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불상에서 확인되는 역수인(逆手印) 문제고찰 -인도와 동아시아의 문화권적인 관점 차이를 중심으로-

        염중섭 ( Jung Seop You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불상의 역수인 문제는 동아시아 지역에서만 확인되는, 동아시아 불상만의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역수인에 대한 검토는, 동아시아 불교에 보대 보다 정확한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동아시아 불상의 역수인 문제와 관련해서, 본고에서는 인도문화와 중국문화의 서로 다른 차이점에 주목했다. 즉 배경문화의 차이가 영향을 미쳐서 불상의 제작과 관점이 변모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인도문화권에서는 오른쪽을 중시하고 왼쪽을 경시하는 문화가 있는데, 이는 중국문화와는 정반대이다. 바로 이와 같은 측면이 경전적인 내용이 뚜렷하지 않은 불상의 수인에서 나타나는 것이 바로 역수인이다. 동아시아 불상에서 확인되는 역수인은, 크게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역수인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는 경전적인 근거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선정인(禪定印)을 통해서 살펴지는 역수인의 일반화이다. 선정인은 항마촉지인과는 정반대로 역수인이 일반화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두 문화가 강하게 충돌하면서 중국적인 관점이 승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 셋째는, 천지인(天地印)·지권인(智拳印)·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에서 살펴지는 수인과 역수인의 혼재양상이다. 이는 해당 수인의 이해에 있어서, 판단기준이 뚜렷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문화권의 차이에 의한 영향이 역수인을 파생하고, 또 그 비율을 결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역수인의 문제는 비단 불상을 넘어서, 불교에 대한 중국문화적인 영향을 이해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Yeogsuin(逆手印, inverse hand sign) of Buddhist statue is a special problem found only in east Asian areas. In this respect, the review on the Yeogsuin can give us more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East-Asian Buddhism. In relation with Yeogsuin of East-Asian Buddhist statues,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India and China. It means that the difference of background culture might have influenced on the production of Buddhist statues and their viewpoint. In the Indian cultural zone, the right hand sid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and the left rather despised. But, it is quite opposite in the Chinese culture. This kind of aspect was shown in the Buddhist statue as the Yeogsuin, for it was not clearly indicated in the scriptures. The patterns of Yeogsuin in the East-Asian Buddhist statues can be largely classified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Hangmachogjiin(降魔觸地印), Yeogsuin is not found at all. It is because the scriptural ground is clear. Second, the hand sign becomes generalized, as shown in Seonjeongin(禪定印). Opposite to Hangmachogjiin, the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disappears in Seonjeongin. It means that the Chinese viewpoint won while two cultures were strongly colliding. Thirdly, the confused existence of Suin and Yeogsuin, as shown in Cheonjiin(天地印), Jigwonin(智 拳印) and Hapumjungsaengin(下品中生印). It means that, in the understanding of relevant hand signs, there was no clear standard for judgement. That is, the influence of different cultures brought out the Yeogsuin and determined its proportions. In this respect, the problem of Yeogsuin can give us a lot of understandings about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not only on Buddhist statues but also on the whole Buddhism.

      • KCI등재

        특집 1 : 현대(現代) 한국불교(韓國佛敎)의 동향(動向)과 과제(課題)

        강동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0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 No.-

