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불교경제학의 미래 지향

        박경준 ( Park Kyoung-joon ),장성우 ( Jang Sung-woo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8 No.-

        불교는 초세간적인 것만이 아니라 세간의 현실도 중요시하는 종교이다. 경제에 대해서도 불교는 재화의 획득과 증식에 관심을 가지고 올바르게 벌고 올바르게 쓸 것을 설한다. 나아가 불교는 물질적인 충족이 아니라 총체적 삶의 질을 높이는 경제학을 지향하며 궁극적으로는 열반의 경제학을 지향하고 있다. 한편 현재 인류는 코로나 19로 대변되는 환경재앙과 기후변화, 부익부 빈익빈 등, 근본적으로 보면 경제에 기인하는 문제로 큰 위기에 봉착해 있다. 불교는 어떤 종교보다도 생명을 존중하고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관계를 중시하므로 불교경제학과 불교생태학은 위기에 봉착한 인류에게 새로운 미래를 제시할 수 있다. 동국대학교는 2004년에 불교생태학의 기치를 내걸고 ‘에코포럼’을 출범한 이래로 총 28회의 포럼과 3회의 심포지엄을 진행하였고, 2006년에는 건학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관련 책자를 출간한 바 있다. 불교의 경·율·론 삼장에는 불교경제학과 불교생태학, 그리고 불교경영학에 대해서도 지혜를 줄 수 있는 내용이 많이 있다. 연구방법은 크게 보면, 귀납적 또는 연역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면 인접 학문과의 학제적 공동연구와 융합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불교와 타종교의 사회교리를 비교하는 연구도 개척 가능하며, (가칭)‘불교경제연구소’와 같은 연구기관의 설립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Buddism is a religion that puts emphasis on not only the supra-mundane world but also the mundane world. Buddhism preach that one should interest in making money and spending money on correct method about economy of laypeople. Furthermore Buddhism pursue economics that enhances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ultimately nirvana above the material satisfaction. Now mankind are facing big crisis of environmental disaster like corona 19, climate change, polarization of wealth which basically result from economy. Buddhism hold sacred life and lay stress on the mutual 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an other religions so that Buddhist economics and Buddhist ecology could provide hopeful future. Since Ecoforum launched in 2004, Dongguk University had proceeded altogether 28 forums and 3 symposiums, besides hoste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in 2006 commemorating 100th anniversary of school and published related books. Tripitaka of Buddhism contains abundant contents that share wisdom on Buddhist economics, Buddhist ecology, Buddhist business administration. Classifying roughly, there would be inductive research method and deductive research method,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with related studies are possible. And comparative study of social doctrine between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c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tentatively named 'Buddhist economy research lab' deserve consideration.

      • KCI등재후보

        불교의 지형과 불교학의 방법 ― ‘뉴노멀’과 ‘코로나’ 시대의 인문학 불교학의 현재와 미래 - ‘연기적 앎’에서 ‘중도적 삶’으로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8 No.-

        이 논문은 ‘뉴노멀’과 ‘코로나’ 시대에 붓다의 중도 자비와 연기 지혜에서 비롯된 인문학 불교학의 현재 지형과 미래 방법에 대해 고민한 글이다. 고타마 붓다는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고통인 생(로병)사의 과제를 해결하여 지혜의 길을 열어주었다. 붓다가 성취한 깨침의 완성 즉 생사의 극복은 붓다 내면의 성취로만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그의 성취는 인류의 지혜였으며 오늘 여기와 바로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주요한 고통의 해결과 다르기 않기 때문이다. 불교의 중도행과 연기법 및 사선정과 삼명육통, 불교학의 연기론과 일승론, 불타론과 보살설, 심식설과 불성론, 수도론과 열반론 등은 붓다가 성취한 깨침으로 나아가는 우리들의 과제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제가 오늘 여기를 사는 우리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만 할까? 먼저 우리의 피부에 가까이 다가오는 사성제의 고통의 자각-진단-처방-치유의 지형과 방법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대의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과제는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고통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과 구체적인 행동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제시된 것이 살아있는 불교학일 것이다. 살아있는 불교학은 불교학 고유의 주제들에 대해 궁구하면서도 동시대 사람들의 이해와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서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학문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늘 여기를 사는 우리들이 직면하고 있는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과 기술, 문학과 역사, 철학과 종교, 예술과 교육 등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표준으로 등장하는 문제들과 접목해서 해석하고 해명해야 할 것이다.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현재와 미래의 화두 또한 순수불교학과 이론불교학의 기반에 의거한 불교생사철학과 불교경제학 및 응용불교학과 실천불교학의 토대에 의거한 불교생태철학과 불교경영학 등과 같은 간주관적(inter subjectivity)이고 융복합적(cross over)인 학문을 통한 상호 소통과 상호 실현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과 기술, 문학과 역사, 철학과 종교, 예술과 교육 등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의 고통에 대한 자각-진단-처방-치유의 과정을 통해 진리의 확신-이해-수행-체증의 과정으로 나아가는 것이 요청된다. 결국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화두는 순수불교학과 이론불교학 및 응용불교학과 실천불교학의 경계를 과감하게 넘어서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 문제에 대해 널리 화쟁하고 깊이 회통하여 지혜의 길을 열어가는 것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landscape and future method of Buddhist studies in the era of the ‘new normal’ and the novel coronavirus (COVID-19). This method originally derived from the Middle Way of Compassion and Wisdom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Buddha. Gotama Buddha showed us the way of wisdom by resolving the suffering caused by the cyclic existence of birth and death,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suffering that human beings face. The great enlightenment that Buddha accomplished ―in other words, the attainment of release from the world of recurring rebirth ―was not his only accomplishment. Because the wisdom that he attained became the wisdom of humanity, the suffering he resolved is the very suffering that we face now to resolve. The teaching of Buddha’s Middle Way, Dependent Origination, four stages of meditation, three kinds of wisdom, and six supernormal powers is what we must practice to attain Buddha’s enlightenment. Theories of Buddhist studies, such as Dependent Origination, one vehicle, Buddha and Bodhisattva, mind and consciousness, Buddha nature, path of cultivation, and nirvana, lead us to the same path. Is there any more tangible way to accomplish this goal of the extinction of suffering? To become more active and enthusiastic in striving for this outcome, we can use the four stages of method: self-awareness - diagnosis - remedy-healing. The current challenge of Humanist-and Buddhist-studies of this era is identifying the fundamental solution and specific method for real-life situations and resolving the great suffering we face at present. Only when an idea suggests the solution for the suffering in this era will it be qualified to be called living Buddhist studies. Therefore, to become living Buddhist studies, a solution must interact with people and understand people’s needs. To do so, Buddhist studies must be able to interpret and explain ideas that are relevant to the real-life issues that people face, especially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science, technology,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rt, education, and so on. Therefore,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nd future koan of Humanist- and Buddhist-studies scholars will be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intersubjective studies ―such as pure, theoretical Buddhist studies ―and cross-over Buddhist studies, such as applied Buddhist studies, practical Buddhist studies, Buddhist life and death philosophy, Buddhist economics, and Buddhist ecology philosophy, Buddhist business administration. To resolve this issue, Buddhist studies must undergo the aforementioned four stages of process (self-awareness - diagnosis - remedy - healing) in real-life issues; this process will correspond to the four stages of practice in the Mahayana era (faith - understanding - practice - enlightenment to the truth). Eventually, this fundamental koan should open the path of wisdom by moving beyond these theories to help people get released from the suffering in the present era.

