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 정체성을 통한 여성기자의 이미지 고찰 - 부산 여성기자를 중심으로 -

        하정화 ( Jeong Hwa Ha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지역 언론사에서 가시적, 비가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성차별의 특징들을 여성주의 개념 속에서 규명하고, 언론사 내부와 지역 사회 기저에 깔려 있는 다양한 성차별에 맞서고 있는 여성기자들의 젠더 정체성과 이미지를 분석한 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인터뷰를 선택했다. 연구참여자는 총 26명으로 전 현직 여성기자, 남성기자 등 1년부터 20년의 경력의 기자들이다.언론 조직과 일상생활에서의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젠더화된 문제의식을 가지게 해주는 한편, 여성기자로서의 정체성과 이미지에도 변화를 가져다준다. 여성기자는 남성 중심의 언론 조직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대개의 경우 젠더에 대한 인식을 배제한 채 기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남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드러냈다. 아니면 ‘여성’이라는 인식과 ‘기자’라는 역할 사이에서 선택적 공존을 하는 여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보이기도 했다. 어느 단계에서는 여성기자로서의 융합을 보이는 가운데 젠더 정체성, 즉 페미니스트 기자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다중적인 여성기자 이미지는 젠더에 대한 인식, 성차별 경험 정도, 기자 경력 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여성기자가 ‘기자’가 아닌 ‘여성기자’로 불리는 것을 거부하게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부산 지역 제1세대 여성기자들에게 여성기자로서의 인식을 투철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페미니스트 정체성을 인식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Female reporters are professional workers as producers of media content and are also opinion leaders. 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however, female professionals are handicapped by their gender in their workplace. They experience gender issues in a social framework of patriarchy. The Working conditions for female reporters force them to change their identity. From the start, females could hardly be found in the field of media and they tended to display the identity of a neutral sex, neither of a man or a woman,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circumstances. However over time, they felt confused between their identity of a reporter and a woman. The levels of their gender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vary depending on their careers. Furthermore, they put feminism into practice as an owner of their own life while addressing loc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with self-consciousness as female reporters.In this article I will attempt to analyze the different types and causes of discrimination and explore various strategies to address this inequality and carry out feminism in the local area of Busan. This will be conducive to improving the situation and voicing women's rights as a representative subject. This study on a local area and local people criticizing and opposing social gender discriminati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all studies of women’s issues.

      • KCI등재후보

        ‘정치의 여성화’와 젠더 정치의 동학: 영국 노동당과 보수당을 중심으로

        이진옥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3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dynamics of gender politics in the course of ‘feminizing politics’ in the UK, which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1997 when the Labour Party finally succeeded to win the election by tracing back its trajectory, which began from 1979 when Margaret Thatcher became the first female prime minister.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merely on the results of the increased number of women MPs of the Labour Party from 37 in 1992 to 101 in 1997 with its total number doubled from 60 to 120 by highlighting the effect of All Women’s Shortlist (AWS) introduced by the Labour, this paper pays much attention to the dynamics of gender politics, by whic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AWS was introduced in the Labour and its effects on its rivalry, the Conservative Party in the U.K. While contagion theory has much to offer to analyse how Labour's experience has transferred to the Conservative, this paper will begin with a critical analysis of the contagion theory by focusing on the dynamics of internal gender party politics.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draw implications of the feminization of politics in the U.K. for the discourses of women’s representation and gender quota,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Korean politics. 이 논문은 1997년 이후 꾸준하게 지속되고 있는 영국 ‘정치의 여성화’ 과정을 전염이론의 비판적 적용을 통해 분석한다. 1979년 마가렛 대처의 집권 이후부터 진행된 노동당 내부의 여성 조직의 강화와 연속된 선거 패배 후 도입·강화된 여성선거인명부(AWS)의 실행을 통해 1997년 노동당은 집권에 성공하고, 이는 여성의원 수의 급격한 증가를 동반하며 영국 정치의 여성화의 결정적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연속된 패배 이후 보수당 여성 조직의 활성화와 할당제와 유사한 A 리스트 등의 적용을 통해 여성 대표성 강화를 당의 현대화 전략으로 내세우면서 보수당은 2010년 집권에 성공하였고, 이는 노동당과 마찬가지로 상당한 폭의 여성의원 증가와 동반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정치의 여성화 과정을 각 정당 내외부에서 작동하는 젠더 정치의 동학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를 통해 영국의 경험이 여성 대표성 및 할당제 논의에 지니는 있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 여성의 이미지와 본다는 것의 정치적 의미에 대하여

