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60년대 서울의 시범도시계획에 대한 연구 - 「Asia Foundation Records 1951-1996」 자료를 중심으로 -

        강난형(Kang, Nan-hyou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서울학연구 Vol.- No.78

        연구는 서울 도시공간변화를 원조국과 피 원조국의 생산적 갈등공간으로 읽는다. 1960년대 남한 도시를 경제적·사회적 문제로써 접근하면서 도시 하부시설을 짓는 토목건설 방식과 도시 조사를 기반으로 다양한 주체들의 관계로 담론이 교차되며 동원되는 방식이 전환기적 상황 속에 공존했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는 아시아재단 지원으로 건설부 산하에 만든 도시 계획팀, HURPI의 활동 중 미국 도시계획가 Oswald Nagler가 활동했던 1965년에서 1967년까지 기간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스탠퍼드 대학교 후버연구소 문서관 소장 자료인 아시아재단의 서울 도시계획에 대한 일차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세 시기를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젊은 건축가 팀을 구성하여 도시기반 공공시설 조사와 최소주거단위설계를 교육하는 ‘도시 설계반’ 시기(UDT, Urban Design Team, 1965.6~1965.12), 건설부 뿐 아니라 도시지자체와 연계하여 후보지를 선정하여 시범도시계획 지침 및 보고서에 집중되는 ‘도시 및 지역계획연구실’(URPI, Urban &Regional Planning Institute, 1965.12~1966.12)시기 그리고 다른 원조기구와 연합하여 장기융자 상품인 아파트공급계획을 고안하는 ‘주택·도시 및 지역계획연구실(HURPI, Housing,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stitute, 1966.12~1967.5)’ 시기로 분류된다. 그 결과 ‘슬럼을 일소하고 저층아파트를 짓는’ 고밀도 도시재개발 방식은 한국도시주거문제에 대한 실리적인 해결책으로 여겨졌다고 판단된다. 미국 원조조직이 피 원조국 도시 빈민들의 주택 재건을 목표로 자금을 지원하는 도시 재개발 프로그램이면서 미국 건축연합단체들은 이러한 국제 원조 프로젝트를 신생학문인 도시설계 수법을 저개발국가에 실험하는 기회가 되었다. 한국 정부 관료들도 이러한 도시 재개발 방식을 도시계획수법으로 이해하였으며 서울시내 뿐 아니라 다른 주요도시를 통해 주거유형을 확산하고 적용하고자 했다. 그러나 재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주거를 공급할 대상과 주거 규모에 대한 문제는 한국 관료와 원조조직 간의 분쟁지점이었다. 이미 한국정부는 원조 주택공급방식이었던 저소득층을 위한 자조 · 자가 소유 주택 모델의 유효성을 의심하기 시작되었다. 국공유지 대지화로 새로운 도시재개발 방식을 결합하면서도 최소 주거공급방식을 유지하려는 의견에 대한 반대였다. 앞으로 추후 연구를 통해 더 밝혀낼 부분이지만 기존 저소득층 거주민을 포함한 아파트를 계획하면서도 주택사용자로서 중산층을 의식하기 시작한 한국정부나 서울시의 입장이 원조프로그램과 다소 상충되기 시작한 지점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일차적인 연구가 집적될 수 있다면 냉전체제아래 다른 아시아 수도들이 겪었던 도시계획원조에 따른 공간변화를 서울과 비교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기초적 기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on the 1960’s Pilot Projects of Seoul, South Korea reads the urban spatial transformations of Seoul as productive spaces of conflict between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of international aid as a transitional moment for South Korean urbanism departing from the existing infrastructure based approach towards introducing research-based methods and the mobilization of a system of actors. It focuses on the period of 1965 to 1967, during which the American urban planner Oswald Nagler led a team of young south Korean architects under HURPI, funded by the Asian Foundation. Drawing from research on the Asia Foundation records at the Stanford University Hoover Institution Archives, this study focuses on three distinct periods: 1) the Urban Design Team phase(UDT 1965.6~1965.12) composed of small teams of South Korean architects, who surveyed urban public facilities and learnt minimum housing unit design methods; the Urban & Regional Planning Institute phase(URPI, 1965.12~1966.12), which involved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other municipal governments to elaborate pilot project guidelines and reports while designating potential pilot projects; and the Housing,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stitute phase(HURPI, 1966.12~1967.5) which involved other international aid organizations to realize plans to provide apartment housing as a long term mortgage product. As a result, “high density urban redevelopment” methods for “eliminating slums and building walkup apartments” were adopted on Korean soil as a practical solution for urban housing policy. These programs can be characterized as urban redevelopment programs funded by American international aid foundations which aimed to reorganize housing for the urban poor in recipient countries, and as American institutions who saw these international aid projects as opportunities to experiment with the emerging field of urban design. Korean government officials embraced these novice urban design methods in urban planning strategies such as surveying housing typologies, seeking to disseminate them in other major South Korean cities. However, the scale of housing and target groups of these redevelopment programs emerged as a point of contention between Korean officials and international aid organizations, as they started to question the validity of self-help housing and homeownership programs from international aid, which donors organizations consistently advocated for as ‘citizen minimum standard’ housing programs in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as a basic frame of reference for comparative studies of the spatial transformations undergone by Asian capitals as recipients of urban planning development aid under the Cold War system.

