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 활동과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김규령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2 문화와예술연구 Vol.20 No.-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결혼이민자의 증가로 인해서 다문화가족이 급증하였다. 한국인 남자와 외국인 여자와의 국제결혼이 급증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가족은 다양한 가족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았다. 우리나라 전체 혼인 건수에서 차지하는 국제결혼의 비율은 2006년 최고치를 기록하고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더 많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인 안정적인 한국 정착에 대한 중요성은 이주를 위해 국제결혼으로 유입된 결혼이주여성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 정착을 위한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좀 더 안정적인 삶을 위해서 한국으로 이주한 경우로 문화 적응에 대한 스트레스가 내적 갈등이 이주노동자나 단기 목적으로 한국에 다녀가는 외국인과는 구별된다는 것이다. 언어소통과 문화적인 차이는 그들의 한국 정착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그들의 초기 정착을 위한 언어소통과 한국 사회의 질서 및 생활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을 다양한 문화권에서 온 결혼이주여성에게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교재 개발이나 교수법의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정착에 대한 의지가 타 외국인보다 강하므로 문화 예술 활동에 임하는 자세는 적극적이나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과 주변 환경이 자유로운 활동에 제한을 두는 것을 없애기 위해서 가족이나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지역사회 및 매체까지도 다문화에 대한 인식 교육이 필요하다. 언어적 비언어적인 표현을 통해서 결혼이주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이 여타 선주민을 대하는 것과 다르지 않도록 지속적이고 구체회 된 교육 진행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한 선주민과의 활동은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고 그로 인해 그들이 보다 안정적인 한국 정착에 긍정적인 사례의 통계를 알 수 있다.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 지수를 높이는 계획을 세우고 인식개선 교육과 더불어 선주민과 함께 할 수 있는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한 나무(傩舞) 문화의 비교 연구 —중국 화주 도화붕(跳花棚)과 한국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조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7 No.-

        중한 양국은 이웃하여 살고 일의대수, 역사의 발전 과정 속에서 서로 촉진하고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문화예의와 풍습 등에 모두 깊은 연원을 가지고 있다. 중국 화주 도화붕은 중국 전통문화의 특색을 살려 무형유산으로서 전통 민속문화와 민족 습관과 민족의 정을 반영한다. 화주 도화붕은 전통 나무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자 전통민속과 문화의 결합으로 민속적인 특색을 띠고 있다. 봉산탈춤은 한국의 전통문화적 기호 중 하나로, 각종 한국의 탈춤 종류를 통틀어 봉산탈춤이라는 하위영역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고, 가장 널리 퍼진 연극이다. 두 가지 예술 형식을 통틀어 보면, 기원 발전, 예술적 특징, 사회적 기능에 모두 비슷한 면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한 나무문 화의 비교연구를 연구방향으로 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문화배경에 의한 동종의 예술성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中韩两国比邻而居、一衣带水10),在历史的发展进程中互相促 进、互相影响,在文化礼仪习俗等都有着深厚的渊源。中国化州跳 花棚极具中国传统文化特色,作为非物质文化遗产能反映传统的民 俗文化以及民习民情。化州跳花棚是传统傩文化的重要体现,更是 传统民俗与文化结合的产物,极具民俗特色。韩国凤山假面舞是韩 国传统文化符号之一,在各类韩国的假面舞种,凤山假面舞这一分 支是保存的最为完善,传播最广泛的代表剧目。纵观两种艺术形 式,不论是起源发展、艺术特征、社会功能都有着一定的异同,因 此本文拟以中韩傩舞文化的对比研究为研究方向,对两种不同文化 背景下的同类艺术性进行对比分析研究。

      • KCI등재후보

        An Analysis of the Regional Art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anchu Paper-Cutting in Northern China -The Manchu Paper-Cutting in Xiuyan as an Example-

