서울지역 정신응급 현황자료를 수집하고자 25개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및 보건소, 서울경찰청 데이터를 토대로 근거자료를 생성하고, 체계적인 정신응급 대응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19년부터 매년 정신응급대응 현황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조사방법: 조사대상에 따라 별도 문항을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정신응급 대응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자치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에 조사표를 발송하여 202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정신응급대응 현황을 익월마다 서면 모니터링하였고, 둘째, 서울경찰청 생활질서계 정신질환자 보호조치 담당부서에 2022년 5월 서면조사를 실시하여 2021년 연간 응급입원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셋째,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데이터정보운영팀에서 실시한 ‘서울시 정신건강 관련 기관 및 서비스 현황조사’를 통해 자치구 보건소의 정신응급대응 업무 관련 현황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2021년 연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평일주간 정신응급 출동 현황은 총 1,268건으로 ‘19년 1,204건, ’20년 1,038건 대비 증가하였다. 출동 요청 기관 중 행정기관이 946건(74.6%)으로 가장 많으며, 그 중 경찰 요청이 735건(77.7%)으로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응급개입 소요시간은 평균 3.8시간, 최장 16시간이며, 1시간 이상~3시간 미만이 731건(57.6%)로 가장 많았다. 전체 응급출동 건 중 출동인력 2인이 출동한 건수는 1,054건(83.1%)이며, 1인 출동의 경우도 214건(16.9%)으로 나타났다. 개입 대상자는 남성(53.2%), 50대(25.7%), 건강보험(45.8%)이 많았으며, 정신건강 문제로는 조현병이 487건(38.4%), 기타 우울 297건(23.4%), 알코올 및 물질중독문제 230건(18.1%)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자살 문제가 있는 경우는 518건으로 40.9%를 차지한다. 정신건강복지센터 미등록 대상자인 경우가 1,044명(82.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추후 모니터링을 통해 37명(3.5%)만이 신규등록되어 정신건강서비스를 받게되었다. 정신응급 출동의 주요조치는 정보제공이 347건(27.4%), 응급입원 연계 216건(17.0%) 순으로 나타났고, 정신과적 입원연계 건은 총 477건으로 서울지역 내 입원된 건은 246건(51.6%), 서울 외 지역 입원연계 건은 230건(47.9%)로 조사되었다. 서울경찰청의 2021년 정신응급 신고 건 중 응급입원건 881건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는데, 이 중 681건(77.3%)이 응급입원이 수용된 건으로 나타났으며, 응급입원 불가사유로는 진료 후 퇴원(137명,68.5%), 병상부족(33명,16.5%)이 주요원인으로 나타났다. 응급입원은 서울시 내에서 442명(64,9%) 시행되었고, 응급입원 발생 시간은 평일 주간이 295건(52.5%)으로 가장 높았다. 25개 자치구 보건소의 진단 및 보호신청 건은 2021년 한 해 678건, 외래치료지원제 청구 및 결정 건은 각 19건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치구마다 편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평일주간 정신응급 현장대응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서울 내 응급병상 부족 및 이로 인한 응급개입 소요시간 증가, 전문요원 출동인력 부족, 미등록자의 신규등록 등 서비스 유입의 한계 또한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정신응급 관련 데이터는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일차반응자(경찰, 소방) 등 기타 유관기관에 산재되어 있으며, 국가데이터는 개인정보보호를 이유로 제공 받기 어려운 환경이다. 이에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수집 가능한 정보를 중심으로 2019년부터 정신응급대응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해오고 있으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 서울시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 운영을 시작으로 평일 야간, 주말 및 휴일의 정신응급대응 현황까지 확대하여 데이터를 축적하고 근거를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서울시 전체의 응급발생 규모 파악, 정신응급 상황의 원활한 대응, 지역 관리체계 구축 기반 마련 등 이에 수반되는 문제와 개선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주요용어: 정신응급, 정신응급대응체계,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 정신응급대응 ▪Survey Purpose: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in Seoul, the base data are created on the basis of the data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and community health centers of the 25 districts and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In order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the systematic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a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has been done every year since 2019. ▪Survey Method: Separate questions were composed depending on survey subjects to do the survey. First, a questionnaire was sent to the community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of an autonomous district doing the work on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to perform documentary monitoring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every month from January 2021 to December 2021. Second, a documentary survey on the Life Order Sec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the department handling a protective action on a mental patient, in May 2022 to collect the annual emergency hospitalization monitoring data for 2021. Third, the currents status on the work on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of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of autonomous distric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agencies and services in Seoul’ done by the Data & Information Management Team of the Seoul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Survey Results: The current state of the annual weekday daily psychiatric emergency actions of community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2021 is total 1,268 cases showing increase compared to the 1,204 cases for 2019 and the 1,038 cases for 2020. Among the action request agencies, administrative agencies take up the largest portion of 946 cases (74.6%), and police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of 735 cases (77.7%). The time needed for emergency intervention is the average time of 3.8 hours and the longest time of 16 hours. The time of no less than 1 hour and less than 3 hours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of 731 cases (57.6%). Among the total emergency action cases, the actions taken by two action staffs takes up the portion of 1,054 cases (83.1%), and the actions taken by one action staff takes up the portion of 214 cases (16.9%). The largest portions of intervention subjects are male (53.2%), fifties (25.7%), and health insurance (45.8%). For mental health problems, schizophrenia, depression, and alcohol and substance addiction take up the portions of 487 cases (38.4%), 297 cases (23.4%), and 230 cases (18.1%) in order. Among them, suicide takes up the portion of 518 cases (40.9%). The unregistered subjects of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take up the large portion of 1,044 persons (82.3%). Only 37 persons (3.5%) were newly registered through monitoring later to receive the mental health service. The major measures of psychiatric emergency actions take up the portions of 347 information provision cases (27.4%) and 216 emergency hospitalization linkage cases (17.0%) in order. According to the survey, psychiatric hospitalization linkage cases are total 477 cases including the 246 cases (51.6%) of hospitalization within the Seoul region and the 230 cases (47.9%) of hospitalization linkage with the regions outside Seoul. According to the monitoring performed for the 881 emergency hospitalization cases among the cases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port to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for 2021. The emergency hospitalization acceptance cases are 681 cases (77.3%), and the major reasons of impossible emergency hospitalization are discharge after treatment (137 persons, 68.5%) and lack of sickbeds (33 persons, 16.5%). Emergency hospitalization was performed for 442 persons (64.9%) in Seoul. The highest emergency hospitalization occurrence time is weekday daytime in 295 cases (52.5%).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re 678 medical examination and provide care request cases of the 25 autonomous district medical centers and 19 Support for Outpatient Treatment request and determination cases respectively. Deviation could be checked for each autonomous distric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weekday daytime psychiatric emergency on-site response is increasing every year with the shortage of emergency sickbeds in Seoul and the increase of the time required for relevant emergency intervention, with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and action staffs, and with the limitation of service inflow such as the new registration of unregistered persons. The data related to psychiatric emergency are dispersed in other relevant agencies such as first responders (police and fire stations). It is difficult to receive national data due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ly, focusing on collectable information, the Seoul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has accumulated the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s since 2019 and will accumulate data with the basis generated through the expansion to the current state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s during weekday nights, weekends, and holidays with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Seoul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 Seoul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enter’. Accordingly, it is supposed to steadily discuss the accompanying issues and improvement plans including the monitoring on the total emergency occurrence scale in Seoul, the smooth response to psychiatric emergency situations, and preparation of the basis for building the regional management system. ▪Keywords: Psychiatric emergency,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ystem,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community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 2023년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컨설팅 결과보고서