      • 일반논문 : 서울 대학가 저소득층 대학생의 연애

        김효진 ( Hyu Jin K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2 도시인문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서울이라는 소비적인 도시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는 저소득층 학생의 연애에 관한 연구이다. 저소득층 대학생들은 대학 내에서 소비를 통한 계층 표시와 그에 따른 놀이집단의 분리를 경험한다. 몇몇 연구참여자들은 연애 초기에는 소비를 통한 로맨스 각본을 따르는 모습을 보이지만 높은 소비수준을 요하는 이 각본을 고수할 수 있는 경우는 한정되어 있다. 한편 연애에 소요되는 비용, 감정 노동, 시간이라는 조건과 저소득층 대학생의 물질적 빈곤, 추가 노동 시간으로 인한 시간 부족, ``따라다니는 가난``에 시달리기 때문에 겪는 정신적 고통이라는 조건, 그리고 모든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취업을 위한 추가적인 자기계발 시간의 필요라는 조건들은 서로 맞물려서 어떤 사례들에게는 연애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게 했다. 이 사례들에게 연애의 가능성 여부를 정하는 것은 호감이나 사랑에 앞서 경제적 조건이다. 반면 연애를 지속하고 있는 커플들도 있었다. 이들은 소비 각본을 최소화하거나 처음부터 인지하지 않음으로써 연애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 젠더 규범에서 벗어나 평등한 경제적 공동체를 꾸리는 방식으로 연애를 유지해 나간다. 대학생의 연애에 대한 주된 담론은 대학생들이 연애에서 무엇보다 소비를 통한 로맨스 각본을 중시하며 연애와 자기계발을 연관 지어 생각한다는 것이다. 저소득층 대학생인 연구참여자들의 연애와 모습은 이와 동일하지도 완전히 다르지도 않게 나타났다. 이들 역시 연애와 자기계발을 연관 지어 사고하고 몇몇 참여자들은 소비를 통한 로맨스 각본 역시 중시한다. 그러나 계층적 한계로 인해 소비 각본을 고수할 수 있는 커플은 거의 없었고 이들의 자기계발과 관련된 연애 조건이나 희망 또한 계층적으로 독특한 것이었다. 실제로 지속되는 연애는 소비 각본이나 자기계발과는 관계없이 서로에게 충분한 시간을 들이는 평등한 경제적 공동체의 형태로 이들 계층의 특수한 조건에 맞추어진 방식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about the romance and dating trend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cused especially on the lower class students. Lower class students` experience stratification through consumption pattern. However when they start dating, some of them follow the ``romance scenario based on consumption`` which are common to students from higher classes. But they cannot manage the ``scenario``, which cost much money. Moreover, other costs of dating, such as emotional labor and time, makes dating impossible for these students, who have to make a living at part-time jobs and make efforts for self-empowerment. What is important for these students to date is economic resource, not love or emotional fulfillment. Couples who have managed to carry on their relationships despite this hardship have reduced their dating cost or have denied the ``scenario.`` There are two important explanations about college students`` dating trend in neoliberal society. First, they mainly take the ``romance scenario based on consumption`` seriously. Second, their ``love`` is tied up with their future-success or self-empowerment. Som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lso believe in the ``scenario``. However, because of their poverty, they ultimately forgo or modify the scenario. In the meanwhile, the ideal romance, modified by these students, is distinctive.

      • KCI등재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 대비 연구

        최창원(Choi, Changwon),오새내(Oh, Saenae)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7 서울학연구 Vol.- No.66