        Liu Y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7 No.-

        진정한 의미에서의 민간예술작품에서 구현하는 것은 겉면에 표출된 화려한 표상할 뿐만 아니라 그 내면을 탐구하는 것, 더욱 이런 예술 풍격을 단조해 낸 불굴의 민족의식과 정감이다. 예로부터 사회의 발전과 계급 분화로 원시 예술의 변천을 거쳐 분리되어 형성된 문인예술, 궁정예술, 종교예술, 민간예술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다른 관념을 기반으로 한 예술 문화 종류가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갈등하고 또 끊임없이 서로 연계하며 기반으로 하고 모순, 연계와 융합에서 하나의 완전한 민족 문화를 육성하였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민간예술문화에서의 순수한 예술 신념은 여전히 줄곧 이른바 고상하고 우아한 예술 문화에 대해 확고한 기초적 역할을 하고있다. 수암만족 민간 전지(剪紙)는 동북 백산흑수사이에 만족 노동 인민이 창조한 역사적 예술 문화의 완벽한 결정체일 뿐만아니라 또한 수암의 전통적 만족 민간 예술 특유한 민족 예술문화 표식이고 동북 지역의 만족 의향 및 옥도 특색의 전통 민간예술의 걸출한 대표이다. 이것은 동북 만족 인민의 지혜의 예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요한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중요한 예술적 가치와 과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전통문화의 결정체이자 화하문명의 보물이다. 지금은 어떤 의미에서 이미 문화브랜드로 된 민간 전지예술이 점차 문화의 수요품으로 되고 있다. 특유의 가치와 방식으로 문화가 널리 전파되는 또 다른 경로로 되고 있다. 그러나 북방 만족 전지를 놓고 말할 때 기나긴 과정에서 아주 많은 문제도 나타났다. 이를테면 제작 형식과 예술 풍격의 혼동, 관련 문화자료내용의 귀납 정리와 발전 전승 등이다. 본 논문은 북방 만족 문화의 대표 특징을 지닌 수암만족 전지를 연구 대상으로 지역 역사, 문화 신앙 등등 방면에 대해 중국 북방 만족 종이 오림이 형성된 근원성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종이 오림 작품이 드러낸 예술 상태에 있어서 다른 지역의 동류 작품들과 전체적 및 개별적 비교를 하여 예술풍격상의 지역문화 차이를 분명히했다. 또 현재를 결부시켜 전지 예술이 사람들에게 대한 의의를 서술하고 전통문화를 발전시키고 전승할 것을 호소했다. A true folk artwork is not only a gorgeous appearance, but also an unyield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emotion that forged this art style. Since ancient times, due to social development and class differentiation, primitive art has developed into literati art, court art, religious art, and then folk art, all of which were based on different concepts of art and culture, entangled in the long river of history and were constantl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creating a whole national culture after having contradictions, connections. To this day, the pure artistic beliefs of folk art culture continue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a relatively elegant art culture. The Manchu paper-cuttings in Xiuyan are not only the perfect crystallization of the historical art and culture created by the Manchu people living in the northeast; they are also the unique national art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traditional Manchu folk art in Xiuyan. It is also an outstanding representative of the traditional folk art that characterizes Manchu’s homeland and Yudu in the northeast. These artistic treasures, which contain the wisdom of the people in the northeast, not only have importan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but also have important artistic and scientific values. They are also the treasures of Chinese civilization. Nowadays, the paper-cutting art which has become a cultural brand, is quietly becoming a cultural commodity. It is providing an unique way for wide culture transmission. However, many different problems have also emerged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he northern Manchu paper-cutting, such as the confusion in the form and artistic style, the induction of the content of relevant cultural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heritage, etc. This paper analyzes the root causes of the formation of Manchu paper-cutting in norther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history, cultural beliefs, and so on, taking Xiuyan Manchu paper-cutting, which is representative of northern Manchu culture, as the subject. At the same time, it compares the artistic feature of Xiuyan Manchu paper-cutting with other similar works from other regions to clarify the regional cultural differences in the artistic style of paper-cutting in Xiuyan. The significance of paper-cutting is highlighted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is also pointed out.