      • KCI등재후보

        일연 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 ― 일연의 생애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조경철 ( Jo¸ Gyung-cheol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9 No.-

        일연과 『삼국유사』에 대한 연구는 세종과 ‘한글’에 대한 연구처럼 긍정적인 입장에서만 주로 다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일연의 생애에서 정치적 측면을 강조하였고 그 정치사상적인 구체적인 사례를 『삼국유사』에서 찾아보았다. 고려시대 승려에게는 구도와 정치가 별개가 아니었다. 특히 몽골의 침입과 몽골간섭기라는 시대적 격동기에 처한 승려에게는 더욱 더 그렇다고 생각한다. 일연은 몽골침략기에 포산에 은거하는 등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지만 삼계가 환몽이라는 걸 깨달은 한편 세속에 몸을 담아도 하나도 거리낄게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포산에서 나와 정안의 남해 정림사에 머물면서 정치와 관련을 맺게 되었다. 정안이 정계에서 퇴출되자 다시 일선에서 잠시 물러나 『중편조동오위』등을 편수하였다. 일연은 왕정복고가 이루어지자 강도의 선월사에서 주석하였고, 충렬왕의 일본 원정에 참여하기 위해 경주 행재소로 갔고, 몽골의 일본 정벌의 국제 정세 속에서 국존에 임명 되는 등 그의 행적에서 굵직 굵직한 사건이 중앙정치와 원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연의 정치사상은 『삼국유사』 ‘고조선’ 항목에서 잘 드러난다. 같은 나라이름을 구분할 때 ‘고(古)’를 붙인 건 ‘고조선’이 유일하다. ‘고’는 동양에서는 ‘상고주의’처럼 이상적인 것을 의미한다. 일연은 ‘고조선’을 이상국가로 보고 환인(제석)-환웅(천왕)-단군(인왕)으로 이어지는 불교국가로 해석하였다.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한 목적은 민족의식을 고취하여 몽골에 저항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송나라에서 원나라로 세계의 중심이 바뀌는 시대적 격변기에 우리에 대한 자각이 일어나서 편찬한 것이 『삼국유사』이고 ‘고조선’ 항목이었다. 일연의 사상도 변화하는 시대를 이끌어가야 했기 때문에 한쪽에 치우치지 않았다. 가지산문에 속하면서도 수선사와 선월사에 머물고 지눌을 계승했다고 하고 간화선의 입장에 있으면서도 조동선이나 문자선은 물론 대장경에 대한 이해와 더 나아가 유교와 도교에 대한 이해도 깊었다. 일연 사상의 고유성과 특수성은 현실 정치에 뛰어들어 그 시대의 어려움을 여러 사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우리 역사의 자각을 통해 헤쳐 나가려고 했던 점에 있다. The study of Ilyeon and 『Samguk Yusa』 was mainly dealt with only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like the study of Sejong and ‘Hangeul’. In this article, the political aspect of Ilyeon’s life was emphasized, and concrete examples of that political thought were found in 『Samguk Yusa』. For monks in the Goryeo Dynasty, composition and politics were not separate. In particular, I think it is even more so for the monks who are in the turbulent period of the Mongol invasion and Mongol intervention. During the Mongol invasion, Ilyeon took a passive stance, such as hiding in Foshan(包山). After leaving Foshan, Ilyeon became involved in politics while staying at Jeongnimsa Temple(定林寺) in Namhae of Jeongan. When Jeongan was expelled from politics, Ilyeon stepped back from the front line for a while, and published 『Jungpyeonjodongowi』(重編曹洞五位). When the restoration of the monarchy was accomplished, he stayed at Seonwolsa Temple[禪月社] of Gangdo Island, went to Gyeongju Haengjaeso to participate in King Chungryeol’s Japanese expedition, and was appointed as State honor[國尊]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Yuan’s Japanese conquest. It can be seen that a major event is taking pl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politics and the Yuan Empire. Ilyeon’s political thought is well expressed in 『Samguk Yusa』 ‘Gojoseon(古朝鮮)’. ‘Gojoseon’ is the only one that uses ‘Go[古]’ to distinguish the same country name. In the East, ‘Go’ means an ideal, like ‘sanggoism[尙古主義]’. Ilyeon saw ‘Gojoseon’ as an ideal state and interpreted it as a Buddhist state that was followed by Hwanin(Joseok), Hwanin(Cheonwang), and Dangun(Inwang). The purpose of Ilyeon’s compilation of 『Samguk Yusa』 was not to inspire national consciousness and resist the Mongols. 『Samguk Yusa』 and the item ‘Gojoseon’ were compiled after awakening awareness of us during the period of turbulent times when the center of the world changed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Yuan dynasty. Illyeon’s thought was not biased toward one side because he had to lead the changing times. Although belonging to Gajisanmun, it is said that he stayed at Suseonsa Temple and Seonwolsa Temple and inherited Jinul. Although he was in the position of Ganhwaseon, he had a deep understanding of Jodongseon, Mukjoseon, and Mumseon, as well as the Tripitaka Koreana, and furthermore, Confucianism and Taoism.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Ilyeon thought lies in the fact that it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at era through a broad understanding of various thoughts and awareness of our history.

