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등이론으로 본 디자인 융복합 연구 메타분석 - 본 학회 논문집 <디자인융복합연구>를 중심으로 -

        김미정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5

        It is inevitably important, in the 21st century to pursue academic convergence in order to understand, discover, and finally create a new civilization in the vortex of information society despite all the benefits from precise division of established academia. In design research, however, this ‘pro-convergence attitude’ arrives low success rate despite its ideal departure. Bringing “conflict theory” from social science, as a theoretical base, into this research supports why design research should be 1. building convergence methodology, 2. opening lectures collaborating among subjects, 3. proceeding convergence projects. Based on this theoretical consensus and criticism of current researches, this paper proposes ‘imagination ’as well as ‘openness’ yet ‘logical researches’ as key factors in Convergence Design Researches. This paper exemplify three typical articles from journal of <Convergence Design Issues> as as-is examples of convergence approaches in design research. 21세기 정보사회는 근대 학문의 미세한 구분이 가져오는 이점들을 뒤로 하고 복잡한 정보사회의 현상을 이해 및 발견하여 새로운 문명을 만들어 내기 위해 학문적 융복합을 지향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를 위하여 기반이 되어야 하는 것은 각 분야 전문가의 시간적, 지식적 한계를 넘을 수 있는 분야 간 협력에 대한 열린 자세라는 의견이 공유되는 분위기이다. 그러나, 이러한 ‘융복합적 자세’는 디자인학에 있어서도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이상적인 출발에 비해 실행결과는 적은 편이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본 연구는 이론적 접근으로 디자인학 내부보다는 사회과학에서 자주 인용되는 “갈등이론”을 적용한다. “갈등이론”을 기반으로, 본 학회 논문집 <디자인융복합연구>에 실린 기존 논문의 융복합적 노력을 카테고리화 하여 예시하고 ‘갈등이론’을 기반으로 이들이 디자인 융복합 연구에 끼친 기여도와 문제점을 분석한다. 분야 간 갈등 초래에도 불구하고 융복합적 접근이 왜 시급히 요청되는지를 이론적으로 밝힐 수 있었던 것은 사회과학 이론을 적용한 논문의 성과이다. 결론적으로 디자인학의 융복합 연구에 있어서 ‘상상력’과 ‘열린 자세,’ 그리고 ‘논리적으로 치밀한 연구’가 갈등의 순기능을 획득하여 각 분야의 권익과 이해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음으로 권장됨을 밝혔다.

      • KCI등재

        제품디자인 영역의 패키지디자인 표현특성 분석 및 발전방향 제언

        이성훈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3

        bstract)In the competitive market economy, package design not only functions as a decorative element, but also works as a strategic mediator which helps to communicate corporate brand to consumers. In this thesis, package design, which mainly used to be discussed in visual design area, is extended its area to product design, due to development in technology and material, and also social needs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Package design in visual design area and product design area is compared, and after analyzing differences of each design elements and methods, package design in product design area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ed with case stud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nalyzed elements, in the product design area, package design is suggested as user-friendly and emotional touch design, active and advanced form of green design, and design with combination of digital technology. Moreover, through the convergence between design disciplines, more various attempts are possible. 치열한 시장 경제 속에서 패키지디자인은 단순히 상품을 포장하는 장식적인 요소만이 아닌, 기업과 브랜드가 소비자와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적 매개체로 발전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시각디자인의 영역으로 주로 다루어져온 패키지디자인이 기술과 소재의 발전, 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적 요구 등으로 인해 제품디자인 영역까지 확장된 현황에서 출발하였다. 일반적인 시각디자인 영역의 패키지디자인과 제품디자인 영역의 패키지디자인의 비교 분석을 통해 디자인요소와 방법의 차이에 대해 살펴본 후, 제품디자인 영역 패키지디자인의 특성을 분류하고 각 표현 특성별 사례와 함께 설명하였다. 분석된 표현 특성을 바탕으로 향후 제품디자인 영역에서의 패키지디자인 발전 방향을 사용자 편의 및 감성을 충족시키는 디자인, 적극적이고 발전된 형태의 그린디자인, 디지털 기술과 결합된 디자인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디자인 분야 간 융복합을 통해 더욱 다양한 시도가 가능함을 재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IPA를 활용한 서울시 자전거 이용자 통행목적 별 서비스특성 비교연구