      • KCI등재

        문화 부호 및 예술 가치 분석

        蔡明蕓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1 No.-

        Cultural symbol is a conceptual feature of culture. Understanding and studying culture and trying to extract cultural symbol factors have important value significance for the success or failure of artistic creation and the level of artistic value. Some of the most basic attribute relationships exist between culture and artistic creation behavior: culture is the sum of the entire human life style, including multiple subsystems such as economy and politics. Art is only a subsystem representing the "aesthetic" function, but the formation of this subsystem is closely related to the entire cultural system, because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concepts in any society, It is also the "collective embodiment" of all cultural subsystems in the aesthetic field in this society. As the concept of "collective aesthetics" in the cultural system, works of art always participate in the aesthetic relationship of all subsystems in the cultural system in the way of "collective aesthetics" in culture. Therefore, when excellent artists use their works to properly summarize and express the expectations of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field of art aesthetics that people shared at that time, We say that this work captures the cultural symbol characteristics of the era, the nation and the country at that time, and such works often have a high artistic appeal in the art form and are cherished by artists of all ages. 문화부호는 문화의 개념적 특징의 하나이다. 문화를 인식하고 연구하면서 문화부호 요소는 예술 창작에 대한 성패와 예술 가치를 나타내는 아주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문화 및 예술 창작에 존재한 일부 기본적인 속성 관계는 모든 인류문화 생활 방식의 총합이다. 여기에는 경제, 정치 등 여러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단지 예술은 그중 ‘심미’기능의 서브시스템만 대표하지만 이 서브시스템의 형성은 전체 문화 체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겠다. 이러한 어떤 사회의 심미적 관념 특징 형성은 그 사회의 모든 문화 서브시스템이 심미적 분야의 ‘단체 구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예술작품은 문화 체계의 ‘단체 심미’이념으로서 시시각각의 문화 중 ‘단체 심미’방식으로 문화 체계의 모든 심미적 형태 관계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수한 예술가가 자신의 작품으로 당시 사람들에게 공동으로 느낀 시대정신을 실현하였다면, 이는 심미적으로 이 작품이 그 시대나 그 민족, 그리고 그 나라의 문화 기호 특징을 나타내었다고 말한다. 이런 작품은 보통 예술 품격에서 아주 높은 예술적 감화력이 있으며 역대 예술가들은 소중히 간주한다.

      • KCI등재

        문화원형 기반 캐릭터 콘텐츠산업의 OSMU 전략연구

        임원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3 No.-

        문화원형은 전통문화와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양식이나 상징체계를 문화라고 한다면 문화원형은 민족 또는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다른 것과 구별되는 원래모습에 해당되는 문화라 할 수 있고 전통문화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사회의 관습이나 행동양식 등을 일컫는다. 문화원형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는 ‘한국적인 정체성, 나아가 고유성을 가진 문화에 대한 원천자료를 지칭하는 것으로 문화원형은 콘텐츠 제작을 위한 원천소스 또는 원천자료‘라고 하였다. 문화원형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20여년 된다. 2002년 문화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문화원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문화원형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문화원형 발굴에 대한 결과물에 치중하다보니 다양한 산업에서 원천콘텐츠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문화가 외국에서 인기를 얻는 한류는 우리나라의 한류(韓流)는 아시아를 넘어 국가를 초월하여 전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1990년대에 드라마와 영화를 시작으로 게임과 K-pop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를 전 세계인이 교감하고 있다. 무엇보다 한류는 소셜미디어, OTT 플랫폼들과 결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굴사업을 통해 발굴된 문화원형과 그 밖에 무궁무진한 우리나라의 문화원형(Culture Archetype)에 대하여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유통 채널을 활용하는 등 캐릭터 콘텐츠에 대한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확보할 수 있는 접근방법론과 활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 콘텐츠의 IP관리 체계와 OSMU의 전개 유형을 알아보고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하는 OSMU 사례 등을 분석하여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 콘텐츠의 OSMU에 대하여 전략적 관점에서 진흥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Cultural archetypes are interpreted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culture. If a society's main behavioral pattern or symbolic system is called culture, the cultural archetype can be said to be a culture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 or region and is distinct from others, and traditional culture is the customs or customs of societ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efers to behavioral patterns, etc.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defines cultural archetypes as ‘referring to source data on culture with Korean identity and uniqueness, and cultural archetypes are the original source or source material for content production.’ The term cultural archetype has been used in earnest for about 20 years. In 2002, a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carried out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 Project’, interest in cultural archetypes increased, and the term cultural archetype became common. However, due to the focus on the results of discovering cultural archetypes, it is not being used as source content in various industries. Since the mid-1990s, the Korean Wave, in which Korean culture has gained popularity abroad, centering on popular culture, has spread beyond Asia and across the world. Starting with dramas and movies in the 1990s, people around the world are interacting with various forms of culture, including games and K-pop. Above all, the Korean Wave is expanding simultaneously in combination with social media and OTT platforms. Therefore, this study secured OSMU (One Source Multi Use) for character content by utilizing increasingly diverse distribution channels for the cultural archetypes discovered through the excavation project and the infinite number of other cultural archetypes in Korea. We attempted to consider possible approach methodologies and their potential for us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P management system of character content and the development type of OSMU, analyzes cases of OSMU based on cultural archetypes, and proposes a promotion plan for OSMU of character content based on cultural archetypes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서예와 캘리그라피의 용어 구분과 문화콘텐츠 개발전망