        한국불교의 특징은 선종만이 진정한 불교라는 것이다. 이것은 현대 한국불교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전제해야 할 사항이다. 新羅末에 전래된 선종은 오교구산을 형성하여 고려시대의 선종의 융성에 기틀이 되었다. 고려 중기 무신정권 아래에서 이루어진 知訥의 定慧結社는 한국불교적인 특색을 갖춘 선종인 조계종으로 발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일관된 배불숭유 정책으로 인해 이전에 존재하던 모든 종파가 조계종으로 통합되었다. 그 이후 한국불교는 실질적으로 曹溪宗 一色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조계종과 태고종 이외에도 40 여개의 불교종단이 있지만, 모두가 신흥종단이다. 그 신흥종단 가운데에서도 교세가 신장일로에 있는 천태종, 진각종은 교세가 인정되지만, 그 외의 종단은 매우 미미하다. 그 조계종이 시종일관 선종의 입장에서 깨달음의 불교만이 진정한 불교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많은 불교인들은, <불교란 깨달음의 불교인거야>라고 단정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구원의 불교, 신앙의 불교는 색이 바랜 채로 변형되고 있다. 그리고 교학의 불교도 무시되었다. 그것은 조선왕조 500 년간의 긴 역사와 불교 지식인들의 외면이 낳은 기형적 단상이다. 그렇지만 한국불교의 변화는 1960년대 들어서서 서서히 일어난다. 대구와 부산에 거사림이라고 하는 신행단체가 매우 적극적으로 교학에 힘을 쓰기 시작하고, 이기영, 안계현, 김영태, 고익진 등이 동국대학교에서 매우 의욕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결국 그것이 많은 젊은 학자를 배출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불교계 대학은 동국대학교 외에는 전무하였다. 그러다가 불교를 표방하는 원불교에서 원광대학교, 진각종에서 위덕대학, 천태종에서 금강대학교을 설립하였다. 학회 활동도 활발해져 동국대학교 불교학회 이외에, 한국불교학회, 한국선학회, 한국정토학회, 인도철학회, 원효학회, 한국종교학회, 회당학회, 화엄학회, 한국원불교학회, 태고학회 등이 창립되었다. 불교계 연구단체로는 이기영 박사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지관스님이 주관한 가산불교문화연구원, 동국대의 불교문화연구원, 보조사상연구원, 원효학연구원, 대각사상연구원, 의상만해사상연구원, 성철선사상연구원 등이 이어졌고, 고려대장경연구소, 불학연구소, 전자불전연구소, 팔리문헌연구소 등이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다. 70년대 이전의 불교학자들은 주로 한문 문헌에 의존하여 불교학에 접근했지만 70년대 이후 80년대 90년대로 이어진 연구활동은 젊은 불교학자들의 원전 이해의 단초에 불을 당겼다. 지금의 젊은 학자들은 구미나 일본에도 떨어지지 않을 만큼 산스크리트어, 티벳어, 팔리어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고 있다. 불교잡지로는 불교사상,『불광』등 수준 높은 불교잡지가 있었지만 독자를 확보하지 못하고 폐간되고 말았다. 그런 가운데『불교평론』은 대단히 흥미로운 계간지이다. 불교와 서양철학의 비교, 미묘한 사회문제를 불교적으로 접근하는 등의 참신한 내용이 담긴 논문들을 발표하고 있으며, 우수한 해외 논문들의 번역, 소개 또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라디오 방송인 불교방송은 1990년에 개국했고, 케이블 방송인 불교TV는 1995년에 개국했다. 포교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한국불교의 현황을 참고로 현대한국불교의 과제로는 (1) 불교계의 이미지 쇄신, (2) 사회적인 문제 참여방안 마련, (3) 학술연구의 기반 구축, (4)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적응, (5) 윤리적인 문제 탐구에 대한 방법론적 모색, (6) 문화적인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韓國佛敎の最大の特徵は 禪宗だけが 佛敎と言うところにある. これは現代韓國佛敎を理解するのにあたって必ず前提しなければならない事項である. 新羅末に傳來された 禪宗は 五敎九山を形成して高麗時代の禪宗の隆盛の基礎になった. 高麗中期武臣政權の下で成り立った 知訥の 定慧結社は韓國佛敎的な特色を取り剪えた禪宗である 曹부宗として發展した. 