        이 연구는 전통방언학 방법론으로 수집된 서울토박이말 어휘 자료와 경기지역 어 어휘 자료를 대비하여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의 차이를 유형화하고 차이가 비롯된 요인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을 모색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러한 어휘의 대비를 통해 어휘 사용을 제보자의 지역어에 대한 언어 지식과 서울·경기 지역의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 서로 다른 지역에 사는 제보자들의 생활양식 과 언어 행동의 차이를 범주화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 의 어휘들은 어휘의 유사성과 인접 지역 방언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 은 6가지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①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 유형이 동일 하며 인접 지역 방언과 차이가 없음, ②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 유형이 동일하며 인접 지역 방언과 차이가 있음, ③ 경기지역어의 어휘(변이형)가 서울 지역어에 비해 더 다양하고 인접 지역 방언과 차이가 없음, ④ 경기지역어의 어 휘(변이형)가 서울지역어에 비해 더 다양함. 인접 지역과도 다른 유형을 보임, ⑤ 서울지역어의 어휘(변이형)가 경기지역어에 비해 더 다양함, ⑥ 서울지역어에만 등장하는 어휘(변이형)가 있음이 그것이다. 본고에서 분석한 어휘 대비 목록을 여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결과 ①, ③, ⑤, ⑥에 해당하는 범주에 대한 예시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지역의 제보자들의 생활양식과 같은 사회문화 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The aims of this research inquire into the subtypes of lexical differences between Seoul and Gyeonggi areal languages in traditional dialectology of Korean. The subtypes are divided by 6 which are ① same lexical type no difference around adjacent areas, ② same lexical type some differences around adjacent areas, ③ More lexical items of Gyeonggi rather than Seoul, and no differences around adjacent areas, ④ More lexical items of Gyeonggi rather than Seoul, and some differences around adjacent areas, ⑤ More lexical items of Seoul rather than Gyeonggi ⑥ Only lexical items of Seoul(Among 6 subtypes, here were determined ①,③,⑤,⑥ subtypes only). The differences are caused by sociocultural factors on two areal languages. This research verified lexical contrast of two areal languages which based on recording survey of indigenous informants who were born prior to the 1940s in their areas. According to traditional dialectology of Korean, ideal informants represent their regional lexical items which are affected by the style of living in their regional groups. Seoul informants live in urban areas so that they are not able to answer some agricultural vocabulary which re¬lated to their lifestyle in Seoul. In contrast, Gyeonggi informants live in rural areas since the previous 1940s period so that they use agricultural vocabulary intimately and frequently which are affected way of living in the rural areas. This study determines the cause of difference lexical items between two areal languag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sociocultural factors.

      • KCI등재

        국・공립대학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신옥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3

        Nach § 24 Abs. 3 「EDUCATIONAL OFFICIALS ACT」 wählt Empfehlungsausschuss einen Kandidaten für den Präsident/In der betreffenden Universität auf eine der Arten von ① Auswahl auf einer Sitzung des Empfehlungsausschusses; ② Auswahl nach den von den Fakultätsmitgliedern der jeweiligen Universität vereinbarten Methoden und Verfahren aus, wie von der betreffenden Universität vorgeschrieben. Siese Bestimmung gewährt den nat. Universitäten das Selbstverwaltungsrecht. 04.03.2019. wählen 16 Uni.(42.1%) direkt, und 22 Uni.(57.9%) indirekt Kadidat für Präsident/In. Es ist wichtig, bei der Wahlen die Offenheit und Gerechtigkeit des Verfahrens innerhalb der Universitätaautonomie zu sichern. Wie in der früher Lee, Myungbak Regierung geschehen ist, darf die Regierung Universitäten nicht zu dem Aufgeben der direkten Wahl zwingen, indem sie die Wahlart mit der Regierungsfinanzierung im Zusammenhang bringt. Bei der Auslegung des § 24 Abs. 3 「EDUCATIONAL OFFICIALS ACT」 sind insbesondere die teleologische und systematishe Interpretationsmethode zu achten. Wählt eine Uni. direkte Wahl, die als Uni.-Demokratiesierung im Jahr 1987 ein Kernissue von Universitäten war, ist es zu beobachten, zwischen den Universitätsmitglied auf Grund des Wertes der Abstimmung. Die Lösung befindet sich im Art. 31 Abs, 4 verankerter Selbstverwaltungsrecht der Uni. im Zusammenhang mit Art. 22 Abs. 1 Wissenschaftsfreiheit. Das Selbstverwaltungsrecht der Uni. ist eine Voraussetzung der Wissenschaftsfreiheit. Universitätsmitglied haben Recht, sich an der Gelegenheit der Uni. inklusive der Wahl von Präsident/In teilzunehmen. Aber verfassungsrechtlich ist es undenkbar, die Stimmen von Universitätsmitglied in allen Ausschüssen bei allen Angelegenheiten gleich zu bewerten. Daher haben Professoren bei der Wahl von Präsident/In teilzunehmen über die Mehrheit der Stimmen. 교육공무원법 제24조 제3항에서 따라 추천위원회는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학의 장 후보자를 추천위원회에서 선정하거나 해당 대학 교원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에 따라 선정한다. 동 조항은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에 있어서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2019.3.4. 현재 38개 국공립대학교 중 직선제를 통하여 총장임용후보자를 선정하는 대학은 16개교(42.1%), 간선제로 선정하는 학교는 22개교(57.9%)이다. 총장임용후보자의 선정에 있어서 직선의 방식이나 간선의 방식은 모두 장・단점이 나타나는 제도여서 이중 어느 한 제도가 국・공립대학교의 총장임용후보자의 선정을 위한 이상적인 제도라고 보기는 어렵다. 중요한 것은 대학교원의 합의에 따라 총장임용후보자를 선정할 수 있는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교육공무원법상 총장임용후보자 선정규정, 대학교의 관련의 학칙 등 관계 법령 등을 합리적으로 정비하여 선정절차의 투명성, 공정성 등을 보장하는 것이다. 직선제를 통한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을 하는 경우 과거와 같이 대학에 대학 재정지원과 총장임용후보자 선정방식을 연동하여 직선제 방식을 포기하도록 강제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에 관한 교육공무원법 제24조 제3항의 규정들은 헌법상 대학의 자율성보장에 상응하고 총장임용후보자 선정과 관련된 규정들의 취지에 맞게 체계적이고 합목적적으로 해석・적용될 필요가 있다. 동 규정에 따라 추천위원회는 “해당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추천위원회에서의 선정 또는 해당 대학 교원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에 따른 선정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대학의 장 후보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총장이 해당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총장임용후보자 선정 관련의 학칙을 개정하는 경우, 대학교원의 심의・의결 없이 총장 단독으로 개정하여서는 아니되며, 또한 대학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는 의미를 대학구성원 전체의 의사를 동일하게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른다고 해석하면 대학교원의 합의에 따른 총장임용후보자 선정방법의 규정과 모순된다. 총장임용후보자의 직선제 선정방법을 택하는 경우 각 대학구성원이 행사한 표의 가치평가문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은 헌법상 보장되는 대학자율성의 이해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은 대학의 자율의 영역으로서 헌법은 기본권으로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한다. 이 기본권은 학문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전형적인 주체는 대학, 교수, 교수회 등이고 학생, 직원도 경우에 따라 주체가 될 수 있다. 총장선정은 대학교수의 강학, 연구 등과 밀접하고 이는 학문의 자유를 실질화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하여 각 주체가 행사하는 표의 가치평가를 달리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역대 서울특별시 지방의원의 사회적 배경과 충원 유형