        김세인,김민성,이승연,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3 정신건강연구집 Vol.13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고 전문적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현안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조사 및 근거 자료를 바탕으로 정신 건강 환경변화에 맞춰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운영 전반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가 정신건강 정책 방향성 및 서울시 정신건강 및 자치구별 현황을 기반으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사례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KOSIS 국가통계포털 등을 활용한 기본 현황뿐만 아니라 자치구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별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MHIS) 현황, 집중사례관리서비스(ICM) 현황 등 정신건강복지센터 중심의 환경 및 현황 전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2022년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일반상담(접수상담)은 총 185,274건(평균 7,411건)으로 전년 대비 50,417건(평균 2,017건) 감소하였다. 전년과 동일하게 우울증 관련 상담이 가장 높았으며, 전화 상담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재난 상담의 영향으로 정보제공 비율이 가장 높았던 전년과 달리, 2022년에는 지속상담이 47.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등록회원은 총 9,775명(평균 391.0명)으로 20대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일반상담(접수상담)과 달리 50대가 21.2%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F30코드의 비율이 45.5%로 가장 높았으며 전년 대비 많은 증감(1.4%p▲)을 보였다. 신규 등록회원은 2,643명(평균 105.7명)으로 신규 등록률은 27.0%로 나타났으며, 연계 회원은 2,032명(평균 81.3명)으로 연계율은 20.8%로 나타났다. 퇴록회원은 2,788명(평균 111.5명)으로 퇴록율은 22.2%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종결로 인한 퇴록이 57.1%로 가장 높았고, 세부 사유로는 본인 희망이 52.0%로 가장 높았다. 개별상담은 총 165,195건(평균 6,607.8건) 진행되었고, 이 중 대면상담 건수는 72,298건으로 전체 상담 건수 중 43.8%를 차지하였다. 연간 1회 이상 ISP를 수립하지 않은 대상자는 334명(평균 13.4명)으로 전체 등록회원 중 3.4%를 차지,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회원은 대부분 ISP를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ISP 수립 실인원 11,282명(평균 451.3명) 중 관리 구분 기간을 초과한 대상자는 3,039명(평균 121.6명)으로 26.9%를 차지하였다. 집중사례관리 서비스(ICM) 연인원은 대상자 10,460명(평균 418.4명), 사례관리자 2,701명(평균 108.0명)으로 사례관리자 1인당 대상자 3.9명을 관리하였다. 선정 사유는 불안정한 정신질환자가 1,022명(평균 40.9명)으로 51.9%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으며, 기능 향상으로 인한 종결이 640명(평균 25.6)으로 47.6%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다. 평균 개입 기간은 200.0일(약 6.7개월)로 나타났다. ▪결론: 정신건강 사업 관련 국가 동향 및 서울시 현황을 기반으로 2022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제공된 일반상담(접수상담), 등·퇴록 회원, 직접 서비스 등 MHIS 현황, ICM 현황 등을 중심으로 서울지역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일반상담(접수상담) 대상자는 주로 2·30대가, 등록회원은 주로 50대가, 신규 등록회원은 1·20대가 많은 특징을 보이며, 최근 주요 관심 이슈 중 하나인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 등을 위해 비교적 젊은 층의 신규 등록 대상자가 많은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일반상담(접수상담) 정신건강 문제 종류는 우울증이, 등록된 회원의 진단 코드는 F30코드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한 점 역시 특징적으로 보이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감소되었던 대면상담의 비율이 조금씩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신건강 관련 이슈의 증가 및 지속적인 정신 응급상황 발생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불안정한 인력 현황은 지속적인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특히 최근 이상 동기 범죄와 정신건강 문제를 연결 짓는 등 관련 이슈가 다양해지면서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역할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지역사회 내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본연의 업무인 정신질환자 대상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과 정신건강 위기 상황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문 기관에서 연계되는 대상자의 유입체계를 단일화하고 전문적인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후 증상이 안정화되면 지역에서 다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주요용어: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사례관리, 집중사례관리 ▪Purpose: This study examined current issues to ensure the stable operation of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while upholding their professional functions. Utilizing various surveys and evidence, this study aimed to support the overall functioning of these centers by assessing the current state of such welfare centers in alignment with the evolving mental health landscape and providing insights into future directions. ▪Methods: We analyzed the case management status of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Seoul spanning the years 2021 to 2022. This analysis was based on the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 directives and considered the mental health status and the specific dynamics of autonomous districts within Seoul.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fundamental statistical data provided by the KOSIS national statistics portal, the study encompassed an assessment of the broader environment and the status of such centers. This included the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system (MHIS) and the intensive case management service (ICM) provided by autonomous district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 Findings: In 2022, basic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recorded a total of 185,274 general consultations, which are intake consultations. On average, there were 7,411 consultations conducted throughout the year. This marked a decrease of 50,417 consultations (average of 2,017)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Similar to the previous year, consultations related to depression remained the most common. Telephone consultation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se interactions. However, in contrast to the previous year, when information provision was the most frequent owing to disaster counseling, in 2022, ongoing counseling was most prevalent, comprising 47.8% of the total consultations. There were 9,775 registered members, with an average of 391.0 members per center. Unlike general counseling (intake counseling), where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was among individuals in their 20s, in 2022, the rate was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50s, at 21.2%. Notably, the percentage of F30 diagnostic codes was the highest, at 45.5%, indicating a significant increase (1.4 percentage points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Regarding membership, there were 2,643 and 2,032 new and affiliated members on average, representing a new registration rate of 27.0% and 20.8%,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2,788 withdrawals, averaging 111.5 withdrawals per center, a withdrawal rate of 22.2%. Of these, 57.1% were due to service termination, while 52.0% were initiated by the members themselves. In 2022, there were a total of 165,195 individual consultations, with an average of 6,607.8 consultations per center. Of these, 72,29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ace-to-face, accounting for 43.8%. A total of 334 participants (average 13.4) did not establish an Individualized Service Plan (ISP) at least once a year, representing 3.4% of the total registered members. This indicates that the majority of registered members at the basic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are actively engaged in the establishment of an ISP. Among the 11,282 participants (average 451.3) who did not establish an ISP, 3,039 (average 121.6) exceeded the management separation period, comprising 26.9% of this group. The ICM population comprised 10,460 clients, with an average of 418.4 clients per center, and 2,701 case managers, with an average of 108.0 case managers per center. This resulted in a ratio of 3.9 clients per case manager. The most common reason for selecting clients for ICM was unstable mental illness, accounting for 1,022 cases (with an average of 40.9), representing 51.9%. Additionally, closure due to functional improvement was a common reason, with 640 cases (with an average of 25.6), accounting for 47.6%. On average, the duration of intervention within the ICM program was 200.0 days, approximately 6.7 months. ▪Conclusions: Drawing from national trends and the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projects in Seoul,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forementioned centers in Seoul for 2022, with a focus on elements including MHIS status, ICM status, general counseling (intake counseling), registered and unregistered members, as well as the direct services offered at these centers. The analysis revealed some significant findings: clients receiving general counseling (intake counseling) predominantly fell within the age range of 20-30. Registered members were primarily in their 50s. Newly registered members were mainly in their 10-20s, highlighting a notable influx of younger individuals seeking support for mental health treatment costs. This is a pertinent issue of concern in recent times. Depression emerged as the most common mental health concern in general counseling (intake counseling), and the diagnostic code F30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registered members’ diagnoses. The proportion of face-to-face counseling, which had previously decreased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saw a slight increase.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Seoul’s basic mental health centers face challenges related to staffing stability in a rapidly evolving mental health landscape.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mental health-related issues and the recurring occurrence of mental emergencies add to these challenges. Notably, the diversification of issues, such as the link between abnormal crimes and mental health problems, is expected to intensify interest in mental health services.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basic mental health centers to strengthen their role in building a service delivery system.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such centers remains to provide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This involves coordinating the intake system for individuals connected to various professional organizations to help them navigate mental health crises, deliver expert case management services, and support their reintegration into the community once their symptoms stabilize. ▪Keywords: Basic Mental Health Center, Mental Health Center,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Intensive Case Management