        이주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3 No.-

        'Seoyea' and Calligraphy are both a field of art which focuses on the decoration and artistic expression of characters/letters, which was developed into a legitimate art form in both the East and West by the 20thCentury. In the current era, even traditional caligraphy is being influenced by the Wester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is can be understood that a trend of avant-garde and post-classicism is dominating the art of writing. Therefore, at this point, it is reasonable to distiguish the genres of ‘character art’ into traditional Seoyea, modern Seoyea, and design Seoyea. If we can expand our perspectives on the field of calligraphy, we can also confirm the fact that the art of calligraphy can be used to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which can fit the current cultural trends in many areas such as arts (i.e. movie, drama, dancing, performance arts, drawing, etc.), liberal arts (lectures), and even marketing. Therefore, this is a time where we should accept the new change and foster a new wave of calligraphy experts who can active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cultural landscape while preserving the artistic roots of traditional calligraphy at the same time. For this, a change in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is crucial. Keywords : Traditional calligraphy, Calligraphy, Calligraphy cultural contents, Literary arts, Character Design. 서예와 캘리그라피는 동서양에서 20세기까지 문자를 대상으로 아름답게 꾸미고 이를 예술로 발전시킨 분야이지만, 현 시대에는 전통적인 캘리그래피 조차도 서양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것은 전위주의나 후기 계급주의의 풍조가 문자예술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변화된 문자예술 분야의 장르를 구분하자면 문자예술분야에 대한 용어는 전통서예, 현대서예, 디자인서예로, 영문은 클래시컬 캘리그라피(서예), 모던서예(캘리그라피), 디자인서예(디자인 캘리그라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는 서예 분야를 새로운 시각을 갖는다면, 영화, 드라마, 무용, 공연, 회화등의 예술분야와 강연등의 인문학분야, 마케팅의 광고분야에서 이 시대의 트랜드를 반영하여 신선한 서예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급변하는 문화전반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신진 작가들로 하여금 신문화조류와 함께 한국적 예술원형을 찾고 시대 정신을 발휘하여 창작활동을 펼쳐갈 수 있도록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전반에 새로운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주제어 : 전통서예, 캘리그라피, 서예문화콘텐츠, 문자예술, 문자디자인

