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송희,석혜정 서경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5 디자인 이노베이션 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O대학교의 홍보 서포터즈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 대학의 서포터즈 유니폼 사례 분석과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통해 기능성, 상징성, 심미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총 3개 대학의 유니폼을 분석한 결과, 정장 구성에 전용색상 및 학교 상징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이 주를 이루었으며, 활동성과 개성을 강조한 트렌디한 구성도 일부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전통성과 상징성을 유지하면서도 세련된 감각을 반영한 디자인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Formal but Energetic’을 키워드로 한 디자인 시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단정함과 생동감을 조화시켜 서포터즈의 활동성과 대학의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서포터즈 유니폼의 기능을 확장하고, 학교 홍보 전략의 시각 매체로서 유니폼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uniform design for O University’s promotional supporters by analyzing case studies of university uniforms from specialized colleges in the Gyeonggi region and conducting a design preference survey. The analysis of three university uniforms revealed that most adopted traditional suit configurations, incorporating school identity elements such as official colors and emblems, while some featured more active and trend-conscious styles. A survey conducted with current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designs that retain traditional and symbolic features while reflecting a modern, refined aesthetic.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uniform design under the concept of “Formal but Energetic,” which combines structured silhouettes with vibrant details to reflect both the dynamic role of supporters and the visual identity of the university. This study highlights the expanded function of supporter uniforms beyond mere attire and emphasizes their potential as strategic visual tools in university branding.
Linguistique dans le cadre de licence en France
KIM, Jin-Soo 서경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8 人文科學硏究 Vol.6 No.-
프랑스대학에서 인문계 교양과정부(DEUG) 2년 과정을 통과한 후 진학하는 언어학 관련 학사학위는 일반언어학, 언어과학, 프랑스언어학 등 크게 세 개의 과정에서 취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단위에서의 이수내용과 참고서적 등에 관해 위의 세 과정을 비교하며 고찰해 본다. 언어과학은 크게 다음의 다섯 과목으로 나뉘어진다. 1. 음성학과 음운론 1) 일반음성학 2) 음운분석 2. 형태론과 문법 범주 1) 형태론 입문 2) 발화행위 범주 3. 어휘론과 어휘 의미론 4. 통사론 1) 생성문법 2) 언어학 이론과 프랑스어 통사론 5. 다양한 양상과 언어학적 변이 1) 비(非) 인구어(印歐語) 연구 2) 라틴어에서 프랑스어까지 프랑스 언어학은 1. 현대 프랑스어 통사론, 2. 어휘론과 사전 편찬학, 3. 언어의 역사, 4. 고대 프랑스어, 5. 문학작품을 통한 언어학 연구, 6. 언어변화와 프랑스어 사용권, 7. 문법의 역사, 8. 의미론과 어휘, 9. 프랑스어 문법, 10. 텍스트 구성 등을 다룬다. 일반언어학에서는 1. 중세 프랑스어, 2. 담화분석, 3. 통사론 등의 주요 과목을 통해 인문과학의 기본 토대를 다질 수 있게 한다.
패션디자인 교육의 캡스톤디자인 교과 운영 연구 : 목원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건희 ( Kun-hee Lee ) 서경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디자인 이노베이션 연구 Vol.9 No.0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apstone design subject model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Fashion design is a practical study, and it is essential to operate a subject that can cultivate talents required by indus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ubject model that can cultivate practical tal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industry.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by designing the curriculum over two semesters, the quality of education c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skills by themselves through group assignments. Third, the evaluation of the Capstone design subject should be carried out step by step, and this could be presented in this subject model. Si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pstone Design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Textile Fashion Design at Mokwon University,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it to th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in all schools. Therefore, it is hoped that follow-up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secure this.
鄭京燮 서경대학교 1984 論文集 Vol.12 No.-
This is an attempt to analyze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es of leadership. The classic research studies on leadership set the stage for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leadership. The trait theories concentrate on the leader themselves but, with the possible exception of intelligence, really do not come up with any agreed traits of leader. The group theori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followers, but these are also only partial theories. The conclusion to be drawn from the studies of leadership style or behavior is that there is no one universal style. There is some evidence that the various styles are of two kinds: concern for people and concern for task. Additionally, because investigations of leadership style have failed to consider significant factors such as the task, the grou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day, the widely recognized theories of leadership are situationally based. In particular, Fiedler's contingency model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leadership theory and potentially to the practi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path-goal approach is also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leadership theory. It incorporates expectancy motivation concepts. Both the Fiedler and path-goal approaches have generated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leadership dimensions, but there are still problems. A social learning approach that incorporates the leader, the situation, and the behavior itself is proposed as a possible alternative. This approa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ehavior and the continuous, interacting nature of all the variables in leadership. In conclusion, all of these approaches to leadership style need more and better research in order to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 actual practi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future.
L'enseignement de la linguistique dans le cadre de DEUG en France
KIM, Jin-Soo 서경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8 人文科學硏究 Vol.5 No.-
언어과학을 전문으로 다루는 학과가 프랑스에 생긴 것은 1968년도이다. 이때는 프랑스에서 인문과학이 다시 부각되는 때였으며 일반언어학이 독립된 학문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때이기도 하다. 언어과학학과는 주로 언어학 관련 연구원들을 배출해왔다. 오늘날 언어학에서는 두 방면의 교육을 하고 있는데, 그것은 일반언어학과 언어교육이다. 언어학을 이수하는 교양과정은 다음과 같다. 인문사화계열에서의 언어학 교양과정(부전공 없음) 언어과학과 컴퓨터과학과정 언어과학(심리학 부전공) 언어과학(사회학 부전공) 언어과학(문학 부전공) 언어과학(문화와 커뮤니케이션 부전공) 언어과학(언어와 외국문화 부전공) 90년대의 언어학은 언어, 문학, 컴퓨터, 심리학, 사회학, 커뮤니케이션 등 여러 다른 분야의 학문들과 같이 강의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의 연구성과들을 대학교양과정에서 바로 이수하게 하는데 힘쓰고 있다.
GenAI를 활용한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시각디자인 연구 -SCAMPER 중심으로-
손효림 서경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5 디자인 이노베이션 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에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기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캠퍼(SCAMPER) 기법을 중심으로, 생성형 인공지능(GenAI)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아이디어 발상 기법들은 창의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GenAI 활용 관련 선행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캠퍼 기법을 GenAI와 연계하여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결과물을 제시하고,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 소재 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1학년 재학생으로, GenAI와 스캠퍼 기법을 병행하여 명함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GenAI를 활용한 스캠퍼 기법은 창의적 발상과 문제 해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SWOT 분석을 통해 GenAI 기반 스캠퍼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디자인 교육과 실무 현장에서의 실제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GenAI와 창의적 발상 기법의 융합이 디자인 교육 및 실무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혁신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GenAI) in conjunction with the SCAMPER technique, a widely used method for generating creative ideas in the field of design. While traditional ideation techniques play a crucial role in enhancing creativity, prior research on the integration of GenAI into such methods remain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outcomes generated by combining the SCAMPER technique with GenAI and investigates user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at a university in Busan, who used both GenAI and SCAMPER to develop business card design idea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enAI-assisted SCAMPER technique had a meaningful impact on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while also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Additionally, a SWOT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the GenAI-based SCAMPER approach, thereby suggesting its practical applicability in design education and industr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ntegration of GenAI and creative ideation techniques can serve as an innovative tool with tangible contributions to both design education and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