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의사소통 공간으로서의 클리닉 현황과 의의

        조용림(Jo, Yong Lim)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18 지식과 교양 Vol.- No.1

        대학생들은 교양과 전공 지식을 극대화하여 사회에 진출하고자 모든 능력을 쏟고 있다. 대학에서는 심화된 전공 교육과 다양한 교양교육으로 그들의 노력에 답하고 있다. 그 길잡이로 교양 교육의 강화를 외치고 있다. 사회적으로 갖추어야 할 필수 요소가 의사소통 능력이기 때문에, 대학 관계자와 학생들은 글쓰기 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현재 목원대학교에서는 글쓰기․말하기 관련 <토론과 글쓰기>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교양 필수로 1년 두 학기에 각 2학점씩 개설되어 있으며, 수강 인원은 30명 내외이다. 이 교육과정은 토론(말하기)과 글쓰기가 통합된 수업으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을 위해 마련되었다.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글쓰기 클리닉은 2014년 4월 22일 개소하여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첫 해 294건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매학기500여 건 이상글쓰기 첨삭을진행하고 있다. 글쓰기 클리닉은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이다. 대학 생활에서 많은 쓰는 학술적 글쓰기부터 취업을 위한 실용적 글쓰기를 개인지도 받을 수 있다. 말하기 클리닉은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초의사소통역량을 높이기 위해 구축되었다. 2015년 개소하여 2017년까지 매 학기 300여 건의 말하기 코칭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대학 재학생을 위한 말하기 코칭 기관은 다른 대학보다 앞서 설치한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 이 곳에서는 취업 면접, 대인관계 개선, 정보전달 말하기, 설득하는 말하기, 공감을 위한 말하기 등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말하기 훈련을 할 수 있다. College students are trying their best. They want to build their knowledge of liberal arts and majors and advance into society. University faculties are preparing for students efforts with advanced major education and a variety of liberal arts education. College need for strengthening Liberal arts Education as a guide. That way, students can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college relationships and decision making skills. The Writing Clinic is a nonsubject program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writing. You can get a lot of academic writing from college life to practical writing for employment. The Speaking clinic were established to improve students speaking skills and to increase basic communication skills. Here you can practic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peaking skills such as job interviews,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formational communication, persuasive speaking, and speaking for empathy.

      • 교양교육의 목적으로서의 '말하기'와 발표 역량 강화를 위한 신체 활용 수업의 의의에 대한 소고 : 메를로-퐁티의 신체 현상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우섭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0 지식과 교양 Vol.- No.5

        현대 우리 사회에서의 대학교육의 특이성이란 그것이 지향하는 바가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대학의 존재 가치, 즉 이른바 상아탑이라는 대학의 가치에 의해 양산되는 지적 인재 양성이라는 목적에 더해, 사회의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용적 인력 양성이라는 보다 현실적인 목적이 투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려는 이 시대의 이러한 대학 교육의 지향점은 필연적으로 자유인, 혹은 교양인 양성이라고 하는 전통적 의미에서의 교양 교육의 목적에 투영되며, 따라서 현대 우리 사회의 대학 교양 교육 또한 보다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되고 운영되고 있는 실정을 부정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여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양 교육의 전통적 가치의 강화 양상은 그러한 효용적 역량 강화를 지향하는 교양 교육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사례라는 것 또한 사실이며, 따라서 현대 대학교양 교육의 고민이란 결국 지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 의미에서의 ‘교양인 양성’과 실재적인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적 의미에서의 ‘효용적 생산인 양성’이라는 두 갈래 길에서의 주저라고 정의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이러한 고민을 문제의식 삼아 다음의 두 가지의 질문을 던진다. 첫째, 그 두 갈래 길이 과연 서로 다른 길인가라는 것. 둘째, 만일 서로 다르게 보이는 그 두지향점이 결국 하나의 지향점으로 귀결된다면 그 목적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보다 효과적인 교양 교육의 방식은 어떤 것인가라는 것이 그것이다. 이때 우리는 그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교양 교육의 핵심을 ‘말하기’, 즉 수사학적 역량의 강화라고 전제하며, 교양 교육의 핵심 역량으로서의 수사학적 능력의 배양을 위한 방편으로서 신체를 활용한 수업의 이점을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적 관점을 통해 구체화 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 및 첨삭지도의 현황과 지향점 : 서울시립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곽상인(Gwak, SangIn)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1 지식과 교양 Vol.- No.8