朝鮮時代には一貫された 排佛崇儒 政策によって以前に存在したすべての 宗派が 曹부宗に統合された. 禪敎兩宗を置いたとは言うものの, 實質的に敎宗は消えて禪宗だけが命脈を維持したまま近代を迎えた. 高宗の時に至って日本僧侶によって僧侶の 都城出入が許容されたが, 禪宗の基礎はそのまま維持された. 解放以後日本佛敎の殘在である僧侶の 帶妻肉食がイシュ□として著しく表面化した.それは結果的に比丘僧·帶妻僧の紛爭につながった. まだ紛爭が完全に終わったことではないが, 韓國の傳統寺刹の大部分を比丘側が占めるようになった. これにより帶妻側は新たに 太古宗を立てて今日に至る. 韓國佛敎は實質的に 曹부宗 一色である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のが現實である. 曹부宗と太古宗以外にも 40 余個の佛敎宗團があるが, 皆が 新興宗團である. その新興宗團の中でも敎勢が伸張一路にある天台宗を含めて眞覺宗, 一鵬禪敎宗, 元曉宗, 法華宗は敎勢が認められるが, その以外の宗團は非常に微微たるものである. 曹부宗以外の宗團は曹부宗で僧侶生活をした人や, 何かの影響を受けた人が起こしたもので, 結局韓國佛敎は曹부宗一色という結論が決して度が外れたものではないということである. その曹부宗が終始一貫禪宗の立場で悟りの佛敎だけが眞の佛敎であると主張するので多くの佛敎人たちは,「佛敎とは悟りの佛敎なのなのである」と斷定す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る. いや, 佛敎だけではなく他の宗敎人たちも, 一般社會でも佛敎の認識が偏重されるしかないことが韓國佛敎の現實だ. ここで救援の佛敎, 信仰の佛敎は色があせたまま變形されている. そして敎學の佛敎は全く無視された. それは朝鮮王朝 500 年間の長い歷史と, 佛敎知識人たちの無關心が生んだ奇形的な斷相である. これに對する深い反省は搜してみることもできない. むしろそれが韓國佛敎の長所とまで思う傾向さえある. 韓國佛敎の變化は 1960年代入って徐徐に起きる. 多種多樣の在家の信行團體が非常に積極的に敎學に力をつくし始めた.佛敎系大學は東國大學校の外には全くなかった韓國で,他の一般大學で佛敎文學, 佛敎史, 佛敎美術などの側面で佛敎に近付く意慾的な成果たちが目立つようになった. そうするうちに佛敎を標榜する円佛敎で円光大學校が建てられたし, 眞覺宗で威德大學が建てられた. 天台宗でも金剛大學を創立してもう初の卒業生を輩出するようになった. 禪宗に對する硏究に集中された佛敎學界に華嚴, 天台, 淨土, 唯識などの硏究が相當な水準に至ったし, 佛敎學者外にも佛敎學に關心を持って近付く人□がたくさん生じ始めた. 學會活動も活發になった. 過去には東國大學校佛敎學會以外にはなかったが,韓國佛敎學會, 韓國禪學會, 韓國淨土學會, 印度哲學會, 元曉學會, 韓國宗敎學會, 華嚴學會, 韓國円佛敎學會, 太古學會, などが創立された. 佛敎系硏究團體も燎原の炎のように應がった. 韓國佛敎硏究院が 70年代に意慾的な活動をして多くの著作を發行して後學たちや硏究者たちや溥門外の人たちにまでも役立つことにつながった. 伽山佛敎文化硏究院, 東國大の佛敎文化硏究員, 普照思想硏究院, 元曉學硏究院, 大覺思想硏究院, 義湘卍海思想硏究院, 性徹禪思想硏究院などが あいつぎ, 高麗大藏經硏究所, 佛學硏究所, 電子佛典硏究所, パ□リ文獻硏究所などが 80年代, 90年代, 2000年代初半までつながった. このような硏究團體たちはすべて溥ら眞劍で深みのある硏鑽活動を行い,それが韓國佛敎を一新した. 70年代以前の佛敎學者たちは主に漢文文獻に依存して佛敎學に近付いたが 70年代以後 80年代 90年代につながった硏究活動は若い佛敎學者たちの原典理解のきっかけに火をつけることになった. 今の若い學者たちは歐米や日本にも優る位サンスクリット語, チベット語, パ□リ□語に對する理解を深くしている. それによって印度佛敎の硏究活動が非常に積極的になっている. 『俱舍論』をはじめて,『中論』,『唯識三十頌』などの難解な論疏に對する硏究活動につながったし, 大乘論典に對する大단な解釋もたくさん成し遂げられた. 佛敎雜誌は 60年代から何ヵ月も引き繼いだ例がほとんどなかった. それは今日にも同じことがいえる. 過去にも 『佛敎思想』とか 『佛光』など, 水準の高い佛敎雜誌があったが讀者も確保することができずに財政的な裏付もなく,廢刊されてしまった. そんな中 『佛敎評論』はすごくおもしろい季刊誌である. 西洋哲學と佛敎の接点, 例えば, ハイデッガ□, デリダなどの佛敎的解釋を試みるとか, 微妙な社會問題を佛敎的に近付くなどのフレッシュな內容が□められた論文たちを果敢に發表しているし, 優秀な海外論文の飜譯, 紹介も倦まず弛まず成し遂げている. ラジオ放送の佛敎放送は 1990年に開局したし, ケ□ブル放送の佛敎TVは 1995年に開局した. これは TVという媒體の力强い電波力や, ラジオ聽取者たちの底邊を勘案するならば 90年代韓國佛敎界の最大の成果の中の一つとすることもできるであろう. ラジオ放送の場合,釜山, 大邱, 光州など各地域の佛敎放送局が開局する成果を成した. 以上のような現狀をふまえて,(1) 佛敎界のイメ□ジ刷新,(2) 社會的な問題に對する積極的な參加,(3) 學術硏究の基盤構築,(4) 新しいメディアに對する適應,(5) 倫理的な問題探求に對する方法論的模索,(6) 文化的な活性化,などが.現代韓國佛敎の 課題になるであろう.

