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속(眞俗)의 경계와 생활불교: 근·현대 일본의 재가불교운동을 중심으로

        원영상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3 불교학 리뷰 Vol.33 No.-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living a Buddhist life through analysing the Japanese Buddhist Layman Movement in modern times. The diversity and dynamism of Japanese Buddhism is already well known. And the phenomenon of layman Buddhism, which errupted like an active volcano in the modern era, in particular, shows a spirit of reform in Mahayana Buddhism. In this sense, Japanese Buddhist history can be seen as a process of identifying Buddhist indigeneity by making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 legitimate path for laymen to follow. Phase 1 was utilization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for educating the people, by Prince Shōtoku (聖德太子), Phase 2 was establishment of the Complete Precepts by efforts, by Saichō (最澄), and Japanese monks in Tendai Buddhism (天台佛敎), and Phase3 was the appearance of medieval New-Buddhism. Since then, Haibutsu kisyaku (廢佛毁釋), which aros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nation, caused Buddhism to awaken. Accordingly, Buddhist education and academic development formed the basis for the Layman Buddhist Movement. The occurrences of layman Buddhism, in the modern era, are as follows: First, laymen like Ōuchi Seiran (大內靑巒) with thoughts of intermediate or holistic teaching (通佛敎) activities, appeared. Second, new religious bodies emerged, like those of renunciant practitioners that broke away from existing religious bodies, such as Tanaka Chigaku (田中智學)’s Society of Risshō Ankoku (立正安國會). Third, social movements,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formed in response to changing society, such as Girō Senoo (妹尾義郞)’s new Buddhism Youth Union. Issues revealed through the activities of layman Buddhism are as follows: First, how do the laymen’s interpretations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nd their social practice correlate with those of traditional renunciants (those renouncing secular life to become a monk) or the religious bodies of renunciant practitioners. Second comes the question of how far it is possible for layman Buddhists to participate in politics? In what way can laymen’s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reveal the possibilities for living a Buddhist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 of Engaged Buddhism, by Japanese layman Buddhists, are based on traditional religious bodies’ Buddhicization of laymen, various social countermeasures by the religious bodies of laymen, and the Mahayana Buddhism’s spirit of actual timing (時機相應). The Japanese Buddhist Layman Movement that arose during a period of social confusion is thought to offer great hope for present and future Buddhism. 본 연구는 근현대 일본의 재가불교운동을 통해 생활불교의 가능성을 살펴본 것 이다. 일본불교의 다양성과 역동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특히 근대기에 활화산 처럼 발생한 재가불교의 현상은 사회를 향한 대승불교의 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불교의 역사는 재가의 불법을 통로로 한 불교 토착화의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1단계는 고대 전반기 쇼토쿠 태자(聖德太子)에 의한 백성교화를 향한 불법의 활용, 2단계는 일본 천태조사 사이초(最澄)의 노력에 의한 대승계단의 성립, 3단계는 중세 신불교의 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근대국가의 수립과 함께 일어난 폐불훼석(廢佛毁釋)은 불교를 각성시켰고, 이에 따른 불교 교육과 학문의 발전은 재가불교운동의 기초가 되었다. 근대기 재가불교의 발생은 첫째, 오우치 세이란(大內靑巒)의 할동처럼 통불교(通佛敎)적인 사상을 지닌 재가자의 출현이다. 둘째, 다나카 치가쿠(田中智學)의 입정안국회(立正安國會)와 같이 기성교단에서 탈피한, 출가교단과 같은 새로운 재가교단의 성립이다. 셋째, 세노오 기로(妹尾義郞)의 신흥불교청년동맹처럼 변하는 사회에 대응하여 불법에 의거한 사회운동을 일으킨 경우다. 이러한 재가불교의 활약에서 드러나는 쟁점은 첫째, 재가자에 의한 불법의 해석과 사회적 실천이 과연 전통적인 출가 혹은 출가교단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가라는 점이다. 둘째는 재가불교의 정치참여는 어디까지 가능한가인가라는 물음이다. 불법에 기반한 재가자들의 사회활동은 과연 생활불교의 가능성을 얼마나 보여줄 수 있는가라는 점이다. 일본 재가불교의 특징은 전통 교단의 재가불교화, 재가교단에 의한 다양한 사회적 대응, 대승불교의 시기상응(時機相應) 정신에 입각한 참여불교적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혼란기에 일어난 일본의 재가불교 운동은 불교의 현재와 미래에 큰 희망이 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불교이미지에 관한 연구(II) - 충남지역 불교종립대학과 일반대학의 대학생간의 불교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권정만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0 불교학 리뷰 Vol.7 No.-