        임옥희 ( Ok Hee Im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이 글은 신자유주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시대에 이르러 성별이분법에 근거한 ‘상투적’ 여성 이미지가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가에 주목하고 그런 이미지를 페미니즘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이미지라고 하면 이미지 이전의 무엇을 상상케 함으로써 그에 앞선 실체를 전제하게 된다. 하지만 후기근대에 이르러 이미지 이전의 실체를 상정하는 이론이 본질주의라는 비판을 받게 되면서, 원본과 기원을 설정하지 않게 되었다. 그로 인해 재현으로서의 여성이 그 나름의 자율성을 갖게 되면서 여성들이 자기 이미지를 자율적으로 엔지니어링 하는 행위주체로서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이제 여성들은 자기 이미지를 제작함으로써 끊임없는 변신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가면, 혹은 여성 이미지가 곧 여성의 정체성으로 등치되는 시대가 열리게 된다.문제는 그런 자기 이미지 엔지니어링이 신자유주의에 바탕한 자본시장의 논리에 부합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가부장제적 자본주의에 저항하려는 페미니즘의 정치적 관점에서는 하나의 딜레마이다. 이제 여성의 몸, 여성의 이미지, 여성의 자기정체성 등, 어느 것 하나 자본의 회로 속에 포획되지 않는 것이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 이런 상황에서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주의의 정치성을 어디서 찾아야 하는가라는 고민과 대면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본질 대 비본질주의와 같은 철학적 논쟁에 토대하여 본질로서 주어진 여성 대 현실에서 경험하는 여성 이미지 같은 소모적인 논쟁에 주목하기보다, 이 글은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여성 이미지를 어떻게 정치적으로 재/해석할 것인가에 주목한 것이다. 이미지는 본다는 행위와 분리될 수 없으므로 이 글에서는 또한 ‘보는 것’의 정치적 의미와 재현의 철학을 조명해보고자 한 것이다.마지막으로 신자유주의 시대 본다는 것의 의미가 어떻게 정치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한나 아렌트의 월드스펙테이트라는 개념을 차용하여 여성주의적인 정치적 지평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The radical feminist wave has criticized the stereotyped female images derived from the patriarchal ideologies. Traditionally they are polarized between good mother and bad mother, lily and rose, saint and whore, chastity and femme fatale etc. Feminists have attempted to re/interpret or dy-mythify these images. However, the criteria for such interpretations are themselves far from being transparent or natural; instead, they are constantly reconceptualized or reinvented.Since the rise of neo-liberalism, the female images have been changed. It has transformed almost everything into exchange values or money value. In other words, there is close link between the fragmentations of the consumer-capitalist societies and the representations of female images. These days, young women pay their great attention to apparent images(as opposed to the inner self or feelings) They bear heavy burden of unbearable lightness and superficiality of post modern societies; incessantly they endeavor to produce self-engineering images, or even enjoy their multiple selves. These tendencies are based on imagecentered cultural industry. They are willing to program their own images according to the demands of consumer capitalism.There is not much alternative against the grain of the process of spectacular societies resulting from the dominance of the visual image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gender awareness can find its moment of action. According to Hanna Arent, what makes wo/man a political being is her/his faculty of action. Human beings are responsible for what they have seen. All the more because her concept of 'world spectatorship' draws our attention to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seeing. It calls forth female subject ethically awakened and politically committed.