      • KCI등재

        특집 : 한국적 다문화교육과 불교

        김영필 ( Young Phil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0 No.-

        본 논문은 한국적 현실에 적합한 다문화교육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다문화적 역동성을 다룬다. 특히 불교를 한국적 다문화교육의 대안으로 설정한다. 필자는 한국불교의 다문화적 역동성을 사상적 측면보다는 문화적 특성을 통해 확인하려고 한다. 특히 필자는 한국적 다문화교육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하나의 사례를 한국전통문화가 육화되어 있는 담장, 온돌문화에서 확인하고, 나아가 유교 서원과 불교 사찰의 공간배치구조에 대한 다문화적 이해를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한국은 미국이나 유럽과는 다문화적 현실이 다르다.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140여 만 명의 이주자들 중 절대다수가 불교나 유교를 전통으로 하는 국가출신이다. 다수자와 소수자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보편적인 아시아적 가치로부터 확인하려는 것은 한국적 현실에 적합한 접근이다. 한국은 아직도 관용과 사랑이 필요한 소수자들이 많다. 서구와 같은 합리적 상호인정의 정치학은 근대성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한 한국인들에게는 낯선 모형이다. 따라서 한국적 현실을 고려한 다문화교육의 대안은 합리적 소통 이전에 타자에 대한 배려와 돌봄 나아가 섬김으로 나아가야 한다. 필자는 그 섬김의 가치를 불교적 영성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The chief of this essay is to deal with the multicultural dynamic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an alternative for construction of Korean-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Especially, I propose Buddhism as an alternative of Korean-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I intend to identify the multicultural dynamics of Korean Buddhism in not Buddhistic thought but Buddhistic cultur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I will tr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special disposition of Temple(사찰) in multicultural perspective. Korea is not same as America and Europe in multicultural situations. Now almost 1,400,000 immigrants reside in Korea, most of them came from Cofucian and Buddhistic nations. Considering the Korean situation, It`s suitable approach for identifying the communicative space of majority and minority in Asian universal values. In Korea, many immigrants is in need of tolerance and love. The politics of rational mutual recognition in West is unfamiliar model to Korean, Because Korean was not enough experienced the modernity, the Korea-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extend to ``consideration`` and ``caring`` and ``serving`` beyond rational communication. I will identify the values of ``serving`` in Buddhistic holy spirit.

      • KCI등재

        동아시아 해항(海港)문화 전파경로와 불교의 한국전래 - 가락국 불교 전래 문제 이해를 위한 원경 스케치 -

        석길암 ( Seol Gil-a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본 논문은 불교의 한국 전래에 있어서 동아시아 해항(海港)문화 전파경로의 존재가 가지는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동남아시아로부터 한반도에 이르는 문화 전파 경로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중국을 반드시 경유해야만 하는가 하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을 경유하지 않은 남방문화의 한국 전파 사례를 모색했고, 지석묘 문화 및 벼농사 문화의 전파는 선행 연구에 의해 해당 사례로 입증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관련 유물과 유적의 분포는 북중국을 경유하지 않는 해항문화 전파경로의 존재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중국이라는 문화공동체가 형성된 이후에도 동일한 경로를 경유한 문화전파의 사례를 발견할 수 있을까? 아육왕탑 전승의 전파 경로는 이 부분을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제시한 것이다. 북중국의 내륙을 경유하지 않은 아육왕탑 전승의 전파 경로는, 아직은 더 많은 부분이 해명되어야 하겠지만, 스리랑카-부남-양자강 하구-산동반도-요동이라고 하는 전형적인 해항문화 전파경로에 따른 문화의 전파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로부터 육로의 활성화 여부에 관계없이 꾸준히 문화전파의 경로로 기능하고 있는 해항문화 전파경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for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propagation path of the East Asian seaport culture in precess of introducing Buddhism into Korea. If it had been passed through China or not is discussed seriously when examining the cultural propagation path from the East Asia to Korea. However, this paper finds some examples of propagating the East Asian culture to Korea without passing through China. Some studies tell that it is proved by introducing the culture of dolmens and rice farming into Korea, and, in fact, whoever examines where and how many relics and ruins related with the East Asian culture are found in Korea, can see the existence of the propagation path of the East Asian seaport cultur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Northern China. Is it possible to find a example of the same cultural propagating path after forming whole the cultural community of China? Propagating path of a story of the King Ashoka’s building stupas can be an answer. The path without passing through the Northern China’s interior, although it still has to be explained a lot more, shows us the typical seaport cultural propagating path from Sri Lanka to Liaodong (遼東) via Funan (扶南), the mouth of Yangtze River, and the Shandong Peninsula. So, this path tells us that it played a steady role of the route of propagating seaport culture whether the overland route was vitalized or not.