      • KCI등재후보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주요 내용과 특징

        김지연 ( Kim Jiyun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0 불교 철학 Vol.6 No.-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은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주석서로, 저자를 용수(龍樹)로 번역자를 벌리마다(筏提摩多)로 지목한다. 하지만 저자 용수에 대한 진위논쟁이 지속되면서, 일본에서는 신라 승려 월충의 『석마하연론』 저술설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석마하연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석마하연론』과 신라의 불교사상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우선적으로 『석마하연론』의 저자에 대한 논쟁과 저술시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존하는 『석마하연론』의 사본과 판본 및 『석마하연론』을 인용한 문헌과 이 논의 주석서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석마하연론』의 구성과 내용을 정리하고, 말나식에 열 한가지 명칭을 부여하는 등의 독창적인 해석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석마하연론』과 원효의 『기신론소』를 포함한 신라 문헌의 사상적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석마하연론』에 나타나는 원효의 영향은 ‘熟’과 ‘就’로 확인되는 용어적인 측면과 제7 말나식을 독립된 식으로 인정하는 등의 내용적인 측면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만으로는 오래전부터 제기되었던 신라 승려 월충의 『석마하연론』 저술설을 확정 짓기 어렵지만, 『석마하연론』과 신라의 불교사상의 상관성을 발견하고 그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The Shi moheyanlun (釋摩訶衍論) is an annotated book of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大乘起信論). This book has been thought to be written by Nāarjuna (龍樹) and translated by Vṛdhimata (筏提摩多). However, many controversies about the writer continued, and there is the hypothesis in Japan that the Silla monk Woulchung wrote the Shi moheyanlun. Although some japanese monk mentioned the writer as Sillan, the study on the Shi moheyanlun is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firstly, I examined the arguments about an author and the period of creation of the Shi moheyanlun. Secondly, I looked into the manuscripts and wood-block printed books, and the commentaries on the Shi moheyanlun. Thirdly, I organi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and reveal the identity of Shi moheyanlun. Lastly I fou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hi moheyanlun and the Gisillon so of Wonhyo. From the ideological relation between them, I could develop the possibility that the Silla monk Wolchung is the author of Shi moheyanlun. There are two aspects to show the Wonhyo’s influence over the Shi moheyanlun. The one is the aspect of words as ‘熟 shu’ and ‘就 jiu’. The other is the aspect of contents that they recognize the 7th manas as the separate consciousness. Moreover, the of Shi moheyanlun claims the unique eleven names of manas. Even though it is hard to determine the hypothesis that the Sillan Woulchung is the writer as the fact, the ideological effect of Wonhyo on the Shi moheyanlun reveals the deep relation between the Silla Buddhist thought and the Shi moheyanlun.