        고경민,장성훈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6 서울학연구 Vol.- No.26

        Political recruitment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local political process. It has to be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enhances representation, democracy,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a local political system. This study is focused on representation among them. This study is analyzing a trend of patterns of political recruitment of local council members of Seoul city through social backgrounds variables such as political party, age, occupation, education. The analysis of social backgrounds of local councils members becomes a basis to evaluate how much local councils has representation and democracy, and can offer standard of political recruitment of local politicians for democratization and activation of local poli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eoul metropolitan Council members preferred most was the people who had social backgrounds such as education of university graduation or above, age between 40s~50s, recommendation of political party and special politician. Similarly, Seoul district council members preferred most was the people who had social backgrounds such as education of high school graduation or above, age between 40s~50s, and special politician. If the highly educated person who had administrative ability and specialty becomes a local politician, accomplishing efficiency of local politics can be positive. But it has possibility to infringe core values such as social representation or democracy of local council. Because local politicians represent public opinion and interests of local residents, they must not be extremely different with social backgrounds of local residents. However, their social backgrounds can be different with it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have the ability to carry out role of the excellent representative. It is a dilemma of local council configuration to harmonize efficiency with representation. None the less, as for the local council configuration where reflecting various classes and their interests in local communities, development of institution and change of consciousness of local residents must consist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미군정기 서울지역 좌·우익 정당·사회단체의 활동 공간 연구

