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Liu Y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7 No.-
진정한 의미에서의 민간예술작품에서 구현하는 것은 겉면에 표출된 화려한 표상할 뿐만 아니라 그 내면을 탐구하는 것, 더욱 이런 예술 풍격을 단조해 낸 불굴의 민족의식과 정감이다. 예로부터 사회의 발전과 계급 분화로 원시 예술의 변천을 거쳐 분리되어 형성된 문인예술, 궁정예술, 종교예술, 민간예술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다른 관념을 기반으로 한 예술 문화 종류가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갈등하고 또 끊임없이 서로 연계하며 기반으로 하고 모순, 연계와 융합에서 하나의 완전한 민족 문화를 육성하였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민간예술문화에서의 순수한 예술 신념은 여전히 줄곧 이른바 고상하고 우아한 예술 문화에 대해 확고한 기초적 역할을 하고있다. 수암만족 민간 전지(剪紙)는 동북 백산흑수사이에 만족 노동 인민이 창조한 역사적 예술 문화의 완벽한 결정체일 뿐만아니라 또한 수암의 전통적 만족 민간 예술 특유한 민족 예술문화 표식이고 동북 지역의 만족 의향 및 옥도 특색의 전통 민간예술의 걸출한 대표이다. 이것은 동북 만족 인민의 지혜의 예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요한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중요한 예술적 가치와 과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전통문화의 결정체이자 화하문명의 보물이다. 지금은 어떤 의미에서 이미 문화브랜드로 된 민간 전지예술이 점차 문화의 수요품으로 되고 있다. 특유의 가치와 방식으로 문화가 널리 전파되는 또 다른 경로로 되고 있다. 그러나 북방 만족 전지를 놓고 말할 때 기나긴 과정에서 아주 많은 문제도 나타났다. 이를테면 제작 형식과 예술 풍격의 혼동, 관련 문화자료내용의 귀납 정리와 발전 전승 등이다. 본 논문은 북방 만족 문화의 대표 특징을 지닌 수암만족 전지를 연구 대상으로 지역 역사, 문화 신앙 등등 방면에 대해 중국 북방 만족 종이 오림이 형성된 근원성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종이 오림 작품이 드러낸 예술 상태에 있어서 다른 지역의 동류 작품들과 전체적 및 개별적 비교를 하여 예술풍격상의 지역문화 차이를 분명히했다. 또 현재를 결부시켜 전지 예술이 사람들에게 대한 의의를 서술하고 전통문화를 발전시키고 전승할 것을 호소했다. A true folk artwork is not only a gorgeous appearance, but also an unyield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emotion that forged this art style. Since ancient times, due to social development and class differentiation, primitive art has developed into literati art, court art, religious art, and then folk art, all of which were based on different concepts of art and culture, entangled in the long river of history and were constantl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creating a whole national culture after having contradictions, connections. To this day, the pure artistic beliefs of folk art culture continue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a relatively elegant art culture. The Manchu paper-cuttings in Xiuyan are not only the perfect crystallization of the historical art and culture created by the Manchu people living in the northeast; they are also the unique national art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traditional Manchu folk art in Xiuyan. It is also an outstanding representative of the traditional folk art that characterizes Manchu’s homeland and Yudu in the northeast. These artistic treasures, which contain the wisdom of the people in the northeast, not only have importan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but also have important artistic and scientific values. They are also the treasures of Chinese civilization. Nowadays, the paper-cutting art which has become a cultural brand, is quietly becoming a cultural commodity. It is providing an unique way for wide culture transmission. However, many different problems have also emerged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he northern Manchu paper-cutting, such as the confusion in the form and artistic style, the induction of the content of relevant cultural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heritage, etc. This paper analyzes the root causes of the formation of Manchu paper-cutting in norther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history, cultural beliefs, and so on, taking Xiuyan Manchu paper-cutting, which is representative of northern Manchu culture, as the subject. At the same time, it compares the artistic feature of Xiuyan Manchu paper-cutting with other similar works from other regions to clarify the regional cultural differences in the artistic style of paper-cutting in Xiuyan. The significance of paper-cutting is highlighted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is also pointed out.