      • KCI등재

        이미지 분석을 통한 금속 활자본과 목판 번각본 특징의 정량화와 네 가지 『南明泉和尙頌證道歌』 판본 간의 비교

        유우식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2 불교 철학 Vol.11 No.-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고서의 인쇄 방법의 판별은 인쇄상태와 글자 모 양이 갖는 여러 가지 특징의 관찰을 통하여 주관적인 기준을 바탕으로 금속 활자본, 목판 인쇄본 또는 금속 활자의 목판 번각본(飜刻本) 등으 로 판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777년과 1778년에 금속 활자로 인 쇄되어 같은 해에 지방 감영(監營)에서 목판으로 번각되어 인쇄된 『明 義錄』과 『續明義錄』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금속 활자본과 목판 번각본의 특징의 정량화를 시도하였다.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에 인 쇄된 것으로 추정되는 『眞西山讀書記乙集上大學衍義』 금속활자본과 목판 번각본 이미지의 크기 및 가로와 세로 방향의 비율의 비교를 통 하여 목재의 건조에 따른 수축률과 수축 방향에 의한 영향을 추정하였 다. 금속 활자본과 목판 번각본 이미지의 묵색(墨色)의 차이도 정량화하였다. 이러한 이미지 분석 방법을 통해 매우 유사한 『南明泉和尙頌 證道歌』 네 가지 판본의 인쇄 방법과 인쇄 순서의 추정에 활용하였다. 공인본(空印本)은 1239년 9월 상순에 금속 활자로 인쇄된 것으로 가장 이른 판본이며 나머지 세 가지 판본은 목판으로 번각되어 인쇄된 것으 로 인쇄 순서는 반야사본(般若寺本), 1472년 6월에 인쇄된 대구본(大邱 本), 삼성본(三省本)으로 판명되었다.

      • 깨침 혹은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 고타마 싯다르타의 중도(中道) 연기(緣起)와 분황 원효의 일심(一心) 일각(一覺)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9 불교 철학 Vol.4 No.-

