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국제학교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연구 -제주A국제고등학교의 사례를 바탕으로-

        김희망 ( Kim Heemang ),박문영 ( Park Moonyo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보장받는 제주국제학교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인성교육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주도의 A 국제고등학교 학교의 관리자, 교사, 학생 포커스 그룹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로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의 인성교육 목표역량에 대한 인식, 인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인성교육의 주체와 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교사는 사서 교사, 대입 상담 교사, 심리 상담 교사 등을 포함하여 27명이, 학생은 9학년부터 12학년까지 110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인터뷰 결과 A 국제고등학교의 인성교육은 교사 개인 차원의 교육활동을 통해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결과 교사는 존중과 정직을, 학생은 정직과 책임감을 가장 중요한 인성역량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의 주체에 대해서 교사는 가정을, 학생은 사회를 인성교육의 주체로 인식했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의 방법에 대해 교사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은 경험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다고 응답했다. 연구결과, 제주A국제고등학교의 인성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향후 국제학교 인성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이루어진다면 국제학교의 인성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stake holders about character education at Jeju A International School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dministrator, teacher, and student focus groups at the school, followed by a survey to the entire teachers and the students. 27 out of 47 teachers and 110 out of 406 students from grades 9 to 12 responded to the survey, The interview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s are the main agent of character education in A international high school.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prioritize respect, while students perceived honesty as the most important trait. Furthermore, teachers considered home as the agents of character education, while students chose society. Lastly,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approach, teachers emphasized interaction with others, and students chose life experience. In conclusion, teachers play a pivotal role in character education and it is appreciated by the students. Further research about character education effort in teacher level will contribute to character education in Jeju international schools.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 분석 및 시사점

        조태곤 ( Cho Tae-g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1

        특수교육은 일반교육보다 여러 가지 요인들에 있어서 인성을 함양하기에 불리한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에서 인성교육은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관련 논문 35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기준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고, 그 결론 및 제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2014년 이후 특수교육에서 인성교육 연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둘째, 연구주제는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연구와 지적장애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향후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다양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고, 연구대상에 있어서 유아 및 다양한 장애영역에서 연구가 활발해질 필요가 있겠다.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general education because special education is placed in a disadvantageous environment for developing character in various factors than gene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of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cunducting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andards by year,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for 35 paper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2014, interest in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has increased. Second, in the research topic,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most. Third, in the research subjects, elementary school research and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were performed the most. Fourth, in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e most. As a suggestion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research on variou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should be carried out, and research on infants and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s a subject of research.

      •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온·오프라인 글쓰기 수업 모델과 설계 : 동의대학교 기본 교양 <글쓰기와 표현> 강좌를 중심으로

        김용하 ( Kim Yong-ha ),신윤주 ( Shin Yun-ju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6 인성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인성 교육을 위한 온·오프라인 글쓰기 수업 효과를 살피는 데 있다. 그간 초중고 인성 교육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였지만, 대학생들의 인성 교육에 대한 논의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었다. 그래서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확보할 필요성이 대두하였고, 이를 위한 인성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 인성 교육을 위해 온·오프라인 글쓰기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계열별 인성 교육은 계열별 인성 덕목에 부합하는 온·오프라인 글쓰기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온·오프라인 글쓰기 수업 프로그램은 신입생들이 자기와 세계를 유연하게 생각하고, 이를 토대로 온전하게 교양인으로 거듭나는 데 기여한다. 오프라인에서는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진행한 후, 계열별특성에 부합하는 계열별 인성교육의 긍정적 요인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인문·사회계열과 상경계열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 조사>의 결과는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인성 역량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아울러 오프라인 인성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플립 러닝을 수업에 반영하였다. 플립 러닝은 온·오프라인 강의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할 수업 프로그램이다. 플립 러닝은 학생들이 비주체적으로 오프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를 극복할 수 있고, 온라인에서 주체적으로 수업 준비에 매진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인성을 증진하는 데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In modern society,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to design a class model for the character education is urgently required. The five personality virtues - honesty, commitment, forgiveness, caring, responsibility - is educated by the materials and media. In the Dong-Uei University, the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sought to strengthen by designing an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on-offline writing class. In the off-line class, it was designed a course content and learning model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mainly in the Humanities or Economics in order to empirically identify the personality factors of positive education by Department. < Survey > results could confirm the fact that teaches education and raise the accountability, cooperation, caring for students to do their own selfreinforcing effect of personality related competencies. In order to reinforce the effectiveness of these off-line class, we utilized electronic online media. Further,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in the classroom teaching other content by using an online electronic media was to discover the connection part of the character education. The flipped- learning models is a class that can overcome the limits of the off-line. In the flipped - learning classes, students can overcome the attitude of a non-subjective participate in the off-line classes, because they can be proactive to concentrate on lesson preparation in the on-line to autonomously promote students` personality.