중한 나무(傩舞) 문화의 비교 연구 —중국 화주 도화붕(跳花棚)과 한국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조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7 No.-
중한 양국은 이웃하여 살고 일의대수, 역사의 발전 과정 속에서 서로 촉진하고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문화예의와 풍습 등에 모두 깊은 연원을 가지고 있다. 중국 화주 도화붕은 중국 전통문화의 특색을 살려 무형유산으로서 전통 민속문화와 민족 습관과 민족의 정을 반영한다. 화주 도화붕은 전통 나무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자 전통민속과 문화의 결합으로 민속적인 특색을 띠고 있다. 봉산탈춤은 한국의 전통문화적 기호 중 하나로, 각종 한국의 탈춤 종류를 통틀어 봉산탈춤이라는 하위영역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고, 가장 널리 퍼진 연극이다. 두 가지 예술 형식을 통틀어 보면, 기원 발전, 예술적 특징, 사회적 기능에 모두 비슷한 면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한 나무문 화의 비교연구를 연구방향으로 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문화배경에 의한 동종의 예술성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中韩两国比邻而居、一衣带水10),在历史的发展进程中互相促 进、互相影响,在文化礼仪习俗等都有着深厚的渊源。中国化州跳 花棚极具中国传统文化特色,作为非物质文化遗产能反映传统的民 俗文化以及民习民情。化州跳花棚是传统傩文化的重要体现,更是 传统民俗与文化结合的产物,极具民俗特色。韩国凤山假面舞是韩 国传统文化符号之一,在各类韩国的假面舞种,凤山假面舞这一分 支是保存的最为完善,传播最广泛的代表剧目。纵观两种艺术形 式,不论是起源发展、艺术特征、社会功能都有着一定的异同,因 此本文拟以中韩傩舞文化的对比研究为研究方向,对两种不同文化 背景下的同类艺术性进行对比分析研究。
林如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5 문화와예술연구 Vol.6 No.-
중국 전통문화와 서화예술의 일종 매개체인 부채서화[扇面書 畫]는 줄곧 역대 문인, 예술가, 소장가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특히 서화예술의 창작적인 측면으로 보면, 부채서법[扇面書法] 은 특수한 창작형식의 전문유형으로 분류되어 부채회화[扇面繪 畫] 보다 더욱 두드러지게 주목을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부채 서법의 기원, 발전과정, 예술창작 형식의 특징 및 그 문화적 함 의와 위치에 대해 통시적인 정리와 고찰을 하였다. 둥근부채[團扇]는 중국에서 기원하였다. 당(唐), 송(宋), 원 (元) 시기에서 둥근부채는 최고 절정에 이르렀고 명(明), 청(清) 이후에 점차 접는부채로 대체되었다. 둥근부채의 서법은 회화 에 비해 늦게 출현하였고 수량도 많지 않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비교적 이른시기 둥근부채로 된 서예작품으로는 송(宋) 휘종(徽宗)이 초서로 쓴 <약수연령시환선(掠水燕翎詩紈扇)>을 들 수 있다. 접는부채[折扇]의 기원에 관해서 역대로 중국기원설, 한국기 원설, 일본기원설이 존재하지만 현재 보편적으로 일본에서 기 원하여 중국에 유입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현재 확인되는 비 교적 이른시기 접는부채로 된 서예작품은 명대의 축기산(祝枝 山), 문징명(文徵明), 동기창(董其昌) 등의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수한 형식과 재질로 인해 부채서법의 창작은 족자나 두루 마리 보다 한층 더 의취(意趣)가 있다. 고대의 부채서법은 그 서사방식과 서체선택의 형식에 있어 모두 특수하게 안배하였 다. 자주 보이는 형식은 (1)1줄에 여러 글자를 쓰거나 1줄에 몇 글자를 쓴 것, 부채의 둥근 선을 따라 매 줄에 2-3글자를 쓴 것, 부채면의 중간에 편액과 같이 가로로 몇 자를 쓴 것, 부채 면을 몇 부분으로 나누어 쓰고 합한 것 등 몇 개 방식으로 나 눌 수 있다. 당대의 부채서법은 일종의 순수한 시각예술의 창작으로, 서 사기술과 시각형식 효과의 다양성과 풍부성에서 모두 매우 독 특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작은 부채면에 표현된 작가의 서 법내공, 예술창작력과 상상력을 체현해 내었다. 부채서법의 출 현과 변화양상은 중국 전통문화의 유구한 역사와 독특한 매력 을 반영하고 있다. 고대 문인들에게 손에 부채를 잡는 것은 인 격을 표현하고 감정을 교류하는 의미가 있다. 당대의 문인, 학 자, 서화예술가들도 부채서화를 서로 왕래하는 고아한 매개체 라고 인식하고 있으니, 이러한 문화전통이 현재까지도 지속되 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당대 사람들은 부채문화와 부채서화예 술의 전파에 대해 전력을 다하고 있으니, 부채서화의 창작과 전람회, 부채서화의 수집과 감상을 통해 중국 부채문화의 전승 과 선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作为中国传统文化和中国书画艺术的一种载体,扇面书画一直都受 到历代文人、艺术家、收藏家的青睐。尤其是从书画艺术创作形式上 来看,扇面书法作为一种特殊的创作形式专题类型则要比扇面绘画来 得更为突出和被关注。本文将对扇面书法的来源、发展演变、艺术创 作形式特征以及它的文化内涵和地位做一相对整体的探究和梳理。团 扇起源于中国,唐宋元是团扇书画的鼎盛时期,明清以后逐渐被折扇 书画所替代。团扇书法相比团扇绘画来说,出现较晚,数量也不多。 目前所能看到的较早较著名的团扇书法实物为宋徽宗的团扇草书《掠 水燕翎诗纨扇》。而关于折扇的来源,历来有中国自创、韩国古代传 入和日本古代所创传入中国说,目前较为普遍的说法是后者。折扇书 法目前所见较早的也要到明代了,如祝枝山、文征明、董其昌的折扇 书法作品等等。因为特殊的形式和材质,扇面书法的创作相对一般的 立轴、长卷有更多的差异和意趣。古代的扇面书法按照其形制在书写 方式和书体选择上都有特殊的考虑,常见的有一行多字、一行少字; 每行只在顶端沿边弧线书二三字;在扇面中间横书少数几字如题匾额 的方式;在扇面上分块面书写组合的集锦方式几种。当代的扇面书法 作为一种纯视觉艺术的创作,在书写技法和视觉形式效果的多样性和 丰富性上都有特别突出的表现,在扇面小小的方寸之间体现作者的书 法功力、艺术创造能力和想象能力。扇面书法的产生和演变,反映了 中国传统扇文化的悠久历史和独特魅力,古代文人雅士手执一扇,有 人格表露、情感交流的意义。当代文人、学者、书画艺术家可以通过 扇面书画作为交往唱酬的高雅之物,这种文化传统一直在延续。当代 人对于扇文化和扇面书画艺术的传播也是不遗余力,通过扇面书画的 创作、展览、扇面书画的收藏和雅玩,使得中国的扇面文化得以传承 和发扬。
