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집 : 도시인문학의 등장 - 학문적 담론과 실천

        서우석 ( U Seok Se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2

        최근 도시와 인문학의 연결이 다양해지면서 도시인문학이 새로운 학문영역으로서 등장하였다. 도시인문학은 엄밀하게 정 의된 분화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이 아니라 다양한 접근이 공존하 는 복합적인 학술적 논의들과 실천 행위로 볼 수 있다. 본 연 구는 도시인문학의 등장 배경을 분석하고 도시인문학의 다양한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도시인문학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 고 도시인문학 발전을 위해 필요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도 시인문학은 정부의 인문학 지원사업을 배경으로 새로운 인문학 의 융합학문으로서 등장하였는데 대학의 제도화된 움직임으로 서 서울시립대의 도시인문학 이외에도 다른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 인문학이나 로컬리티 인문학도 도시인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 밖에서의 도시인문학은 도 시 공간의 장소성을 보완하는 내러티브와 역사적 지식을 제공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오늘날 도시브랜딩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중요한 자원이 되는 상황에서 도시인문학이 도시 마케팅의 자원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비판 담론으로서의 도시인문학은 도시기업가주의와 토건주의 개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인문학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으로서도 기능하는데 이는 인문학의 대중화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정치의 프로 그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수원의 사례에서 보듯이 인문도 시 사업으로 구체화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서 서울시립대의 도시인문학 이외에도 다른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 인문학이나 로컬리티 인문학도 도시인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 밖에서의 도시인문학은 도 시 공간의 장소성을 보완하는 내러티브와 역사적 지식을 제공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오늘날 도시브랜딩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중요한 자원이 되는 상황에서 도시인문학이 도시 마케팅의 자원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비판 담론으로서의 도시인문학은 도시기업가주의와 토건주의 개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인문학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으로서도 기능하는데 이는 인문학의 대중화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정치의 프로 그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수원의 사례에서 보듯이 인문도 시 사업으로 구체화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Recently, urban humanities emerged as a new academic field and gained an increasing attention from an academic world as well as from a side of public policy. Observing the current discourses and practices leads to acknowledge that urban humanities can be viewed as a complex array of academic discourses, as sociology is described as a multi-paradigm science. First, urban humanities appeared in the academic world as a new kind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Second, urban humanities provide narratives and historical knowledge for cities so that the placeness of city space could come into being or, if it already existed, be strengthened. Third, urban humanities offers a critical perspective to the urban entrepreneurialism in general and especially a construction-oriented growth coalition in Korea. Fourth, urban humanities function as an underlying logic for diverse action plan programs ranging from a Clemente course to humanistic city planning as the case of Suwon City shows. To conclude, I make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iscussions.

      • 글로벌폴리스와 도시인문학의 가능성

        이성백 ( Seong Paik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09 도시인문학연구 Vol.1 No.1

        이 글은 도시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가 어떤 문제를 다루며, 어떤 식으로 도시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이 글은 (1) 우선 앞부분에서 이 물음에 대한 직접적인 대답을 간단히 제시하고, 이어서 (2) 지구화 과정에 대한 역사철학적 분석을 통해 도시인문학적 연구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1) 도시연구와 인문학은 전혀 무관한 것이 아니다. 이미 인문학은 도시연구에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되어 왔다. 도시인문학의 기본 과제는 선행적인 도시인문학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도시연구에 필요한 새로운 인문학적 주제들을 개발하여, 도시인문학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도시인문학은 현재의 도시연구들의 주제와 논의 방향을 따라가면서 이 논의들에 필요한 인문학적 연구들을 수행하여 현재의 도시연구에 기여해야 한다. 그리고 21세기 도시연구에서 화두가 된 문화, 문화도시에 대한 관심은 오늘날의 도시연구가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가로지르는 포괄적인 도시연구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오늘날 도시연구에서 활발한 쟁점은 지구화 시대에서의 도시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그런데 아직까지 지구화 과정에 대한 역사철학적 연구가 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채, 지구화의 역사적 위상이 탈산업주의와 탈현대주의에 대한 혼란 속에서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탈현대주의가 탈산업주의와 혼동됨으로써, 현대의 도구적 합리성의 한계를 비판하고, 다시금 인간적 삶의 논리를 모색하려던 탈현대주의의 인식론적 가치가 지구화 시대 도시연구에서 충분히 파악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지구화 시대에 도시 속에서 초래되고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비판하는 대안적인 이론적 논의가 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This article deals with what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city deals with and how it may contribute to urban studies. After a direct answer to these questions is briefly proposed in the beginning, a histo-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globalization process is introduc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city. (1) Humanities have not been separated from urban studies at all, but have intervened in them in a variety of ways. Urban humanities at this stage may well aim to estimate preceding research in a systemic way and to create new humanistic frameworks needed for urban studies, establishing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em. Urban humanities should catch up with what is discussed in urban studies and, based upon this, fill up with what is missing in them.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e city, on which urban studies have focused in the 21st century, means that urban studies should encompass not only all disciplines of social sciences but also humanities. (2) Another heated debate in the area of urban studies is about the changing character of the city in the ear of globalization. Because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profound histo-philosophical study, the historical context of globalization has not been accurately captured. The confusion of post-modernism with post-industrialism has resulted in failing to understand the epistemological strength of post-modernist approach which criticizes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attempt to explore humane logic of life. As a consequence, alternative theories, as a critique of the urba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ould barely emerge.