        This Study is analyse on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students of University sponsored under the buddhist organization and ordinary university in Chungnam reg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has raised. The reason that there is lately much discussion about the crisis for identity of University Sponsored under the buddhist organization and much application of ‘image-related’ researches. Through for analyse on difference of perception by result of preresearch, this study shown for devices for uplift of University perception for Buddism. Futhermore, in institution-section, this study shown for devices for uplift of the crisis for identity of University Sponsored under the buddhist organization.

      • KCI등재

        Atiśa and Ratnākaraśānti as Philosophical Opponents with attention to Yuktiṣaṣṭikā, verse 34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8 불교학 리뷰 Vol.23 No.-

        이 논문은 새로 출판된 티벳 사본의 근거를 바탕으로 아띠샤 디빵까라쉬리즈냐나(Dīpaṃkaraśrījñāna, 982-1054년)와 라뜨나까라샨띠(Ratnākaraśānti 약 970-1030년) 사이의 철학적인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티벳의 역사가들은 아띠샤를 비끄라마쉴라사원에서 라뜨나까라샨띠의 밑에서 대승문헌을 공부했던, 라뜨나까라샨띠의 제자로 기술하고 있다. 이 자료들에서 라뜨나까라샨띠 또한 아띠샤로 이어지는 많은 리니지(lineage) 중 한 명의 탄트라 스승으로 기록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 논문에서 밝히듯이, 이 중요한 두 명의 인도 불교학자들은 철학적 견해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은 라뜨나까라샨띠와 아띠샤의 저작에서 발견되는 사상들을 비교하는데, 이를 통해 이 둘의 생각과 주석의 많은 부분이 어떻게 다른지를 명확하게 밝히고자한다. 비록 라뜨나까라샨띠와 아띠샤 모두는 용수의 중도(中道 madhyama pratipat)를따른다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아띠샤의 사상은 짠드라끼르띠(Candrakīrti)의 영향을받은 반면 라뜨나까라샨띠는 그의 사상체계를 유가행파 자료들에 근거하여 상술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두 학자들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는 특정한 예시로서, 용수의 육십송여리론(Yuktiṣaṣṭikā) 34번째 게송에 주목하였다. 아띠샤는 이 게송을 의존하여일어나는 ‘단순한 현현’(snang ba tsam)의 견지에서 해석한 반면, 라뜨나까라샨띠는‘불이의 순수한 빛’(advayaprakāśamātra)이라는 궁극적인 본성을 지닌 정신적 속성들위에 그의 해석을 세웠다. 이 논문은 라뜨나까라샨띠와 아띠샤의 이러한 사상적 차이가 11세기 인도의 비끄라마쉴라 사원에 있었던 그 둘의 관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결론지었다. This article examines philosophical differences between Atiśa Dīpaṃkaraśrījñāna (982-1054 CE) and Ratnākaraśānti (ca. 970-1030 CE) based on evidence from newly published Tibetan manuscripts. Traditional Tibetan historians describe Atiśa as Ratnākaraśānti’s student in the study of Mahāyāna works at Vikramaśīla. Ratnākaraśānti is also recorded in these sources as being a tantric master in a number of lineages upheld by Atiśa. Yet, as this paper demonstrates, these two important Indian Buddhist schola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hilosophical views. The paper compares doctrines found in the works of Ratnākaraśā nti and Atiśa to clearly demonstrate how they differed on a number of points of thought and exegesis. Although both Atiśa and Ratnākaraśā nti claimed to follow the Middle Way (madhyamā pratipat) of Nāgārjuna, Atiśa’s thought was influenced by Candrakīrti, while Ratnākaraśā nti expounded his system based on Yogācāra sources. As a specific example to illustr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scholars, the article draws attention to Nāgārjuna’s Yuktiṣaṣṭikā (verse 34), where Atiśa interprets the verse in terms of mere appearances that dependently arise while Ratnākaraśānti framed his interpretation on mental qualities whose ultimate nature consists of the “mere luminosity of non-duality” (advayaprakāśamātra). The paper concludes that these differences between Atiśa and Ratnākaraśānti impacted their relationship at Vikramaśīla monastery in eleventh century India.