시각예술 활동이 고령층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박동욱,김성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5 문화와예술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시각예술 활동이 고령층의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진행되었다. 급속하게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년층이 겪는 정서적 소외, 자존감 저하, 우울감 등의 문제는 삶의 질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며 고령층의 정서적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예술을 활용한 치유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 가운데 시각예술 활동은 작품 창작 활동으로 자아 표현, 감정의 순화, 심리적 안정 효과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령층에게 유익한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충청남도 공주시 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고령층 60명을 대상으로 10회 차로 구성된 시각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은 회화, 드로잉, 콜라주 등의 시각예술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활동 참여자들의 감정적 표현을 유도하고 몰입감을 높이며, 창작 과정에서의 성취감을 경험하도록 구성되었다. 연구자는 프로그램 전·후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활동 참여 중의 관찰을 통하여 고령층의 정서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예술 활동 참여 후 고령층의 긍정적인 정서는 증가하고 부정 정서는 감소하였으며, 감정 표현, 사회적 교류, 자신감 향상 등의 정서적 변화가 나타났다. 참여자 다수가 프로그램에 만족하며 향후 재참여 의사를 보여 활동의 지속 가능성과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각예술 활동이 고령층의 정서 안정과 심리적 활력 증진에 효과적인 예술 기반 정서지원 방법임을 시사하며, 지역사회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도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visual art activities affect the emotional well-being of the elderly. In the context of a rapidly aging society, emotional issues faced by older adults—such as social isolation, diminished self-esteem, and depression—have been identified as major factors that lower quality of life. As a response, various approaches to improving emotional welfare in the elderly are being sought, with increasing attention given to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the arts. Among these, visual art activities are regarded as a beneficial means for older adults, offering avenues for self-expression, emotional catharsi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creative engagement. Accordingly, this study implemented a 10-session visual art program for 60 participants aged 60 and older residing in Gongju, Chungcheongnam-do. The program included painting, drawing, and collage activities designed to encourage emotional expression, enhance immersion, and promote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The researcher analyzed emotional changes by conducting pre- and post-program surveys and observing participants during the sess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after participating in the visual art program,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calmness, and vitality increased, while negative emotions like depression and lethargy decreased. Participants also demonstrated improved emotional expression, social