      • KCI등재

        민족-국가의 사이 혹은 너머에 대한 상상 ―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트랜스내셔널 양상

        구재진 ( Koo Jaeji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문학사의 ‘이방인’으로서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특히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한국문학사의 영토화를 경계하고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이 디아스포라 문학으로서 지닌 새로운 방향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경향을 대표하는 미중일의 세 작품을 검토하였다. 대상 작품은 허련순의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가네시로 가즈키의 『GO』, 그리고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이다. 이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의 세 가지 양상을 밝혔다. 허련순의 작품에서는 부유하는 노동와 트랜스로컬 주체를 통해서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이 펼쳐진다. 코리안 드림이라는 판타지를 가지고 밀항선을 탔던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비극적인 결말은 그러한 판타지의 실현 불가능성과 허구성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 작품의 디아스포라들은 자본과 노동의 세계화 속에서 이동할 수밖에 없는 트랜스로컬 또는 트랜스내셔널 주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창래의 작품은 원어민에 의해 타자화되는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이 ‘타자로의 열림’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통합’이 아닌 ‘공존’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를 통해서 미국이라는 국가적 정체성을 넘어서는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가네시로 가즈키의 작품은 민족-국가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과 차별의 패러다임 자체를 문제 삼고 디아스포라의 자유와 일본인에 대한 디아스포라의 (윤리적) 우위성을 선언한다. 그럼으로써 일본인과 재일 디아스포라의 비대칭성을 전복시키고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을 제시한다.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세가지 양상은 하나의 민족-국가의 문학으로 영토화하는 민족주의적 기획에 맞선 디아스포라 문학만의 트랜스내셔널한 기획의 현실성을 입증해준다. This paper studied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ppearing as ‘stranger’ of history of literature. The purpose is to be alert of Korean literature history’s territorialization o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nd to illuminate the directiv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s diaspora literature. Three literary works of America, China and Japan representing the new tendenc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examined. The works are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by Heo, Ryeon-Sun, GO by Kaneshiro, Kazuki, and Native Speacker by Chang-Rae Lee. Three aspects of transnational imagination i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clarified through analysis of these works. In the work by Heo, Ryeon-Sun, transnational imagination is presented through drifting labor and translocal subject. The tragic ending of Korean diaspora in China who took a smuggler with a fantasy of Korean Dream suggests fantasy is unrealistic and impossible to reach. However, the diaspora in this work are shown as translocal or transnational subjects who have no choice but to migrate within capital and globalization of labor. The work by Chang-Rae Lee shows the possibility of identity of diaspora that is otherized by natives to move towards ‘coexistence’ instead of ‘integ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towards others.’ Transnational directivity that overcome national identity as America is shown through such process. Lastly, work by Kaneshiro, Kazuki calls paradigm of violence and discrimination done under the name of nation into question and declares diaspora’s (moral) superiority on diaspora’s freedom. Thereby subvert the asymmetr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diaspora in Japan and suggest transnational directivity. These three aspects in recent Korean diaspora literature proves the reality of diaspora literature’s unique transnational plan against nationalistic plan that territorialize as a single nation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도시인문학의 토대로서 맹자의 공동체 사상 연구 -인문학적 도시를 향한 맹자의 기획

        김성실 ( Sung Sil K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5 도시인문학연구 Vol.7 No.1