      • KCI등재

        대한불교 천태종의 애국불교와 세계평화

        이승남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2 불교학 리뷰 Vol.31 No.-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the patriotism of Cheontae Order, how Cheontae Buddhists can pursue patriotism as the mission of the times, and the ultimate direction for patriotic Buddhism. Through this study, it’s intended that the true meaning of patriotic Buddhism is revealed. Grand monk Sangwol was born during the Japan’s colonial rule, and experienced the sorrow and hardships which led him to move to China to practice Buddhism. This time he cam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overeignty and patriotism. While helping the sentient beings suffering from the Korean War, grand monk Sangwol understood that building a strong, unified country is what sentient beings need in order to stay well and safe what monks need to learn and practice Buddhism. Japan’s colonial rule coincides with the WW1 and WW2 times, especially the latter one which resulted in the greatest number of casualties in history. These wars led grand monk Sangwol to realize how severely the sentient beings could suffer from, and the necessity to pursue national revival and salvation of the nation and the world towards world peace. Grand monk Sangwol highlighted three doctrines in Holy Book of Cheontae Order : realization of popularization of Buddhism, practice of Habituation of Buddhism, and establishment of patriotic Buddhism. Among them the patriotic Buddhism is directed to spread the ‘one vehicle truth’ of the Lotus Sutra to the world and realize the Buddha’s Land where the world peace is achieved. What Buddha is to do is teaching sentient beings about the ‘one vehicle truth’ to lead them to attain Buddhahood. It means patriotic Buddhism therefore should be directed to spread the ‘one vehicle truth’ to the nation and the world, so that everyone can live as Buddhists and all people around the world as learning and practicing the ‘one vehicle truth.’ This way, the Buddha’s Land where the world peace is achieved can be realized. In conclusion, grand monk Sangwol taught members of Cheontae Order about the patriotic Buddhism as the mission of the time, and therefore the Cheontae Order members should establish patriotic Buddhism where the ever-lasting world peace is achieved, by spreading the ‘one vehicle truth’ to sentient beings around the world. 본 논문에서는 대한불교 천태종이 애국불교를 표방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천 태종도의 시대적 사명으로서 애국불교 그리고 애국불교가 나아가야 할 궁극적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애국불교의 진정한 의미를 밝히고 자 하였다. 대한불교 천태종을 중창한 상월원각대조사는 천태종도에게 시대적 사 명으로서 지상불국의 실현을 교시하였다. 그는 일제강점기에 태어나서 국권을 잃은 백성으로서 여러 가지 고초를 겪었고 또한 일본인들의 방해로 수행을 하기가 어려워 중국으로 건너가 유랑생활을 하였다. 또한 6.25전쟁을 겪으면서 피난생활 을 하였고 전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중생들을 간호하며 부강하고 통일된 나라 가 되어야 백성들이 편안할 수 있고 또한 수행도 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그는 전쟁이 중생에게 많은 고통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민족중흥(民族中興)과 구국제세(救國濟世)로서 세계평화를 이룩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대조사는 대한불교 천태종을 중창하고 나서 천태종도에게 민족중흥과 구국제세의 성업에 이바지하고 불교의 대중화와 생활화로서 지상불국을 실현해야 한다는 시대적 사명을 교시하였다. 또한 『천태종성전』에서는 새불교운동의 3대지 표로서 대중불교의 실현과 생활불교의 실천 그리고 애국불교의 건립을 말하였다. 여기서 말하고 있는 애국불교의 방향은 『법화경』의 일승진리를 전 세계에 유포하여 세계평화가 이룩된 지상불국을 실현하는 것이다. 모든 부처님이 하는 일은 중생에게 일승진리를 가르쳐 성불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애국불교의 방향은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모든 중생에게 일승진리를 알려서 모든 국민이 불자가 되고 모든 인류가 보살이 되어 일승진리를 배우고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계의 항구적인 평화가 이룩된 지상불국을 실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월원각대조사는 천태종도에게 시대적 사명으로서 애국불교를 주창하였으며, 천태종도는 전 세계에 있는 모든 중생에게 일승진리를 알려서 세계의 항구 적인 평화가 이룩된 지상불국을 실현하는 애국불교를 건립해야 한다.