      • 서울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응급대응 현황조사

        김은희,안효경,김경아,김한미,조은정,이승연,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0 정신건강연구집 Vol.10 No.-

        ▪Objective: This existing condition surve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the process of finding, on-site response, and action support at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located in 25 boroughs in Seoul. Therefore,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afety net for psychiatric emergency in the city of Seoul, which would secure a continuity of treatments. ▪Method: The process and type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occurred during weekdays were classified into 6 areas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ervice, dispatch request for psychiatric emergency on-site response and the evaluation of psychiatric emergency psychological medicine service community network and institutional support, legal protection and support for practitioners. Based on such a classification, a questionnaire on mental emergency response was created and conducted twice for the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s an existing condition survey. A representative was selected among the practitioners to play an equivalent role as an executive team leader at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His or her task was to investigate the '1st existing condition survey on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onducted by a borough as of 2019' from April 24, 2020 to May 8, 2020. After then, an in-depth questionnaire was created based on results of the first existing condition survey and the '2nd existing condition survey for appropriate measures and the continuity of treatments in response to the psychiatric emergency' was conducted from July 2, 2020 to July 8, 2020. ▪Result: As of 2019, the total number of requests to the Basic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for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s is 1,259, and the number of on-site response is 1,204 (96%), and in most cases, on-site response is performed. For the on-site response, the number of unregistered subjects is significantly higher, with 80.2% (966) cases unregistered and 19.7% (238) registered subjects. However, the degree to which the subjects are transferred to the psychiatric system after the on-site response is lower for the unregistered than for the registered (61% of registered subjects, 42% of unregistered subjects). The number of on-site response to the psychiatric emergency is at least 13 cases and a maximum of 95 cases at each borough, which show a large variation. By region, the southwestern region (332 cases) and the northeastern region (316 cases) show a higher frequency than the northwestern region (280 cases) and the southeastern region (276 cases). Although it is decided that psychiatric measures are necessary for the on-site response, only 52.7% of cases are taken appropriately. The major reasons are in order of the lack of hospital beds due to the number of patients with overlapping physical diseases, the way that the hospitalization is managed (88%), and the low level of cooperation among the associated organizations (76%). ▪Conclusion: Although a community psychiatric emergency system is essential to be established and invigorated for the continuity of treatments for severe mental illness, the level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system in Seoul is limited and still quite pass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lternatives for the city of Seoul, which include the perform range of individual institutions and practitioner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that the data is collected in Seoul during the daytime on weekdays, a survey on the existing condition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hould be conducted for 24 hours in the further studies. ▪연구목적 : 본 현황조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에 위치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정신응급 대상자를 발견, 현장대응, 조치지원을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현황을 파악·분석하여 치료 연속성이 확보되는 서울지역 정신응급 안전망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 ▪연구방법 : 평일 주간에 수행하는 정신응급 과정 및 형태를 6개 영역(정신응급대응체계, 정신응급 출동요청, 정신응급 현장대응 및 평가, 정신의학적서비스, 지역사회네트워크 및 제도적 지원, 실무자 법적보호 및 지원)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대상 정신응급대응 설문지를 구성하여 2회에 걸친 현황조사를 진행함.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상임팀장 또는 그에 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실무자 1명을 대표자로 구성하여 2020년 4월 24일부터 2020년 5월 8일까지 ‘2019년 기준, 자치구에서 수행한 정신응급 대응 1차 현황조사’를 수행함. 이후 1차 현황조사 결과를 토대로 심층문항을 구성하여 2020년 7월 2일부터 2020년 7월 8일까지 ‘정신응급 대응 시 적정 조치 및 치료연속성을 위한 2차 현황 및 의견조사’를 수행함. ▪연구결과 : 2019년 기준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로 의뢰된 정신응급대응 요청건수는 총 1,259건, 현장대응 건수는 1,204건(96%)으로, 요청받은 대부분의 경우 현장대응을 수행함. 현장대응 시 지원한 대상은 미등록대상 80.2%(966건), 등록대상 19.7%(238건)로 미등록대상자가 월등하게 많았으나, 미등록대상은 등록대상에 비해 현장대응 후 정신의학적 시스템으로 연계되는 수준이 낮음(등록대상자 61%, 미등록대상자 42%). 자치구별 정신응급 현장대응 건수는 최소 13건, 최대 95건으로 큰 편차를 보였으며, 권역별로는 서남권(332건), 동북권(316건)이 서북권(280건) 및 동남권(276건)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임. 현장대응 시 정신의학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으나 적정 조치가 이루어진 경우는 52.7%에 불과하였으며, 주요 사유는 신체질환 중복 대상자 및 입원 형태로 인한 병상 부족(88%), 유관기관 간 협력수준 낮음(76%) 순으로 나타남. ▪결론 : 중증정신질환 치료 연속성을 위해 지역사회 정신응급 지원 시스템의 구축 및 활성화가 필수요건이나 실제로 서울지역의 정신응급 수준은 제한적, 소극적 수준에 머물러 있음. 이에 대해 개별 기관 및 실무자의 수행범위를 포함해 서울시 차원에서의 대안 마련이 필요함. 또한 본 연구가 서울시 주간 평일 현황이라는 한계를 감안하여 추후 24시간 정신응급 대응 현황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