interaction, and self-confidence. A majorit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indicat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imilar activities again, confirming the program’s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This study suggests that visual art activities can serve as an effective art-based method for emotional support in older adults, contributing to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vitality. Furthermore, th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of community-based arts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the elderly population.
류정미,박진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7 문화와예술연구 Vol.9 No.-
본 연구는 예술치료 개념을 도입한 한국형 타로카드를 개발하고자 하 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 정 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문제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II장에서는 우리나라 문화, 정서에 맞는 타로개발로 자국의 정체성 확 립과 더불어, 예술치료 현장에서 보조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예술치료 의 개념을 도입한 한국형 타로 카드 78장의 작품 개발의 제작 의도를 밝 혔다. 또한 제작 과정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메이저 카드에는 각 카드 마다 이미지를 설명하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이너 카드는 이미 지와 간단한 색채와 4원소의 상징에 대해 언급하였다. III장 결과에서는 한국형 타로가 타로 리딩 현장에서 사례에 제시되었 을 때의 반응에 대해 언급하였고 한국형 타로의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예술치료 개념을 도입한 한국형 타로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고, 많은 서양식 타로의 발달 속에서 새로운 변화로 성장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 란다. 또한 한국형 타로가 한국인의 사고, 감정, 행동을 이해하고 내면의 표현 도구로 예술치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보조 매체로서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style tarot card that introduced the concept of art therap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scope was set as follows. Chapter I explains the nee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nd describes the scope and method of the research problem. In chapter II, describes the intention of the development of 78 Korean Tarot cards, which introduced the concept of art therapy to be used as an auxiliary tool in the field of art therapy, in addition to establishing their own ident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arot that fit the Korean culture and emotions. In addition, the process and method of production were explained, and the image of each major card was explained and its meaning analyzed. On minor cards, we mentioned the images, simple colors and symbols of the four elements. The results of chapter V summarize the responses to Korean-style tarot when they were presented in the field of tarot reading and suggested follow-up study of Korean-style tarot. Finally, based on the above study, we hope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t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Korea through the Korean-style tarot which introduced the concept of art therapy and a chance for it to grow with new changes with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tarot. In addition, we hope that the Korean-style tarot understands the thinking, feelings and actions of Koreans and serve as an auxiliary for artistic therapy as an internal expression tool.