      • 불교이미지와 불교신뢰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권정만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1 불교학 리뷰 Vol.10 No.-

        그간 선행연구에서도 간과되었던 불교이미지와 불교신뢰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해 불교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불교 관련 연구 이외의 조직(특히, 기업), 마케팅 등의 차원에서 이미지와 신뢰, 그리고 만족, 충성도 등의 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는 많이 있어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 용어를 통한 불교 이미지의 개념적 구성 요인과 불교 신뢰 간의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불교 이미지 개념적 구성 요인의 요인 분석을 통한 재명명과 측정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통한 분석, 특히 불교이미지와 불교신뢰 간의 인과관계 파악을 통한 분석 등을 통한 함의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시도는 불교이미지 제고를 위한 토대가 될 것이며, 그간의 조사들에서 단순 현황 파악을 넘어, 그 인과관계 및 영향력을 수치화 파악해 봄으로서 막연히 알고 있는 것을 검증・확인해 볼 수 있는 계기도 될 것이다. Because of have been verified through review between image and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in previous study (especially, organization research section), this study try to rising (or drafting) index or plan for trust of buddhism thorough research for relationship between image of buddhism and trust of buddhism which the previous research and survey have limitations. This study try to re-naming for image of buddhism through factor analysis for conceptual consist factor for image of buddhism, correlating for all observation variation, and analysing casual relation between image and trust of buddhism. This trial is based on the improvement for image of buddhism. furthermore, verifying for casual relation between image and trust of buddhism thorough not simply understanding but statics.

      • KCI등재

        신라시대 약사신앙의 보리심 사상 전개에 대한 일고(一考)

        오현희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3 불교학 리뷰 Vol.34 No.-

        불교가 한반도에 도입되는 초기부터 불교는 교리적 깊은 이해보다는 복을 구하는 것과 병을 치료하는 목적의 밀교적인 요소에 의해 먼저 이해되고 수용되었다. 이에 한국불교의 전체적인 흐름과 배경을 이해하려면 밀교적 측면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한국불교의 밀교적 신앙 형태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신라시대의 약사신앙이 있다. 신라의 약사신앙은 불교의 도입단계에서부터 신라 왕실과 귀족 민간계층 전반에 걸쳐 크게 성행하였음을 현존하는 유적과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약사신앙이 전래하던 시기와 이후의 유행 형태를 전하는 중심 문헌으로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가 있다. 전해지는 문헌을 통해 약사신앙이 신라불교의 형성에 끼친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신라시대 약사신앙의 특성을 요약하면 치병(治病)과 구복(求福) 그리고 동방정유리정토(東方淨琉璃淨土)의 왕생에 대한 믿음이다. 이 같은 신라 사회의 약사신앙은 불보살의 보리심 사상에 기반한 신라의 복지적 세계관을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은 현대의 복지 이념과 맞닿은 것이다. 즉 신라 사회의 질병과 기아, 빈민 등의 현세적 고통으로 중생이 신음할 때 약사여래의 대비심은 중생을 현세 고통으로부터 구원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약사여래의 12대원은 약사여래가 보리심을 적극적으로 구현하는 것으로써, 중생심을 제도하고 거두어 불국토에 태어나게 하려는 보리심 사상의 궁극인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신라불교라는 독자적 문화에 형성된 약사여래의 보리심 사상을 고찰하고, 한국불교가 지닌 깊은 밀교적 배경을 통해 신라시대의 약사신앙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the early days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Korean peninsula, it firstly was understood and accepted as an esoteric elements of Mahayana Buddhism for healing and salvation rather than a complicated and profound doctrinal understanding. Therefor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esoteric aspects of Korean Buddhism demands of understanding the overall background and flow of Korean Buddhism. One of the esoteric forms of Korean Buddhism is the Apothecary Faith of the Silla Dynasty. Bhaisajyaguru-belief(藥師信仰) of Silla Buddhism were widely practiced throughout the civilian and royal hierarchies of Silla from the time of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s evidenced by extant texts and artifacts of Silla Buddhism and historical works. Bhaisajyaguru-belief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Silla Buddhism and the development of Esoteric Buddhism of Silla which the Samguk Yusa(三國遺事) and Samguk Sagi(三國史記) being be the central to the literature that conveys what Bhaisajyaguru-belief(藥師信仰) at that time. The Silla’s medical science and pharmacist faith can be characterized by its focus on curing disease, saving lives, and returning to the Pure Land of the East. The Silla society's Bhaisajyaguru-belief can be said to have shaped Silla's welfare worldview based on the Bodhisattva's idea of bodhichitta, which is in line with modern welfare ideologies. In Silla society, when sentient beings groaned under the temporal suffering of hunger, disease, and poverty, Bhaisajyaguru sought to relieve them from their temporal suffering. Therefore, Bhaisajyaguru's The 12 Great Vows are the ultimate embodiment of bodhichitta, actively realizing Bhaisajyaguru's bodhichitta to institutionalize and enlighten sentient beings so that they can be born in the Pure Lan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unique culture of Silla Buddhism and the deep esoteric background of Korean Buddhism through the Bhaisajyaguru-belief.