      • KCI등재후보

        ‘인성영재’의 개념 및 교육 원리 탐색

        신재한 ( Shin Jae Ha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0 인성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에는 기존에 가지고 있는 인성과 영재성의 개념 및 특성을 토대로 뇌과학에 기반한 ‘인성영재’의 개념 및 특성을 탐색함으로써 구체적인 교육 원리를 제시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인성영재’의 개념 및 교육 원리를 탐색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 모두에게 건강한 정서발달을 통한 인성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인성영재가 올바른 개인적ㆍ국가적 차원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정체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인성영재가 체험 활동을 통해서 습관화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해 보면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성영재’의 개념 및 특성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이므로, 설문조사나 심층면담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서 ‘인성영재’의 개념 및 특성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인성영재’를 지도하기 위한 원리 외에 ‘인성영재’ 교육방법 및 수업모형 등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인성영재’를 효과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등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뇌과학에 기반한 ‘인성영재’를 발굴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pecific educational principles by explor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haracter gifted person' based on brain science on the basis of existing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haracter and giftednes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exploring the concept of 'character gifted person' and educational principle. First, character education through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should be provided not only for gifted students but also for ordinary students. Second, an identity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establish that the character gifted person sets the right level of personal and national goals. Third,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at allow character gifted person to become habitual and internalized through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haracter gifted person' presented in this study are derived from litera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haracter gifted person'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Second, in addition to the principle for guiding 'character gifted pers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specific programs to effectively train 'character gifted person' at school sites by exploring 'character gifted person' education methods and class models in detail.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sting tools to discover 'character gifted person' based on brain science.

      • KCI등재후보

        교원양성기관 중등 예비교사의 인성교육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P대학교를 중심으로

        조진호 ( Jo Jin Ho ),강형길 ( Gang Hyoung Gil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0 인성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중등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P대학에 재학 중인 6명의 예비교사에 대해 면담과 에세이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인성교육으로 첫째, 교직과 인성교육의 현장성 제고를 위해 예비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예비교사의 인성교육에 대해 종합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일부 의견으로 강제에 의한 필수 교과목 지정 보다는 인성교육 발달 단계에 따른 개인의 선택적 이수가 합리적이라는 점을 소수 의견으로 제시하고 있다. 셋째, 대학의 인성교육의 방식은 사회적 주류 공감대인 경쟁 위주체제의 단점을 보완하여 전인교육을 위한 풍토로의 이행을 요구하고 있었다. 예비교사 인성교육의 방향으로 첫째, 인성교육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교과의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실천적 의미에서 비교과적 성격인 학습지도, 방과 후 교실지도 등에 해당하는 교육봉사활동의 확대가 요구된다. 셋째, 교육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감성적인 학교 공간 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 강화를 위한 시스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e study looked at prospective teachers' awareness of character education at teacher training program.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through interviews with pre-teachers and essays are as follows. Character education recognized by pre-teachers, Firs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re-teachers to enhance the field of teaching and character education. Second, participants in the study believ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duct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character education for pre-teachers, and some suggested that the selective completion of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character education was reasonable rather than the designation of mandatory subjects by coercion. Third, the way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ies was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the competition-oriented system, which is a social mainstream consensus, and to demand the implementation o f t he climate for universal education. The direction of pre-teachers character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n a department that directly deals with character education. Second, in a practical sense, it is required to expand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that are equivalent to extracurricular instruction and after-school classroom instru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motional school space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inally, it proposes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strengthening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대학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연구: C대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전호재 ( Jeon Ho J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0 인성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C대학에서 운영된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대상은 2018, 2019학년도에 C대학의 전공 및 학과와 본부 부속 기관에서 실시한 모든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별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 만족도, 효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C대학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자를 대상으로 운영 상 온라인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 만족도와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C대학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은 운영 주체, 운영 형식, 전공 연계 및 운영 시기별로 다양한 운영을 하고 있었다. 또한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효과도 일부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자들의 관심사항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여 논의 및 결론을 제언하였다. 첫째, 인성교육의 내재적 목적에 주목하여 대학 구성원 간의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공유되어야 한다. 둘째,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은 목적, 내용, 대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운영 형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의 요구를 고려한 학생 중심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state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was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all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in C university in 2018 and 2019. All data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operational status,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all programs. Besides, an onlin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er and operator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in C university were conducted in various ways by institutions, method, connection with major, and periods. Also,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lso, when ope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the issues of developers and operators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scussion, conclusion, and suggestion were presented. First,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among university members should be shar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rinsic purpose. Second, a proper program for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content, and student.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udent-centered character program.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정활용 생태·인성교육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조사연구