      • 서울시정신보건 기관 현황 추이분석을 위한 조사연구

        성혜연,장세연,최지애,손지훈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17 정신건강연구집 Vol.7 No.-

        • 연구목적 : 본 조사연구는 서울시의 정신보건 예산, 시설현황, 인력등의 인프라 및 등록 대상자 현황에 대한 추이를 분석해 서울 시의 정신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 및 서울시정신보건 인프라 현황에 대한 주요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 행됨. • 연구방법 : 본 조사연구는 서울시비 지원 약 170개 정신보건기관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2017년 3월 수행됨. 6개영역 28 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조사표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일부 데이터는 서울시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집됨. (※본 조 사는 조사시행연의 전년에 대한 현황을 조사한 것이며, 분석항목일부에 대한 결과를 본 연구집에 수록함) • 연구결과 : 서울시의 정신보건예산은 2015년 대비 2016년 6.7% 증가, 정신보건기관수는 2015년 대비 2016년 1.2.% 증가 함. 서울시 정신보건기관 인력은 2015년 대비 2016년 2.3% 증가하였으며 2015년 대비 2016년 전문요원의 수는 2% 증가 함. 등록 대상자 현황에 있어서는 2015년 대비 2016년 25.6% 감소했고 2016년 기준 등록대상자의 정신건강 문제유형의 경우 정신병적 장애(F20-29) 45%, 기분장애(F30-39)34%, 소아청소년기 행태 및 정서장애(F90-98) 11%로 나타남. 또한 등록대상자의 자살사망은 2015년 31명에서 2016년 18명으로 42%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결론 : 서울시의 정신보건 예산, 인력, 기관은 매년 양적 팽창을 하고 있으나 그 증가세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본 조사결과를 토 대로 한 후속 연구를 통해 수요대비 인프라 공급에 대한 적정량에 대한 추계와 이에 기반한 서울시정신보건정책 수립이 필요함. • Objective : This survey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mental health infrastructure (budget, facilities, personnel, etc.) and registration target status for the purpose of: 1) providing basic reference, which can be utilized in establish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mental health policies; and 2) developing key indicators of mental health infrastructure status. • Methods : This survey study was done on around 170 mental health centers suppor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April 2016 and March 2017 through a questionnaire composed of 28 detailed items in 6 fields and some data collected from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This study conducted year-on-year comparison of mental health center status in 2016 and 2017 and contains analysis results of some part of questionnaire items) • Results : In 20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mental health budget rose 6.7%, mental health center figures increased 1.2%, mental health center employee figures grew 2.3%, and mental health specialist figures increased 2%, whereas registration target figures decreased 25.6% and suicide death committed by registration targets declined 42% from 31 cases to 18 cases. As for mental health problem type of registration targets, psychotic disorder (F20-29) accounted for 45%, mood disorder (F30-39) 34%,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90-98) 11% as of 2016.

      • 서울시 정신응급 대응 현황조사 보고서

        김서윤,김지은,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1 정신건강연구집 Vol.11 No.-

