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조직에서의 인성교육 연구와 과제

        김규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2 인성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교육조직에서 일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성 관련 이론들을 분석하고교사들의 인성교육 연구 및 실천 과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조직행동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태도, 성격, 사고, 감정, 가치 등과 관련된 변인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교사들의 인성적 측면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교원들이 발휘하는인성적 품성과 자질과 역량이 학생들의 인성 함양의 정도와 질을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조직에서의 인성교육은 학생을 포함하여 교원에까지 확장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원에 대한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인성적 차원에 관한 체계적 문헌분석을 통한 교사들의 인성교육 요소들의 추출과 함께 교육현장에서 제공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 등에 대한 사례 분석 등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성교육 적용 방안 탐색

        권택환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2 인성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성교육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과 인성교육의 선행연구를 개관하였고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은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간의 인식차이를 보였고 개인의 특성에 맞는 통합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교육은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 간의인식차이를 극복하는데 대안이 될 수 있고, 체험중심의 인성교육은 통합교육의대안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성교육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의 편견을 극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고, 이야기 나누기, 동화, 토의와 같은 체험중심의 인성교육은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대안이 될 수있다. 제언으로는 첫째, 통합교육을 위한 인성 프로그램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체험 중심의 인성교육을 위한 다양한매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언어학습과 인성교육의 융합: 북한 영어 교과서 과업분석

        박문영,이선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5 인성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북한의 영어 교과서에 통합된 인성교육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서로 다른 학년 수준의 3개 교과서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내용 분석을 통 해 본 연구는 (1) 인성교육 관련 영어 활동의 분포와 빈도, (2) 기능 통합, 과업 유형, 교수법적 접근을 포함한 활동의 특성, (3) 이러한 과업을 통해 강 조되는 핵심 가치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된 교과서 전체에서 17.4% 의 과업이 인성교육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협동”과 “자기평가”가 주요 과업 유형(각각 65.0%와 8.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 과업은 주로 읽기(16.0%)와 듣기(12.0%) 기능과 통합되어 있지만, 대부분은 통합기능 활 동(55.0%)에서 나타난다. 강조되는 핵심 가치로는 집단주의(6.0%), 자기규율 (3.0%), 애국심(2.0%) 등이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영어교육이 언어 능력 개발과 국가의 정치적, 사회적 이념에 부합하는 인성 가치를 강화하는 이중 목적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교육 자료가 더 넓은 사회적 가치와 정치적 맥락을 반영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며, 교육과정 개발에 시 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gr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North Korean junior secondary English textbook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hree textbooks. It explores: (1)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character education-related English activities; (2)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ctivities including skill integration, task types, and pedagogical approaches; and (3) the core values promoted through these tasks. Findings reveal that 17.4% of tasks across analyzed textbooks incorporate character education elements, with “cooperating” and “self-evaluating” being the dominant task types (65.0% and 8.0% respectively). Character education tasks are integrated primarily with reading (16.0%) and listening (12.0%) skills, though most appear in integrated-skills activities (55.0%). Core values promoted include collectivism (6.0%), self-discipline (3.0%), and patriotism (2.0%). The study suggests that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serves dual purposes: fostering language competence and reinforcing state-endorsed character values, with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관계론적 인성교육모델 개발연구

        조재림,유영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4 인성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존재론적 관점에 치우친 기존 인성교육 패러다임의 한계를 비판하고, 신영복, Buber, Oakeshott의 이론을 토대로 관계론적 인성교육모델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대학 전공연계봉사활동에 참여한 교수 2명과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서술형 설문지와 심층면담, 참여관찰 등을 통해 인성발달 과정에서의 사회화 및 전문성 습득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성은 덕목·역량 중심의 일방적 전달이 아닌, 선진과 후진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호혜적 순환’ 속에서 형성되며, 전문성의 습득과 사회화를 통해 감정적 인식이 이성적 전문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감’을 중심으로 한 관계 형성이 인성교육의 내재적 동력을 강화함을 밝혀냈다. 이러한 관계론적 인성교육모델은 인간관계와 실천적 경험을 중시하여, 기존 행동주의·환원주의적 접근을 보완하는 대안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향후 다양한 교육현장에서본 모델을 적용하고, 이를 토대로 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This study critiques the limitations of ontologically oriented character education, which emphasize top-down virtue transmission, and proposes a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model informed by the theories of Shin Young-bok, Buber, and Oakeshott. Employing a qualitative approach with two professors and sixty students in a m ajor-related service-learning program at S University, data from open-ended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observations indicate that character emerges through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seniors” and “juniors,” rather than direct imposition of virtues. Within these “mutually beneficial cycles,” emotional understanding becomes rationalized expertise, with “empathy” acting as a key catalyst. This model highlights human relationships and practical experiences as vital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behavioristic, reductionistic approache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its applicability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refine relational theory-based programs, and empirically assess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중등 영어교육에서 인성교육 기반 과업 유형 분석 연구 (2011-2022)*