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사의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중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고운정,이신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교 구성원들의 교수효과성을 높이는 데 있어서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현황을 알아보고 더 효율성 있는 학교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 학교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수업지도성 및 교수효능감 차이와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규명하 는 데 목적이 있다. 그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담당학년, 교직 경력)에 따라 저학년, 교직 경력 20년 이상의 남교사들은 여교사들보다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장의 직접적인 수업지도성인 수업개선과 수업평가를 잘 할수록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문화일수록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장의 수업 지도성은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학교조직문화 역시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문화를 통해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의 교수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제고하고 유익한 학교조직문화를 형성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를 만드는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eachers toward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regarding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members of the school, and examin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elevant variables. The results of structural model exhibit that regarding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gender, grade of the class, experience) of teachers on their perception toward instruc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teaching efficacy perception of male teachers who have 20 years or longer experience and are in charge of the lower grade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Second, in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more class improvement and evaluation was related to stronger effects on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nd teacher’ teaching efficacy, which ar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better innovation culture on teacher’ teaching efficacy. Third,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teacher’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on teacher’ teaching efficacy. Also, a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 teaching efficacy via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Based on research findings, efforts were needed to create effective schools by enhancing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forming a beneficial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in order to maximize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re suggested.
于雨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8 No.-
도식언어(图式语言)는 화면의 형식 및 예술사상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자 개개인이 중점적으로 관심을 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개별화를 추구하는 도식언어는 창작자 개개인이 평생 추구해야 할 일이 된다. 고대 그리스 (古希腊)에서 르네상스(文艺复兴)까지, 그림 도식은 높은 수준의 합리화에 기반을 두었으며, 균형감각, 색상의 진정성, 모형 비율의 정확성, 빛과 그림자의 과학적 관점이 요구되었다. 르네상스 이후 현대 회화의 역사는 인류 본성의 부활이고, 르네상스 이래 근대 회화사가 인간적 소생의 역사이고, 휴머니즘 이 부흥할 수 있었던 이유는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 때문이지 만, 이런 감정 표현이 예술 속 감정의 초월에 담긴 도식(图 式)을 계속 대변할 수는 없다. 현대예술의 사조(现代艺术思潮) 의 도식언어는 시각적 전달과 비슷한 표현이기 때문에 작품 속 도식언어의 개성화 기준에 대한 요구가 높다. 현대 공업 사회 아래에서, 사회의 발전 추세가 같다. 전통과 민족은 거의 생활 에서 벗어나 생활 공간이 갈수록 적막해지는 현상이다. 전통과 동시대의 관계는 둘 중 하나가 없어서는 안되며, 현대의 배경 아래서 전통적인 요소를 보존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며, 예술가들도 시대적 양식을 융합하여 자아를 유지해야 한다. 전통적인 미적 감정에 그 위에 동시대의 문화를 융합해야 심미적 창조에서 자아를 유지할 수 있다. 혁신이 전통을 완전히 부정 하는 것도 아니고, 발전도 과거를 완전히 버릴 수 없으며, 동시대 판화예술은 그 바탕 위에서만 개성 있는 발전을 이룰 수 있 다. 본문은 도식(图式)에서 먼저 도식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고 서빙(徐冰)의 예를 들어 그의 작품 천서<天书> 지서<地书>를 통해 현대 도식이 무엇인지를 알아냈다. 어떤 전통 도식입니까? 그리고 도식에 맞추어 빗어보면, 우리는 도식이 민족의 특색뿐만 아니라 예술가가 받아들이는 환경과도 중대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왜 판화가 전 통 판화 도식을 흡수해야 하는지를 알게 될 것입니다. 