        이 글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수업 운영방식을 포괄적으로 소개하고, 그 지향점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현재 서울시립대학교의 글쓰기 교육 체계가 어떤 과정을 통해서 구축되었는지를 살필 것이다. 두 번째로 실제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이 주차 별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래서 구체적으로 학생들에게 어떤 과제가 부여되고 어떤 점을 중심으로 하여 첨삭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시립대학교는 첨삭제도가 있어서 T.A.가 교수자의 첨삭을 돕는다. 이 제도의 시행과정을 살피는 것도 글쓰기 교육의 현장을 드러내는 데 유의미하다고 하겠다. 이상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하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두 영역으로 나뉘어 운영되는 것을 확대해야 한다. 예체능 계열에 속한 학생들을 ‘예체능 계열’로 따로 그룹화해서 운영할 필요가 있겠다. 두 번째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제도의 접근성을 높여서 학생들이 수시로 이 제도를 활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야 한다. 세 번째 첨삭조교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첨삭 수당을 높여야 한다. 학생들과 첨삭조교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려면 경제적인 투자가 불가피할 것이다. 네 번째 교수자마다 글첨삭 및 평가기준이 달라서 서울시립대학교만의 특성을 담은 표준첨삭표를 만들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the method of writing classes at the University of Seoul and to examine its direction. To achieve this goal, I will first examine how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system of University of Seoul has been established. Secondly, I will look at what writing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every week at University of Seoul, so specifically, what tasks are assigned to students and what points are focused on correction. Finally, the University of Seoul has an editing system (T.A.) to help teachers to write. The examination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is system is also meaningful in revealing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n order for writing education to proceed more efficiently at University of Seoul, it must be expanded beyond the existing two fields, Humanities Society and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bind the students belonging to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eparately into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econdly, an online Writing-Clinic system should be made more accessible to students so that they can use it any time. Thirdly, the correction allowance should be increased along with education on correction assistants. Economic investment will be inevitabl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correctional assistan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make a standard correction table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f Seoul. This is because each professor has different standards for writing correction and evaluation. By complementing these problems, more efficient writing education will be achieved.

      • KCI등재

        신입생 ICT 리터러시 역량진단을 통한 소프트웨어 기초교육 방안 모색

        최정희(Jeong Hee Choi),구진희(Jin Hee Ku)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3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진단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 교양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대전 소재 M대학교의 2021년, 2022년, 2023년 신입생 3,48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ICT 관련 선행학습에 따른 성적 비교, 전공계열별 성적 차이 분석, ICT 리터러시 역량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년간 전체 응답자 3488명 중 940명(27.05%)이 ICT 관련 프로그램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ICT관련 학습 경험 비율이 높은 공과대학, 사범대학, 미술디자인대학은 ICT 리터러시 역량진단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학습 경험비율이 낮은 음악대학, 테크노과학대학은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나 ICT관련 선행 학습 경험은 ICT 리터러시 역량 점수와의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영역별로 정답률을 비교한 결과, 접근영역과 윤리영역의 정답률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관리영역과 공유영역은 다소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컴퓨팅 사용환경이 PC에서 모바일로 옮겨가면서 데이터 저장, 소프트웨어의 사용 및 개발 환경 등이 클라우드 컴퓨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으로는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에서 블록 코딩 언어의 활용 가능성, 파이썬 언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수요증가를 반영하여 기초 및 심화 교육과정 필요성, 컴퓨터 사용환경 변화에 따른 자원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 필요성 등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of ICT literacy diagnosis for college freshme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college liberal arts software curriculum based on this. Data collection targeted 3,488 new students at M University in Daejeon in 2021, 2022, and 2023, and compared grades based on ICT-related prior learning, analyzed diff erences in grades by major, and analyzed differences in ICT literacy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940 (27.05%) out of 3,488 respondents over the past three years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 in ICT-related programs. The average score of the ICT literacy competency diagnosis of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college of education, and college of art and design, who had a high proportion of ICT-related learning experience, was high. While the average score of students at the college of music and college of technoscience, who had a low proportion of ICT-related learning experience, was low. In other words, ICT-related prior learning experience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ICT literacy competency scor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y area,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access and ethics area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areas, bu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management and sharing areas was somewhat lower. 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as the computing environment is moving from PC to mobile, data storage, software use, and development environments are changing to focus on cloud computing. In addition,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include the possibility of using block coding language in basic software education, the need for basic and advanced curriculum reflecting the increase of social interest and demand for the Python language, and resource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omputer use environment.