        이 논문은 고타마 붓다(기원전 624~544)와 분황 원효(617~686)의 깨침 혹은 깨달음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싯다르타는 진리에 ‘눈을 뜬’ 수많은 붓다 중에서도 탐욕[貪]과 성냄[瞋]과 어리석음[癡]의 삼독심을 버리고 가장 완벽한 해탈(解脫, vimutti/vimokkha) 열반(涅槃, nibbāna)의 길을 열음으로써 붓다의 이름을 전유(專有)하게 되었다. 붓다가 열어젖힌 해탈 열반은 선정 수행과 고행 수행을 넘어서는 완전한 깨침의 길이었다. 「초전법륜경」에서 설하는 것처럼 그것은 ‘중도’(中道) 즉 팔정도와 사성제 즉 십이연기의 가르침이었다. 원효는 무덤 속에서 인간이 지니고 있는 본각과 시각을 아우르는 ‘일각’(一覺)과 본각과 시각을 가로막는 불각 중 특히 그 속의 지말불각인 삼세(三細)상과 육추(六麤)상을 지멸시키고 보편적 마음인 ‘일심’을 발견하여 ‘눈을 뜬’ 붓다가 되었다. 카필라와 신라 즉 인도와 한국에서 일 천여 년이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붓다의 깨침과 원효의 깨침은 인간을 자유롭게 하였다는 점에서 연속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두 사람의 방법에 있어서는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내재해 있다. 그 연속성 위에서 싯다르타의 독자성이 드러나고 있으며, 그 불연속성 위에서 원효의 독자성이 나타나고 있다. 싯다르타는 사성제의 각 성제를 세 가지 양상으로 살폈다. 먼저 그는 ‘이것이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다’[苦聖諦], ‘이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는 바르게 잘 이해되어야 한다’, ‘이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를 완전하고 바르게 이해했다’. 이어 그는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다’[集聖諦] →‘이 ~는 바르게 잘 버려져야 한다’ → ‘이 ~는 이미 버려졌다’.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다’[滅聖諦] → ‘이 ~는 마땅히 실현되어야 한다’ → ‘이 ~는 이미 완전히 실현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길의 성스러운 진리다’[道聖諦] → ‘이 ~는 마땅히 닦아야 한다’ → ‘이 ~는 이미 철저하게 닦았다’고 섬세하게 관찰했다. 그리하여 고성제에 대한 세 가지 양상 → 집성제의 세 가지 양상 → 멸성제에 대한 세 가지 양상 → 도성제에 대한 세 가지 양상을 아우르며 각 성제를 세 가지 양상의 단계로 살펴 모두 열 두 가지 형태를 조망했다. 그 결과 고타마 붓다는 “나는 태어남은 이미 다했고[我生已盡], 범행은 이미 확고히 섰고[梵行已立], 할 일은 이미 다해 마쳐[所作已作], 스스로 윤회의 몸을 받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自知不受後有]고 하였다. 이처럼 고타마 싯다르타는 각 성제에 대한 세 가지 양상을 살펴서 네 가지 성제를 ‘있는 그대로 알고’ → ‘보는 것이 완전하고 청정하게 되었을 때’ 천인과 마라와 범천을 포함한 세상에서, 사문과 바라문과 왕과 사람을 포함한 무리 가운데서,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얻었다’고 선포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나에게 ‘지견’(智見)이 생겨났다”고 밝히고 있다. 여기서 ‘지견’ 즉 지혜로운 안목은 “내 마음의 해탈은 확고부동하며, 이것이 나의 마지막 태어남이며, 더 이상의 다시 태어남은 없다’라는 것을 스스로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원효는 삼세상에 무명업상(無明業相), 능견상(能見相), 경계상(境界相)을 배속하고 제8아뢰야식 위(位)에 배대하고 있다. 육추상의 첫 번째인 지상을 제7 말나식 위(位)에 배대하고, 육추상의 상속상, 집취상, 계명자상, 기업상, 업계고상을 제6 요별경식 위(位)에 배대하고 있다. 이러한 배대는 제8 아뢰야식 위(位)를 제외하는 이전의 담연(曇延)과 혜원(慧遠)과 다른 것이며, 제8 아뢰야식 위(位)를 인정하면서도 제7 말나식 위(位)를 제외하는 이후의 법장(法藏)과도 구분되는 독자적인 주장이다. 여기에는 원효의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이 투영되어 있다. 원효는 제8 아뢰야식 위(位)에 업식(業識), 전식(轉識), 현식(現識), 제7 말나식 위(位)에 지식(智識), 제6 요별경식 위(位)에 상속식(相續識)과 의식(意識)을 배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육염심(六染心)에는 제8 아뢰야식 위(位)에 근본불상응염(根本不相應染), 능견심불상응염(能見心不相應染), 현색불상응염(顯色不相應染), 제7 말라식 위(位)에 분별지상응염(分別智相應染), 제6 요별경식 위(位)에 부단상응염(不斷相應染), 집상응염(執相應染)을 배대하고 있다. 원효는 이러한 배대를 통해 오염을 탈각시켜가는 자신의 수행 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붓다의 깨침 과정과 원효의 깨침 과정이 즉자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다. 이들 사이에는 불교사상사의 깊고 넓은 성취가 있다. 불교의 기반을 만든 붓다와 이후의 원효와 같은 불학자들이 심화 확장시켜낸 깨침 이론이 즉자적으로 같을 수는 없다. 다만 불교의 궁극인 깨침 혹은 깨달음 내지 성불 혹은 열반이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노력 자체가 또 하나의 수행과정이 아닐까 한다. 인도의 고타마 붓다와 한국의 붓다로 불리는 분황 원효의 깨침 혹은 깨달음의 무엇이 연속되고 무엇이 연속되지 않는가를 밝히려는 시도 자체도 우리의 수행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물음은 논자에게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다. This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he awakening, or enlightenment, of Gautama Buddha (624~544 BCE) and Bunhwang Wonhyo (617~686). Gautama Buddha attained the most complete awakening (解脫; vimutti or vimokkha) and nirvana (涅槃; nibbāna) among all the buddhas and thus exclusively possesses the title of Buddha. The nirvana attained by Buddha was a complete enlightenment that transcends all stages of meditative concentration and the practice of austerities. His nirvana leads us to the teaching of the Middle Way or, in other words, the Eightfold Path,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Wonhyo attained his enlightenment by awakening to that which encompasses both intrinsic and virtual enlightenment, and by awakening to the one mind that can be discovered as a result of resolving the three subtle and six coarse aspects of karmic bondage. In this way, Kapila and Silla share common ground in that their enlightenments release people from suffering regardless of the one-thousand-year gap. However, some of the methods they each used to free people from suffering were not exactly the same, while others were shared. Buddha’s awakening is reflected in the shared methods and Wonhyo’s in those that differ. Buddha made three observation stages for the Four Noble Truths of suffering, attachment, the cessation of suffering, and the path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ese stages always start with “This is the noble truth of … ”, leading to the next observation that “The truth of … needs to be attained or realized” and culminating in “The truth of … is completely and fully attained or realized.” For instance, for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duhkha-satya), Buddha observed “This is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This noble truth needs to be well understood”, and “This noble truth of suffering is completely understood.” If the same formula is applied to the noble truth of attachment, the observations are as follows: “This noble truth of attachment needs to be well discarded”; and “This noble truth of attachment is fully and completely discarded.” Similarly, “This is the noble truth of attachment”; observations on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are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is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needs to be fully realized”; and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fully and completely realized.” In this way, each of the Four Noble Truths, from the truth of suffering all the way to the truth of the path to its extinction, were observed in three stages, forming a total of twelve observations. As a result of finishing all of these stages, Gautama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and stated, “I eventually finished all the stages of practice in which I had to be born again as a human being. Holy conduct is eventually attained. What needs to be accomplished is eventually accomplished. As a result, I know that I will not take any more reincarnation.” To summarize, Gautama made three observations on each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when all observations had been made in a complete manner, Buddha stated that he attained enlightenment unsurpassed in the world among all people including śramana, Brahmans, and kings. Buddha also stated that he attained this insight accordant with reality meaning that he knew his nirvana was now complete, that his reincarnation was finished, and no further incarnations would take place. What is significant about Wonhyo’s theory of enlightenment is the recognition of the three subtle and six coarse aspects of the mind in relation to the Eight Consciousnesses. Wonhyo categorized nescience, the subjective mind, and deludedly accepting the objective world as the three subtle marks of karma, defined as the workings of the eighth consciousness. Discriminating knowledge, the first of the mind’s six coarse aspects, Wonhyo defined as the working of the seventh consciousness, and the remaining coarse marks of continuity, attachment, name definition, karma production, and suffering produced by karma, as the workings of the sixth consciousness. This type of definition was different to that of Damyeon or Huiyuan who had excluded the eighth consciousness from their own placements, and it was different from the future work of Fazang who excluded the seventh consciousness. Wonhyo’s placement of these subtle and coarse aspects represents his own views and understanding of human consciousness. By placing three subtle marks in the eighth consciousness, discriminating knowledge in the seventh, and the remaining coarse marks to the sixth consciousness, Wonhyo presented his system of practice by which a human being could gradually remove their karmic nescience and reach nirvana. These ways to enlightenment are not the same. Between them,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has elapsed during which there has been deep and broad efforts to establish Buddhist thought. It would not therefore be sensible to expect that the founder of Buddhism’s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would be identical to that of someone who successfully reestablished Buddhist practice. However, the endeavor to discover what enlightenment is can be meaningful and has also become a way of spiritual practice. In this sense, exploring what is shared and what is different in the enlightenments of Buddha and Wonhyo can itself become a spiritual journey, and, thus, I will keep pursuing this question.