전통 도식이 중화민족의 문화 축적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내면의 도식 구조(图式构造)에서 사람들의 공감을 쉽게 얻을 수 있고, 또한 자신의 특색을 뚜렷하게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도식이 일층 불변의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사람들은 내면세계의 도식구조(图式构造)가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판화예술의 창작에는 반드시 시대 도식(时代图式)의 가치와 내실이 반영되어야 한다. 다른 예술가들이 전통 도식을 흡수하는 방법을 배우고, 그 들의 예술작품을 변증법적 시선으로 바라보며, 전통과 당대의 도식을 포용하는 사상적 이념으로 판화 언어를 추진한다. 예술은 정신의 영역에 속하며 생활과 달리 뚜렷한 공리적(功 利性) 특성을 가지고 없다. 현재 사회에서는 과학기술의 진보와 발전, 정보기술(IT)·디지털상 등 뉴미디어의 폭넓은 활용에 따 라 새로운 것들과 심미 예술 표현형식의 다양화가 이 사회의 보편적인 특징으로 자리 잡았고, 우리 생활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보의 발전은 국제간의 왕래를 날로 빈번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세계 일체화의 발전은 각 민족의 문화 및 예술에 지대한 편의를 제공했다. 그러다 보니 여러 민족적 특색을 가지고 있던 예술 도식(艺术图式)이 오늘날 사람들의 끊임없는 구조와 중창 속에서 당대의 특색을 지닌 도식으로 해석 되고 있다. 판화도식(版画图式) 언어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당대 판화창작과 전통문화 및 동시대의 사회가 연관되어 있으며, 한 판화창작자에게 판화창작에서 혁신을 이루려면 판화 도식 언어를 알아야 한다. 图式语言是构成画面形式及表述画者艺术思想的重要手段,是每 一个创作者必须予以重点关注和解决的问题,因此追求个性化的图式 语言就成为了每个创作者毕生追求的事。从古希腊至文艺复兴之前, 绘画图式都基建于高度“理性”化的基础之上,要求画面构图的平衡 感,色彩的真实性,造型比例的准确性,加之光影透视的科学性。文 艺复兴以来的近代绘画史是人性的复苏史,而人文主义得以的复兴的 根本在于情感的自由表达,直至艺术中的情感超越所承载的图式。现 代艺术思潮中的图式语言更倾向于视觉传达,因此对于作品中图式语 言的个性化提出了更高的要求。现代工业社会下,社会发展趋向同 一,传统与民族几近淡出生活,生活空间越来越冷寂的现状。传统与 当代的关系需要我们谨慎的去把握,二者缺一不可,需要在现当代的 背景下保持传统元素的空间,艺术家在创作时也应吸收时代风格,同 时保持自我。传统审美情感,在此之上融入当代文化,才能在审美创 造中保持着自我。创新不是完全否定传统,而发展也不能完全抛弃过 去,当代版画艺术只有在这个基础上才能实现个性化发展。本文从图 式出发,首先探讨了什么是图式,并以徐冰为例通过他的作品《天 书》、《地书》辨别出何为当代图式?何为传统图式?而针对图式的 梳理我们会发现图式不仅与本民族特色有关,还与艺术家所受的环境 有着重大的关联,这样一来,我们就明白为什么版画创作要吸收传统 版画图式,原因在于传统图式是中华民族几千年的文化积淀,在我们 内心图式构造中很容易引起人们的共鸣,同时也具有明显的自身特 色。而图式并非一层不变的,随着时代的发展,人们内心的图式构造 也会随着时代的发展而发展,所以在版画艺术创作中一定要体现出时 代图式的价值与内涵。学习其他艺术家吸收传统图式的方法,以辩证 的眼光去看待他们的艺术作品,以包容传统与当代图式的思想理念推 动版画语言向前迈进。
김양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2 문화와예술연구 Vol.19 No.-
낙안읍성은 다양한 생활문화를 담은 600년 역사를 지닌 민속마을로 2011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 전통문화체험의 다양한 체험 마케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낙안읍성민속마을은 2005년부터 전통문화체험프로그램을 통해 관광객들이 체험할수 있는 다양한 문화체험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지역 전통문화관광자원의 홍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험마케팅 전략을 활용하여 낙안읍성 상설 전통문화체험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체험마케팅은 소비자들을 이성적일 뿐만 아니라 감정적인 존재라 가정하고 고객의 체험에 중심을 두며, 방법과 도구는 다양하고 다각적인 감각·감성·인지·행동·관계의 특징을 갖고 있다. 체험마케팅은 쇠퇴하고 있는 브랜드를 향상시키기 위해, 경쟁자로부터 제품을 차별화하고, 기업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수립시키기 위해 구매, 재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체험마케팅의 요소를 낙안읍성 민속마을의 상설체험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상설 체험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낙안읍성만의 고유 지역전통문화를 체험프로그램으로 연계하는 것은 지역적 전통문화를 홍보하고, 대중화시키는데 필요하다. 체험마케팅의 요소 중 감성·인지·관계의 마케팅 전략 차원에서 놀이와 교육이 결합된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적인 체험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핵심적인 체험제공수단들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향토문화의 특성을 살린 체험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며, 낙안읍성 민속마을 체험프로그램의 공동 브랜딩에 있어서 순천시와 지역의 기업·관공서·전통예술단체가 통합적 연계시스템을 구축하여 기획·주관·협찬·후원이 통합적으로 운영·관리되는 시스템으로 재정적 자립도 및 양질의 체험프로그램 제공에 기여할 수 있다. 낙안읍성 민속마을 체험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차원에 있어서 현재 행정적 관리·운영 시스템에서 벗어나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전문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낙안읍성 민속마을 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다면, 낙안읍성을 찾는 관광객과 체험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재방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체험프로그램의 브랜드 가치 형성은 지역문화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상품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설체험프로그램 연구에서 벗어나 낙안읍성 민속마을의 관광자원들에 대한 좀 더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홍태한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8 불교문예연구 Vol.0 No.11