        이계형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2 서울학연구 Vol.- No.87

        In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left and right wing used collective action to promote their political views and mobilize people to expand their power. As a place for collective action, the left wing used Namsan Park, and the right wing used Seoul Stadium. However, during the US military rule, Nam- san Park and Seoul Stadium were not exclusive spaces for the left and right w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only separated Namsan Park and Seoul Stadium to mini- mize clashes between left and right wing at events such as Independence movement day, May Day, and Liberation Day. The U.S. Military Government’s legal sanctions on collective action were partly to prevent the clash between the left and right, but it also had a hidden intention to so- lidify the US posi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first promulgated the “Permit System for Processions and Assemblies” on September 15, 1945, and gave jurisdiction to the U.S. Military Police. At that time,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not properly formed and the policy toward the United States was not clear. Accordingly, the U.S. Military Government did not thoroughly enforce the assembly permit system from the standpoint of charity based on the principle of democracy. However, the attitud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changed drastically when the preliminary meeting of the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was held in January 1946. At that time,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wing began in earnest, the U.S. Military Government began to strictly control the assem- bly. The U.S. Military Government promulgated the ‘Rules on Political Parties’ (Act No. 55) to restrict party activities, and promulgated a decree that strictly prohibited outdoor gatherings by ‘Administrative Order No. 3, No. 5’, and the ‘Crimes for Vio- lation of Military Government’(Act No. 72) etc.. As an excep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allowed indoor gatherings, but this was also sometimes prohibited. Howev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strictly applied these laws to the left, but showed a discriminatory attitude, such as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right wing rep- resenting their interests. In particular, the U.S. Military Government showed a biased tendency to fundamentally block the assembly by arresting a large number of left- wing figures before the Liberation Day celebrations in August 1947. As a result, after the meeting of the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was canceled and the issue of the Korean Peninsula was transferred to the United Nations, the left wing’s assembly activities lost power. Then, in 1948, when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 ernment became a fact, the U.S. Military Government allowed all assembly activities.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gathering spaces of the left and right wing of the Seoul area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time. The U.S. Military Government actively utilized the left and right wing rallies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interests. 해방 직후 좌익과 우익은 자신들의 정치적 견해를 선전하고 세력을 넓히고자 사람들을 동원하였는데, 좌익은 주로 남산공원을, 우익은 서울운동장을 이용하 곤 하였다. 그렇다고 남산공원과 서울운동장이 좌우익의 전용공간은 아니었다. 미군정청이 삼일절, 메이데이, 광복절 등의 행사에서 좌우익의 충돌을 최소화하 고자 남산공원과 서울운동장으로 분리했을 뿐이다. 미군정청이 좌우익의 충돌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법적으로 집단행동을 제재하 기도 하였지만, 미국의 입지를 다지려는 의도도 숨어 있었다. 미군정청은 맨 처 음 1945년 9월 15일 ‘행렬 및 집회의 허가제’를 공포하였지만, 민주주의 원칙에 따른 시혜론적인 입장에서 집회 허가제를 철저히 집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1946년 1월 미소공위 예비회담이 열리면서 미군정청의 태도는 강경하 게 변하였다. 당시 좌우익의 세력 대결이 본격화하자 미군정청은 집회를 엄격히 통제하기 시작하였다. 미군정청은 ‘정당에 관한 규칙’(법령 55호)을 공포하여 정 당 활동을 제한하였고 ‘행정명령 제3호’, ‘행정명령 5호’(8.15축하식 거행에 관한 건), 법령 72호 ‘군정 위반에 대한 범죄’ 등을 공포하여 옥외 집회를 철저히 금지 하였다. 예외적으로 미군정은 옥내 집회는 허용하였지만, 이 또한 때때로 금지하 였다. 그런데 미군정은 좌익에는 이와 같은 법령을 엄격히 적용했지만, 자신들의 이 익을 대변하는 우익에는 편의를 제공하는 등 차별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미군 정은 1947년 8월 광복절 행사 전에 좌익 인사들을 대거 검거하여 원천적으로 집회를 차단하는 편파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미소공동위원회가 무산되고 한반도 문제가 UN에 넘어간 뒤 좌익의 집회 활동은 힘을 잃어갔다. 그 뒤 1948년 단독정부 수립이 기정사실로 굳어가자 미군정청은 모든 집회 활동을 허가하였다. 미군정기에 서울지역 좌우익의 집회공간은 당시 한반도 내 정치 상황에 따라 변화하였다. 미군정청은 좌우익의 집회를 자신들의 정치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남산과 장충단(奬忠壇)

        박희용(Park, Hi-Yo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6 서울학연구 Vol.- No.65