      • KCI등재

        해방, 기억 그리고 성(性) - 중국 현대 여성소설의 존재 의식 -

        이상옥 ( Sangok Lee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현대 중국의 여성소설에 표출된 자아의식에 대한 분석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중국 현대의 독특한 역사의 발전 과정이 중국 문학, 특히 여성소설의 본질적 내용을 구성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공산당 이데올로기 시대 이후 현재까지의 60여 년의 여성소설을 3단계의 상호 구별되는 역사 과정으로 귀납하여 각기 시대의 특징의 표상화를 연구 방법으로 한다. 첫째, ‘해방’이후 개혁, 개방 이전까지의 시기로 이데올로기와 반(反) 이데올로기-봉건적 여성 속박에서의 해방과 이데올로기 구속으로의 대체 표상의 시기로 도구론적 문학이론으로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개혁, 개방의 시기로 역사와 탈(脫) 역사적 사유(思惟)-이데올로기의 제한적 청산과 역사의 개혁과 개방 논리의 기억의 표상 시기로 역사와 기억의 표상을 이론화하는 것으로 하이데거의 역사예술철학의 존재론적 예술 존재론으로 분석 이론을 적용한다. 셋째, 세계 질서 편입기로 여성 자아의 모색과 회복-여성 실존적 본체와 성(性)적 자각의 표상 시기로 자아와 실존의 이론으로 서양의 현대주의와 후 현대주의를 망라한 ‘비판이론’의 개인과 정치 사회 체제의 비판을 연계한 이론이다.제 1단계의 작품으로 공산주의 해방 이후 남성상과 구별되지 않는 혁명과 정치 선전의 수단으로 이데올로기 선전의 미화 역할을 수행했다. 제 2단계는 절대적인 ‘정치’시대로 여성문학의 질적인 도약을 이룬 시기였다. ‘문화혁명’의 과거의 역사를 망각하려는 노력과 새로운 역사 시대를 맞아 새로운 역사성 인물과 가치를 창조하여 이를 정형화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고 한편으로 성애와 여성 고유의 자아의식이 고양된 시기로 기록된다. 제 3단계는 가장 최근의 중국 사회와 사조의 변화를 반영한 문학이 분출하였는데 인간과 사회, 인간의 사회 속에서의 생활을 여성 자신의 경험과 상상, 혹은 남성과 더불어 새로운 사회에서의 여성의 본질적 존재감에 대한 인식이 시작된 문학적 성과와 성애에 대한 노골적인 '신체 서사‘, 그리고 인터넷 문학 같은 즉흥성과 경박성, 그리고 가치의 무차별성이 소비 성향 같은 일련의 상업적 성격의 여성문학을 제조해 내었다.중국 현대 역사 맥락에 부응하여 그 특징이 표출되는 현대 여성소설의 단계는 3단계로 나뉘고 그 독특한 사회-개인적인 존재는 여성문학에 대한 독특한 사회와 개인차원의 영역 개척의 찬사와 문학 창작과 공유 정신의 개인 영역으로의 퇴조라는 비판을 동시에 수용하게 된다. 현대 중국 여성소설에 대한 다음 세 가지의 결론으로 그 의미를 집약하려 한다. 첫째, 현대 중국의 여성소설은 중국 이데올로기와 정치의 대변인의 수단적 의미의 역할을 과거부터 현재까지 기본적인 임무로 수행하고 있다. 둘째, 여성의 다양한 시각과 감수성, 표현의 섬세함은 중국 사회와 역사의 변화를 남성과 달리 집체적인 차원이 아닌 개인적인 차원으로 축소되어 담론화의 허구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셋째, 현재에는 남성 위주의 문학보다 더욱 활발한 생산을 보이고 이는 중국 사회의 서구 지향적 사조와 가치관의 과도기 상황, 그리고 배금주의와 향락주의 등의 현 중국 문학 사정이 중국적 특색을 가지고 혼합되어 드러난 현상으로 보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three themes-liberty, memory, and sexuality in contemporary China. I have set the hypothesis of representations as follows: ideology, historicity, and self-consciousness. The adopted methods were Marxism literary thought, Heidegger`s Being literature philosophy, and culture critical theory.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inese women`s novels w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pecific historical stages. The first stage would be the instruments of the communist authority ideology. Second stage expressed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 wound and creating a new society. Third stage, as we can see, is hardly able to overcome the basic situations of the novels.In conclusion, I suggest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influencing women`s novel has always been the Chinese communist ideology. Second, the novels written by women would be the reduction of the individuals’ level, not the community and society levels. Third, considering the businesslike atmosphere, we would not prospect the futur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Chinese women’s novels.