        박문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4 인성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영어교육 상황에서 인성교육 기반 영어과업의 유형과특성을 분석하여, 중등 영어교실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지침을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1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 논문과석·박사 학위논문 18편을 대상으로 Nunan(1999)의 과업 유형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영어교육에서 인성교육 기반 영어과업은 언어적 기능과 인성적 가치를 동시에 함양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확인되었다. 특히, 읽기 활동은 학습자들이 문학 작품과 텍스트를 통해 도덕적·사회적 가치를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정서적 과업과 언어적 과업의 활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창의적 과업의 활용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와 설계가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교사의 역할은 교육과정 설계자, 학습 촉진자, 조력자로 확장될 필요가 있으며, 학생 중심의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과업의 난이도와 목표를 효과적으로 조정하는 전문성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영어교육과정 설계,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평가 방법 개선에서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특히 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과업설계와 평가의 균형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육환경과 맥락을 반영한 창의적 과업기반의 실증적 연구가 더욱더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education-based English tasks in secondary school, providing practical guidelines for effective classroom implementation. Examining 18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22 using Nunan's (1999) task classification criteria,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se tasks effectively develop b oth linguistic skills and personal values. Reading activities were particularly crucial in helping students naturally acquire moral and social values through literary works. Emotional and linguistic tasks were most frequently utilized, while creative tasks showed limited application, indicating a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study underscores the evolving role of teachers as curriculum designers and learning facilitators, requiring expertise in creating student-centered environments and adjusting task difficulty. The research offers insights for English curriculum design, teacher training, and assessment methods, emphasizing a balanced approach to support holistic student development.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empirical studies of creative task-based approaches across diverse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직장인 대상 뇌교육 기반 셀프코칭 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신승훈,신재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4 인성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셀프코칭 역량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직장인 대상 뇌교육 기반 셀프코칭 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코칭 및 셀프코칭 역량의 개념, 특징 및 관련 척도, 셀프코칭 프로그램, 그리고 뇌교육 등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뇌교육 기반 셀프코칭 역량의 개념, 구성요소 및 하위요인 등의 초안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해 1, 2차에 걸친 전문가타당도 검사를 통해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뇌교육 기반 셀프코칭 역량의 개념과 4구성요소(자기 이해 역량, 자기 결정 역랑, 자기 조절 역량, 자기 성장 역량) 및 8하위요인(두뇌통합적 자기 인식, 인생통찰적 자기 파악, 자기발전적목표 확립, 전략적 계획 수립, 성찰적 자기 대화, 유연적 두뇌 조절, 자기주도적지속 실천, 초월적 의식 성장)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교육적 요소를바탕으로 신체, 정서, 인지의 종합적인 관점에서 기존의 셀프코칭 역량의 한계를보완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다만, 이론 정립을 확고히 하기 위해 직장인대상 뇌교육 기반 셀프코칭 역량 관련 측정도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brain education-based self-coaching competency for officers by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elf-coaching competencies.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related scales of coaching and self-coaching competencies, self-coaching programs, and brain education were analyzed to derive a draft of brain education-based self-coaching competency, components, and sub-factors. The final draft was derived through first and second expert validity tes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 of brain education-based self-coaching competency and four components(self-understanding capacity, self-determination capacity, self-regulation capacity, self-growth capacity) and eight sub-factors(brain integrated self-awareness, life-perceptive self-awareness, self-developmental goal establishment, strategic planning, reflective self-talk, flexible brain regulation, self-directed continuous practice,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growth) were deriv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elf-coaching competencie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body, emotion, and cognition based on brain education elemen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ntinuous research, such as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and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self-coaching competency based on brain education for officers.