        근대기 서울의 도시변동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도시정책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대한제국기는 일본의 메이지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메이지의 식민지 도시에 대한 공간정치는 서울의 근대초기 도시공간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대한제국기로부터 식민지 초기 서울의 도시공간에 대한 연구는 서울의 원형공간과 근대로의 변화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거대도시로 성장한 서울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따라서 ‘대한제국과 메이지의 공간충돌’ 이라는 거시적인 테마로, 도시를 지배하는 권력주체가 바뀜에 따라 도시공간은 어떻게 변화되고, 그것이 현재 어떤 모습으로 잔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현대 서울의 도시공간을 이해하기 위한 단초가 된다. 대한제국기는 전근대 도시에서 근대 국민국가로의 변화가 처음으로 진행되던 시기로, 황궁인 경운궁(慶運宮, 덕수궁)과 원구단(圜丘壇)을 세우고, 근대식 학교가 건립되며, 근대문명의 상징인 전차의 도입과 공원의 조성, 도로망의 정비 등 많은 근대화 사업들이 행해졌다. 그러나 1907년 고종의 황제 퇴위와 더불어 창경궁은 동물원과 식물원으로 변화되고, 1910년 식민도시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서울은 식민지의 도시공간으로 개조되기 시작했다. 특히 1912년 시구개정사업(市區改正事業)과 이어서 1934년 조선시가지계획령(朝鮮市街地計劃令) 등으로 인하여 서울의 도시구조는 크게 변화되었다. 즉 옛 한양도성의 상징적인 장소에는 일본제국의 상징적인 시설물로 대체되는데, 도성의 북쪽 공간에는 경복궁에 조선총독부 청사, 동쪽으로는 경성운동장, 서쪽으로는 경희궁터에 경성중학교, 남쪽으로는 남산 기슭에 조선신궁과 박문사, 중심에는 경성부청과 여러 상업 및 금융시설물 등을 세워 도시공간의 기본구조를 서서히 바꾸어 갔다. 그리고 도성을 둘러싼 성벽도 허물어져 중세로부터 이어져온 한양의 도시적 정체성은 훼손되어 갔다. 이러한 식민도시 서울의 도시변화에 있어서 메이지의 도시정책은 식민지 도시 만들기라는 거대한 계획의 근원이었고, 이후 식민정책의 변화와 함께 약간의 수정은 있었지만 큰 틀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메이지의 공간정치가 식민지 수도 서울의 도시공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변용ㆍ적용되었고 현재 어떠한 모습으로 잔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도시 건축적인 측면에서 뿐만아니라 역사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도시변동의 사례로, 현재 한양도성의 남동쪽 남산 기슭에는 대한제국기의 성소인 장충단이 조성되었다. 이 일대는 조선시대 남소영과 훈련원 등의 군사시설이 있었던 곳이다. 이러한 장충단은 식민지 초기에 공원으로 변화되고, 1925년에는 히로히토(裕仁) 일본 천황의 결혼식을 기념하기 위한 경성운동장(東宮殿下御成婚記念京城運動場)이 주변에 건립되었으며, 메이지정권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인물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기리는 사찰인 박문사(博文寺)가 세워지는 등 많은 역사적 사건과 변화들이 중첩되었다. 특히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에서도 메이지기의 원훈(元勳)으로 알려진 중요한 인물이고, 그를 위한 박문사의 조성에는 당시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인 고마다 히데오(兒玉秀雄), 일본 최고의 건축가였던 이토츄타(伊東忠太)가 관여하는 등 식민지 수도 서울의 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사적인 인물과 사건들이 함축된 장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일대의 도시변동에 대한 연구는 대한제국과 메이지의 공간정치와 현대 서울의 도시공간에 남겨진 근대의 기억과 흔적을 잘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키워드가 될 것이다. The construction plan of Seoul City in modern era was mainly influenced from the Japanese colonialism’s city policy. Specifically, politics of colonial city in Japanese Meiji era mainly effected the forming of city in early modern era in Seoul. The study on city of Seoul from the era of Daehan Imperial to early colonial era, is the premises for understanding not only of changing procedure from ancestral Seoul to modern one, but of how Seoul developed into metro city. Therefore, it can be the clue of understanding comtemporary Seoul city to examine how Seoul was changed by which regimes governed the city, what remains in comtemporary with the theme, ‘Space conflict between Daehan Imperial and the Meiji policy for colony. Firstly, in Daehan Imperial era, the Seoul was changed from pre-modern city to modern one, with not only restoration of tradition such as Imperial palace, Gyungwun(Duksu) palace, and Wongudan, but also introduction of modernized infrastructures such as modern school, the train, public park, and roads and so on. After abdication of Emperor Gojong in 1907, Seoul had been rapidly renovated into colonial city through changing many traditional buildings from 1910 changing royal space, Changgyung palace into amusement park, zoo and botanical garden. Especially, through the project of city and district renovation(市區改正事業) in 1912, and Planning Decree of Chōsen district(朝鮮市街地計劃令) in 1934, the Seoul’s city structure was significantly changed. The symbolic place of ancestral Hanyang(Seoul’s old name) was replaced by the symbolic established of Japan colonialism. For examples, The Seoul was reformed by the building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front of Gyungbok palace in the northern space, the Gyungsung stadium in the eastern, Gyungsun middle school in the remain of Gyunghee palace in the western, Chōsen Jingū and Bakmun-sa(the temple for Ito Hirobumi) near the Namsan in southern, and several buildings for administratives and business and financial district in the center. Finally, by demolition the city wall, city’s identity from middle age was severely damaged. The main purpose of these consequences of city renovation influenced by Meiji policy is basically to make Seoul into colonial city, which continued with a little adjustment so far. Therefore to examine how Meiji policy changed Seoul as a colonial city and how much residues of Japanese policy has remained in this time is important for historical aspect as well as city-construct scale. The outstanding instance of reforming Seoul, this presentation points out the sacred place in Daehan Imperial, Jang-chung-dan(奬忠壇). In the early colonial era, it changed into park, and in 1925 the Gyungsung stadium(東宮殿下御成婚記念京城運動場) was constructed for commemorating the marriage of Japanese Emperor Hirohito, and Bakmun-sa(the temple for Ito Hirobumi who is one of the most main figures during Meiji era) was built in this sanctum. The colonial regime gave a lot of effort to constructing temple for Ito Hirobumi(伊藤博文) supervised by Hideo Komada(兒玉秀雄), the civilian administrator of Korea and designed by Itō Chūta(伊東忠太), the leading architect in Japan. Therefore, the study on history for buildings in Jang-chung-dan area can be an important key to understand Seoul’s structure more closely.