      • KCI등재후보

        노인여성의 몸과 미의 기준

        이동옥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4 여성학연구 Vol.24 No.2

        This paper examines how old women's bodies are represented in relation to anti-aging medicine and consumerism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media analysis. Futhermore, this intends to offer the alternative standard of beauty from old women's perspective and criticize lookism and ageism in this society. The fear of aging is overflowing in the whole society and the standard of beauty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young women's bodies. The refusal of aging and praise for baby face put pressure on not only old women but also young women to purchase the anti-aging goods and to improve their appearances. Feminist community should do cultural practice that old women accept their bodies in order not to recognize aging as loss or pain, which redefines that old women's bodies are not as ugly and shameful but as comfortable, friendly and lovely, and diversifies the standard of beauty focused on youth. While we should produce the discourses to get over the hatred of old women's bodies and accept women's aging, we should establish the public setting to supervise media that incites plastic surgery for the old and reinforces lookism and ageism. 이 연구는 소비자본주의, 노화방지의학과의 관계하에서 노인여성의 몸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문헌연구와 미디어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노인여성의 위치에서 대안적인 미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외모중심주의와 연령차별의 문화를 시정하고자 했다. 사회 전반에 나이듦에 대한 두려움은 팽배해 있고 미의 기준은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이듦에 대한 거부감과 동안의 찬미는 노인여성뿐 아니라 젊은 여성들에게 화장품, 성형수술 등 노화방지 상품을 소비하게 하고 외모관리를 추동한다. 여성들이 나이듦을 상실이나 고통으로 해석하지 않고 나이든 몸을 긍정하기 위해서는, 여성주의 공동체의 차원에서 문화적 실천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천은 노인여성의 몸을 편안하고 친근하고 사랑스러운 몸으로 재정의하고 젊음중심의 미의 기준을 다양화하는 것이다. 아울러, 노인여성의 몸에 관한 혐오를 극복하고 여성들의 나이듦을 수용하는 담론을 생산하는 한편, 노인성형을 추동하고 외모중심주의와 연령차별을 강화하는 미디어의 내용을 비판하고 제재하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참여(Social Participation)에 대한 여성장애인의 주관적 인식연구: Q 방법론의 활용

        신유리,김은경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concerning ‘Social Participation’, categorize it, and suggest possible ways to improve social participation. with 40 statements related to social participation, Q-sorting was administered to 23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Q-methodology, four types and features of their subjective perception about 'social participation' resulted in the following data. First type is 'Independence oriented economical activities'. Second type is a 'Right oriented acceptance of disability'. Third type is a ‘Self-help oriented combination of social requirement for social participation’. Fourth type is a ‘Relationships oriented leisure activity’. These results will help to develop a theory of social particip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policies of examination of the standard for social service practices for social service providers in the field of welfare for women with disabilities. The current theories and policies towards social particip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s perceived as ambiguous in Korea.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사회참여 확대방안 및 사업,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참여와 관련된 엄선된 40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23명의 여성장애인들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되었다. Q 방법론을 통해 여성장애인들의 ‘사회참여’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을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경제적으로 자립적인 삶을 강하게 지향하며 이를 위해 사회참여 중에 소득창출을 위한 경제활동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입장인 ‘자립지향적 경제활동형’, 둘째,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는 당연한 권리로써 사회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이러한 사회참여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때 적극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입장인 ‘권리지향적 장애수용형’, 셋째, 사회참여를 위해 여성장애인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이 가장 중요하며, 동시에 사회 참여의 기회가 확대되고 활성화되도록 제도적인 방안과 사회적 지원책이 상호 절충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는 입장인 ‘자조지향적 사회적 요구형’, 넷째, 문화여가활동에 가장 많은 관심과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일상의 무력감에서 탈피하여 삶의 활력을 얻고자 하는 인식 유형이다. 즉, 개인적인 활동참여와 대인관계형성에 주요한 의미를 두는 입장인 ‘관계지향적 여가활동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의견, 욕구, 가치 등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유형과 그 특성을 구체화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 개발, 여성장애인 복지 실천현장에서 서비스 제공자들의 실천을 점검해 볼 수 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기혼 여성근로자의 근로조건이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남편의 가사노동분담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선민정 ( Sun Min-jung ),주영하 ( Ju Young-ha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2 여성학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기혼 여성근로자의 근로조건이 결혼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아 기혼 여성근로자의 결혼생활만족 향상을 위하여 노동시장에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8차 여성가족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기혼 여성근로자를 총 1,251명을 대상으로 근로조건(임금, 정규직 여부, 상용직 여부)과 남편의 가사노동분담, 결혼생활만족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하여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임금이 높을수록 결혼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임금이 결혼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이 매개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여성근로자의 열악한 노동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가정에서의 성불평등 해소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in the labor market to improv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It examined whether husbands’ housework share had a mediating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which was affected by the warking conditions of married working women. This study used 8th female family panel data and selected 1,251 married working women.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husbands’ housework share by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married working women’s working conditions (wage, permanent worker or not, and regular employment or not), the husband’s housework share,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wages of married working women affected their marital satisfaction, and 2)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husbands’ housework share on marital satisfaction that was affected by the wages of married working wo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poor labor environment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eliminate gender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and at home.