        이 논문은 도시인문학의 토대로서 맹자의 공동체 사상을 연구하는데 그 목표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흔히 이해하는 ‘도시’라는 이미지는 편리함 등의 긍정적인 면보다 각박함 등의 부정적인 면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또 ‘도시’는 ‘자연’과대비되는 인공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자연 없는 인공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도시 역시도 자연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도시의 탄생과 기원, 사람이 살아가는 공동체 개념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맹자는 사람은 본래 자연이며, 태어날 때부터 선한 존재임을 밝혔다. 인간본성의 선함은 위급한 순간에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우리의 감정, 즉 측은지심을 통해 살펴보면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감정은 각자가 고유한 것이지만, 그 감정이 일어나는 보편의 토대를 살펴보면 우리는 만물과 이미 하나인 존재임을 알 수 있다고 보았다. 맹자에게 있어 인간의 본성은 선할 수도악할 수도 있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 오직 선할 뿐이라는 ‘필연’이며, 인간의 존재자체가 바로 ‘자연’이다. 인간에 대한 맹자의 이러한 이해는 곧 사람과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속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는 각자의 고유한 감정을 성선이라는 보편적 토대 안에서 공감을 하는 곳이며, 먹고 사는 문제를 등한시 하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사람과 사람이 서로 믿고 존중하는 곳이다. 이러한 맹자의 공동체 사상은 오늘날 현대도시의 인문학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도시 역시도 사람이 사는 곳이기에 그곳이 바로 자연이라는 것을 아는 순간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인 도시와 사람에 대한 내용을 담은 인문학의 만남은 필연적이자 중요한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has the objective to study on the Mencius`` Community thought as the foundation of Urban Humanities. Commonly, image of ``city`` that we often understand is the fact that many such positive than on the negative aspects of such hard-hearted. And also ``city`` is considered to be artificial, as opposed to ``natural``. But with the question of what is possible with no artificial nature, not to be bound to the city, neither natural birth and origin of the city, such as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Mencius said that Man is good by nature and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Our emotions immediately appear in the critical moment goodness of human nature, that looked even more evident that look over the natural sympathy. Their feelings, but also a unique one, that sentiment is happening looking at the universal foundation we have already seen that one can see that all things and beings. Mencius``s a human nature is a matter of choice, not necessity, which may also be good evil, and human existence itself is just a natural person. This understanding of Mencius on human communities living together even as it reveals both man and man.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is a place that resonates with their own feelings in the universal foundation of good nature, do not neglect to eat a live issue, a place where people respect each other as people believe. Community thought of these Menciu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 humanistic foundation of today``s modern city, town, neither man knew where to buy that just because there is a natural moment where people gather to buy and contents for the city people Meet containing the humanities will realize that inevitable and important.

      • 도시연구동향 : 국문학 분야 도시 연구의 동향과 전망

        정인숙 ( In Sook Jeo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1 도시인문학연구 Vol.3 No.1

        이 글은 국문학 연구 분야에서 도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그 현황을 검토하고 나아가 연구의 전망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 세부 전공 영역에 따라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연구 방법에서 서로 다른 측면이 발견되는데, 넓은 의미에서 도시적 성격이나 도시문화의 양상을 분석한 연구에서부터 도시시, 도시소설 등 하나의 독립적인 장르를 설정하여 분석한 연구에 이르기까지 국문학 분야에서 도시 연구는 상당히 다양하고도 넓은 편폭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20세기 초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도시를 인구 밀집 거주 지역으로 각종 물적 시설이 갖추어진 지역 공간으로 바라보면서 주로 도시의 형성과 도시문화의 탐색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한 도시의 소비, 유흥문화가 확산되는 양상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대두된 도시문화의 측면이 자세히 논의되었다. 그런가 하면 일제강점 이후 에는 근대문학의 논의와 맞물려 주로 1930년대 문학에 연구가 집중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930년대가 식민지적 근대체험의 특수성이 가장 집약적으로 드러난 시기로, 식민지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도시풍경이 하나의 근대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도시적 일상성을 중심에 두는 작품들이 하나의 추세를 이루면서 집중적으로 쓰여지기 시작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시는 근대성의 총합이자 구현 또는 자본주의의 압축으로서 리얼리즘, 모더니즘 문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코드로 인식된다. 이후 해방과 한국전쟁을 겪은 다음 1970년대를 전후한 시기의 문학 연구에서 다시 도시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유신``이라는 강압적 정치 체제 아래 근대화된 도시를 살아가는 도시인들의 삶의 모습을 담은 문학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연구도 활기를 띠게 된다. 최근 여러 학문분야에서 도시 연구의 열풍이 뜨겁다. 국문학 분야에서도 선행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구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문학지리학적 관점을 원용한다거나 도시 자체를 텍스트로 삼는 도시시학의 이론을 모색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서울 외의 다른 도시에 대한 관심도 점점 고조되는 추세이다. 앞으로는 서양의 근대이론에 매몰되지 않고 동아시아 문화권 안에서 한국문학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도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고, 동아시아 비교문학적 측면에서의 도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urban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and try to find a new way of urban studies. Meanwhile urban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was conducted variously. We can find that sometimes researchers look at the city from kind of different angles and they have different ways of studying city. In the studies of literature from 18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city was recognized as a densely populated area. And in those studies urban consumption culture and entertainment culture was discussed in detail.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urban studies were interlinked with a discussion of modernity or modern literature. Especially 1930s was a period that colonial modern experiences began to be revealed, city was recognized as the sum total of modernity or compression of capitalism. After the Korean War the front and the rear of 1970s urban studies came into the spotlight. Under the oppressive political system lives of citizen or laborer were attention in many ways. Now there is a fever to study city in many field of research. In the studies of literature, new research method is attempted. For example some researcher use the method of literary geography or urban poetics. In the future urban studies considered the korean characteristics in east Asian cultural area are necessary. Further more urban studies with a view of comparative literature are necessary.