      • KCI등재후보

        근대이행기 서울의 도시경관 변화와 주인의식 -‘거리(街)’의 표상 변화를 중심으로-

        박준형(Park, Jun-Hyu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4

        이 논문은 근대이행기 서울의 ‘거리(街)’에 어떠한 표상들이 부여되었고, 그것이 사회적으로 어떤 변화를 야기했으며, 최종적으로는 그 ‘거리’를 누릴 수 있는 자격이 누구에게 있었는가를 밝히고자 했다.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함에 따라 청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난 조선에서는 ‘자주독립’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한 논의를 선도한 『독립신문』은 완전한 ‘자주독립’ 실현을 위한 주체로서 ‘전국인민’을 제시했다. ‘전국인민’은 신분의 차이를 뛰어넘은 근대적 ‘국민’을 창출하기 위한 용어였다. 일찍이 왕실 의례를 위해 사용되거나 양반 및 관헌들에게 우선권이 부여되었던 ‘거리’는 이제 상하귀천의 구분이 사라진 공간으로 재규정되었다. ‘전국인민’이야말로 ‘거리’의 주인으로 간주되었으며, 그들은 1898년에 왕권에 맞선 거리 투쟁을 통해 그것을 스스로 증명하고자 했다. ‘전국인민’의 정치투쟁이 진압된 1899년, ‘거리’에는 이제 전차가 다니기 시작했다. 당시 ‘문명의 전도사’로 불린 전차는 완전한 ‘자주독립’이 실현된 증거들 중 하나로 손꼽혔다. 그러나 민중들은 그것을 ‘서양 마귀의 발명품’으로 받아들였다. 더구나 전차 개통이 최종적으로 가능했던 것은 황후에 대한 능행의 편의를 위한 것이었다. ‘자주독립국’ 위상에 맞게 재창출된 ‘전통적’ 의례는 더 이상 서양 문명과도 대립하지 않았다. 그러나 완전한 ‘자주독립’을 꿈꾸었던 제국은 일본에 의해 식민지가 되었다. 그럼에도 전차가 사람들의 일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커졌고 그와 함께 ‘거리’의 주인이 되어 갔다. 미완으로 끝났던 ‘전국인민’의 정치투쟁은 1919년 3.1운동을 통해 재현되었다. 민중이 다시금 ‘거리’를 메웠던 3.1운동은 1890년대 후반 ‘자주독립’ 시대의 정치 문화를 계승한 것이 분명했다. 그러나 일본인들에게 있어서 그것은 우발적인 사건에 지나지 않았다. 그들은 서울(경성)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조선인들의 분노를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고립되어 있었으며 그 점에서 ‘서울시민’이라고 말하기 어려웠다. 일찍이 『독립신문』은 ‘서울시민’에 대한 면세 혜택을 비판하면서 서울에서의 문화적 혜택은 세금을 낸 자들이 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식민권력은 모두에게 세금을 거두어 그러한 차별을 제거했다. 그러나 세금을 집행함에 있어서는 민족차별을 드러낸 까닭에, 식민지기 조선인은 서울에 거주하면서도 그 주인일 수는 없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representations were given to the “street” of Seoul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the kind of social change resulting from it, and the ultimate beneficiaries. Japan’s victory in the Sino-Japanese War led to an active discussion of “autonomic independence” in Joseon, which became free from Qing’s interference. The “Dokribsinmun”(the first Korean private newspaper), initiated such discussions on the subject, “the people of the whole nation”, in order to generate a sense of realization of complete “autonomic independence.” “The people of the whole nation” was a term used to refer to modern people that transcended differences in status. The “street,” which was once used for royal ceremonies or which was given on priority to nobles and officials, had now been redefined as a space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streams. “The people of the whole nation” were now considered the owners of the “streets,” and they tried to prove it in the street struggle against the royal authority in 1898. In 1899, when the political struggle of “the people of the whole nation” was suppressed, trams began to run on the “street.” The tram, which was referred to as the “evangelist of civilization” at that particular time, was symbolic of the realization of complete “autonomic independence.” However, the people perceived it as an “invention of the Western devil.” Moreover, it was for the convenience of the empress visiting the tomb for which trams were finally started. The “traditional” rituals which were recreated were in consonance with the status of “independent state” and were no longer in conflict with the Western civilization. However, the empire that dreamed of complete “autonomic independence” was colonized by Japan.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the tram in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increased and the tram became the owner of the “street”. The political struggle of “the people of the whole nation,” which did not end completely, made a come-back with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It was clear that this movement, in which the people once again filled the streets, inherited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era of “autonomic independence” in the late 1890s. But for the Japanese, it was just an accident. Although they were living in Seoul(Gyeongseong), they were so isolated and they were unable to understand the wrath of the Koreans; thus, it became difficult for them to be considered as “Seoul citizens.” Earlier, Dokribsinmun had criticized the tax-free benefits for “Seoul citizens,” arguing that the cultural benefits of Seoul should be enjoyed by all those who paid taxes. The colonial rule overcame such discrimination by taxing everyone. However, due to racial discrimination in the levying of taxes, colonized Koreans could not be owners while living in Seoul.