      • KCI등재

        임제선승(臨濟禪僧)들이 일본불교에 전한 차문화 연구 - 남포소명(南浦紹明)을 중심으로 -

        김성순 ( Kim Sung-soon ),엄영욱 ( Um Young-u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6

        이 글에서는 남포소명이 남송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가져온 차문화가 일본 사회에 수용되고, 특별히 무가사회에서 호응을 얻으면서 점차 일본의 다도로 성장·변용되어가는 과정을 고찰했다. 일본의 차문화는 가마쿠라시대(鎌倉時代, 1192-1333)에 중국 출신 승려와 중국에 유학했던 승려들에 의해 수입되었으며, 선을 매개로 하여 일본에 정착했다. 남송시대는 중국 선종이 전성기를 맞이한 시기였기 때문에 가마쿠라시대에 많은 일본 승려들이 선을 배우기 위해 중국의 강남지역에 유학했다. 남포소명을 비롯한 남송의 선승과 유학승들이 가져온 임제선이 일본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선승들을 비호하고, 사찰을 지어 이들이 활동할 수 있는 배경을 제공한 것은 막부의 무사정권이었다. 유학승 등을 통해 일본으로 전달된 남송의 선 문화는 임제선(臨濟禪) 내지 조동선(曹洞禪)이라는 종파별 수행법 외에도 선림의 생활문화와 그에 수반되는 물질까지도 함께 포함하고 있었다. 일본에 온 중국의 선승과 유학승들이 가져온 임제선과 차문화는 무사계급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으며, 선원의 다례는 점차 일본의 문화적 요소와 융합하면서 ‘다도(茶道)’로 전개된다. 일본 유학승인 남포소명은 차 씨앗과 제다법, 음다법, 그리고 차 관련 문헌과 물질들을 가져온 임제선승 중의 한 명이었다. 결국 임제선승들은 기존의 천황권력을 뒤엎고 새롭게 막부정권 시대를 열었던 무사계급에게 문화적 소양과 새로운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제공했으며, 중세 일본의 문화적 확장까지 일굴수 있도록 기여했던 사람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the tea culture, brought by Nanpo Shomyo (南浦紹明) on his return from studying in Nan Song (南宋), was accepted by Japanese society and gradually developed and transformed into a Japanese tea ceremony, especially with the response of samurai society. Japanese tea culture was imported by Chinese monks and monks who studied in China during the Kamakura period and settled in Japan using Zen as a medium. During the Nan Song (南宋) period, Chinese Zen Buddhism was in its heyday, so many Japanese monks went to the Jiangnan (江南) area of China to study Zen during the Kamakura period.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Japan, Rinzai Zen brought by Shomei Nampo and other Nan Song (南宋) Zen and Confucian monks provided a background for them to work by building temples and protecting Zen monks. The Zen culture of the Nan Song (南宋) was introduced to Japan through Confucian monks, included Zen culture and its associated substances as well as religious practices such as Rinzai or Soto Zen (曹洞禪). The Rinzai Zen and tea culture brought by Chinese Zen and Confucian monks who came to Japan are actively accepted by the samurai class, and the tea ceremony of Zen source gradually blends with Japanese cultural elements and develops into a tea ceremony (茶道; 茶の湯). Nanpo Shomyo, who was approved to study in Japan, was one of Rinzai Zen monks who brought tea seeds, knew how to make tea, how to drink tea, and tea-related literature and materials. In the end, Rinzai Zen monk contributed to the cultural expansion of medieval Japan by providing cultural background and new political ideology to the samurai class, which opened the era of the shogunate.

      • KCI등재

        미지정문화재로서 불교 전통문화의가치 인식과 그 의미

        류호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1

        As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re actively promoted, the number of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continues to increase. More and more cultural properties are included in the legal protection list. In addition, in recent years,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recognized as a resource with utilization value, and projects to utilize cultural propertie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also being activated nationwide. However, in light of this trend,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which i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ends to be relatively unnoticed. A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account for 57% of the total national treasures and treasures, bu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o not reach that level. Various and rich traditional Buddhist cultures, such as Yebul and Buddha, Buddhist associations, Buddhist rituals such as Buddhist rituals, Buddhist rituals such as Buddhist rituals, pagodas, anger, and Zen, are being transmitted without being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little interest in the meaning and value of these as a traditional cultur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products that have continued from the past as cultural properties begins with recognizing their value as cultural properties. In this paper, we examine what traditional culture is, what conditions must be met to be recognized as traditional culture, and what kinds of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are in that respect.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recognizing their value as a traditional culture were studied. Recognizing that it is a traditional culture and giving meani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ransmitting and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문화재 보존․관리와 활용이 적극화되면서 지정․등록 문화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법적 보호 대상에 포함되는 문화재가 점점 많아지는 것이다. 게다가 근래에는 문화재를 활용가치를 가진 자원로 인식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는 문화재 활용 사업들도 전국적으로 활성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이런 추세에 비추어보면 무형문화재에 해당하는 불교 전통문화는 상대적으로 주목 받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 유형문화재로는 전체 국보와 보물 중 57%를 불교문화재가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지만, 무형문화재는 그런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예불(禮佛)과 불공(佛供)을 비롯해 법회(法會), 야단법석(野壇法席), 염불(念佛), 사물(四物) 실연, 각종 재(齋)와 같은 의례, 탑돌이, 안거(安居), 선(禪) 수행, 그리고 사찰음식 등 다양하고 풍부한 불교 전통문화들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채 위태롭게 전승되고 있다. 이런 것들이 갖는 전통문화로서의 의미와 가치에 관심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산물을 문화재로 보전하고 활용하는 것은 그것이 갖는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논문은 전통, 전통문화가 무엇인지, 어떤 조건을 가진 것들이 전통문화인지, 그런 관점에서 불교 전통문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문화재 지정과 관계없이 그것들이 갖는 전통문화로서의 가치를 인식해야 할 필요성과 그 의미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그것이 전통문화임을 인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전통문화를 전승하고 보전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특집논문1> 화엄사상과 현대예술의 만남 : 『화엄경』을 통한 불교문화 콘텐츠 활용방안