      • KCI등재

        `선전(深?) 문학`: 도시에 문화를 채워 넣는 방법

        김태연 ( Kim Tae-you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1

        본 논문은 선전(深?)이라는 도시를 기반으로 하여 선전에 거주하는 작가가 선전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해낸 문학 작품들을 `선전 문학`으로 헐겁게 규정하고, 이 선전 문학의 창작과 성장이 기실 선전의 도시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문화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의미를 부여받음을 주장하면서 오늘날 중국에서 도시의 행정과 문학이 매우 밀접하게 전략적 관계를 맺는 양상을 살펴 보았다. 그를 위해 본문에서는 선전 지역 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선전이라는 도시가 재현되는 양상을 먼저 살펴보았다. 선전의 특수성이 문학 작품의 창작에도 반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선전문학의 대표적인 장르인 노동자문학, 저층문학처럼 농민공의 삶을 반영한 작품이 있는 반면, 선전의 경제발전을 반영하는 기업인 문학, 경제문학 같은 장르도 있다. 또한 청춘문학은 선전의 문화소비층의 주류취향을 반영하는 장르로 규정지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들을 생산해내는 선전의 문학장을 살펴보았다. 특히 노동자문학의 경우 노동자들이 문학작품을 창작하고 발표할 수 있는 플랫폼이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곧 선전시의 문화 전략과 맞닿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경제특구로 시작해 매우 짧은 도시의 역사와 미약한 문화적 자원을 가진 선전의 경우, `선전 문학`의 육성은 도시의 시급한 과제인 문화적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당면 과제로 인식되어 많은 투자와 관리가 투입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작가 양성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의 설치, 시 주도의 발전 전략 수립, 각종 문화행사의 개최 등의 노력이 이루어진다. 오늘날 중국 도시들이 각자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역량과 매력, 즉 도시의 소프트파워의 중요성은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본고에서 살펴본 선전의 경우는 도시 소프트파워의 증진을 위해 문학이 어떻게 인식되고 활용되는가를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실례가 될 것이다. In this paper, I loosely define the concept of “Shenzhen literature” as literary works that express the life in Shenzhen by the writers living in Shenzhen. I claim the creation and growth of Shenzhen literatur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cultural industry to boot the city`s competitiveness. And I inquired how the literature and the city administration are making a close relationship strategically. Started as the Special Economic Zone, Shenzhen has a very short history and weak cultural resources. So the development of “Shenzhen literature” is a urgent task to improve city`s 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here are vast investment and management for it. Today, China cities a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city`s soft power, the cultural competency and attractiveness. As seen from this paper, the case of Shenzhen can provide a good example of how a city recognizes and uses literature as a good way to promote the city`s soft power.