      • KCI등재후보

        근대 이행기 서울의 객주와 객주업

        전우용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5 서울학연구 Vol.- No.24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how commission agencies, which are main streams of commercial development in the last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era, cop with process of colonization since the opening of a port. Since the last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era, Han river' s licensed agencies not only hold exclusive management authority for the goods that produced in each village but also collected unofficial tax from other agencies. Do-yo-Gak(都旅閣), which was set up per each regions and goods, was the committee and organization that collect unofficial tax from other agencies. After the opening of a port, Tong-ri-ah-moon (became Ministry of foreign affair later) prohibited the collection of unofficial tax by commission agencies and gradually unified the collection of tax from licensed agencies into Tong-ri-ah-moon. Licensed agencies in Han River area could be official for the authority of exclusive management and unofficial tax collection with based on taxation duty to Tongri-ah-moon. However, the change of circulation structure in area of Han River after the opening of a port was enough to setoff privilege that commission agencies in Han River area already acquired. Especially, the economic reformation in 1894 even deprived their formal authority that only remained as their authority. Innovational destruction of licensed agencies was performed and opportunity for peddler' s inn business was given to anybody. But, the reigns of Gab-o reformation faction in 1894 was ended in a short term and it was fortunate for commission agencies in Han River area. The reign of Kwang-mu, the next reign after Gab-o reformation faction, declared slogan " Refer newest things based on old things" and it means they want to return to prerogative order in commercial system. Although they recovered their exclusive rights, its quality has already been damaged very seriously. Since the Sino-Japanese War, the fact that Japanese merchants grasp commercial supremacy of Seoul was another disadvantage for privileged commission agencies. New commission agencies, which just opened their business, tried to concentrate on dealings with Japanese merchants than existing privileged commission agencies. Moreover, the process of coloniz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that was regularized after the Russia Japanese War was fatal blow for commission agencies in Han River area. Especially, railway system caused absolute decrease of water transport percentage. Accordingly, many of commission agencies moved to outside of Nam-Dae-Moon(South gate of Seoul) that is near railway station. At this point of time, the unity between commission agency and peddler' s inn business began to be destroyed rapidly. All sorts of commercial activities such as inn business, warehouse business, sales agent business and marketing agent business, private loan business, transportation business that are included in commission agent' s business in the last period of Chosun Dynasty era was divided into each fields. From that time, peddler' s inn business was restricted within " Dealing agent business with self liability". Financial strategy that was propelled by Japanese imperialism to colonize Korea promoted this kind of fact more seriously. Right after Japan colonized Korea, Principles of Chosun Company was enacted and it destroyed national circulation network that commission agencies built up with the basis of network system in the past. Japanese Imperialism just wanted simple function of commission agency, which just introduce Japanese product to Korean, as a subordinate business partner of Japanese merchants. Large-scaled sale agent business was assigned as one of business subjects by commercial company, marine company and warehouse company, large bank that are owned by Japanese, nobility and the pro-Japanese group only. It was so exceptional that commission agency achieved success under Japanese Colony. Only a few of them, who could link with Japanese capital and Japanese authority, could ride on ladder of success. Moreover, successful commission agencies were not anymore agencies themselves. They became big landlord or president of big bank or vice-president of any company. Even though commission agencies essentially disappears as commercial order of medieval times dissolute, their history of differentiation had been falsified and restricted by Japanese imperialism. And it was the situation that Seoul commission agencies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coloniz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