      • KCI등재

        ‘자기만의 방’을 만드는 사람들 - 청년여성 자영업자의 일 경험과 의미 연구

        최나현 ( Choi Nahyun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0 여성학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부산, 대구, 서울의 청년여성 자영업자 13인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청년여성이 바라는 일터의 모습과 스스로 구성하는 일의 의미를 분석했다. 청년노동의 불안정성과 노동시장 내부의 극심한 성차별이 여성노동자를 노동시장 바깥으로 밀어내는 현실에서, 청년여성은 대안 일자리이자 자신의 주체성을 실현하는 장으로 자영 창업을 선택한다. 청년여성 자영업자의 일 경험은 과거 임금노동에서 얻은 소외의 경험이 반영된 결과물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을 주체적인 창작자로, “농사꾼”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자신만의 일을 통해서는 독립된 경제생활이 가능할 만큼 충분하게 물질적 기반을 재생산해 내지 못한다는 한계로 인해 일에 대한 진정성을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증명해야 하는 부담감이 존재했다. 그럼에도 이들은 자신의 사업장을 “자기만의 방”으로 의미화하며, 여성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방식으로 공간의 규율을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 마음 맞는 여성 동료들과 함께 “느슨한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로써 청년여성들은 자영업이라는 취업형태를 통해 자본의 논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일의 의미를 구성하고 타인과 함께하는 삶의 방식을 펼쳐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im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work place desired by young women? How do they make the meaning of the work? These questions parallel to the line of research that attempts to understand the labor experience of self-employed young women.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I examine the case of 13 young women aged 25-39 living in Busan, Daegu and Seoul. The conclusions obtain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hen self-employed young women formed their own workplace, they continued to reflect negative experiences gained from past wage labor. For young women, self-employed businesses were becoming a means of “(A) room of one's own” by deviating from the experience of wage labor and concentrating on their work. They were not only making discipline in space in a way that women could feel comfortable, but also making efforts to create a “female community” with their colleagues. This has led young women to confirm that through the form of employment of self-employed people, they make up the meaning of work in a way that differs from the capitalism and develop lifestyles with others.