      • KCI등재

        인도 불교미술과 동아시아 불교의 시점(視點): 아미타불을 찾고자 하는 열망에 대한 연구사적 조망

        이주형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3 불교학 리뷰 Vol.34 No.-

        근래에 구미와 일본의 불교학계에서는 명문(銘文)과 조각 유물에 의거하여 인도 불교, 특히 간다라의 불교에 아미타 신앙이 존재했음을 주장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전개되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논문은 그러한 시도가 실은 19세기 이래 근대적인 불교 연구의 틀이 형성되는 데 큰 역할을 했던 일본 불교의 상황과 밀접 히 관련되어 있음을 논의한다. 19세기에 시작된 인도 불교미술 연구는 연구사 초 기에, 오래전에 불교가 절멸된 인도가 아니라 티베트나 동아시아의 불교, 특히 동 아시아에서도 일본 불교에 대한 지견과 지식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그 시 발점에 에도시대의 불교 도상집인 『불상도휘(佛像圖彙)』의 독일어 번역본인 《Das Buddha-Pantheon von Nippon》이 있다. 이 책에서 강조된 일본 불교의 아미타 불을 통해 자연스럽게 그 중요성이 불교미술 연구자들에게 각인되었다. 또한 일본 불교에서 역사적으로 막대한 중요성을 지녀 온 아미타불에 대한 신앙은 일본 학자들로 하여금 일찍부터 인도 불교에서 아미타 신앙의 원류를 찾게끔 했으며, 그러한 일본 학자들의 노력은 지금까지도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일본과 중국에 남아있는 아미타불과 극락정토를 나타낸 미술 유물들과 간다라의 예들의 피상적인 유사성도 그러한 움직임을 부추겼다. 근래 학계에서 고조된 간다라에서의 아미타불과 아미타 신앙에 대한 관심은 일본 불교에서 압도적 위치를 차지하는 아미 타 신앙과 그러한 종교적 분위기에서 활동해 온 일본 연구자들의 상황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연구사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In the scholarship that spans more than a century, Indian Buddhist art has been studied under diverse premises as well as preconceptions. A considerable part of them has been derived from the scholarship on the traditions of East Asia where a greater amount of evidence in textual and epigraphical materials for Buddhist images is preserved and the creation of Buddhist visual objects continued with a much longer history right up to the modern time. In these circumstances, the knowledge from East Asian sources often played an important role, sometimes implicitly, in exploring and elucidating Indian Buddhist art, and the knowledge of the situation in East Asia was frequently projected to that of earlier India as its precedents or parallels. This paper will examine some of the notable aspects of this prominent phenomenon and its ramifications on the scholarship of Indian Buddhist art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xploration of Amitābha Buddha in Indian Buddhist art.

      • KCI등재후보

        The Emergence of Essence-Function (ti-yong) 體用 Hermeneutics in the Sinification of Indic Buddhism : An Overview

