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과정의 비판적 검토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교육과정은 교과의 시작이자 종결이지만 최근 우리의 교육과정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2년만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었고, 다시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이라는 명목하에 교육과정이 개편되었다. 그런데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이 특정 기관이나 단체에 의해서 개발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국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학회 연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공정하며 합리적이라는 판단 하에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과정 공모에 참여하기로 하였고,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고는 학회 연합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주로 선택과목 중심으로 개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먼저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에 의해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체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세 가지를 지적한 바 있다. 하나는 ``국어``에 대한 세부 성취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 둘째는 총론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셋째는 국어과 내용 영역 간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재구조화안은 고등학교 보통교과 선택과목은 ``국어Ⅰ``, ``국어Ⅱ``, ``국어사고와 표현``, ``국어탐구와 이해``, ``국어문화와 창의``, ``고전``의 총 6과목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맡은 학회 연합의 연구진은 과목 명칭에 대한 논의,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 설정 문제에 대한 논의, 셋째, ``고전``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결과 과목명은 ``국어Ⅰ/ 국어Ⅱ /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 문학 / 고전과 교양``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국어Ⅰ``의 기본 성격은 교양(일반)으로 하고, ``국어Ⅱ``의 기본 성격은 교양(전문)으로 하고, 국어과의 다섯 개 영역 중 핵심이 되는 성취 기준을 국어Ⅰ과 국어Ⅱ의 중핵적 성취 기준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고전``의 성격은 교과목명을 ``고전과 교양``으로 하고 국어과 다섯 영역의 현대 및 고대의 명문 중심으로 통합적 이해와 표현 활동을 목표로 하는 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최종 심의 과정에서 약간의 변이는 있었으나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었다. 교육과정 개발은 누가 하는가 보다도 어떻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교육과정은 주체의 문제가 아니라 공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교과별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기록하는 것은 어쩌면 영역별 그릇싸움의 적나라한 기록일 수도 있다. 또한 교과목의 나눠먹기식 배분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 영역이 중등학교 교과목에 여하히 설정되느냐 하는 것은 학문의 존재 가치와도 관계된다. 교과 교육은 어차피 교단에서 완성되기 때문이다. 교단에 설 자리가 없는 교과교육은 학자들의 선문답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curriculum is the beginning of subject. Also is a terminated point of it. However the curriculum of Korea is not like that.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after 2 years. For fairness and rationality, I think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academic society is responsible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writing will review a development process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According to ``elective restructurization plan, high school elective course name was ``Korean language I(국어Ⅰ)`` and ``Korean language II(국어Ⅱ), ``Korean thinking and expression``, ``Korean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he Creative``, ``The canon`` . First of all, the research team of academic society union processed intensively the discussion of subject name and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language I, Ⅱ`` and ``character of The Canon``. Discussed, the names of subjects has been determined as ``Korean language Ⅰ / Korean languages Ⅱ / speech and writing / reading and grammar / literature / Canons and the liberal`` And the research team decided the basic character of Korean I`` with culture (the public) and Korean II with culture(specialty). Also, they decided the main accomplishing standard of reading, writing, speech listening, the grammar, the literature with core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I, II. They also changed the name of ``Canons`` with the ``Canons and liberal arts.`` And they decided this subject with intergrated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ctivities for students in five areas of Korean subjects. Although there was few variations in last review process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discussion result was became the core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

        이재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1 No.-

        최근 언어 교육 장면에서 언어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것은 하나의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통합적인 언어 교육이 무엇인지, 그것이 어떠한 성격의 것인지에 대해서는 사람들마다 서로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글은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그것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 좀더 면밀하게 살펴본 것이다. 우선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층위 문제로, 교과 간 구별이 없는 통합, 교과 간 통합, 교과 내 통합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지를 다루었다. 이들 논의에서 결국 통합적 국어교육이라 함은 주로 언어 기능들의 통합적 지도를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다른 영역(문학, 국어 지식) 간의 통합은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런 다음 통합적 국어교육의 성격에서는 통합적 국어교육에서 흔히 언급되는 문제로 연계 지도와 통합 지도가 어떻게 다른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체적 교육과 통합 교육, 총체적 교육과 통합교육, 주제 중심 접근과 통합 교육이란 말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면서 통합 국어교육이 갖는 성격을 좀 더 분명히 했다. 끝으로 통합 지도가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교육과정, 교과서, 지도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간단히 언급했다. This article focussed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integrating language arts. Movement of integrating language arts are formed paradigms in language art instruction. But this concepts are confused among the teachers and research. So this researcher defined integral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s integrating language arts. And this research distinguish integrating language arts from connection instruction, holistic education, whole language, theme based instruction. These concepts has common traites in various ways, but not same.