      • KCI등재

        시진핑 시기 중국의 노동운동 탄압과 저항의 양상들

        하남석 ( Ha Nam Suk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0 도시인문학연구 Vol.12 No.1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지구적 자본주의로의 편입은 중국의 노동관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주의 시기 도시의 단위 체제와 농촌의 집체농업은 해체되었으며 기존의 종신 고용 형태에서 노동력이 상품화되어 비교적 자유로운 노동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에 노동자들은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와 기업에 맞서 저항하기 시작했으며, 중국에서는 노동자들의 저항과 국가의 대응 사이에서 다양한 노동관계가 나타나게 되었다. 2000년대 들어 늘어나는 노동자들의 파업과 저항을 완화시키기 위해 중국 당국은 최저임금의 인상과 사회보험의 확대, 노동NGO의 활동에 대한 부분적 허용 등 사회 안정을 위한 정책들을 시행했다. 하지만 시진핑 집권 이후 중앙으로 권력을 집중시키며 중국 사회 전반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면서 노동운동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벌어졌다. 특히 2018년 광동에서 비인간적인 처우에 저항해 노동조합 설립에 나선 노동자들과 이에 연대했던 대학생 활동가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했던 제이식 사건(佳士事件)은 시진핑 시기 억압적으로 변화한 중국의 국가-노동 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었다. 이 사건에서 노동자와 활동가들은 노동자가 주인인 사회주의 국가가 노동자들을 탄압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비판하면서 중국 사회주의 체제의 본질적인 성격에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했다. 이 글에서는 시진핑 시기 변화하는 중국의 국가-노동 관계 속에서 당국의 탄압에 맞선 기층노동자와 활동가들의 저항 양상에 초점을 맞춰 그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려 한다.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China's reintegration into global capitalism has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in China's state-labour relations. The urban work unit system and rural collective agriculture of the socialist period were dismantled. Labor has been commercialized and a relatively free labor market has been formed. Thus workers begin to resist against the state and capital to protect their rights and the wide variety of labour relations emerged between workers' resistance and the state's response. To ease the growing number of workers' strikes and resistance in the 2000s, the Chinese authorities implemented policies for social stability, including raising the minimum wage, expansion of social insurance and partial permission for labor NGO activities. However, the party-state has concentrated its power to Xi Jinping and tightened control over the entire Chinese society, resulting in a massive crackdown on labor movements. In particular, the “Jasic Incident” which Chinese authorities brutally suppressed workers who resisted inhumane treatment and college student activists who joined forces with them, was a typical example of China's state-labour relations that had changed repressively during the Xi Jinping era. Workers and activists have begun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essential nature of China's socialist system, criticizing the paradoxical situation in which the socialist state oppresses work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sistance of workers and activists against the oppression of the authorities and China's changing state-labour relations in the Xi Jinping era.

      • KCI등재

        제주 지역 관련 교육 연구의 동향분석 및 연구방향 탐색 : 내용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준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2 도시인문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지역과 관련된 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앞으로의 제주 교육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제주지역의 교육을 다루었거나 제주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연구들 중 학술등재(후보)지에발표된 175편의 교육 분야 학술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이어서 이렇게 수집된 학술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및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실시함으로써 제주 지역 관련 교육 연구의 지식 구조와 연구 동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관련 교육 연구는 교육학의전 영역에 걸쳐서 고루 이루어졌으며, 전반적으로 교육행정 및 교육 자치에 대한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의 전반기의 연구와 후반기의 연구는 연구의 키워드와 주제에 있어서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었는데, 전반기에는 주로 교육자치와 관련된 교육행정과 제도의 측면이 주로 다루어진 반면, 후반기에는 보다다양한 교육의 분야에 대하여 다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본 연구 결과에대한 논의와 함께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이중원 ( Jung-won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6 도시인문학연구 Vol.8 No.1

        나노기술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능력을 특별히 지니고 있다. 하나는 세포 보다 훨씬 작은 미세한 분자 수준에서도 기계적인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조작을 통해 새로운 특성을 지닌 나노물질들은 물론 새로운 기능성을 지닌 특정한 구조의 신물질들을 제조해 낼 수 있다. 이러한 능력으로 인해 나노기술은 생명체, 자연, 기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형이상학적 관점과 자연적 존재자와 인공적 존재자의 구분에 관한 새로운 존재론적 문제를 비롯하여, 나노세계에 대한 경험적 증거로서의 나노 이미지가 지니는 인식적 특성과 역할에 대한 문제제기, 그리고 나노기술이 인체 및 환경에 가하는 위험으로부터 발생되는 안전 관련 윤리적인 문제들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철학적 사유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어 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나노기술의 발전이 새롭게 던져주고 있는 철학의 문제들, 곧 존재론적·인식론적 문제들 그리고 윤리적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로 철학적 성찰에도 어떤 변화가 요청되는지를 짚어보고자 한다. Nanotechnology has two special capacities. One is to operate mechanically in the lower scale rather than molecular levels. Another is to produce or create new materials with new properties or special functions through the operation. Owing to these capacities, nanotechnology throws some philosophical issues on us, that is, metaphysical viewpoint of a life, nature and technology itself and ontological problems such as the distinction between natural entities and artificial entities. Futhermore following issues are controversial such as whether nano-images of nano-world are relevant as an empirical evidence or not and what are the epistemic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nano-images. And also some ethical issues with respect to the risk or hazard of nano-particles influencing on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are newly occurring. These issues are expected to result in fresh thinking positively in the area of philosoph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earch and examine the new philosophical issues, that is,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thical ones which is required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nowa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