      • KCI등재후보

        분황 원효 『대승기신론소』의 내용과 특징 - 『대승기신론별기』와 『대승기신론이장의』와 관련하여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0 불교 철학 Vol.6 No.-

        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의 일심 철학이 대승불교의 종 요서인 『대승기신론』에 대한 일련의 주석 작업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그의 현존하는 『대승기신론별기』, 『대승기신론이장의』와 만년작인 『대승기신론소』의 내용과 특징을 중심으로 논구한 글이다. 고타마 싯다르 타는 생사 윤회를 넘어 해탈 열반을 성취하였다. 그리하여 샤카무니 붓다는 깨침 혹은 깨달음을 향한 보다 의미 있고 좀더 가치 있는 삶의 길을 열어주었다. 그의 제자들과 불학자들은 그 길을 걸어 나가면서 불교사상사를 새롭게 써 나갔다. 마명은 『대승기신론』으로 깨침 또는 깨달음을 향한 가치와 의미를 드높인 삶의 지형도를 그려내었다. 원효는 7세기 당시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에서 주요한 논제였던 구역과 신역의 문제, 성종과 상종의 대립, 공집과 유집의 갈등, 무성과 유성의 논쟁 등의 다양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경론을 통해 회통의 근거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대승불교의 종요서라고 평가받는 『대승기신론』을 만났다. 원효는 『대승기신론』의 심식설에서 각(覺)과 불각(不覺)의 화합의 속성을 원용하여 삼세 아리야식의 각의(覺義)와 불각의(不覺義)의 이의성(二義性)에 의해 유식학의 아뢰 야식이 지니고 있는 연기의 주체로서의 막연한 잠재심(潛在心)을 넘어 기신학의 아리야식이 지니고 있는 미세한 삼세심(三細心)을 끊어야 깨달을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원효는 진나와 신인명설을 원용하면서도 그것을 자신의 안목 속에서 취사선택하여 철학적 논제를 해결하였다. 그 과정에서 일찍이 볼 수 없었던 독자적 해석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해석은 당시의 여러 인명학자들에게 타당하게 받아들여져 왔다. 그의 ‘구상설 적용’이나 ‘시각 사단의 사상 배대’ 그리고 ‘인명학 도입’ 등은 모두 그가 이 논서를 통해 ‘일심 철학’의 수립을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곧 범부 중생의 성불과 왕생을 위한 기획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원효에게 있어 『대승기신론』은 그의 일심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논서이며, 그의 현존하는 『대승기신론별기』와 『대승기신론이장의』 및 『대승기신론소』는 일심으로 통섭해 가는 철학 논서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이 논서들을 통해 중관학과 유식학의 종합 지양에서 아뢰야식과 여래장, 여래장과 일심, 여래장으로서 일심과 적멸으로서 일심을 거쳐 본법 일심으로까지 나아갔다. 그의 만년작인 『금강삼매경론』 또한 그 가 완수하고자 한 기신학의 일심 철학을 끝까지 궁구한 저작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원효는 ‘일심’의 ‘일’을 우리의 본래‘마음’인 ‘심’을 ‘하나로 통하게 하는’ 역동적인 동사적 국면으로 파악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deology of Wonhyo (元曉, 617-686 AD) was formed based on the ideas of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hereafter AFM). The current study is mainly based on his commentaries, such as CAFM and Abbreviated Reference to the AFM and System of the Two Hindrances in the AFM.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and thus opened a new path to the human race, which led to a more valuable and meaningful life. His followers and Buddhist scholars were able to develop new ideologies as a result of following the path opened by Buddha. In the case of Aśvaghosa, he improved the value and meaning of human life by presenting AFM to all human beings. For Wonhyo, he tried his best to reconcile and unite sets of various ideologies in the seventh century that seemed to contradict each other, such as old and new translations of the sutras, the Dharma-nature and Dharma-character schools, attachment to emptiness and attachment to existence, self-nature and non-self nature, and so on. While doing so, he encountered AFM,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doctrinal essentials of Mahayana Buddhism. He focused on the non-duality of enlightenment and nonenlightenment in the system of the human mind in AFM, and he applied it to the enlightened and non-enlightened character of Alaya consciousness in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As a result, he proved that one could attain enlightenment if only one could overcome three subtle marks in the Ariya consciousness, unlike the ideology of Consciousness-only school, which considers Alaya consciousness only as the basis of samsara. Wonhyo accepted the idea of Dignaga’s new Buddhist logic, but he did so under a thorough discernment in accordance with his judgement. Through this process, a new interpretation regarding Buddhist logic was developed, and this interpretation was widely accepted as fair among Buddhist logicians. However, he developed two theories: “Nine modes of activity of ignorantly activated karma”, and “Correlating four marks of actualized enlightenment with the four marks of existent phenomena.” This can be understood as his attempt to establish his One Mind philosophy based on AFM. These attempts also can be understood as his plan to provide enlightenment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for the general public. AFM is the basis of Wonhyo’s One Mind philosophy, and his commentaries, such as CAFM, Abbreviated Reference to the AFM, and System of the Two Hindrances in the AFM, are the books that guide us to the ideology of One Mind. Through these commentaries, we can discover the many steps he took in developing his philosophy. He first reconciled and united the Madhyamaka school with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then, he reconciled and united Ariya consciousness with tathagatha-garbha. He then did the same with tathagatha-garbha and One Mind. Later, he continued doing the same with One Mind and tathagatha-garbha and One Mind and extinction. He eventually attained insight that accepted One Mind as the Original Mind. His commentary on Vajrasamādhi-sutra can be understood as his attempt to perfect his One Mind philosophy based on AFM.