      • KCI등재

        국어과 교재의 상대 높임 화계 설정과, 구어 현실

        홍종선 ( Hong Jongseon ),김서형 ( Kim Seohyung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국어 생활에서 상대 높임 표현은 지금까지 체계상의 변화를 더욱 많이 겪었으나 그 상대 높임 화계는 20세기 전반기에 국어학에서 세운 체계를 별다른 수정이 없이 지금까지 답습하고 있다. 국어의 높임법 체계와 구성은 국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국어 사용자의 인식을 충분히 배려하여야 한다. 더구나 (한)국어 교육을 위한 높임법 체계는 국어의 일반 사용자에게 설명력을 제대로 갖추고 국어 학습자들도 가급적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일반화되어 있는 4등급의 격식체와 2등급의 비격식체라는 2원적 상대 높임의 기본적인 화계는 오늘날 비현실적이므로 1원적인 체계로 하였다. 발화의 격식성은 주로 어조에 의해 결정되며 다양한 발화 태도 개입 요소들도 종결 어미의 형태 차이보다 크게 작용하므로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구분이 별 의의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어학이나 국어 교육학에서의 기존 연구 내용을 재조정하고 언어 현실에서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가장 높은 등급부터 ``하십시오체, 하세요체, 해요체, 해체, 해라체``라는 5등급과 그에 해당하는 대표형을 상정하였다. 이에 중·고교 국어과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서는 그 사용이 매우 적고 극히 일부에 국한되어 있는 ``하오체``와 ``하게체``는 제외하되, 다만 심화 학습으로 이를 다룰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Even though Korean relative honorific expressions have gone through a lot in terms of systemic change in real life,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has followed the system which set up by Korean linguistics in the early of 20th century as before without any modification. Korean relative honorific system and construction should be based on the theory of Korean linguistics with consideration of Korean Speaker`s realization and awareness. Moreover the research of Korean relative honorific system for Korean education has to seek the explanatory to Korean normal speakers and provide comprehensible content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of as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is realized in mono system as a basic relative honorific system. This is from the idea that it is not realistic that there is four kinds of classes of formal style and two kinds of classes of informal style in dual system of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The formality of utterance commonly depends on tone and involves the intervention elements of utterance manner. Hence, the dual system of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is not meaningful. This paper tries to set up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from ``Hashipsio, Haseyo, Heyyo, Hey, and Heyla style`` according the degree of honorification and presents the retrospectives form of them by each. This is through reformulating the former researches and taking the frequency of use in real life. To educate Korean as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 this paper also suggest that ``Hao-style`` and ``Hagye-style`` are excluded from the basic system but handled in enrichment program.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에 대한 시론