        강남훈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2

        Recently, the policy of bicycle road is focused the leisure. So, the aim of the study is that analyzes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category about bicycle users which is divided the living traffic and the leisure. Using the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nd suggests the political implications. As a result from the study, firstly, the policy(incentive, insurance, education, law) related to bicycle is necessary to improve immediately. Secondly, in case of the living traffic, the environments, facilities of connection and the policy such as incentive and safety education have to be improved immediately. In case of the leisure, the connection environment like the system of connection, the connection facilities like signs and safety infrastructure and the policy like incentive, the insurance institution have to be improved immediately. The highest ranks of the focused, preferred improvement are the facilities of rest, incentive and safety education policy. These factors are necessary to improve immediatel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자전거도로 정책이 레저형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상황에서 자전거 이용자 유형을 생활교통형, 레저형으로 구분하여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을 통하여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자전거 이용자 유형별 서비스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PA 분석결과 첫째, 자전거 관련 정책(인센티브, 보험, 교육, 법)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지표 별 IPA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유형1(생활교통형)의 경우 운행환경(연계시스템), 운행시설(정비/휴게시설과 안전시설), 정책(인센티브, 안전교육제도), 유형2(레저형)의 경우 운행환경(연계시스템과 전용도로), 운행시설(정비/휴게시설과 표지판, 안전시설), 정책(인센티브, 관련보험제도, 안전교육제도)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중점개선, 개선요망(생활교통, 레저 이용자 모두 개선요구)사항으로는 정비/휴게시설, 인센티브, 안전교육제도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건축 파사드 디자인에서 복잡계 모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김영선 ( Kim Youngsun ),차지은 ( Cha Jieun ),김민석 ( Kim Minseok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4

        건축 디자인에 적용된 디지털 기술은 설계·시공·관리 등 건축물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적용되며 새로운 패러다임의 건축물 형태가 등장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건축 파사드 디자인 논리를 복잡성 과학 시스템의 복잡계 모형을 통해 구현하여 실제 지어진 건축물 파사드에서 디자인 논리가 유효한지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잡계 이론 모형화 조건에 근거한 Grasshopper<sup>Ⓡ</sup> 컴포넌트를 개발하여 디자인 프로세스 행위자 기반 복잡계 모형화에 의한 수직 루버 파사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파사드, 원형 패턴 파사드 디자인을 도출한다. 이에 디자인 사례와 비교하여 복잡계 모형화에 따른 건축 파사드 디자인 논리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In architecture field,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hroughout the life-cycle of a building such as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n particular, digital technology applied to architectural design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new paradigm of architectural 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the design logic of architectural facade with digital technology through the complex system model, which is a system of the complexity science, and to examine whether the implemented design logic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architectural facade design. To this end, we develop GrasshopperⓇ components based on the modeling conditions of the complex system theory, and use the components to derive the design schemes by the agent-based complex system modeling of the design process. Those design schemes are the vertical louver facade, the voronoi diagram facade, and the circular pattern facade. The facade design schemes derived from the agent-based complex system modeling confirms the validity of the building facade design logic according to the complex system modeling through the constructed examples of actual facade designs.

      • KCI등재

        빅데이터 온라인 댓글 분석을 통한 슈퍼히어로 영화의 시청자 반응 분석

        장다윤 ( Jang Da Yoon ),김지윤 ( Kim Jeeyoun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 관객에게 흥행하는 슈퍼히어로 장르의 시청자 반응을 빅데이터 온라인 댓글 분석으로 영화의 흥행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흥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국내영화 기획자 또는 제작자들에게 슈퍼히어로 영화의 흥행 요인에 따른 제작 방향과 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슈퍼히어로 영화 50개의 시청자 댓글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댓글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텍스트 감성 분석을 하여 긍정과 부정의 비율을 알아보았다. 슈퍼히어로 장르에서는 극 중 캐릭터를 연기한 배우의 이름보다는 캐릭터 이름의 빈도수가 높았으며, 원작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는 키워드와 영화의 제작사에 대한 언급도 높았다. 시청자 댓글의 감성 분석을 통해 긍정과 부정의 비율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는데, 슈퍼히어로 장르 영화의 댓글은 50개 영화 모두 긍정의 감성이 부정보다 높게 나타났다. 슈퍼히어로 장르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검증한 결과, 네티즌 평점은 관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히어로 장르 영화에서 댓글의 긍정 및 부정은 관객 수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결과가 나왔다. This study will examine what makes superhero movies successful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viewers based on the online reviews from the big data. With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films, I intend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film producers according to the factors that make superhero movies successful. Analyzed the keywords of reviews in 50 superhero movies by the text mining technique and conducted a sentimental analysis of texts to find out the positive and negative ratios. In the superhero genre, the names of the characters rather that the names of actors were more frequently used. Also, expectations for the original movies and the production companies were frequently mentioned. Analyzed and compared the ratio of positive and negative reviews, for all of the 50 films of superhero genres had higher positive sentiments than negative ones. I verified the positive and negative ratios of viewers' comments and netizen's ratings in order to determine how much they affect the success of the superhero mov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netizen's ratings have an effect on the number of viewers. Also it shows that the sentiments of comments in superhero films do not affect the number of viewers.