이 글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불교의례의 발전 방안을 다룬 글이다. 특히 무형문화재 제도 속에서 불교의례의 위상을 살핀 후 나갈 방향을 찾아보았다. 먼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불교의례의 현황을 살폈다. 국가나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중에서 불교 관련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다. 국가 무형문화재가 수륙재 중심이라면 시도 무형문화재는 영산재 중심이다. 따라서 시도 무형문화재로 수륙재가 추가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다비의식, 이운의식 등 다양한 불교의식도 지정될 수 있을 것이고, 보편성을 강조하고 있는 무형문화재 정책을 바탕으로 하면 널리 행해지고 있는 사십구재도 지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불교의례를 담당하고 있는 어산집단에 대한 관심을 갖자고 했다. 무형문화재 지정 기준을 살핀 결과, 지정 기준은 어산 집단의 특성에 모두 부합한다. 불교 무형유산 연구자들이 어산 집단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문화재청에 정책 제안이 가능한 부분이다. 어산의 계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과거 어산의 계보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현재 활동하고 있는 어산 계보까지 살펴야 한다. 아울러 각 지역에서 어산들이 자체적으로 모여 설립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 기관까지 포함한 조사 및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불교계 내부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그래서 불교 무형문화재 추가 지정을 위해 공동체성의 확보, 새로운 의미망 부여하기, 조직의 정비, 불교학계의 연구 확산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러한 연구의 기저에는 무형유산을 바라보는 불교계 내부의 인식 전환이 있어야 한다. 과거보다는 나아졌지만 ‘의례를 맡은 스님들에 대한 편견’, ‘불교음악 무용을 감당하고 있는 스님들에 대한 가치 폄하’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부처님께 올리는 인간의 간절한 소망을 종합예술로 표현한 불교의례의 가치를 인식하고 소중하게 여길 때, 불교 무형유산은 무형문화재 지정이나 그에 버금갈 사회적 대우를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how to develop Buddhist rituals which people are paying keen attention to lately. Particularly,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status of Buddhist rituals in terms of the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n figured out how to develop them. First of all, the status of Buddhist ritual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s been investigated. Among the items designated as national or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ose related to Buddhism do not form a large par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centered around Suryukjae while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oriented to Yeongsanjae. Therefore,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Suryukjae will be additionally designated as a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 Also, many Buddhist rituals like Dabiuisik or Iunuisik can be designated, and grounded on the policy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stressing universality, Sasipgujae that is being widely performed may be designated as one of those, too. Next, it says it i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e Eosan group being in charge of Buddhist ritu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riteria of designa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y all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osan group. This is the part where researchers dealing with intangible heritages related to Buddhism can suggest policy t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ased on research on the Eosan group. Research on the genealogy of Eosan is essential.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not only the genealogy of Eosan in the past but that of Eosan presently involved in it actively. Furthermore, it is needed to conduct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a variety of educational institutes founded and operated by Eosan gathering voluntarily in different regions. Above all, those concerned in Buddhism should change their own recognition. Therefore, to designate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Buddhism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community spirit, from a new semantic network, maintain related organizations, and also increase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of Buddhism. On the ground of this research, those concerned in Buddhism should change their viewpoint about intangible heritages. It is rather better now, but we should try to change ‘our fixed ideas about monks being in charge of those rituals’ or ‘our underestimation over the monks being in charge of Buddhist music or dance’. When we accept and cherish the value of Buddhist rituals expressed as composite art containing humans’ desperate wishes to Buddha, Buddhism intangible heritages can be socially tre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being designated as one of those or something equivalent to that.