      • KCI등재

        대학 교양 인성교육의 현황 및 과제

        박영미,강기남,김미라,이소의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2 인성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교양으로써의 인성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현황을 알고 시사점을 얻어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오십여개 4년제 대학교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교양교육의 목적·목표 및 대학의 건학이념·교육이념 및 인성교육과의 연관성을 먼저 알아보고, 또 인성교육과 관련한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검토하여 대학 인성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성과 관련하여 부설기관을 두고 있는 대학은 12곳이며, 인성 용어가 들어간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31곳이고,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18곳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인성교육의 구체적인 현황과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에서 인성교육을 향상하기 위해 어떠한 교과및 비교과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주소를 알게 되었고, 이러한 분석을통해 얻은 결과로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에 다각적인 계획과 효율적인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설정 시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노인대상 수면 개선을 위한뇌교육프로그램 개발방향 탐색

        김대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4 인성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대상 수면 개선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 노인들의 수면 시간 및 수면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수면 개선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 대상은 노인복지센터, 경로당, 문화센터에 다니는 노인 중에서 본 연구 목적에 동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무선표집한 142명을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대상 수면 프로그램은 제한적으로 실시되며, 주로 단일중재법을 활용하여 진행되고 있다. 둘째, 노인들은 직면한 수면 장애를 효과적으로 대처 및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희망하였다. 셋째, 수면 개선을 위해 복합적이고 종합적이면서 신체· 정서· 인지를 모두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수면 개선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는 데 비해 체계적인수면 개선 프로그램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최근 들어 노인들의 뇌건강 관리에 수면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효과성이 입증됨에 따라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와 요구분석 및 종합적 검토를 통하여 노인 대상 수면 개선을위한 뇌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brain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leep improvement by analyzing sleep time and sleep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The surve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2 people who wirelessly sampled the elderly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elderly who attend the elderly welfare center, seniors centre, and cultural center, and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leep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limited and are mainly conducted using a single intervention method. Second, it was hoped to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that could effectively cope with and manage sleep disorders faced by the elderl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is complex and comprehensive and strengthens both body, emotion, and cognition for sleep improve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ile the demand for sleep improvement is increasing, systematic sleep improvement programs are insufficient. 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application cases of sleep programs to brain health management of the elderly increases and the effectiveness is proven, it is urgent to develop a brain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sleep for the elderly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demand analysis, and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 KCI등재

        대학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연구: C대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전호재 ( Jeon Ho J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0 인성교육연구 Vol.5 No.1

        In this study, the state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y was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all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in C university in 2018 and 2019. All data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operational status,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all programs. Besides, an onlin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er and operator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in C university were conducted in various ways by institutions, method, connection with major, and periods. Also,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lso, when ope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haracter education, the issues of developers and operators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scussion, conclusion, and suggestion were presented. First,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among university members should be shar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rinsic purpose. Second, a proper program for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content, and student.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udent-centered character program.

      • KCI등재

        역사교과 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인권과 다양성 역량 향상 방안 현장 연구

        강민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성교육연구원 2024 인성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교과 중심으로 설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학교현장에서 운영하고, 연구대상의 인권과 다양성 역량에 대한 향상도 측정 및 효과성검증을 통하여 일반화가 용이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계 남자고등학교 학생 169명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최근 개발하여 현장에서 사용한 민주시민성 지표 역량 측정 도구이다. 연구를 통해 민주시민성 지표 가운데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인권 역량)’, ‘문화 다양성과공존(다양성 역량)’ 지표의 변화 데이터를 얻었고, 대응표본 t-검증의 방식으로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투입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진행 과정에서 제한적이고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투입된 프로젝트 형태의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적인 행동 변화와 관찰을요구하는 인성요소에 대하여, 비교적 단기간에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와 같은 현장 연구가 장기적 관점에서 진행되어 프로그램의 수정과 보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improvement in human rights and diversity competencies by implementing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signed around the history curriculum, and to develop a program that is easy to generalize in schools. The changes in the human rights and diversity competenci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such purpose were measured using the democratic citizenship index measurement tool.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Through the study, the data on changes in the competencies of 'Human Rights Competencies' and 'Diversity Competencies' indicators among democratic citizenship indicators were obtain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paired-sample t-test. Th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the researcher in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jority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positive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