      • KCI등재

        대학 교양으로서 일반생물학 수업에서 ‘기후 변화’ 교육

        박돈하(Don Ha Park),장수철(Soo Chul Chang)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기후변화는 인류 모두가 풀어야 할 급하고도 중요한 과제이다. 그래서 대학 교육, 특히 교양교육에서 기후변화 교육을 수행해야 함은 이론의 여지 없이 너무도 당연하다. 본 연구는 생물학에서 가능한 ‘기후변화’ 교육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양교육 과정의 일반생물학 교과 내용을 분석하였고 수도권과 지방의 국공립과 사립 대학이 개설한 교양생물학 교과 주제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구 기후 이해를 위한 원리와 개념을 제공하는 생태학 교육은 매우 중요하므로 교양 교과로서 일반생물학 수업은 원칙적으로 반드시 교과 과정에 생태학 단원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런데 대학들의 교과 주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대학은 일반생물학 교과목에 이 단원을 포함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생태학 단원 전체를 한 학기 또는 두 학기 교과 과정에 포함하지 못하더라도 기후변화에 관련된 5~6 주제를 다른 단원에 연결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몇몇 대학처럼 생태학 교과목을 따로 개설할 필요가 있다. 또는 기후변화를 포함하는 다른 과학 교과목을 개설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학생들의 교과목 수강 지도가 필요한데, 수강 지도를 담당하는 교원을 위한 기후변화 교육이 필요한 점은 과제로 남게 된다. 더불어 생물학뿐만이 아닌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을 포함한 여러 교양교육 교과들이 이러한 시도를 함으로써 기후변화라는 과제를 푸는 데에 도움을 제공하여야 한다. 더불어 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제정한 ‘교양기초교육의 목적’에 기후변화에 관한 내용을 추가할 것을 제안한다. Climate change is an urgent and important problem that all humanity must solve. Therefore, it is indisputable that climate chang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universities, especially as part of liberal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possible climate change education in biolog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general biology curriculum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topics of the general biology curriculum offered by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regions. As a result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general biology classes as a liberal arts subject must, in principle, include an ecology unit in the curriculum. However, most universities in Korea do not include this unit in their general biology curriculum. As a countermeasure, even if the entire ecology unit cannot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for one or two semesters, the class can connect five to six topics related to climate change to other units. Otherwise, like some universities, there is a need to open a separate ecology course. Alternatively, other science courses that include climate change could be offered. In this case, though, guidance is needed for students to take the courses, and the need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for teachers in charge of course guidance remains an issue. In addition, various other liberal arts education subjects, including not only biology but also natural science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ould also make such attempts to help solve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Moreover, we propose adding content on climate change to the ‘Purpose of Liberal Education’ statement established by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대학 토론대회 운영 현황 및 시사점

        박고운(Ko Woon Park),고혜림(Hye lim Koh)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을 위한 중요한 활동의 하나로 여겨져 왔던 토론은 현대의 시민사회, 민주사회에 이르러서는 그 의미가 더욱 중요해졌다. 한국에서 대학 토론대회는 1970년대 후반, 대학 연합 토론대회를 시작으로 확대되었다. 다만 초기에는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 강화보다 토론의 문법적 형태를 강조하였다. 1990년대 중반 각 대학마다 토론 동아리 혹은 토론대회 등이 조직되었으며 2000년대에 이르러 토론대회의 질적 수준도 더욱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토론대회 역시 더욱 다양화되었다. 교내 토론대회를 진행하는 대학은 대표적으로 부산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단국대학교, 부경대학교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교내 토론대회를 10년 이상 진행한 대학으로 교내 토론대회의 발전된 모델을 제시하면서 역사적으로 교육적으로도 대표성을 띤다고 볼 수 있는 세 곳 대학을 선정해서 비교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로써 본고에서는 부산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충남대학교의 교내 토론대회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대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대학의 교내 토론대회 운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각 대학의 독서토론대회 운영 실무자와의 인터뷰 및 웹사이트에 게시된 토론대회 자료에 관한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현황 조사는 대학 교내 토론대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학 교육에 있어서의 토론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며, 교육적 함의를 재확인하는 등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Debate, regarded since ancient Greece as one of the important activities for cultivating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modern civil society and democratic society. University debate competitions in Korea expanded in the late 1970s starting with the university union debate competition. However, in the early days, the grammatical form of discussion was emphasized rather than the strength of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Debate clubs or debate competitions were organized in each university in the mid-1990s, and by the 2000s, the quality of the debate competitions was high. Debate competi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have also become more diversified. Busan National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a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re representative universities that have held on-campus debate competitions for more than 10 years. Among them, we would like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by selecting three universities that are historically and educationally representative while presenting an advanced model for on-campus debate competitions as universities that have held such competitions for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on-campus debate competitions at Busan National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university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y's in-school discussion competitions,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actitioners of reading discussion competitions at each university and a content analysis method of discussion competition data posted on their websites was performed. The status survey can provide several improvements such as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university discussion competitions, reminding the importance of discussions in university education, and reaffirming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Z세대 패션디자인전공 학생들의 가상 이미지 수용자 인식 분석