        조사목적 서울지역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와 서울시자살예방센터를 중심으로 서울시의 정신응급 대응 요청 및 개입, 정신응급 대응 업무 수행과정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도모와 향후 정신응급 적정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 본 조사는 2020년 정신응급 대응 현황에 대해 정신응급 대응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자치구보건소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각 25개소와 서울시자살예방센터 1개소를 대상으로 2021년 2월 22일부터 3월 31일까지 서면조사, 정신건강복지센터 실무자 대상으로 2월 22일부터 3월 31일까지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관종별 업무 성격에 따라 보건소 대상으로 지정정신의료기관 등 의료기관 현황조사, 치료비 지원 현황, 외래치료지원제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자살예방센터 대상으로는 정신응급 대응체계 구성, 진단 및 보호신청, 정신응급 출동 요청 및 주요 조치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무자 대상 설문조사 내용은 정신응급 대응체계에 대한 총 13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서울시의 지정정신의료기관은 2020.12.31.기준 8개소로 전년과 동일하며, 정신응급대응 협의체는 23개 자치구에서 운영 중이었다. 경찰과의 협력정도도 자치구별로 상이하였으며, 일부 자치구의 경우 경찰 요인보다는 정신의료기관의 병상문제 등의 해결이 시급하다고 제시하였다. 조사 결과, 외래치료지원제 청구 및 결정 건수는 2건이었으며, 제공횟수나 범위는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었다. 실무자 대상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93.9%가 정신응급 대응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관의 여건에 따라 담당이나 출동인력을 구성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정신과적 입원치료를 위해 74.7%가 호송 시 협력기관과의 네트워크 차원으로 동행하였으며, 정신과적 응급상황에서의 현장대응안내 2.0에의 실효성에 대해 54%가 5점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2020년도 한해 정신응급 출동 요청 1,142건 중 1,038건(90.9%)에 실제 개입하였으며, 경찰의 요청이 49%로 가장 많았다. 주요조치 결과로는 응급입원 연계가 24.6%로 가장 많았고, 전년대비 응급출동 개입건수는 감소하였으나 입원치료 연계 비중은 2019년 39%에서 2020년 45%로 증가하였다. 정신응급출동 개입 건 중 정신과적 문제로 인한 대상자가 55.2%, 자살문제 25.9%, 나머지는 복합문제 18.9%로 나타났다. 이들 중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회원은 19%이었고, 미등록자 중 추후 모니터링을 통해 신규등록한 회원이 7%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서울시 전체의 정신응급 현황과 규모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으나 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의견을 통해 서울시 정신응급 대응체계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서울지역 내에서 신체 질환이 동반된 정신질환자 급성기 치료를 포함한 정신응급의료센터 또는 응급 및 행정입원이 가능한 정신과 병상 확보,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정신응급 대응 유관기관 간 역할 조정 및 주요 이슈논의가 필요하나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법적 역할 등이 모호하여 상호 간 협의점을 도출하기 어려우므로 서울시의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정신응급 대응 업무와 관련된 범위와 기준, 역할 등이 명시되어 있는 가이드라인 및 표준화가 필요하다. 본 현황조사를 근거로 정신응급 대응 규모를 파악하고 관련된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여 포괄적인 정신응급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urvey By finding out the current state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s and interventions in Seoul and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duty of responding to psychiatric emergencies centered around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the Seoul Suicide Prevention Cente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seek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institution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to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for psychiatric emergencies in the future. The methods of the survey From February 22 to March 31, 2021, a written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autonomous districts, 25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nd Seoul Suicide Prevention Center that are carrying out the duty of responding to psychiatric emergency situations in 2020. And an online survey was performed with staff at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from February 22 to March 31. By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uties of each institution, the surve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psychiatric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Psychiatric institution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administrative hospitalization, the current status on the supporting of medical expenses, and the current outpatient treatment support system were investigated for Public Health Centers. The survey looked into the composition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ystem, requests for diagnoses and protection, requests for psychiatric emergency mobilizations, and key measures were investigated targeting With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nd the Suicide Prevention Center. The survey for the staff members was carried out by consisting of a total of 13 items for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ystem. The results of the survey As of December 31, 2020, the number of Psychiatric institution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administrative hospitalization in Seoul was 8, which was the same as last year, and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consultative bodies were in operation in 23 autonomous districts.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 the police differed in each autonomous district. Some autonomous districts argued that solving the problem of obtaining hospital beds in psychiatric medical institutions was more urgent than the police factor. The number of the demands for the outpatient treatment support system and such decisions was 2, and the number of provisions and the scope of such a system differed in each region. In the survey conducted for staff members, 93.9%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are carrying out the duty of responding to psychiatric emergencies, and the methods in organizing those in charge of psychiatric emergencies and in the mobilizing of manpower differed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institutions. 74.7%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for the network dimension with cooperative institutions, they accompanied patients when they were transported for psychiatric hospital treatments, and 54% of the respondents gave more than 5 points with respect to the effectiveness of the on-site response guide 2.0 of psychiatric emergency situations. For the year 2020, among 1,142 cases of the mobilization requests for psychiatric emergencies, the respondents intervened in 1,038 cases (90.9%), and 49% was the requests of the police, which was the highest. For the results of key measures, 24.6% was linked to emergency hospitalization, which was the highest. The number of emergency mobilization interventions was reduced compared to last year, but the rate linked to hospital treatment was increased from 39% in 2019 to 45% in 2020. Among the cases of psychiatric emergency mobilization interventions, 55.2% of people were related to mental problems, and 25.9% of people were involved with suicidal problems. And 18.9% of people showed complex issues. Among them, 19% of people were registered members at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mong the unregistered people, further monitoring discovered that 7% of them became newly registered member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in figuring out the current state and the scale of psychiatric emergencies in the entire area of Seoul, several suggestions can be laid out for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ystem in Seoul through various opinions on on-site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First, it is required to secure psychiatric emergency medical centers that include acute treatments for those with mental illness accompanied by physical illness or beds at psychiatric hospitals where emergency and administrative hospitalizations are possible. And forming a system that can monitor them is necessary. Second, although an adjustment of the roles of the related institutions for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s and a discussion on the major issues are required, their interests are complex, and their legal roles are vague that is difficult to reach an agreement. Therefore, the role of Seoul Government as a control tower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the guidelines and standardization that explicitly state the range, standards, and roles related to the duty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s are required. It is expected that this current status survey can be used as the data for improving a comprehensiv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system by finding out the scale of the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s and collecting the related objective data.