      • KCI등재

        제품서비스시스템(Product Service System) 관점에서 본 안마의자 서비스디자인 전략 연구 - 고령자 중심으로 -

        황유진 ( Hwang Yoojin ),구유리 ( Koo Yoori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2

        초고령화 사회 진입 및 건강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안마의자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에 비해 안마의자 주요 수요층인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안마의자 사용성 연구는 아직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마의자와 고령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제품서비스디자인(Product Service System) 관점으로 해석함으로써 고령자의 안마의자 서비스 사용성 개선방안과 이에 따른 서비스 로드맵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의 단계적 질적 연구를 위하여 발견(Discover)-정의(Define)-발전(Develop)-전달(Deliver) 단계로 구성된 ‘더블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Model)’을 채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 개발, 서비스 생태계 지도, 서비스 블루프린트 등 실무에 적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형태를 제안하였다. 특정 사용자와 제품을 고려한 헬스케어 제품서비스디자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방법론은 안마의자 이외의 다양한 헬스케어 상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interest and demand for massage chairs are constantly increasing due to the entry into an ultra-aging society and the social atmosphere pursuing health.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the usability of massage chairs targeting the elderly, the main demand for massage chairs,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ssage chairs and the elderly and interpreti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 service design (PSS), a pla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assage chair services of the elderly and a service road-map were proposed. In this paper,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Model' which consists of the stages of discovery-define-development-delivering, was adopted for a phased qualitative study of service design. Based on this, we proposed practical forms that can be applied in practice, such as prototype development, service ecosystem map, and service blueprint. Given the lack of research on health care product service design considering specific users and product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various health care products other than massage chairs.

      • KCI등재

        허위영상 수용태도 개선을 위한 정보 패널 디자인 연구

        신광식,윤 재 영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2 No.2

        Widespread disinformation in social media is becoming an issue and this needs to be solved through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how information panels that prevent the spread of disinformation by users affect disinformation acceptance attitude factors (video credibility, additional information confirmation possibility, spread possibility, and service credibility). For the tests, information panels for misinformative video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 no information panel provided, (b) information panel that provided related sources without URLs, (c) information panel that provided related sources, (d) information panel that provided web searches, and (e) information panel that provided fact-checked results. Next, misinformative video samples were produced.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in the video credibility of information panel (e) (which provided fact-checked results), spread possibility of information panel (d) (which provided web searches) and panel (e) (which provided fact-checked results), and service credibility of information panels (b)–(e). The differences in the disinformation acceptance attitud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anel type were analyz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presents results that are helpful for the future utilization of information panels. 소셜 미디어에서 허위정보의 무분별한 확산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 측면에서 허위정보 확산을 방지하는 정보 패널 이 허위정보 수용 태도 요인(영상 신뢰도, 정보추가확인 가능성, 확산 가능 성, 서비스 신뢰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했다. 실험을 위해 허위영상 에대한정보패널유형을5가지(정보패널미제공(A),관련출처를안내한 정보 패널-링크 X(B), 관련 출처를 안내한 정보 패널(C), 웹 검색을 안 내한 정보 패널(D), 팩트체크 결과를 안내한 정보 패널(E))로 구분 후 허 위영상 실험물을 제작했다. 실험 결과, 영상 신뢰도는 팩트체크 결과를 안 내한 정보 패널(E)이, 확산 가능성은 웹 검색을 안내한 정보 패널(D)과 팩트체크 결과를 안내한 정보 패널(E)이, 서비스 신뢰도는 정보 패널을 제공한 모든 유형(B~E)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정보 패 널 유형에 따른 허위정보 수용 태도 분석으로 정보 패널 활용에 도움이 될 결과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AR 페이스 필터 적용에 따른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박주연,윤 재 영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2 No.2