      • 천태 지의와 원효의 만남 ― 일심삼관(一心三觀)을 중심으로 ―

        오지연 ( Oh Ji-yeon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7 불교 철학 Vol.1 No.-

        천태 지의와 원효는 각각 중국과 한국의 불교를 대표하는 큰 성인이다. 천태 지의보다 80여년 후에 활동한 원효에게는 천태가 접하지 못하였던 유식과 여래장사상 등 사상사적 보완이 있었으나, 불교에 대한 근본적 관점은 법화일승(法華一乘)의 측면에서 일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불경전체에 대한 이해인 교판(敎判), 일승도(一乘道)의 실천론에서 상통하고 있다. 천태는 일찍이 『보살본업영락경』에 설해진 삼관(三觀)에 주목하여, 일심삼관(一心三觀)이라는 원돈(圓頓)의 실천문을 확립하였다. 원효도 『금강삼매경론』에서 삼관설(三觀說)에 의거하여, 자리(自利)의 관행(觀行)을 넘어선 이타(利他)의 교화행으로서 일심삼관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금강삼매경론『에서는 일심삼관을 행하는 주체가 십회향(十回向) 이후의 보살로 국한되며, 중생교화행으로 설해진 일심삼관과 그 이전에 행하는[內行] 이관(理觀)이 분리되어 서로 회통되는 지점을 찾기 어렵다. 천태의 경우는 별교(別敎)의 계위인 십신(十信)이상의 모든 보살이 (次第 또는 一心의) 삼관을 행하며, 특히 원교의 일심삼관에서는 십승관법(十乘觀法) 중 관부사의경(觀不思議境)-기자비심(起慈悲心)-교안지관(巧安止觀)의 3법이 불가분이므로 관행과 교화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천태는 주로 불교의 법사, 선사, 외도에게 올바른 불도(佛道)를 제시하며 그들을 경책하기 위하여 실천법을 설했다면, 원효는 불교도[內道]나 외도의 선근은 모두 한결같이 무상보리에 이른다고 하여 외도까지도 일승도(一乘道)에 포용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Tiantai Chih-i and Wonhyo are the greatest masters of Buddhism in China and Korea, respectively. Wonhyo, who was active after 80 years than Tiantai, studied more 唯識 and 如來藏 philosophy, which Tiantai couldn't have connected. Nonetheless, their fundamental views on Buddhism are consistent in the respect of Ekayana of Lotus sutra(法華一乘). Tiantai early had taken note of three-insights(三觀) thought in Beads necklace Sutra(瓔珞經), so he said the three-insights in one-mind(一心三觀) which represents of complete and immediate Samatha-vipasyana(圓頓止觀) practice system. In The commentary of Vajra-samadhi Sutra(金剛三昧經論), Wonhyo also told the three-insights in one-mind(一心三觀) as a altruistic behavior(利他行) beyond a self-profit practice(自利行), based on three-insights thought(三觀 說) in Beads necklace Sutra(瓔珞經) like Chih-i. But in his saying, the people who practice it are restricted to bodhisattva above ten-parinamana(十回向). Moreover the three-insights in one-mind as a altruistic behavior and inner practice performing before it are sequential, not simultaneous. By comparison in the case of Tiantai, all the bodhisattva above ten-faith(十信), who are in the different-teaching(別敎) of Four-teaching(四 敎) in Tiantai, can do three-insights(三觀)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in one mind. Especially in the three-insights in one-mind in the complete-teaching(圓敎), inner insight practice and altruistic behavior are achieved at the same time.

