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마인드교육에 관한 고찰

        김연아(Yeonah K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자기통제력과 청소년 비행에 관한 전반적인 고찰과 나날이 증가하는 청소년 비행억제 및 예방을 위하여 실시되는 인성을 강조한 인성교육에 대하여 알아보고 인성교육의 범위와 개념과 한계에 대해 분석한 후 마인드에 착안한 마인드교육에 대해 고찰할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비행 청소년들의 몇 가지 특징 가운데 행동 및 성격을 살펴보면 그들은 충동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충동 조절방식에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선 급속한 고도의 경제성장과 과학기술발전을 이룬 사회적 환경이 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비행억제를 위해 정부에서 약 20여 년 간 추진해왔던 인성교육의 개념과 실행하는데 있어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동안 실시되었던 인성교육의 다양하고 모호한 개념과 교육 현장에서 실행하는 방법적인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무엇보다 개념적인 면에서 21세기 청소년들에게 과거의 윤리나 도덕적인 태도로 그들의 인성에 변화를 주기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셋째, 모든 비행은 행동으로 옮기기 전 마음에서 먼저 충동이 일어나므로 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마음의 자세를 연구하는 마인드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을 마인드교육을 받은 청소년들의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마인드교육을 실제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인드교육을 통해 비행에서 멀어지는 과정에 대해 서술하며 자기통제력 형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대안프로그램으로써 마인드교육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verall review of self-control and juvenile delinquency, character education emphasized for juvenile delinquency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n consider mind education focused on minds after analyzing character education's scope, concepts, and limitations. Examining the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f juvenile delinquents, we found that they had impulsive characteristics and had problems with poor impulse control. First, we examined how the social environment that achieved rapid and high economic growth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ffects adolescents’ self-control. Second, we investigated the problems in the concept and implemen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th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for about 20 years to deter juvenile delinquency, which is continuously increasing.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and ambiguous concepts of character education and methodological problems were implemented in the educational field. Above all,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change their personality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old ethical or moral attitude. Third, we learned from the case of adolescents who received mind education that since all delinquency occurs first in the mind before taking action, mind education that manages the mind's posture must be preceded to suppress delinquency. Therefore,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 of moving away from delinquency through mind education for students who have actually experienced mind education that affects adolescents’ self-control and focuses on the role of mind education as an alternative program for character education to form self-control.

      • 창의융합형 인재 교육 방안 모색

        허지혜(JiHye Heo),김성희(SeongHee Kim),김성아(Sung-A K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2

        우리나라는 교육과정을 통해 시대를 반영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상은 동시대를 사는 학습자와 교수자 그리고 사회가 필요로 하는 교육목표를 재구조화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시대에 필요한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방안에 대해서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을 비교분석 했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국제교육과정(IB : International Bacccalaureate)의 학습자상과 핵심역량을 비교했다. 둘째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을 통해, 이와 같은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을 통해 창의융합형 인재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을 통해 창의융합형 인재 교육이 가능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PBL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문화 이해 수업 설계 방법을 제시했다. In this paper, the need for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is emphasized, and the plan to nurtur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needed in this era is examined through high school ‘Chinese’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e human imag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nd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human image of the Korean curriculum and the learner image and core competencie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were compared. Second, the possibility of creative convergence-type talent education through high school Chinese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high school Chinese curriculum. Finally, as a methodology to enable creative convergence-type talent education through high school Chinese education, a high school Chinese culture understanding class design method using PBL was presented.