        A. Charles Muller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6 불교학 리뷰 Vol.19 No.-

        본질-작용(體用, Ch. ti-yong, J. tai-yū; 일본에서 불교학 이외의 연구에서는 tai-yō) 패러다임은 기원전 5세기부터 근대 시기에 이르기까지 중국, 한국, 일본의 종교・철학적 문헌을 해석할 때에 가장 널리 사용된 해석학적 틀로 볼 수 있다. 먼저 중국에서는 유교, 도교, 불교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풍부한 발전을 이루었는데, 특히 인도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서 폭넓게 적용되었다. 그리고 종종 理事(li-shi)와 유사한 형태로 화엄, 천태, 선과 같은 중국 토착 불교 학파들의 철학을 위한 토대를 형성하였다. 나아가 송대 신유학(新儒學)에서 ‘체용’ 의 용례는 특히 잇따라 나타나는 또 다른 유사형태인 理氣(li-qi)의 형식으로 변화하고 확장되었다. 불교와 신유학 모두 한국에 뿌리를 내리면서 한국 학자들은 신유교와 불교 각각의 종교에 대한 해석뿐 아니라, 둘 사이에 있었던 대화와 논쟁에도 체용 패러다임을 폭넓게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동양과 서양 모두의 불교학에서 거의 완전히 무시되었던 이 지극히 중요한 철학적 패러다임에 관한 논의를 되살려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것을 중국 불교 주석문헌들 초기의 용례, <대승기신론>속에 나타난 그 역할, 더불어 한국 불교, 특히 원효와 지눌의 저작에서 사용된 몇 가지 용례들을 조사함으로써 시도할 것이다. The essence-function 體用 (Ch. ti-yong, K. che-yong, J. tai-yū; in non-Buddhological studies in Japan, tai-yō) paradigm can be seen as the most pervasively-used hermeneutical framework in the interpretation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works ranging from as early as the 5th century BCE up to premodern times. It developed in richness during the course of its application in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first in China, where it was applied extensively in the sinification of Indian Buddhist doctrine, and formed the basic framework for the philosophy of the Chinese indigenous schools of Buddhism such as Huayan, Tiantai, and Chan, often in analogous forms such as li-shi 理事. It was then further transformed and expanded in its usage in Song Neo-Confucianism, especially in the form yet another analogue li-qi 理氣. As both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took root in Korea, Korean scholars made extensive use of the che-yong paradigm, both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individual religion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s well as in interreligious dialog and debate. This paper seeks to revive discussion of this vitally important philosophical paradigm, which has been almost fully ignored in Buddhological studies, both East and West, by examining its early appearances in Chinese Buddhist commentary, and then its role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as well as some examples of its usage in Korean Buddhism, in the writings of Wonhyo and Jinul.

      • KCI등재

        현대 한국 불교의 대중화 운동 - 상월조사와 광덕스님을 중심으로 -

        지혜경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4 불교학 리뷰 Vol.35 No.-

        불교의 대중화 노력은 개신교가 한국에 전래된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계속되어오고 있다. 근대시대에는 백용성, 한용운, 소태산이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한글경전의 출판, 참선공부의 확대, 대중의 삶에 맞는 불교의식의 개혁 등의 노력을 해왔다. 근대시대의 대중화 노력은 해방 이후 상월조사와 광덕스님에게서 계승되었다. 구체적인 부분에서의 차이는 있지만, 이들은 인간 긍정의 불성사상, 쉬운 염불수행, 재가자와 출가자의 평등성, 더 나은 사회의 건설이라는 네 가지 부분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다. 상월조사는 대중들이 손쉽게 할 수 있는 관음염송의 수행법을 제시하였고, 재가자와 출가자에게 똑같이 십선계를 수계하는 방식을 통 해 승려들과 재가자의 간극을 줄였다. 광덕스님은 대중들이 불교에 대해서 쉽게 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불광』 잡지를 발간하고, 정기적으로 공부하는 불광법회를 개최하였고, 재가자들에게도 포살법회참여, 불교의례 주재 등의 권한을 주었다. 이처럼 한국의 대중불교는 대중을 위한 불교에서 대중에 의한 불교로 바뀌어왔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efforts to popularize Buddhism in Korea, spann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contemporary tim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contributions of Sangwol in Korean Tiantai Buddhism and Gwangdeok in Zen Buddhism. Through an analysis of key figures such as Baek Yongseong, Han Yongun, So Taesan, Sangwol, and Gwangdeok, the study explores the strategies employed to make Buddhism accessible to the masses and the subsequent adaptation of Buddhist practices and beliefs to suit the needs and circumstances of the general populace. While there are nuanced differences in their approaches, Sangwol and Gwangdeok share common ground in four key areas: promoting accessible Buddhist thought, facilitating meditation practices, advocating for equality between laypeople and monastics, and contributing to societal betterment. Sangwol introduced a method of Guanyin meditation tailored for lay practitioners, bridging the gap between monastics and laypeople by proposing shared observance of precepts. Gwangdeok Sunim’s initiatives included publishing Buddhist literature for public consumption, organizing study sessions and meditation retreats, and granting laypeople the authority to partake in Buddhist rituals and ceremonies.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paper enriches our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of Korean popular Buddhism, illustrating its transition from a religion for the masses to one shaped by their active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