        오현아 ( Hyeon Ah Oh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 미군정 당시에 이루어진 국어과 교육 중 문법 교육에 한정하여 검인정을 통해 발행되었던 문법 교과서를 사(史)적으로 고찰하여 교과서에 서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광복 이후 국어과 교육은 일본어 보급과 조선어과 위축 및 폐지라는 일제강점기의 교육의 영향 아래 교육과정, 학제, 교과서, 교수법 등의 제반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광복 이후의 국어 교과서 연구는 국어 교과의 확립 및 국어 교육의 기틀 확립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시기 국어과 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1)국어교육사의 (1)종적인 차원에서는 ①국어 교과의 형성 및 교과 성격 획득 과정 관련한 연구(박영목·민현식·김종철 외, 2005; 윤여탁 외, 2006; 오현아, 2011), ②국어 교과서의 수록 제재 변천 양상에 관한 연구(조희정, 2005a; 조희정, 2005b; 조희정, 2005c; 서명희·조희정, 2006a; 조희정·서명희, 2006b; 이명찬, 2008), ③교과서 서지사항 및 단원 체계 및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조희정, 2011), 국어과의 개별 내용 영역 변천에 대한 연구(유옥순, 1995; 고영근, 2001; 최호철 편, 2008)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그리고 (2)횡적인 차원에서는 미군정기에 한정한 검인정교과서의 소설 제재를 다룬 연구로는 최현섭(1990), 미군정기부터 1차 교육과정 고시(1956년) 전까지인 건국기에 한정한 중등 국어 교과서분석에 관한 연구로는 허재영(2005), 교수요목기를 중심으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의 유형과 양상을 다룬 정진헌(2005)가 있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국어교육사에 대한 심화된 논의가 전반적으로 충분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횡적인 차원에서의 국어교육사 논의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광복 이후 국어 교과서 연구가 이후 정부 주도의 교육과정 아래 이루어진 국어 교과 정체성 및 기틀 확립에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는 문제의식 아래 국어교육사의 횡적인 차원에서 미군정기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로 시기를 한정해 문법 교과서에 기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를 본격화하기 전에 시론으로서 이러한 연구가 국어교육 그리고 문법교육 안에서 어떠한 지정학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문법 지식 체계의 구조화는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할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historically grammar textbooks published through authorization by the government and to show the necessity for research to 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presented in textbooks, focusing on grammatic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under the rul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an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it was difficult to solve at once all problems rela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school system, textbooks, teaching methods, etc. establish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had promoted the spread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the shrinkage and removal of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ly,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fter the Liber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viou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is pe국어교육학연구45_riod can be divided into the longitudinal dimension and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Studies in the longitudinal dimension include: ①studies o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its curricular characteristics(Park Yeong mok, Min Hyeon sik, Kim Jong cheol et al., 2005; Yoon Yeo tak et al., 2006; Oh Hyeon ah, 2011); ② studies on changes in material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Jo Hee jeong, 2005a; Jo Hee jeong, 2005b; Jo Hee jeong, 2005c; Seo Myeong hee & Jo Hee jeong, 2006a; Jo Hee jeong & Seo Myeong hee, 2006b; Lee Myeong chan, 2008) and ③studies on changes in the bibliography, unit system and contents of textbooks(Jo Hee jeong, 2011) and on changes in the content areas of the Korean language(Yoo Ok soon, 1995; Ko Yeong geun, 2001; Choi Ho cheol, 2008). Among studies in the horizontal dimension, Choi Hyeon seop(1990) analyzed the materials of novels in textbooks authorized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o Jae yeong(2005) analyze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announcement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in 1956, and Jeong Jin heon(2005) studied the types and patterns of traditional fairytales in elementary textbooks focusing on the period of syllabu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dvanced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not been sufficient and,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horizontal dimension have been quite insufficient. Thus,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since the Liberation became crucial foundation for the es국어교육학연구45_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framework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der the government l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s preliminary research before full scale studies to re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described in grammar textbooks,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and discussed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such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tical education and how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can be structured.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 결정 양상과 합리성 제고 방안

        양정실 ( Jeongsil Yang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2

        이 연구는 국가 수준 국어과 교육과정 개편사 속에서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의 결정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정책 문서로서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가 수준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에는 1~3차 개정 시기까지 행정적 모형이 적용되다가, 4차 이후 연구·개발 모형이 도입되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부터는 공모제를 통해 교육과정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과로서의 국어과의 자율성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처럼 보인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편에 이르기까지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와 개정 배경은 국가 주도로 결정되고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개발자는 이를 사후적으로 합리화하는 체제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졌다. 또한 교육과정 총론이 각론에 요구를 부과하는 형식으로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문서 형식의 통제를 통해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제한하는 개발 방식은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에 제약을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수시 개정 체제 속에서 국어과 공동체가 주체적으로 국어과 교육과정 개편의 내적 논리를 개발하고 온축하는 것이다. 둘째,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주체가 교육정책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교육정책행위자임을 인지하고 그 역량을 강화하고 책무성을 요구하는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다. 셋째, 실행된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함으로써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이 교육 현장을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데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총론 또는 일반 교육과정 연구자와의 소통 및 교육계 외의 다양한 사회 구성원과의 소통과 정보 공유를 통해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survey aspects of policy making of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and to suggest the ways for enhancing its rationality. Time and reason in revising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have been determined by government and curriculum developers have justified ex post. And curriculum guideline (``chong-lon``) has restricted korean curriculum by controling document format. It is needed to construct the system to enhance the rationality of the korean curriculum as a policy document. First, korean education community should develop internal logic of korean curriculum revision independently. Second, korean curriculum developers should recognize theirselves as policy actors. Third, evalua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should be emphasized during revising curriculum. Finally, it is needed to communicate with curriculum guideline or general curriculum researcher and diverse members of society.

