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하부시장 특성을 고려한 신규 분양가와 입주후 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최열(Choi Yeol),김형수(Kim Hyung Soo),박명제(Park Myung Je)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4D

        본 연구는 신규 아파트 가격의 규제에 대한 결과로 나타난 신규 아파트의 분양가격과 입주 시점의 매매가격의 차이 즉 프리미엄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아파트 시장은 기존의 주택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분석결과 아파트의 층수가 고층이고 타워형 아파트인 경우에 가격 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의 형태도 더 많은 베이를 가진 아파트가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신규 아파트의 가격은 주거한 후에 평가되는 가격이 아니므로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는 단지정보가 가격상승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녹지율과 아파트 세대수, 브랜드 및 도심지 접근성 등과 같은 변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기존의 중고 아파트에 대한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셋째, 신규 아파트 중에서도 대단지의 규모를 가지며 건설업도급순위 상위에 위치하는 건설회사의 브랜드 아파트가 가격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지역 건설 업체의 불리한 상황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넷째, 변수들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아파트 분양가인 것으로 드러났다. 각종 선행연구들에서는 아파트 가격 상승요인으로 정부의 분영가격 규제정책을 지목하였는데, 분양가격의 규제로 인해 주택의 초기 분양가가 시장가격보다 낮게 책정되어 아파트 입주시에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하부시장 특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었는데, 중고주택시장의 상승률, 제1선호구와 제2선호구, 아파트 비율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housing lotting prices and sale prices owing to new multi-family housing price regul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housing market in Busan has a preferences of new housing which has a new housing form differing from the existing housing form. For example, the mixed-use apartment with higher stories shows steeper incline than the apartments with the existing forms. Second, the new housing prices are affected by the information that affect the price of the old existing housing. They are rates of green area of an apartment complex, the number of household, accessibility to downtown Busan and etc .. They are also confirmed factors that affect a rise of used-housing price in other studies. Third, brand value of apartments affects new housing prices. For example, if the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build the new apartment, it shows a rising trend than any other housing. Therefore, the local construction companies are expected to be put on a disadvantage places than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Fourth, the lotting prices are the most important cause that lead to rise the new housing prices. Accordingly, the present lotting prices are expected that upward tendency the purchasing prices of the new housing will not continue, because the lotting prices have risen since the government removed lotting price regulations and exceeded the level of used-housing prices. And it denote that importance of housing sub-market which indicates rates of old existing housing market rising, frist preference Gu, second preference Gu, rate of multi-family housing.

      • KCI등재

        응답면 기법을 이용한 해상풍력용 모노파일의 신뢰성 해석

        윤길림,김광진,김홍연,Yoon, Gil Lim,Kim, Kwang Jin,Kim, Hong Yeo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6

        응답면 기법(RSM)을 이용하여 해상풍력(OWT) 모노파일에 대한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노파일은 해수면으로부터 15m 깊이에 설치되고 사질토에 근입되는 조건으로 고려하였다. 풍하중 및 파랑하중과 같은 해양환경하중이 작용하는 OWT 모노파일에 대한 신뢰성 해석은 KIOST에서 개발된 신뢰성 해석프로그램인 HSRBD를 이용하였다. OWT 모노파일(직경 6m)의 설계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파일직경이 증가할수록 파일두부에서의 수평변위 및 회전각에 대한 파괴확률은 감소하나 직경이 7m 이상이 되는 경우 파괴확률의 감소율은 작아져 거의 일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기준 가운데 파일직경의 1%를 허용수평변위(60mm)로 적용하는 경우 파일의 파괴확률은 1.5%이나 최소기준인 15mm로 고려하는 경우 파괴확률은 60%로 큰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설계기준의 정립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OWT 모노파일의 다양한 설계변수 가운데 기초지반(사질토)에 대한 내부마찰각의 불확실성이 큰 경우 이것이 파일거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민감도 분석결과는 최적설계와 파괴확률 감소를 위해 어떠한 절차가 필요한지를 보여준다. Reliability analysis with response surface method (RSM) was peformed for a offshore wind turbine (OWT) monopile, which is one of mostly used foundations under 25m seawater depth in the world. The behaviors of a real OWT monopile installed into sandy soils subjected to offshore environmental loads such as wind and wave were analysed using reliability design program (HSRBD) developed in KIOST. Sensitivity analysis of design variables for a OWT monopile with 6m diameter showed that the larger in pile diameter the smaller in probability of failure ($P_f$) of a horizontal deflection and a rotational angle at a pile top, but at a greater than 7m of pile diameter, the reduction rate of $P_f$ was almost constant. It is a necessary that appropriate local design criteria should be designated as soon as possible beca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horizontal deflections; $P_f$ was 60% at a minimum criteria 15mm deflection, however, 1.5% $P_f$ when 60mm deflection using 1% of pile diameter from local design criterion standard. Finally, friction angle of sand among many design variables was found most influential design factor in OWT monopile design, and a sensitivity analysis is found an important process to understand which design variables can mostly reduce $P_f$ with a optimum design for maintaining OWT stability.