        장재진 ( Jae Jin J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불교가 여러 유형무형의 창작물들을 생산한다거나 근본적인 불교정신을 일반 대중들에게 잘 전달하고 있는지는 정보화 사회인 현대에 새로운 미디어 출현에 부합하여 사회 전체의 통괄과 제어의 기능을 잘 활용하는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현재 불교문화는 연극·영화를 비롯해서 게임·만화·애니메이션·사진·만화콘텐츠 등의 이미지·영상·공연·오락·축제를 비롯한 여러 콘텐츠분야를 통한 산업화 시대의 전개에 부합되기를 요구받고 있다. 미디어의 발전은 구술과 문자를 통해 화자와 청자 혹은 작가나 독자와의 관계가 형성되었던 시대를 지나서 디지털시대의 전개를 향유한지 이미 오래된 일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문화상품을 대중화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한 유비쿼터스라는 미디어의 역할을 넘어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시대의 도래와 전개를 예견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미디어의 변화에 부응하여 불교문화콘텐츠 중에서 특히 『화엄경』에 주목하고자 한다. 『화엄경』을 통해서 우리는 깨달음에 대한 광경, 정토에 대한 이야기, 학문적인 전통, 여러 가르침, 예술적 표현 등을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불교의 근원적인 진리에서 불교문화 및 불교예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형을 찾을 수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소리, 말, 몸짓’을 중심으로 『화엄경』의 법회장면에서 묘사되는 여러 장르를 응용 확장해서 스토리텔링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분류 기준에 따라서 화엄경 이야기의 소재를 이야기형, 디자인형, 정보자료형에 상응하는 콘텐츠 구축에 대해 모색할 수 있다. 또한 채트먼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문화원형의 소재별 모티브를 대입하여 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의 구조로 도출한 내용에 따라서 『화엄경』의 서사적 모티브, 도상적 모티브, 심상적 모티브, 사료적 모티브, 그리고 말하기의 발현에 따른 문화콘텐츠 장르를 중심으로 응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본고를 통해서 논자는 유비쿼트스나 IoT시대의 미디어에 부합하는 문화콘텐츠의 활용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그리고 화엄의 중심사상을 전개함에 있어서 미적으로 표현한 우주의 질서에 담긴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의 형상예술의 콘텐츠를 모색하고 이의 활용방안을 알아보고자 함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questions as to Buddhism`s roles in produc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works of art or dissemination of the fundamental Buddhist spirit can be explored in line with the adaptation to the new media in the contemporary IT society and its efficiency in its functions of projection and control of the entire society. Currently, Buddhist culture is asked to correspond to the unfolding of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areas of drama, cinema, game, cartoon, animation, photography and other such contents as well as in various contents areas of image, video material, performance, amusement and festival. The media advance has long been enjoying the digital gifts beyond analogousness. Furthermore, the ubiquitous media role is advancing to the IoT era. The author focuses on 『the Avatamska Sutra』 as Buddhist culture contents in line with such media trends. 『The Avatamska Sutra』 enables us to explore the moments of realization, the Buddhist Elysium, academic tradition and artistic expressions. Based on this, various prototypes ranging from Buddhist culture to Buddhist art are found in the fundamental truth of Buddhism. Cultural contents may be explored in this context.