      • KCI등재후보

        자본주의 경제학의 특징과 한계

        박만섭 ( Park Man-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8 No.-

        이 논문은 ‘자본주의 경제학’(혹은, ‘한계주의 경제학/접근법’)의 특징을 (1) 개체주의, (2) 개인의 합리성, (3) 가치중립성, (4) 자기이해 추구, (5) 사회적 효율성, (6) 경제활동에 대한 일방향적 이해로 정리하고, 이 특징 간의 연결고리와 그것들이 지니는 한계를 논한다. 자본주의 경제학이 지니는 궁극적인 한계는 경제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사회 전체의 ‘합리성’(공정성, 사회정의)를 담보하지 못한다는 데에 있다. 이 논문은 이런 한계가 경제적 문제의 근원을 ‘희소성’에서 찾는 한계주의 접근법의 특징에서 기원한다고 주장한다. The present paper identifies and criticall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s of Capitalism’ (or, equiva-lently, the ‘Marginalist Economics/ Approach’). They are (1) individualism, (2) individual rationality, (3) value neutrality, (4) self-interest, (5) social efficiency, (6) the linear view of economic process. The ultimate limitation of the Economics of Capitalism lies in its failure to secure ‘social rationality’ (or, equivalently, equity or social justice) in contrast to its emphasis on social efficiency. The paper claims that this limitation originates in the concept of ‘scarcity’ which the Economics of Capitalism takes as the fundamental economic problem.

      • KCI등재후보

        사회주의 경제학의 특성과 한계

        민경국 ( Min Kyung-kuk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8 No.-

        이 글의 목적은 사회주의 경제학의 특징을 설명하면서 그 경제학에 내재된 문제를 밝혀내고 불교 철학이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 사회주의 경제학으로부터 배울 것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데 있다. 이 글에서 밝혀낸 사회주의 경제학의 5가지 특징은 곧 단점이자 오류다. (1) 사회주의 경제학은 조직을 다루는 경제학이기 때문에, 자생적 질서의 존재를 무시하는 오류를 범하기 마련이다. (2) 사회주의 경제학은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가 금지된 체제를 다룬다. 그런 체제는 가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함에도 노동시간과 같은 물리적 단위를 통해서 생산수단의 합리적 조합을 계산할 수 있다고 믿었지만 실패했다. (3) 사회주의 경제학은 경쟁적 균형이론을 이용하여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보장하는 가격을 찾아내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지식의 문제 때문이다. (4) 지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주의자들은 숙의민주주의에 의존하지만, 그것도 그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5) 사회주의 경제학은 소규모 사회에서나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유대감을 사회 전체로 확대하려는 시도다. 이런 시도는 틀렸다. 거대한 자생적 질서는 사적 소유의 존중, 정직성, 계약의 자유, 법 앞의 평등과 같은 도덕적 기본원칙이다. 따라서 불교철학은 사회주의 경제학을 본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오히려 불교철학과 풍요로운 철학적 지식을 제공하는 자유주의 경제학과의 만남이 적절하다는 생각이 든다. Der historische Hintergrund der sozialistischen Ideologie beruht auf den Oppositionen gegen die Realität des Kapitalismus. Sozialistische Ökonomik(SÖ) glaubt, dass die Marktgesellschaft durch Verwirrung und Unordnung chakterisiert ist. Um diese grosse Übel zu überwinden, versucht SÖ Marktwirtschaft. die zur Spontane Ordnung gehört, zur jene Organisation zu transforieren, die verschiedene Zwecke , nähmlich Soidarität, Verteilungsgerechtigkeit, Demokratie und Effizienz. verwirklichen sollten. Im Jahre 1989 hat man the Great Failure erlebt. Obwohl das staatliche Kontrollsystem der Produktion diesen Zweck nicht erreichte, entstand der Sozialismus dazwischen in verschiedenen Formen, Es gibt zwei Gründe dafür: das Unverständnis der SÖ über die Grundursache des Scheiterns und die Missverstänisse der SÖ über die Funktionsweise der Marktwirtschaft. Daher besteht der Zweck des vorliegenden Artikels darin, herauszufinden, was die Grundursachen des Scheiterns sind. Die Ursachen scheinen Eigenschaften und die Grenzen der SÖ auszumachen. In der SÖ gibt es vier Grundfehler. (1) Denkschema, das die Mentalität der SÖ beherrscht, klassifziert die Ordnung der Gesellschaft in die natürliche und geplante Ordnung ohne die Spontane Ordnung zu berücksichtigen. (2) Da es in einem System, in dem das Privateigentum an den Produktionsmitteln verboten ist, keinen Preis gibt, ergibt sich unlösbrae ‘economic calculation problem’ (3) Der Grund, warum die Planwirtschaft und der Interventionismus versagen, ist, Wissensproblem, das darin liegt, dass die Wissen in der Gesellschaft verteilten(dipersed) sind, so dass es unmöglich ist, die gesamten Wissen zu sammeln. (4) Sozialisten versuchen, sich auf Demokratie, vor allem Deliberative Demokratie zu verlassen, um das Problem des Wissens zu lösen, aber Demokratie kann das Problem des Wissens nicht lösen. Die einzige Alternative ist die Marktgesellschaft, weil sie ein riesiges Kommunikationssystem mittels der Preisstrukturen ist. (5) Der fünfte und letzte Irrtum der sozialistischen Ökonomie ist ein Versuch, die Solidaritätnorm, die nur in kleinen Gesellschaften effektiv funktionieren kann, auf die gesamte Gesellschaft auszudehnen. Dieser Versuch war falsch. Die große spontane Ordnung, in der wir geboren, gewchasen und leben, soll sich auf dem moralischen Grundprinzip des Individualismus, wie die Achtung des Privateigentums, Ehrlichkeit, Vertragsfreiheit, Gleichheit vor dem Gesetz. Unterstütz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