        이규진(Kyu Jin Lee)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2 지식과 교양 Vol.- No.10

        본 연구는 가상의 공간에서 미래 패션디자인의 유행을 반영하고 있는 SF영화 속 패션 이미지에 대한 Z세대 패션디자인전공 학생들의 수용자 선호유형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Z세대들의 다양한 인식 유형별 특징, 취향, 감성 등을 분류해봄으로써 미래의 패션 이미지에 대한 트렌드와 소비패턴을 예측하고 패션디자인 교육의 활용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방법은 Q 방법론(Q-methodology)으로 진행한다. Q방법론은 과학적 분석 및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한 양적 방법론과는 다르게 개별 수용자의 주관적 인식 범위를 연구함으로써 피상적인 특성화 분석을 통해 수용자 성향에 기반한 오류 및 가치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Q 방법론에 사용된 Q 표본은 SF영화의 패션 이미지 선택에 온라인과 SF영화 관련 논문, 그리고 신문 외에, 기타 잡지를 통해 Q 모집단(Q-Population)을 수집하였고, 그중에서 정리된 30개 패션 이미지의 Q 보기를 표본화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2년 8월 수도권 대학교의 섬유패션디자인 전공 1~4학년 학생으로 패션에 대한 관심과 접근성이 높은 연령별 Z세대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소규모 P 표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Q 분류를 위해 9점 척도의 분포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분류와 동시에 +4(강한 동의)와 -4(강한 부정)을 선택하게 된 이유에 대해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는 최종 수용자 인식 분석을 검증하기 위한 심층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프로그램은 PQMethod 를 사용하였고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Eigenvalue 1 이상의 요인만을 추출하여 이를 최종 결과에 적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최종 3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용성을 강조하고 실제 패션디자인 선호도를 반영한 현실적 타협형, 둘째, 시대를 앞서가는 예술적 측면을 강조하는 미래 지향형, 마지막으로 사회적 방향에서 미래를 극복하는 모험가 형이다. 결론적으로, 패션디자인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는 디자인요인, 대중의 욕망,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과정과 대상화를 통해 나타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적·정서적 역량을 조화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Z세대 패션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개인 감성, 취향, 인식 등에 대한 분석은 과학적 감성 패션 이미지의 효율적 결과물을 도출을 위한 중요한 연구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acceptance preferences of Generation Z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for fashion images in Science Fiction(SF) films that reflect future fashion design trends in virtual space.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predict trends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future fashion images and to inform fashion design education by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tastes, and emotions of Generation Z by various types of perception. The research is performed with the Q-methodology. Unlike quantitative methodologies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and objective data, the Q methodology expects to fill the gap in error and values in research due to audience propensity through superficial characteristic analysis by studying the scope of an individual audience's subjective perception. The Q samples used in the Q methodology collected Q-Population through online and SF film-related papers, newspapers, and other magazines, and sampled 30 Q views of fashion imag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first- to fourthyear students in the textile&fashion design department of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August 2022. In this study, a distribution model on a 9-point scale was used for Q classification.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on the classification for use as in-depth data to verify the end-acceptor recognition analysis, and why +4 (strong consent) and -4 (strong rejection) responses were selected simultaneously. The program used for the analysis applied the PQ Method, and in the final result, only factors with an eigen value of 1 or more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final types were derived. The first is a realistic compromise type that emphasizes practicality and reflects actual fashion design preferences, The second is a future-oriented type that emphasizes artistic aspects ahead of the times, Lastly, the third is an adventure type that overcomes the future in the social direction. In conclusi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efficiently performing fashion design work should include objectively analyzing design elements, public desires, and changing social phenomena, as well as harmonizing the creative and emotional capabilities of each fashion designer based on the data shown through objectification. The analysis of personal emotions, tastes, and perceptions of Generation Z fashion design students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research material for beneficial results of scientific emotional fashion images.