      •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교육 방안 연구

        임민철(Minchul 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evelop effective leadership life skills education plans through looking at how biblical figures can be used when educating leadership life skills for teenagers. Moreover, I would like to pioneer a new research field by converging and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leaders, which are strong beliefs, future orientation, sacrifice, humility, and serving, to general leadership research.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first established throug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eadership life skills and Bible-based pedagogy. Then, Moses, Joseph, David, and Apostle Paul, the representative leaders in the Bible, were selected to examine how the factors of leadership life skills were expressed and how they affected their members. Each scholar presents various sub-factors of leadership life skills, but four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ing two internal factors and two external factors. As the next step, the characters in the Bible who presented the selected sub-factors of leadership life skills were suggested. Finally, the study showed how each of the character gained the leadership life skills, how they led others successfully, and how the results were changed through their leadership.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Bible is worth using as a positive educational content in educating adolescents on leadership life skills. The reason is that, first, Christians account for about one-third of the Korean people. Due to the religious nature, education based on common beliefs is bound to be highly effective. Second, the Bible has a value as a historical book in addition to its religious value. It can be a desirable way to educate leaderships that adolescents should have in the future through the leadership of historical figures. Third, the Christian spirit can be the basis for effective leadership. Christianity basically encourages people to have a humble mind by discovering their own inadequacies in front of God, and teaches them to respect others without easily judging them by their own standards. Fourth, the Bible describes various kinds of leaders in great detail. The process by which successful leaders acquire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results when acquired leadership is expressed are recorded in the Bible in detail. Through these narratives, modern researchers would be able to approach and draw the ideal leadership life skills from various angles. Considering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between present and future are repeated and developed, a new research field will be created if Christian leadership and leadership life skills studied in general social science can be fused and complemented. Therefore, Christian leadership must differentiate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this should be accompanied by general leadership research to the extent applicable to youth education through social science methods such as interviews, statistics, and quantification. This leaves a task to be studied further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educate adolescents about the values of faith, trust, consideration, and service necessary for modern society beyond religion. 이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리더십생활기술을 교육함에 있어 성경의 인물들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효과적인 리더십생활기술 교육 방안 개발에 일조하고자 함이다. 더불어 기독교리더십이 가지는 특징, 즉 강한 신념, 미래지향성, 희생, 겸손, 섬김 등의 모습들을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 분야에 융합 적용함으로서 새로운 연구의 장을 개척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리더십생활기술, 그리고 성경과 현대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였다. 이어 성경 속 대표적 지도자인 모세, 요셉, 다윗, 사도바울 선택하여 이들을 통해 리더십생활기술의 요인들이 어떻게 발현되고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학자마다 리더십생활기술의 다양한 하위 요인을 제시하지만, 대체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요인 중 중 인간관계기술, 자기이해기술의 내면적 요소 2가지, 의사결정기술, 그룹활동기술의 외부적 요소 2가지 총 4가지 요인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리더십생활기술의 요인들이 잘 발현되는 성경 속 인물과 발현 과정 및 그 결과를 각 요인과 매치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성경이 청소년들에게 리더십생활기술을 교육함에 있어 긍정적인 교육 콘텐츠로서 활용 가치가 있음을 보았다. 그 이유는 첫째, 기독교인이 우리나라 국민의 약 1/3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종교적인 특성상 공통된 믿음과 신념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은 효과가 높을 수밖에 없다. 둘째, 성경이 종교적 가치 외에 역사서로서의 가치도 지닌다는 점이다. 역사적 인물들의 리더십을 통해 미래 청소년들이 가져야 할 리더십을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기독교 정신이 효과적인 리더십의 바탕이 된다는 점이다. 기독교는 기본적으로 신 앞에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여 낮은 마음의 자세를 가지도록 권유하고, 자신만의 기준으로 타인을 쉽게 판단하지 않고 존중하도록 가르친다. 넷째, 성경에는 다양한 종류의 지도자들이 매우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는 점이다. 성공한 지도자들이 리더십생활기술을 습득하게 되는 과정과 습득된 리더십이 발현되었을 때의 결과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서사를 통해 현대 연구자들은 이상적인 리더십생활기술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고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현재와 미래가 유기적 관계 속에서 반복 및 발전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성경을 바탕으로 하는 기독교적 리더십과 일반 사회과학 속에서 연구되는 리더십생활기술이 상호보완적 관계 및 융합학문으로서의 관계를 이루어나갈 수 있다면 지금까지의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연구의 장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기독교리더십은 일반 리더십과의 공통점과 함께 기독교 리더십만의 고유한 특성들을 차별화함과 동시에 인터뷰, 통계, 수치화 등의 사회과학적 방법을 통해 실생활 및 청소년 교육에 적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앞으로 더욱 연구되어야 할 과제를 남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종교를 초월하여 현대사회에 필요한 믿음과 신뢰, 배려와 섬김의 가치를 청소년에게 교육하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 문해교육을 통한 과학문화 체험의 확대 방안 모색

        김성희(Sunghee Kim),김성아(Seonga Kim),지혜영(Hyeyoung Ji)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1