      • 서울시 조기정신증 지킴이 훈련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강연주,이은지,김은희,이미현,손지훈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17 정신건강연구집 Vol.7 No.-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조기정신증 조기발견지킴이(Gatekeeper) 훈련이 조기정신증 의심 대상자를 조기발견, 연계, 치료에 있어 중요한 환경적 요인인 정신과적 증상에 대한 인식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2015년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개발한 조기정신증 조기발견지킴이 훈련 양성 과정에서 정신과적 증 상에 대한 인식변화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5년 7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해 3시간 분량의 ‘조기정신증 조기발견지킴이 훈련 양성 과정’을 이수한 자 405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 동일한 설문을 실시했다. 이를 토대로 사전사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2.0을 통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조기정신증 조기발견지킴이 훈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 ‘정신과적 증상에 대한 인식 수준’에 관한 대응표본 t검 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 : 조기정신증 조기발견지킴이 훈련이 조기정신증 의심 대상자를 조기 발견, 연계, 치료에 있어 중요한 요인인 정신과적 증 상에 대한 인식수준의 변화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Gatekeeper training program, which is develop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n people’s perception level about psychiatric symptoms. It is the key environmental factor to early detect, transfer, and treat any suspected subjects of early psychosis. • Methods : In order to verify the any perception changes about psychiatric symptoms after the Gatekeeper train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the Seoul Mental Health Center in 2015 to early detect psychosis, the same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405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3-hour Gatekeeper training program for early psychosis detec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paired sample T test was conducted through SPSS 22.0 in order to verify the perceptional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ogram. • Results : The paired sample T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erception level about psychiatric symptoms before and after the Gatekeeper training program, which is to early detect psychosis. • Conclusion : It was prov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eople’s perception levels about psychiatric symptoms after the Gatekeeper train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early detect psychosis. The changes of perception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early detect, transfer, and treat any suspected subject of psychosis.

      •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10년 성과 보고

        김지은,문지혜,이승연,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3 정신건강연구집 Vol.13 No.-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ten-year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Project for Healthy Drinking Habit (PHDH)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identify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and expansion,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future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We examined data spanning from 2020 to 2022, coinciding with the full-scale participation of all 25 districts of Seoul in the projec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onthly monitor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22 districts of Seoul, and Addiction Management Community Centers in three districts. We then conducted a comprehensive self-reported survey, both online and offline, among participants of the PHDH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lead to quit drinking alcohol. Utilizing data from 92 valid respondents, we performed frequency, crosstabulation, t-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PASW18) and R 4.2.1.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service providers of the PHDH, including peer supporters (in alcohol addiction recovery), the person in charge of this project in 25 districts, and previous and current staffs of the Seoul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to evaluate the project’s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and the results were subsequently analyzed. ▪Results: In order to seek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ten-year achievements of the PHDH, this study derived major findings from three distinct aspects: the analysis of project performance data trends, the effects of service interventions and abstinence factors, and an assessment of project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First, an analysis of the project’s performance data revealed that several key trends emerged as the service gradually expanded. The number of service users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clients were registered and managed by community mental health organizations, and there was a notable rise in the number of short-term recovered(over 3 months) who successfully maintained abstinence. Second, in analyzing survey responses, factors influencing the abstinence of service users within the project were identified. Among individual factors, abstinence experience, Alcohol Use Disorder Screening Test (AUDIT-K) scores and stages of change (RTCQ), and self-esteem (RESE) were associated with maintaining abstinence for more than three months. Notab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with the mean AUDIT-K total score being 15.05 for abstinence group and 23.67 for non-drinkers group.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living with a family member, marital status, the presence of social support, and having a significant other, abstinence experience increased the odds of maintaining abstinence.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service users’ experience, the duration of service use, abstinence celebration day and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ponses from service providers participating in the PHDH, several key findings emerged.