      • KCI등재

        일반논문 : 연등회를 통한 궁궐 문화유산콘텐츠의 창의적 활용 방안 연구

        고상현 ( Sang Hyun K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신라시대 이래로 현대까지 이어지는 손꼽히는 문화유산 가운데 하나가 연등회이다. 이러한 연유로 2013년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122로 지정되었다. 연등회는 고려시대부터 국속으로서 전국적으로 행해진 연례행사였다. 상원연등, 2월연등, 4월초파일 연등 등 설행 날짜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따라 위로는 국가적 차원의 궁궐에서부터 아래로는 민간에 이르기까지 누구나가 즐기는 보편적 문화였다.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에는 궁궐에서의 팔관회와 연등회의 연등이나 궁중정재와 백희잡기 등 공연예술에 대해서 비교적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고려사』에서는 궁궐에서의 연등회에 대해 연행준비와 임금의 복식과 행차순서, 위치도 등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관등이나 관희의 전통으로 배설된 등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이들을 활용하여 전통이 살아있는 궁궐의 문화유산의 창의적 활용을 위해 봄(음4월)과 가을(음 10월) 콘텐츠로서의 팔관회와 연등회의 설행과 연등의 복원, 경연 문화의 확대, 초파일 빔이나 호기놀이 같은 아동용 문화의 복원 및 확산, 궁궐이라는 공간적 제한성에서 탈피하여 왕실의 행차 등을 통한 공간의 확장, 문화기술(CT)을 활용한 복원과 적용을 통한 멀티유즈화, 남북의 공통적인 궁궐문화를 활용한 문화적 교류를 통한 통일의 단초마련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Yeondeunghoe (the Lightening Lantern Festival) is a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since the Silla Dynasty. For this reason, it was designated as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22 in 2013. As a national custom of the Goryeo Dynasty, the Yeondeunghoe was a countrywide annual event. Despite changes in its date-such as the Sangweon Yeondeung (上元 燃燈會) on the 15th of the first lunar month, the Yeondeunghoe of the second lunar month (二月燃燈會), and the Buddha``s Birthday Yeondeunghoe of the fourth lunar month (初八日燃燈會) -the consolation of the festival was universally enjoyed, depending on the era, by everyone across the nation, from nobles of the palace to ordinary citizens. However, the History of Goryeo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of all sources, provide relatively detailed descriptions of Yeondeunghoe at the palace as well as of the performing arts, such as the court dance and the BaekhiJabgi. In particular, the History of Goryeo minutely describes the preparation for performances, dress styles, and the ordering and positioning of the king``s walk.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escribes lanterns, prepared according to the traditions of the Lightening Lantern Festival, and the event of watching a traditional play. By using this information, this paper proposes methods for creatively utilizing the following cultural heritages of the palace: the performance of Yeondeunghoe for the lunar April in the spring; the restoration of lotus lanterns; the expansion of cultural events; the restoration and spread of children``s culture, such as the Buddha``s Birthday dress or the Hoginori; the spatial expansion of the palace beyond its special limits through events such as the ceremonial walk of the royal family; the multi-utilization, through restoration and application, of cultural technology; and the beginning of unification through cultural exchanges by applying the common palace culture of North and South Korea.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and expansion of the Yeondeunghoe, an importan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at it examines the Yeondeunghoe and proposes methods to use this event actively.

      • KCI등재

        중국 전통신화에 대한 불교적 재해석의 역사 - 화상석의 불교문화적 변용과 발전을 중심으로 -

        한지연 ( Han Jee-y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불교가 동아시아에 전파된 이후 정착의 과정에는 여러 측면에서 변용이 이루어졌다. 사상은 물론이거니와 문화적으로 중국 문화와의 접변을 통해 발전했기 때문에 인도불교와는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대전제 속에서 불교가 중국에 전파될 무렵부터 이루어진 중국 전통문화의 발전과정과 불교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중국 고대 신앙의 형태가 이루어지는 데에는 원시로부터 형성된 신화의 중요성과 중국 상장문화의 발전단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국의 보편적인 신앙 형태가 나타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 시기에 전파된 불교가 이들과 어떤 방식으로 융합되는지, 그 연관관계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과정에서 인도불교 문화와는 차별화되는 양상들이 출현하게 되는 배경을 밝혔다. 석굴 내에서 `전(塼)`이 출현하게 된 배경에 중국 상장문화에 사용되었던 화상석과의 연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그 소재에 있어서도 중국 전통신화에 등장하는 요소들이 상당부분 융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문화 접변 과정에서 신화와의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고, 이는 불교가 신앙으로 자리잡는 데에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융합을 통해 정착하였으나 점차 불교의 색채를 강하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어 본래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융합의 목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불교의 `융합`과 `변용`은 단지 그 형태나 내용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형태와 내용을 담고 이를 발현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When Buddhism was spread toward East Asia, it had to change itself in many ways to settle down in new circumstances. Buddhism in China had been absorbed into the society with changing its ideas and culture bit by bit. The religion from India seems to have used Chinese traditional myths to settle down in a new circumstance of China. It had blended in with the mythological factors such as Xi Wang Mu, Fu Xi and Nu Wa. The zhuans which were the brick used in grave are found in the Magao caves in Dunhuang. They are not found in the caves built in other areas at the similar time.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religion had been affected by the traditional culture of Han Dynasty such as using pictorial stones in grave, when Buddhism arrived in Dunhuang. The Chinese traditional factors used to be assimilated had been also slowly changed into Buddhist new culture. The shapes and patterns of zhuan and variety of wall paintings show how Buddhism took place and flourished in China. The `blending` and `changing` of Buddhism in East Asia were preparation level to prosper in the future. When Buddhism was spread into East Asia, it had to put effort on assimilating naturally without any pressure on the indigenous belief and culture.