        코로나19시대에 평생교육에 대한 교육행정의 역할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팬데믹으로 인해 과학문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문해교육을 넘어 시대적 필요에 부흥하는 문해교육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해교육을 통한 과학문화 체험의 확대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문해교육의 개념을 평생교육사적 측면(평생교육법, 교육부 행정조직, 평생교육전담기구, 평생교육 진흥계획 및문해교육 개념의 확장과 지원체계 및 문해교육센터 설치)을 통해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문해교육에 있어 교육행정의 역할에 대해 문해교육의 주체가 되는 학습자, 교수자, 그리고 교육행정 관련 관계자의 역할과 문해교육 수행에 있어 교육행정 리더십의 종류와 특징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문해교육을 통한 과학문화 체험의 확대 방안의 방법으로 문해교육 교육과정의 대강화와 교육행정 기관의 재구조화를 통해 코로나19시대에 필요한 문해교육의 역할을 과학문화 체험을 통해 구현해 볼 수 있는 방법을 논산시 한글대학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It can be seen that the need for the rol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the era of Corona 19 is increasing through online and offline. In particular, as interest in science literacy has grown due to the pandemic, literacy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has become a necessary point beyond literacy education such as reading, writing, and counting. In this paper, a plan to expand science culture experience through literacy education was examined. To this end, the concept of literacy education was sequentially examined in terms of the history of lifelong education (the Lifelong Education Act, the Ministry of Educati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th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plan,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literacy education, the support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literacy education center). Next, regarding the rol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literacy education, the roles of learners, instructors, and persons related to education administration who are the subjects of literacy education,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adership in performing literacy education were presented. Lastly, as a method of expanding the experience of science culture through literacy education, the role of literacy education required in the era of Corona 19 can be realized through scientific culture experience through the major reinforcement of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method was examined through the case of Hangeul University in Nonsan City.

      • 유튜브 시대, 공익미디어 크리에이티브와 감성소구를 활용한 사고와 표현교육

        임지원(Jiwon L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2

        본 논문은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확장을 위해 공익광고 미디어에 담긴 크리에이티브적 감성소구들의 표현을 추출, 인지원리에 기댄 의미분석 모델을 적용시켜 대상 텍스트의 소구 파악 및 분류·분석·재구성하는 적극적인 사고와 표현 교육 도구로써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추후 의사소통교육의 확장과 관련하여 설득적 스피치의 내용구성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할 수 있다. 이 글에서 대학생을 위한 사고와 표현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비판적이며 설득적인 표현력의 생산 작업을 위한 논의 과정은 우선, 1차시에 도식화된 인지적 분석 과정을 지도한 후 수업시간에 초고를 쓰게 하도록 하였다. 초고에 대한 내용 및 구조에 대하여 전체 맥락 및 부분 맥락에 대한 퇴고가 교수자와의 피드백을 통해 이루어진 후 그 결과물을 학습자가 재검토하고 다음 차시에 과제로 제출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총 2차시에 걸친 이상의 수업은 기존의 일반적인 문장력 강화라는 사고와 표현교육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호응도가 매우 높았으며 비판적인 사고 능력과 미디어를 활용한 능동적인 사고와 표현교육 재생산 훈련에 많은 도움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The paper shall actively apply and analyze the meaning analysis model of creative emotional emotions included in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media, and analyze the meaning analysis model, analysis model and analyze the meaning analysis model of the target text. These discussions may be expected that it can apply to the content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The experiment of this discussion for the production of critical and persuasive express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nking and express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first guided the cognitive analysis process schematized in the first class and then wrote a draft in class. After the review of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draft was made through feedback with the instructor, the learner reviewed the result and submitted it as a task next time. The above classes, which spanned a total of two sessions, were highly responsive to the existing general thinking and expression education classes, and it is thought to have been very helpful in active thinking and expression education reproduction training using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media.

      •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활용 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김선희(SunHee Kim),성수나(SooNa Sung),남청미(CheongMi Na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3 마인드 교육 Vol.2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가 성장 발달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중언어교육을 통해 미래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활성화 및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기존 정책을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의 대다수 자녀는 양질의 언어적 자극을 제공받지 못해 언어발달 지연을 경험하고 있으며,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 과정에서 낯선 언어로부터 혼란과 편견, 차별을 경험하면서 우울과 불안 등의 심리적인 부담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중 언어사용을 그들의 능력으로 인식시켜 활용한다면 자존감을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더 이상 차별과 편견을 받지 않고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건강한 발달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언어 교육은 목적성 확립과 사회적 합의를 끌어낼 수 있는 체계적이고 총체적인 정책이 입안되어야 한다. 또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다문화 강점을 강화해야 한다. 이들을 글로벌 인재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이중언어교육 사업과 프로그램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 기업과 단체가 함께 협조와 참여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이 지닌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다름에 대한 존중의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policies on bilingual education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language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ffects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and to prepare measures to activate and support bilingual education so that it can be used as a future resource. Mos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delays in language development because they are not provided with high-quality linguistic stimulation, and experience confusio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from unfamiliar language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Korean culture. Therefore, recognizing and utilizing bilingualism as their ability will not only raise self-esteem, but also lead to healthy development as a member of a society without further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Korean society. Bilingual education should have a systematic and holistic policy that can establish purpose and draw social consensus. In order to cultivate them as global talents, bilingual education projects and programs must be jointly cooperated and particip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nd it should be an education of respect for the difference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