張溫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5 문화와예술연구 Vol.5 No.-
오늘날 공공예술이 도시문화에 끼치는 영향과 역할은 점점 두 드러지고 있다. 도시의 건설과 발전에 대한 역사적 발자취에서 보면, 공공예술은 총체적이며 부분적이고, 체계적이면서도 요소 적이고, 사회과학적이면서 인문과학적이다. 본 논문은 “시스템 이론”의 특징을 “공공예술 시스템이론”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으로서, 도시가 현대화 되는 과정에 서 공공예술의 형태를 통하여 도시의 모습과 내용을 설명하고, 객관적인 “시스템 이론”의 특징을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일반시스템론”의 창시자인 Ludwig Von Bertalanffy (미국 국 적의 오스트리아 출신)이론의 장점(전체성, 관련성, 동태성, 시 서성, 목적성)을 도시공공예술 영역에 대입하여 본 논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초로 하였다. 시스템 이론의 특징을 응용한 취지는, 공공예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외 도시 건설 중에 건축과 공공시 설에 속하는 공공예술을 분석을 해보면 방대하고 복잡한 도시 시스템은 크게 두 부분으로 귀납 되었다 하나는 ‘건축 시스템’ 이고, 다른 하나는 ‘공공예술 시스템’이다. 건축물을 제외한 공공시설은, 예술의 개발과 창작 행위를 통 해 이루어지며 이는 공공예술 시스템 중의 일부분이다. “도시건설순환시스템”의 생태환경, 인조환경, 인문환경 및 정 서환경을 “도시건설공공예술시스템이론”에 응용하여 더욱 전면 적이고 더욱 완전하게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도시 건설이 되고 자 한다. 公共艺术在当代城市文化中的作用与影响越来越突出, 从城市建设与发展的历史轨迹看,在城市建设中,公共艺术既 是整体的也是部分的,既是系统的,也是要素的,既是社会 科学的,也是人文科学的。 本论基于系统论特点作为研究公共艺术系统论的方法, 在城市现代化发展进程中,通过公共艺术形态演绎城市的形 象及内涵,以客观理性的系统论特点为理论依据,运用美籍奥地利一般系统论的创始人路德维格· 冯· 贝塔朗菲( Ludwig Von Bertalanffy)系统论的特点(整体性、关联 性、动态性、时序性、目的性)代入城市公共艺术领域,作为研究城市公共艺术系统理论的框架与结构。旨在运用系统 论的特点,作为研究公共艺术系统的方法,通过归纳分析国 内外城市建设中的建筑与公共设施属性的公共艺术,将庞大 而复杂的城市系统工程归纳为两大部分,一部分是建筑体 系,一部分是公共艺术体系,在城市中除了建筑以外的所有 城市配套公共设施,通过艺术开发和创造都可以成为公共艺 术体系整体中的一部分。在客观存在城市建设循环系统的生态环境、人造环境、人文环境、心态环境中,研究城市建设 公共艺术系统论的特点,使当代城市建设得到更全面更完善 的持续性发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