      • 역사기록을 통한 이상기후 재현 기술에 관한 연구 : 허리케인 재현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조한범(Cho Han Bum),김현준,장철희,노성진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2006 No.10

        인간문명은 자연을 극복하고 보다 윤택한 삶을 지향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 특히 자연재해라 일컫는 홍수나 가뭄 태풍과 같은 이상기후에 대비하기 위해 댐을 쌓고 제방을 정비하였으며 각종 수리시설물과 도시 관로 시설들을 건설해 왔다. 그러나 비약적으로 발전한 현대 방재기술에 비해 그 기술력을 합리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역사적 데이터가 너무나 빈약한 상황이다. 그 이유는 복잡한 기후현상에 대한 빈도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축적되기도 전에 기술력이 빠르게 진보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기상변화에 따른 홍수발생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의 역사는 100년 내외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그 이상의 발생주기를 반영한 각종 시설 설계는 합리적이지 못하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환경오염을 통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이러한 이상기후의 발생빈도가 증가되어왔고 그 주기 또한 짧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데이터의 부재로 인해 합리적인 설계기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이상기후에 대한 역사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재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반면 세계 최초의 강우 측정 장비인 측우기를 제작하여 기록한 강우기록을 이용하여 이러한 역사적 데이터의 제한성을 상당부분 극북 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의 확장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데이터 확장기술 및 재현기술이다. 이상기후 발생으로 인한 홍수피해 방재대책을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역사적 데이터를 보다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이를 체계화 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각종 이상기후 재현을 위한 기술적 논의와 연구에 대해 고찰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의 하나로 판단 할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기술에 대한 선진국의 연구사례를 통해 역사 문헌속의 허리케인을 재현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첫째, 역사 기록의 수집을 위한 문헌의 종류와 사례를 살펴보고 둘째 획득된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가공하는 방법을 생각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통한 역사속 허리케인을 재현하고 이에 대한 검증을 통해 문제점과 한계 개선되야 할 부분에 대한 내용을 사례연구를 통해 고찰한다.

      • 공간정보와 BIM의 상호연계 활용방안

        홍진기(Hong, Jin Ki),김재명(Kim, Jae Myeong),최윤수(Choi, Yun Soo),최한영(Choi, Han Young) 대한토목학회 2022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0

        건설과 시설물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건설 산업 전반에 걸쳐 BIM과 스마트 기술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BIM과 스마트 기술의 성숙도는 클라우드 기반의 CDE 플랫폼 구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구사항이 나타나고 있지만 데이터의 구축과 활용을 위한 상호연계성에 대해서는 많은 검토와 표준의 적용이 필요하다. 근래의 연구는 일부 건축물에 대한 적용, 적용 방안에 대한 사례검토와 이에 대한 한계의 검토에 대해 진행되었다. GIS와 BIM데이터의 상호연계를 위한 표준과 용어의 적정성은 최근의 연구에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M과 GIS의 연계에 있어서 보편적인 적용과 활용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사례를 기반으로 지표면에서부터 구조물에 대한 BIM 구축 사례를 통해 데이터 체계의 상호연계에 대한 조사 연구를 반영하여 연계 및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공간정보 기반의 BIM이 구축 되어야 지속적이고 편리한 시설물의 유지관리와 공공 데이터의 지속성이 반영된 플랫폼의 구축이 가능하다. 공공 데이터 기반의 공간정보가 적용된 BIM 모델의 플랫폼 상에서의 활용성과 연계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추후 데이터 연계의 표준방안이 체계적으로 연구된다면 적용분야는 더욱 확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공동주택 옥외공간에 대한 단지규모별 비교평가 분석

        최열(Choi Yeol),임하경(Yim Ha Kyoung),정운빈(Cheong Un Bin)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9 No.1D

        본 연구는 옥외공간 설계변화에 대해 거주민들은 옥외공간에 대해서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고자 옥외공간을 녹지공간, 놀이 및 운동 관련 공간, 보행공간, 휴식 및 조경시설 공간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해 각각의 만족도와 개선사항을 단지규모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단지내 특색있는 공간이 어딘지에 대한 질문에 단지의 규모가 클수록 녹지공간과 운동 및 놀이공간, 휴식 및 조경시설공간이 비슷한 비율로 응답된 반면, 모든 단지의 응답자들은 단지내 가장 부족한 공간으로 운동 및 놀이공간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규모에 따른 아파트 단지의 옥외공간에 대한 세부공간별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대단지일수록 옥외공간 설계시 좀 더 많은 설계 항목이 도입되고 운동 및 놀이공간 및 휴게공간 등에 대한 강조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과 달리 주민들의 평가는 이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지규모가 클수록 옥외공간에 대한 이용객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다양화되는데 비해 단지설계는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preference on the outdoor space's design by multi-family housing complex scale. So we divide outdoor space into space for green land, space for physical training and play, space for walking and space for rest and landscape facilit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analysis are follows: Multi-family housing complex scale is the bigger, it is recognized by same ratio on specific outdoor space in housing complex that are space for green land, space for physical training and play, space for rest and landscape facilities. And space for physical training and play is found commonly into the poorest space in housing complex. Evaluation for resident's perception on outdoor space by multi-family housing complex scale shows that housing complex scale is the bigger, resident's satisfaction is the lower. That means that housing complex of large scale can't satisfy the diverse resident's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