      • KCI등재

        대학 고전읽기 교육의 교육목표와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전영옥(Young Ok Jeon),강옥희(Ok Hee Kang)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본 연구는 S대학교의 <명저읽기> 교과목을 중심으로 대학 고전읽기 교육의 현실적 과제를 고전읽기 교과목의 교육목표와 수업 운영방안으로 나누어 문헌 연구와 학습자 설문조사를 근거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S대학교의 고전읽기 교육의 목표는 인성 함양에 근본을 두고 의사소통능력, 비판적‧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부차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교과목의 목표가 기본목표와 핵심역량 기반 교육목표로 구분되어 체계화되지 못해 이를 개선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S대학교의 <명저읽기>는 근본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 1차 목표이고, 의사소통능력 함양은 2차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고전읽기 교과목의 목표인 인성함양, 의사소통능력 함양, 비판적‧창의적 사고력 함양, 문제해결능력의 고취를 위해 ‘글쓰기와 말하기가 매우 밀접하게 연계된 읽기 중심 교육’ 방식으로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 대부분이 <명저읽기>의 교과 목표와 강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으로 토론하기를 꼽았다. 그러나 토론행위의 선행요소인 책 읽기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어 기존의 수업 방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actical tasks of college classical reading education by dividing them into the educational goals and class management of the classical reading subject, focusing on the <Reading a masterpiece> subject of S University. Discussions were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learner surveys. The goal of S University's classical reading education is based on character development, and the secondary goal is to cultivate communication skills,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However, since the objectives of the subject are divided into basic and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al goals, there is a problem that has not been systematized due to being organically connected and needs to be improved. The primary goal of S University's <Reading a masterpiece> is to pursue fundamental values, and the secondary goal is to cultivate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the class is operated in a very closely linked manner with “reading-writing-speaking” to foster personality, communication skills,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promote problem-solving skills that the classic reading subject aims for.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goal in the course of <Reading a masterpiece> and cited that discussion among students in the best way to achieve the goal. However, as students have been speaking about difficulties in the reading books, which is a prerequisite for the discussion behavior, they sought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 및 첨삭지도의 현황과 지향점

        곽상인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16 지식과 교양 Vol.- No.8

        이 글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수업 운영방식을 포괄적으로 소개하고, 지향점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현재 서울시립대학교의 글쓰기 교육 체계가 어떤 과정을 통해서 구축되었는지를 살필 것이다. 두 번째로 실제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이 주차 별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래서 구체적으로 학생들에게 어떤 과제가 부여되고 어떤점을 중심으로 하여 첨삭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시립대학교는 첨삭제도가 있어서 T.A.가 교수자의 첨삭을 돕는다. 이 제도의 시행과정을 살피는 것도 글쓰기 교육의 현장을 드러내는 데 유의미하다고 하겠다.이상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하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두 영역으로 나뉘어 운영되는 것을 확대해야 한다. 예체능 계열에 속한 학생들을 ‘예체능 계열’로 따로 그룹화해서 운영할 필요가 있겠다. 두 번째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제도의 접근성을 높여서 학생들이 수시로 이 제도를 활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야 한다. 세 번째 첨삭조교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첨삭 수당을 높여야 한다. 학생들과 첨삭조교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려면 경제적인 투자가 불가피할 것이다. 네 번째 교수자마다 글첨삭 및 평가기준이 달라서 서울시립대학교만의 특성을 담은 표준첨삭표를 만들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 음악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방향

        이지혜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16 지식과 교양 Vol.- No.8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음악교육이 가지는 중요성과 기존과는 다른 체험중심의 교육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사례로서 2015-2018년까지 시행된 <레드바이올린>이란 강의가 주차별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론과 실기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바이올린을 배워가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피상적인 지식이 아닌 음악이란 예술을 직접 느낄 수 있는 체험교육의 긍정적인 효과를 알아보았다. 바이올린을 배우고 연습하고 연주를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집중력과 인내심, 앙상블을 통한 소통능력, 무대매너, 표현성 다양한 측면의 성장을 경험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