      • KCI등재후보

        여성의 노부모 보살핌 경험에 관한 연구

        이동옥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1

        This paper starts from the question, how the women who offered care labor for their aged parents interpret and give meaning to their experiences. The elderly care in Korean family has been regarded as the gender role embedd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Confucian filial duty and thus the government has ignored the issue in the public sphere. But the recent increase of the aged people and working women and the visualization of elder abuse stimulated the necessity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Nevertheless, the family and especially women are not fre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the elders. This research inquires into the women’s experience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women who cared for elderly parents as daughters or as daughters-in-law. The interviewees were 10 people living in Seoul. Each participant had two or three interviews, for one or two hours per each interview. Their ages are various from the forties to the seventies. The reason why there was no age restriction on interviewees was because this research was interested in any possible change resulting from age difference in the care of elderly par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daughters-in-law's responsibility for parents-in-law in the paternal family tends to have lessened relatively compared with the past. Nevertheless,they still feel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 care of the parents-in-law. Meanwhil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daughters who live with their elderly parents or hav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care for them from their own hearts. Nonetheless,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was physically, mentally, and emotionally hard work. Women quit the job and experienced the cutting of the career because of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Even though women played the multiple roles such as housewives and mothers, their husbands did not support them. Since the elderly care is regarded as the troublesome, odd jobs, and the gendered role, women’s self-esteem was depreciated. Meanwhile, women understood the fact that aging and dying is the course of life through their care for their parents and accepted their time with elderly parents as the precious opportunity to feel empathy with them. The value of elderly care has been ignored in the feminist discourses. But the revaluation of elderly care services will be helpful as women's issue. Despit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women's care for elderly parents does not decrease due to distrust of institution and the prejudice that the care of elderly parents are women's job. The idea that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within family boundary is filial duty fixes women's role and hamper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In order not to alienate Women's care for elderly parents, society should encourage men's participation and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for elderly car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in the public sphere should also reduce the economic burden and support the reliable elderly care. 본 논문은 여성들이 가족 내에서 노부모를 보살핀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가에서 출발한다. 한국에서 노인보살핌은 유교 효문화의 맥락에서 가족 내의 여성의 역할로서 인식되어 왔고 국가는 방임적인 자세를 취해 왔다. 현재 노인인구의 증가와 취업여성의 증가, 노인학대의 가시화 등으로 인해 노인보살핌의 제도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가족, 특히 여성들은 노부모를 책임져야 한다는 의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연구는 며느리와 딸의 위치에서 노부모를 보살핀 여성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함으로써 여성들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심층면접은 현재 서울에 거주하는 10명의 연구참여자에게 2-3차에 걸쳐, 1회에 1-2시간씩 실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연령은 40대-70대까지 다양하다. 연령을 제한하지 않은 이유는 연령간의 차이를 통해 노인보살핌의 책임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부계가족 내에서 시부모에 대한 며느리의 책임은 과거보다 줄어든 경향이 있지만, 여전히 며느리들은 의무감을 갖고 있었다. 반면에 친정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거나 부모와 함께 사는 딸들은, 부모에 대한 연민과 사랑으로 적극적으로 보살핌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노인보살핌은 정서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힘든 노동이었다. 여성들은 노부모를 보살피기 위해 직장을 그만두거나 경력 단절을 경험한다. 여성들은 가족 내에서 아내, 어머니 등의 다중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도움을 받지 못했다. 이와 같이, 노인보살핌은 여성의 역할로 인식되고 있었기 때문에 여성들은 자존감이 저하되었다. 반면에, 여성들은 노부모 보살핌을 통해서 나이듦과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수용하고, 아픈 노부모와 교감하면서 시간을 함께 보낼 수 있다고 해석한다. 노인보살핌의 가치는 여성주의의 논의에서 간과되어 왔지만, 가치의 재평가는 여성문제로서 노인보살핌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노인보살핌의 제도화에도 불구하고, 시설과 유급노동자에 대한 불신과 노부모를 직접 보살피는 것이 효도라는 통념은 여성들의 부담을 경감시키지 못하고 있다. 가족의 틀 안에서만 노부모를 보살피는 것이 최선이라는 사고는 제도적 지원의 의미를 변형시키고 여성들의 역할을 고정시킨다. 노부모 보살핌이 여성들의소외된 노동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가족과 사회의 차원에서 정서적 지원과 남성들의 참여를 권장하는 한편, 제도적 차원에서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신뢰할만한 대체인력을 지원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푸른 수염’ 내러티브의 변용과 아내의 위반 -「푸른 수염」, 「피로 물든 방」,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를 중심으로 -