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 of the project is its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identifying and supporting high-risk drinkers led by peer supporters, offering services throughout Seoul through a leading regional management system, despite the limited proportion and priority of addiction management services. The project’s effectiveness is underscored by its collaboration with peer supporters who serve as inspiring role models for individuals struggling with alcohol use, as well as practitioners with expertise. This collaboration strengthens service users’ motivation to overcome alcohol addiction, supports their holistic recovery, and enhances the roles and capabilities of both service providers and users. However, several limitations were identified, including a lack of awareness about alcoholism and addiction management services within and outside of community mental health organizations, which are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the project. This lack of awareness has led to constraints in project operations owing to insufficient budget, manpower, and resources. Moreover, the frequent turnover of personnel responsible for individual districts has resulted in the project taking a secondary role to other initiatives. Additionally, given the nature of the PHDH, there is a clear need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peer supporter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is project in 25 districts to enhance service delivery. ▪Conclusions: To promote abstinence and facilitate recovery among clients of the PHDH, interventions need to be strengthened to address modifiable variables. In particular, the ability of the Recovery Support Team(peer supports and the person in charge) to provide meaningful social support in PHDH activities should be enhanced. The findings suggest that clients with prior abstinence, support from meaningful individuals, retention in services for 1-3 years, and access to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achieve abstinence. The educational aspect of service provision should be activated to bolster motivation for abstinence and improve clients’ insight. Additionally, related support should be reinforced to enable education across various service types, including counseling, programs, and self-help groups. Moreover, to strengthen the project’s operation,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improving macro-level aspects, such as expanding infrastructure, national systems, and support. This includes enhancing the treatment of peer supporters and expanding support for addiction projects within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project will experience further expansion and establishment when each implementing entity fulfills its role seamlessly. ▪Keywords: Project for Healthy Drinking Habit, alcoholism, recovering alcoholics, peer supporters (in alcohol addiction recovery), community alcohol management service delivery system ▪연구목적: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10년 운영 성과분석을 통해 사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사업 개선 및 확대 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적인 사업 운영 근거를 마련하고자 관련 조사를 시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서울시 22개 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및 3개 구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월별 모니터링을 통해 실적을 매월 취합하여 25개 자치구가 모두 참여하기 시작한 ‘20년도부터 ’22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둘째,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 개입효과와 단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 이용대상자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자가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유효응답자 9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PASW18)와 R 4.2.1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사업의 서비스 제공자인 회복자상담가, 자치구 사업담당 실무자,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내 역대 담당자를 대상으로 사업 성과와 한계 등을 확인하고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10년 성과를 바탕으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사업 실적 데이터 추이분석, 서비스 개입효과 및 단주요인, 사업성과 및 한계의 세 가지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사업 실적 데이터 추이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의 실인원 증가, 지역 정신건강기관 등록 관리 대상자 증가, 단주를 유지하는 단기회복자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이용자의 단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이용자의 개별적 요인 중 단주경험,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 점수(AUDIT-K), 변화단계(RTCQ)가 3개월 이상 단주유지와 관련이 있으며, 단주자 그룹의 AUDIT-K 총점 평균은 15.05점, 비단주자 그룹의 평균은 23.67점으로 집단 간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동거가족이 있고, 결혼상태가 기혼인, 사회적지지와 의미 있는 타자가 있고, 과거 단주 경험이 있는 경우 단주할 확률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 이용경험 요인 중에서는 서비스 이용기간과, 교육, 단주기념식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제공자의 사업 참여 경험과 관련된 설문 응답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사업의 가장 큰 성과는 당사자(회복자상담가) 주도형 고위험 음주자 발굴 및 회복지원 체계를 마련하여 중독사업 비중과 우선순위가 낮은 상황 속에서도 서울시에서 선도적으로 지역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서울시 전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알코올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에게 희망사례(롤모델)인 회복자상담가와 전문성을 지닌 실무자가 함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서비스이용자의 단주 동기를 강화함과 동시에 나아가 전인적인 회복을 지원한다는 것, 이용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역할과 역량이 강화된다는 것도 사업의 효과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업의 어려움(한계)의 경우 사업수행기관인 지역 정신건강기관 내/외부적으로 알코올중독과 알코올 사업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사업운영의 한계(예산, 인력, 자원 부족 등)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파생되는 자치구 담당실무자의 잦은 변경, 타 사업 대비 후 순위일 수밖에 없는 상황도 사업 수행에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사업 특성상 회복자상담가와 자치구 담당실무자가 함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이들의 소통 강화 노력이 보다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이용자의 단주를 독려하고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가능한 변수에 대한 개입이 강화될 필요가 있는데 특히, 과거 단주경험이 있고, 의미 있는 타자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을수록, 1~3년 정도 서비스를 유지하고, 교육을 제공 받을수록 단주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토대로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활동에서 서비스제공자인 회복지원팀이 의미 있는 타자로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서비스이용자가 단기적으로라도 단주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비스이용자의 병식 향상과 더불어 단주 동기를 강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의 교육적인 측면이 활성화 되어야 하며, 교육이 다양한 서비스 유형(상담, 프로그램, 자조모임)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관련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프로젝트 운영 강화를 위해서는 인프라 확대, 회복자상담가 처우개선 등 국가적 제도와 지원, 기관 내 중독사업 지원 확대 등 거시적인 측면에서 개선 노력이 필요하며, 각 수행 주체별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때 본 사업이 더욱 확장되고 정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주요용어: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알코올중독, 알코올중독회복자, 회복자상담가, 지역사회알코올중독 서비스 전달체계