      • 공감각 연구 사례분석을 통한 디자인 활용방안

        정현원,오정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5 문화와예술연구 Vol.6 No.-

        The earliest expression of synesthesia is as old as the development of human language, and it has been used as a means of expression for human sensibility in the fields of poetry, literature, and language. Besides, it is not difficult to find artworks using synesthesia as the expressive media such as the visual arts trying to deliver all the human senses, the composite arts inspired by the mutual exchange of both visual and aural arts, the concept of intermedia art that can remain in existence of visual music in the era of modern multimedia and the appearance of new genre of art like visual music and color music.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field of science, the analysis to find out mechanism in respect of synesthesia phenomenon based on huma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ction is progressed targeting synesthetes. As indicated above, synesthesia is interesting subject for the research related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sychology, physiology, esthetics, literature, science and 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oncept of synesthesia defined from the multidisciplinary point of view and the tendency of synesthesia research, and analyze research method and contents of national synesthesia design.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rying to clarity meaning of synesthesia research as one of the emotional design research field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method for various research fields of synesthesia and emotional design. 공감각의 최초 표현은 인류 언어 발달과 그 역사를 함께 하고 있으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문학 작품과 언어 사용에서인간 감성의 표현 수단으로 다양한 공감각 표현이 활용되어왔다. 또한, 인간의 감성표현의 장르인 예술 분야에 있어서도 모든 감각을 총동원하여 대상을 느끼고 그 느낌을 시각예술로 표현하려고 했던 작품들, 시각 예술과 청각예술이 상호 교류 하면서 얻어진 영감으로 표현된 작품들, 현대 멀티미디어 시대의영상음악으로 맥을 이어갈 수 있는 총체예술의 개념과 시각음악․색채음악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출현 등 인간의 공감각 현상을 바탕으로 한 예술 활동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과학적측면에서는 공감각 현상에 대한 인간의 생리적․심리적 작용에대한 메카니즘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를 공감각자(共感覺者, Synesthetes)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렇듯 공감각 연구는심리학, 생리학, 미학, 문학, 과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와 관련된흥미로운 연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학제적 관점에서 정의하고 있는 공감각의 개념과 공감각 연구의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며, 국내 공감각 디자인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 방법과 내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연구의 분야로서 공감각연구의 의미를 밝히고, 다양한 공감각 감성 디자인 연구의 활용방향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무애무의 공연예술 콘텐츠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철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신라 시대 원효에 의해 만들어진 무애무의 공연 예술 콘텐츠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파한집과 삼국유사의 기록을 통하여 1300년 전부터 전해져 내려온 무애무의 성립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신라에서부터 고려와 조선으로의 시대적 상황과 역사의 흐름에 따라 무애무의 형태와 내용이 전승되어온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무애무의 현대적 공연예술 사례인 독무, 군무, 무용극의 세 가지 형태에 대한 것을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음악, 무용, 연극, 뮤지컬, 마당놀이 등을 대상으로 한 무애무의 공연예술 콘텐츠화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무애무의 변천 과정을 라메리(La Meri)가 정리한 민족무용 분류법에 의거하여 그 변화양상을 살펴보면서 원형의 변천에 대한 당위성을 수용하고 무애무의 공연예술 창작 방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신라의 원효가 추었던 무애무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궁중으로 유입되어 시대적인 상황에 따라 그 원래의 맥이 끊어진 점은 있으나 그 과정에서는 라메리의 분류법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변천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역사적 가치를 지닌 신라 원효의 무애무는 기록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무보(舞譜) 등 자료의 빈곤으로 인하여 완전한 원형의 복원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현시대에 부응하는 공연예술 콘텐츠화를 위해서는 라메리의 분류법 네째의 ‘창조적인 분리’와 다섯째 ‘응용된 기법들’을 적용하여 공연예술 콘텐츠화를 추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전통의 고수라는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는다면 음악, 무용, 연극, 뮤지컬, 마당놀이 외에도 표현방식이 다른 현대무용, 발레 등 다양한 장르의 분야 역시 무애무를 주제로 하는 콘텐츠화가 가능하다고 본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의 전통문화이자 역사인 ‘무애무’는 그 독창적인 면에 있어서 국제화와 세계화에 발맞출 수 있는 긍정적인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인들의 공연 예술 콘텐츠화에 대한 인식의 재고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how to make performing arts contents of Mooae dance created by Wonhyo in the Silla period. Through the records of Pahanjip and Samguk Yusa, we looked into the establishment of Muaemu, which has been passed down for 1,300 years. and We looked at the process by which the form and content of Muaemu were passed down according to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flow of history from Silla to Goryeo and Joseon. In addition, we investigated, compared, and analyzed three types of modern performing arts examples of Muaemu: solo dance, group dance, and dance drama. In addition, a plan for transforming Muaemu into performing arts content for music, dance, plays, musicals, and madangnori was presented. By examining the change process of Muaemu based on the national dance classification organized by La Meri, we accepted the justification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form and looked into the direction of Muaemu's creation as a performing art. As a result, Muaemu danced by Wonhyo of Silla was introduced into the royal court through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nd although its original vein was los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it chang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Rameri's classification method. I could see that it had happened. Wonhyo's Muaemu of Silla, which has historical value, cannot be completely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due to the lack of materials such as dance records that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records. Therefore, in order to transform it into performing arts content suitable for the current era, the fourth of Lameri's classification ' There is a need to pursue the content of performing arts by applying ‘creative separation’ and fifth ‘applied techniques’. Therefore, if one is not bound by the stereotype of being an adherent of tradi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content with the theme of Muaemu in various genres such as modern dance and ballet, which have different expression methods, in addition to music, dance, plays, musicals, and madangnori.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see that ‘Muaemu’, our traditional culture and history, can be a positive material that can keep pace with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in terms of its origin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artists' perception of performing arts content.