        황은덕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6 여성학연구 Vol.26 No.2

        This paper explores the diverse forms and transformative versions of ‘Bluebeard’ stories in terms of the wife’s transgression. The paper focuses on Perrault’s fairy tale, “Bluebeard”, Carter’s short story, “Bloody Chamber”, and Ha Seong-ran’s short story, “The First Wife of Bluebeard.” The Bluebeard stories have long been considered as the texts that enunciate the critical consequences of women’s curiosity and disobedience. However, as this paper has disclosed, Perrault’s “Bluebeard”, whose themes centers around a forbidden chamber, a curious wife, and a wife’s disobedience, distorts the folkloric versions of Bluebeard stories in a number of ways. Though Perrault’s version blames and warns of the wife’s curiosity and disobedience, other Bluebeard versions of his era differ greatly in portraying and depicting the wife’s brave acts and characters. As one of the well-known versions of Bluebeard stories in the 20th century, Carter’s “Bloody Chamber” incorporates the basic plots of Bluebeard story but rewrites and refutes the whole notions of androcentrism and sex discrimination ideology prevalent in Perrault’s fairy tale. Ha Seong-ran’s version of Bluebeard story, “The First Wife of Bluebeard”, seems to consider the fate of the first wife of Bluebeard: What is she curious about and what does she see in that forbidden chamber? As this paper unfolds the tale of the first wife’s experience, Ha’s short story turns out to be an important feminist text featuring the issues of marriage ideology, women’s pursuit of knowledge and truth, transgressive women, and women’s telling of ‘her story’. 본 논문은 17세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전승되던 푸른 수염 민담이 각 시대와 문화권을 넘나들며 변용된 양상과 방식을 아내의 위반과 행위주체성의 주제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푸른 수염 내러티브를 다룬 텍스트들 중에서 본 논문은 페로(Perrault)의 동화 「푸른 수염」(“Bluebeard”), 카터(Carter)의 단편소설 「피로 물든 방」(“Bloody Chamber”), 하성란의 단편소설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페로, 카터, 하성란의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공통점과 차이점들은 아내가 위반을 감행하는 순간, 즉 금지된 방의 문을 여는 순간을 전후하여 행위주체성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페로는 푸른 수염 민담의 최초 기록자이자 이 민담을 동화문학의 장르로 정착시킨 작가이다. 지난 수세기동안 서양 문화의 대표적인 ‘집단적 판타지’로 자리 잡은 푸른 수염 내러티브, 즉 금지된 방, 여성의 호기심, 위반과 불복종의 모티브는 바로 페로의 동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페로는 동화를 쓰는 과정에서 프랑스 절대왕정 시대의 가치체계와 규범을 전파하고 강화하려는, ‘교훈적’이고 ‘근대적’인 목적을 위해 당시의 푸른 수염 민담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변형시켰다. 즉 페로의 생존 당시에는 용감하고 주체적인 여성으로 회자되었던 푸른 수염의 아내는 페로의 기록 이후 순종적이면서도 호기심의 유혹에 굴복하여 불복종의 죄를 저지른, 교훈과 질책의 대상이 되는 여성으로 변모했다. 카터의 단편소설은 20세기 영미소설에서 페로의 동화를 변용한 가장 유명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카터의 「푸른 수염」다시쓰기는 익숙한 장르인 동화라는 ‘옛 병’에 폭발적인 ‘새 술’, 즉 페미니즘의 시각을 부어넣은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카터는 익숙한 장르 문법을 일정 부분 활용하면서 권력과 성차에 근거한 성 이데올로기야말로 자본주의체제 가부장적 성 담론의 핵심 내용이라는 사실을 드러낸다. 하성란의 단편소설은, 맨 처음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는 과연 어떤 이유로 희생자가 되었을까, 하는 상상력에서 쓰였다고 할 수 있다. ‘도대체 나는 무슨 잘못을 했을까’ 라는 여주인공의 반복되는 자문이 보여주듯이, 하성란의 소설은 잘못된 선택으로 인해 한 여성에게 닥친 우연한 재앙을 인간의 공통적인 삶의 조건으로 형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성란의 소설은 결혼 이데올로기에 순응하는 여성, 위반을 통한 여성의 지식과 진실 추구, 여성의 행위주체성, ‘허스토리’를 전하는 여성주체 등, 페미니즘의 공통 주제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텍스트로 활용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