        홍문기 ( Hong Mun Gi ),남보은 ( Nam Bo E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2

        G교육대학교의 교정을 대상으로 한 본 조사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인성교육 및 감수성 함양에 있어 중요한 교정활용 생태 · 인성교육의 지속가능성 제고 차원으로 수행되었다. 녹지비율을 포함하여 교정 내 수목들의 양적·질적 분석을 통해 교정활용 생태 ·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 장소로서의 적합성을 진단함으로써 취약점을 찾고 나아가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G교육대학교의 녹지 비율은 약 40% 수준이었으며 교정 내 총 120종의 목본류 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가시나무나 산철쭉과 같은 일부 수종들에 다소 편중된 식재 특성과 더불어 여러 수종들이 소수 개체 형태로 교재원에 집중돼 있는 등 주로 식물다양성 측면에서의 취약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대다수 수종들의 개화나 결실 시기가 중복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향후 꽃이나 열매를 활용하는 곤충이나 새와 같은 야생동물들의 생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식물계절학적인 특성을 반영한 수종 식재 및 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차원의 교정수목으로서 금목서나 태산목과 같은 난대성 상록활엽 수종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교정생태계의 생물종다양성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교정활용 생태 · 인성교육의 지속가능성 제고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Ecological and character education using school campuses is importan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ir character and sensitivity to nature. To assess and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ecological and character education at the school grounds, a survey on the campus of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conducted. A survey on tree species in the campus was conducted regarding the area of green space. The proportion of the green space was at 40% level to the campus area. A total of 120 tree species were observed on the campus. On the other hand, only a few species showed a higher proportion in the whole tree individuals. Many species were planted in a small amount in the school garden. Flowering and fruiting seasons of tree species were mostly overlapped, which could affect the diversity of other fauna. Therefore, establishing the strategy considering the phenological diversity and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is needed.

      • KCI등재후보

        인성교육을 위한 생태중심 생명가치관 함양 방안 : 환경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조용개 ( Cho Yong-g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인성교육을 위한 생태중심 생명가치관을 함양하는 방안으로 환경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환경윤리교육의 의의와 목표, 내용, 그리고 환경윤리교육의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을 위한 환경윤리교육의 단계별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성교육을 위한 환경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은 총 5단계로, 1단계는 인간, 자연, 환경과의 상호작용 인식 단계이며, 2단계는 환경과 생명 간의 상호관계를 이해 및 분석 단계이며, 3단계는 환경친화적 태도 및 행동양식의 선택과 실천 단계이며, 4단계는 생태중심 생명가치관을 확립 단계이며, 5단계는 새로운 행동 수행을 위한 성찰 및 평가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환경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인성교육을 위한 생태중심 생명가치관을 함양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cultivate eco-centered life values for character education. we discuss the significance, approach methods, contents, and methods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And we suggest a teaching-learning model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construct a teaching-learning model of step-by-step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for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five stages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presented are as follows: The first stage is to recognize an interaction of humans, nature, and the environment. The second stage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life. The third stage is to select and practice eco-friendly attitudes, views of values, and behavior patterns. The fourth stage is to establish eco-centered life values based on ecological conscience. The fifth stage is to reflect and evaluate in order to perform new behaviors. By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we expect that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cultivating eco-centered life values for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 인성교육의 현황 및 과제

        박영미,강기남,김미라,이소의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2 인성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교양으로써의 인성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현황을 알고 시사점을 얻어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오십여개 4년제 대학교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교양교육의 목적·목표 및 대학의 건학이념·교육이념 및 인성교육과의 연관성을 먼저 알아보고, 또 인성교육과 관련한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검토하여 대학 인성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성과 관련하여 부설기관을 두고 있는 대학은 12곳이며, 인성 용어가 들어간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31곳이고,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18곳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인성교육의 구체적인 현황과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에서 인성교육을 향상하기 위해 어떠한 교과및 비교과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주소를 알게 되었고, 이러한 분석을통해 얻은 결과로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에 다각적인 계획과 효율적인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설정 시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성교육 적용 방안 탐색

        권택환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2 인성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성교육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과 인성교육의 선행연구를 개관하였고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은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간의 인식차이를 보였고 개인의 특성에 맞는 통합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교육은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 간의인식차이를 극복하는데 대안이 될 수 있고, 체험중심의 인성교육은 통합교육의대안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성교육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의 편견을 극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고, 이야기 나누기, 동화, 토의와 같은 체험중심의 인성교육은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대안이 될 수있다. 제언으로는 첫째, 통합교육을 위한 인성 프로그램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체험 중심의 인성교육을 위한 다양한매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