      • KCI등재후보

        예술치료 개념을 도입한 한국형 타로카드의 개발

        류정미,박진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7 문화와예술연구 Vol.9 No.-

        본 연구는 예술치료 개념을 도입한 한국형 타로카드를 개발하고자 하 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 정 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문제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II장에서는 우리나라 문화, 정서에 맞는 타로개발로 자국의 정체성 확 립과 더불어, 예술치료 현장에서 보조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예술치료 의 개념을 도입한 한국형 타로 카드 78장의 작품 개발의 제작 의도를 밝 혔다. 또한 제작 과정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메이저 카드에는 각 카드 마다 이미지를 설명하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이너 카드는 이미 지와 간단한 색채와 4원소의 상징에 대해 언급하였다. III장 결과에서는 한국형 타로가 타로 리딩 현장에서 사례에 제시되었 을 때의 반응에 대해 언급하였고 한국형 타로의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예술치료 개념을 도입한 한국형 타로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고, 많은 서양식 타로의 발달 속에서 새로운 변화로 성장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 란다. 또한 한국형 타로가 한국인의 사고, 감정, 행동을 이해하고 내면의 표현 도구로 예술치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보조 매체로서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style tarot card that introduced the concept of art therap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scope was set as follows. Chapter I explains the nee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nd describes the scope and method of the research problem. In chapter II, describes the intention of the development of 78 Korean Tarot cards, which introduced the concept of art therapy to be used as an auxiliary tool in the field of art therapy, in addition to establishing their own ident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arot that fit the Korean culture and emotions. In addition, the process and method of production were explained, and the image of each major card was explained and its meaning analyzed. On minor cards, we mentioned the images, simple colors and symbols of the four elements. The results of chapter V summarize the responses to Korean-style tarot when they were presented in the field of tarot reading and suggested follow-up study of Korean-style tarot. Finally, based on the above study, we hope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t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Korea through the Korean-style tarot which introduced the concept of art therapy and a chance for it to grow with new changes with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tarot. In addition, we hope that the Korean-style tarot understands the thinking, feelings and actions of Koreans and serve as an auxiliary for artistic therapy as an internal expression tool.

      • KCI등재

        중국 민속관광 개발과 민속문화 보호에 대한 연구

        왕령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3 No.-

        민속문화는 중요한 관광자원으로서 지역의 경제발전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민속문화를 보호하여 홍보하며 지역의 관광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민속관광 개발은 민속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래문화가 관광지 문화에 미치는 문화적 충격, 과도한 개발로 인한 민속유산 훼손, 민속풍토의 동화, 민속문화의 저속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본 논문은 중국 민속관광의 발전과 민속문화의 보호를 위하여 네 가지 요구 사항을 제시한다. 즉, 개발과 보호, 전승과 발전 간의 관계를 올바르게 처리하고, 지역 실정에 따라 관광자원을 개발하고, 정책적인 지도를 강화하여 지역사회에서 민속문화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임이다. 아울러 전문 인재를 양성하여 민속문화에 대한 연구와 전승을 확대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Folk culture, as an important tourism resource, can effectively promote local economic development, protect and promote folk culture, and enhance local tourism competitiveness. However, in reality, the development of folk tourism can also have a certain negative impact on folk culture, such as the impact of foreign culture on the culture of tourist destinations, excessive development causing serious damage to folk heritage, assimilation of folk customs, and vulgarization of folk culture. This article proposes four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folk tourism and the protection of folk culture, namely the need to correctly handl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protectio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Need to develop local tourism resources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We need to strengthen policy guidance and enhance the awareness of protecting social folk culture; We need to cultivate professional talents and increase research and inheritance of folk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