      • KCI등재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 국어과교육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혁 ( Hyuk Suh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교사들의 모형의 정확한 이해와 활용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통합적 적용과 변용 능력이다. 요컨대 학교 현장에서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들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들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이나 기법 등의 통합적 적용 능력이 크게 요구된다.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한 요구는 크게 교수자와 학습자의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관련하여 중등학교 국어과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 분석에 초점을 두고 2007~2008년에 서울·경기 지역 교사 재교육(1정연수, 자율연수)에 참여한 총 103여 명의 국어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 분석과 관련하여 2007~2008년의 2년 동안 A대학 사범대학의 `국어교육학개론`을 수강한 1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중등학교 국어학습 경험 기술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국어학습 경험 기술에서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매체와 상호텍스트성의 활용, 발표와 토의·토론 활용 수업, 학습자의 창의적 담화 산출 활동 등 자신들의 실제 활동 중심의 수업과 교사와 학생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대화, 피드백 등 포함)이 이루어진 수업을 가장 인상 깊고 긍정적인 수업으로 평가하였다. 반면에 교사 주도적인 일방적 지식 전달의 수업에는 부정적이었다. 본고의 결과는 서혁 외(2005)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한 비교대조를 보여 주는데, 초등 단계에서는 학습자 활동 중심의 방법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된 반면에, 중등에서는 직접교수법이나 협동학습법, 토의토론 학습법 등이 더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입시 위주의 수업 부담이 큰 고등학교보다는 중학교에서 학습자 활동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되고 있음을 교사 대상의 설문지와 예비교사들의 중등학교 국어수업 학습 경험 기술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수업 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질적 연구 방법의 객관성 확보를 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수업 사례 적용 분석이 요구된다. 아울러 좋은 수업으로 알려진 일상 수업들을 면밀히 검토 분석해 봄으로써, 일반적인 교수·학습 모형이나 방법, 기법들을 유형화하거나 발굴해 내는 노력도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need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by questionnaire and description report on learning experience on Korean education. The number of teachers is 103. All of them were taking part in their retraining class during 2007~2008. The number of students is 150. The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experience and impressions in details on Korean education during their middle or high school periods. Through this data or sources, I analyzed the need of both groups and investigate some issue and problems, focusing on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teacher`s guidebook of Korean subject gives some ideas of class to teachers, but our survey shows that most of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pattern of the methods applied in the guidebook, even thoug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guidebook generally. What the most of teachers want is various methods applied in the textbook and showing them how to use the methods. We suggested that the principles of integrating methods and techniques in various ways. I suggested some directions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n applied it to analyze the classes used the most common 7 methods such as Direct Instruction, Response Oriented Method, Problem-solving M., Jigsaw, Role-play, Creativity Development M. and Value Education M. We also suggested some ideas to overcome the current issues on teaching methods and to develop them. One of them is to integrate the model(s) and technique(s) considering the variables such as teacher, learner, aims and contents, surroundings and conditions.