      •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장성진,오현아,손기화,조성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18 정신건강연구집 Vol.8 No.-

        . Objective :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for impro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employees at mental health facilities affects their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changes in their values and attitude on the human rights advocacy. . Methods : In March 2018,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was held for 78 persons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facilities who participated in human rights training for employees at mental health facilities operated by the Seoul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April, 2018. First of all, we used the human rights education evaluation tool (Mental disorder person-simple type) develop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08) in order to observe changes in understanding human rights, their value and attitude on human rights advocacy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ook place. After that, a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in SPSS 24.0 . Results :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and afterwards, the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as well as the values and attitude on human rights advocacy were improved by 0.37 points. Thus,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was 4.39/5 points. The keywords of education suggested by the researchers were the 'understanding', 'fundamental rights', and 'the table of human rights' in order. . Conclusion :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he Table of Human Right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anging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rights of employees at mental health facilities, specifically their values and attitude towards human rights advocacy. This suggest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those who work at mental health facilities. ▪Keywords : Human rights education for employees at mental health promotion facilitie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values and attitudes on human rights,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table of human rights, semantic network analysis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이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2018년 3월, 4월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운영한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 인권교육에 참여한 정신재활시설 종사자 78명을 대상으로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을 실시하였다. 먼저,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를 보고자 국가인권위원회(2008년)에서 개발한 인권교육 평가도구(정신장애인분야_간편형)를 교육 전후 동일하게 실시하고 spss 24.0을 통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교육의 성취도, 키워드 등 보다 다양한 효과성평가를 위해 교육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키워드는 의미연결망분석으로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실시 전후를 비교한 결과,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는 사전대비 0.37점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대한 성취도 평균은 4.39점/5점으로 나타났고, 연구 참여자들이 제시한 교육의 핵심키워드는 ‘이해’, ‘기본권’, ‘인권식탁’의 순으로 나타났다. . 결론 : 인권교육 프로그램 「인권식탁」은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이해 및 인권 옹호적 가치와 태도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신건강증진시설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