      • KCI등재

        불교와 상호문화철학 : 공(Sunyata)과 폴리록(Polylog)

        조해정 ( Jo Hae-je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이 글은 나가르주나의 공(Sunyata)과 빔머의 폴리록(Polylog)을 중심으로 한 중관철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만남을 시도한다. 중관철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만남 가능성은 상호문화철학의 중심 개념들이 서구의 전통적인 개념틀을 벗어나는, 불교적 중도 개념에 근접해 있다는 사실에 있다. 문화들 사이의 상호의존과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상호문화성은 고정된 정태적인 문화 개념에 의해서는 성립 불가능하다. 상호문화성은 문화가 작동되는 장소와 결부된 맥락적이고 유동적인 문화 개념을 바탕으로 해서만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호문화적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첩(겹침, Uberlappung)의 개념 또한 고정된 개념적 동일성과 차이에 대한 규명과는 거리가 멀다. 중첩은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를 연결하는 유비적 개념이다. 중관철학의 공의 언어는 이러한 전통적인 서구의 사유 틀을 벗어나는 상호문화철학의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폴리록은 빔머의 상호문화철학적 사유를 상징하는 개념이다. 빔머의 기획에서 폴리록은, 한편으로는 모든 문화전통들이 동등성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세계철학사 다시 쓰기라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문화들의 폴리포니(Polyphonie)로 이끄는 규제적 이념이기도 하다. 빔머는 폴리록에 의지하여 동등한 문화들의 만남을 위한 선행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중심주의를 비판하는데, 그 비판의 이면은 역사적으로 유럽중심주의에 의해서 제외되었거나 폄하되었던 전통들을 복원하여 문화들의 폴리포니로 이끄는 과정이기도 하다. 즉 빔머의 기획은 중심주의 비판과 폴리록으로 요약될 수 있고, 이는 나가르주나의 자성론에 대한 비판과 연기의 드러냄이라는 공의 이중적인 사용과 유비된다. 이러한 공과 폴리록 사이의 유비를 통해서 동서의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의 대화 가능성 및 비서구의 불교철학에 의한 서구 읽기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focusing on the emptiness(Sunyata) of Nagarjuna and the polylogue(Polylog) of F. M. Wimmer. The possibility of the encounter Buddhism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lies in that the central concept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approach to the middle-way(中道, Madhyama Pratipad) that is different from the typical Western thought tradition. Interculturality, which represents interdependence and influence relation between cultures can not be established by the fixed static cultural concepts. Interculturality can be established only on the basis of the contextual and fluid cultural concepts associated with the place where culture operates. Furthermore, the concept of overlapping(Uberlappung) that enables intercultural dialogue is also different from identifying the fixed conceptual identities and differences. The concept of overlapping is simultaneously such an analogical concept that connects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The terminology of the emptiness(Sunyata) in Buddhism will helpful in comprehending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hsat repudiate the traditional thinking structure of the West. Polylogue(Polylog) is the concept symbolizing the intercultural philosophical thought of F. M. Wimmer. According to Wimmer`s thought, on the one hand, Polylogue(Polylog) is a method to reach the goal of rewriting the new world philosophy history in which all cultural traditions are equivalently involved, while on the other hand, is also a regulatory idea leading to the polyphony of all cultures. F. M. Wimmer criticizes All kinds of centralism for the precondition of the encounters of equal cul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ylogue(Polylog). The other side of that criticism is the identical process leading to the cultural polyphony through the restoration of traditions that had been historically excluded or devalued by Euro-centrism. In conclusion, the thought of F. M. Wimmer can be summarized as the critique of centralism and polylogue(Polylog), it can be analogous to the complex usage of the emptiness(Sunyata) which is critique of substantive language and the exposing the theory of causality(緣起, Pratitya Samutpada). By observing such an analogy between the emptiness(Sunyata) and polylogue(Polylog), I want to verify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dialogue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the possibility of Western reading by non-Western Buddhist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