      • KCI등재

        국어교육과 교과서 ; 국어 교과서의 역사적 변천 연구

        조희정 ( Hee Jung Cho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본 논문은 해방 이후 각 교육과정별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습자가 접하는 첫 교과서-초등학교 1-1학기, 중학교 1-1학기, 고등학교 1학년(혹은 상권)-의 초판을 기준으로 서지 사항, 단원의 구조, 1단원 학습 내용을 고찰하였다. 정부 수립 이전 국어 교과서의 저자는 민간 학회인 조선어학회이며, 정부 수립 이후 정부 내에서 문교 행정을 담당하는 문교부-교육부-교육인적자원부로 이어졌다. 4차 이후 저자와 편찬자가 분리하였는데, 교과서 편찬 기관은 국가 기관에서 민간의 기관으로 이월하는 모습을 보인다. 교과서의 판형은 신국판에서 4×6배판으로 변화하며 ``읽기`` 중심의 강독 교재에서 ``활동`` 중심의 교과서로 변모하였다. 국어 교과서의 기본 학습 단위는 ``단원(單元, unit)``이다. 해방 직후 국어 교과서는 제재 자체가 단원 전체인 모습을 띤다. 읽기 자료 중심의 국어 교과서 구성은 국어교육 내 다른 영역은 교과서에서 배제한 채, 국어 교과서 단원 전체가 ``읽기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삼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개별 단원들의 학습 차이는 다양한 갈래의 읽기 제재를 통해 서로 다른 갈래의 글 읽기로 구현되도록 의도하였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후 국어 교과서는 제재와 학습 활동으로 구성된 소단원의 연쇄 구조를 취하다가, 4차 중학교 교과서부터 대단원과 소단원의 중층적 체계가 자리 잡게 된다. 각 학교 급별 국어 교과서 1학년 1학기 1단원에서는 단위 학교에서 처음 배워야 하는, 국어교육의 학습 내용을 전진 배치시키기 마련이다. 4차 교육과정기의 <바른생활 1-1>을 제외하면, 초등 1학년 1학기 1단원에서는 ``그림 읽기``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글자 학습의 동기를 끌어내는 데 주력하였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 1학년 1학기 첫 단원에서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기를 관통하는 하나의 흐름을 찾아내기 어렵다. 고등 국어 교과서는 1차와 5차 교과서에서는 국어 활동을 중심에 둔 학습 내용이 제시된 반면, 다른 시기에는 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갈래의 읽기 제재가 제시된 읽기 교육이 설계되었다. This thesis aimed to research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structure of a unit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in the Korean textbooks during all periods of curriculum after Korea`s emancipation. The materials for this study are the first edition of the first grade Korean textbooks in a primary school, a lower secondary school and a upper secondary school. Before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ment, authors of Korean textbooks were an academic society which was named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fter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ment, authors were replace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government. The format of Korean textbook was changed from A5 size in black and white to B5 size in full color, which reflected a change of the viewpoint that a textbook was a workbook for a learner`s language activity, not a set of materials for reading. The Korean textbook is composed of a lot of units. The first unit looks the first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in the each school step.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etters, which used various illustrations, has been focused on in the first unit of the primary Korean textbook. As distinct from the primary Korean textbook, there is nothing in common with between the first unit of lower secondary Korean textbooks. The contents of the first unit of upper secondary textbooks were both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ased on Korean activity, speaking and listening, and various materials for reading including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 현황과 방향성 탐색 - 근대국어 자료를 중심으로

        석주연 국어사학회 2013 국어사연구 Vol.0 No.16

        본고에서는 국어사 교육 내용 선정의 방향성 탐색을 위해 교과서 수록 근대국어 자료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실적으로 교과서 안 음운, 형태, 어휘 등의 국어사적 교육 내용은, 수록될 자료가 결정되는 순간 그 자료에 종속되어 결정되는 ‘자료종속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과서 수록이 가능한 자료의 종류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바탕으로 그 국어생활사적 가치를 최대한 교육 내용 범위에 반영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우리말의 역사이기 때문에 배워야 하고 가르쳐야 한다는 논리로부터 시작하기보다는 우리말 역사를 드러내는 문헌 속 한글의 의의가 현재 우리 삶 속 한글이 가지는 의의와 먼 지점에 있지 않다는 ‘공감’과 ‘흥미’를 배경으로 음운, 형태, 어휘 등 우리말 역사에 대한 교수학습이 시작되는 것이 보다 더 교육의 수요자를 배려한 바람직한 방식임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시각 에 입각해 국어사 교육의 내용을 적절하게 선정하기 위해서는 자료가 가지는 정전성, 시기․장르․간행 주체의 다양성 및 균형성, 교육적 가치와 학습자 흥미의 조화성, 교수학습의 위계성 등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tudies what kinds of contents have been selected and arranged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and illuminates w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developing the proper curriculum of it. The success in developing good contents critically depends on whether we are able to choose the Hangeul texts which are pedagogically valuable among the numerous Hangeul texts(i.e. text-dependency). Therefore, I analyze modern Hangeul texts, take several examples as Hangeul archives suitable for the pedagogy, and set up the criteria for how to select the cours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y are canonization of archives, balance between learner’s interest and pedagogical value, variety & balance of publisher․genre․period, hierarchy of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