        Currently, attempts to utilize AR face filters occur actively in social dating services. However, opinions are diverse on whether the AR face filter application is positive in social dating services, where appearance is considered critical.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r experience of AR face filter applications in social dating services, examine what types of AR face filters users prefer and lay the foundation for suggesting the appropriate direction of us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users. Accordingly, user experience was measured based on classified type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was also examin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Not applied' was recognized most positively and 'partial application on face' was less repelled than 'full application on face'.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 on user experience appeared according to the user's gender. Finall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AR face filter application in the chatting function compared to the connecting function. 현재소셜데이팅서비스내에서AR페이스필터에대한적극적인활용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상대방의 외모가 중요하게 고려되는 소셜 데 이팅 서비스 내에서의 AR 페이스 필터 적용이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경험 일 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데이팅 서비스 내 AR 페이스 필터 적용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AR 페이스 필터 적용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적 합한 활용 방향을 제언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얼굴 적용부위에따라AR페이스필터적용유형을적용안함,얼굴일부적 용, 얼굴 전체 적용으로 나누어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유용성, 신뢰성, 친밀감, 즐거움, 재사용 의도)을 측정하였고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 대에 따른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AR 페이스 필터를 적용하 지 않았을 때 소셜 데이팅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은 가장 긍정적이었 고, 얼굴에 전체 적용했을 때에 비해 일부 적용했을 때 상대방에 대한 거부 감이 덜했다. 또한 성별에 따라 사용자 경험에 유의미한 조절 효과가 나타 났다. 마지막으로, 사용 상황 중 채팅 기능에서 연결 기능에 비해 AR 페이 스 필터 적용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시니어의 수전 사용 행태에 따른 경험 디자인 가이드라인 - 유니버설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민재,박승민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9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8 No.1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ICT 기술을 통해 가정 내에서 다양한 사물이 연결되며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들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시니어를 배려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기존의 기능 및 형태들을 개선 및 보완하는 반면에, 정작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수전은 아직 아날로그 형식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한 수전 디자인에서 오는 시니어 계층 소외를 문제로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했다. 시니어 계층의 니즈 선행연구, 유니버설디자인 선행연구, 수전의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고찰을 알아보고, 사용자 설문조사 및 에스노그라피와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 분석을 진행했다. 이를 통하여 수전 사용 현황과 사용자가 느끼는 페인포인트 등을 KJ 기법으로 분류하였고,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사용자 조사를 통한 키워드와 유니버설디자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시니어를 위해 개선된 수전 경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보다 보편적 적용이 가능한 홈 유틸리티 경험 디자인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CT technologies have connected various objects in the home, and various new products and services that are centering on human are releasing. As the aging society is accelerating worldwide, many companies are improving and complementing existing functions and forms to consider seniors, while faucets used in everyday life still maintain analog form. In this study, I pointed out that the senior’s isolation from the analogue faucet design as a problem, and would like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So I analyzed the needs of the senior, the universal design research, the present state of faucet’s problems, and analyzed the user experience based on user surveys, ethnography and in - depth interviews. Through this, I classified the usage of faucet and pain points that the user felt by KJ technique, and examine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ser interview’s keywords and the universal design by matrix technique. Based on this, I suggest improved faucet Experience design guidelines for seniors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o activate the home utility Experience design which is more universally applicable.

      • KCI등재

        산학연계 캡스톤 디자인 사례 연구 - 3D CAD 시스템을 활용한 니트 조직 개발 -

        강희명,기희숙,기희숙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주)마리벨르 코리아와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로 진행 하였으며 방법은 니트 패션 환경분석, 산업체의 아이텐티티 및 기업 철학을 반영하여 주제를 정하고, 니트 조직 개발을 하였다. 산업체 실무진과 논의하여 컨셉을 정하고 학생들과 협업하여 니트 조직 개 발과 이를 적용할 아이템을 선정하였다. 프로젝트는 조별 세부 주제를 선정 하고, 주제에 적합한 색상, 소재, 원사를 지정한 후 디자인 협업과 리서치를 하였다. 니트 조직은 니트 디자인시스템 SDS ONE APEX를 활용하여 개발 하였고, 개발된 니트 조직을 3D 버추얼 시뮬레이션하여 다변화 가 가능하 도록 과제를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물은 산업체와 소통하여 최종 적 으로 하나를 결정한 후 니트 편직을 수행하였다. 이 방법은 디지털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할 수 있다고 본다. 기업밀착형 캡스톤디자인 수업방법은 학생들의 산업체 현장의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산학공동기술개발 형태의 산학협업 비즈니스 구도를 찾을 수 있 다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캡스톤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과 상품의 고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