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독교와 인성(人性)

        김충만(Kim, Chung-Ma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경성대학교는 기독교 정신을 건학이념으로 세운 기독교 대학이다. 따라서 경성대학교가 인성(人性)을 갖춘 지성인을 양성한다고 할 때 이는 기독교적 인성을 함양한 자로 교육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럼 기독교(성경, 하나님)가 목표하는 인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를 어떻게 성취할 것인가?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 기독교와 성경의 인간론을 살폈다. 기독교가 지향하는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으나 죄로 말미암아 타락하여 하나님과 분리된 인간이다.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다시 회복되고 구원을 얻었고, 마침내 온전한 사람이 될수 있는 은혜를 입었다(에베소서 4:13-15). 하나님은 이를 성경을 통해 온전한 인성의 사람으로 만들어 가신다(디모데후서 3:15-17). 경성대학교가 채플(교목실)과 강의를 통해 성경을 가르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향후 경성대학교가 인성교육 특성화 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이를 3장에서 더 발전적으로 제안해 본다. KyungSung University(in the following as KSU) is a christian higher institute founded on the faith of Christianity. The emblem that signifies KSU is to fully equip students with genuine christian Gospel. What are then those perspectives sheer based on Christianity (or, if differently put, God and the Bible) and how can we at KSU maximizely implant the perspectives on students? For this purpose in mind, starting with the second chapter, I extensively explored the human nature viewed from christian and biblical points. The status of our human beings drawn from Christianity delineates is the dismal helplessness when the first mankinds revolted against the goodness of God. The image of God in which we were created was lost and broken relationship with God ensued. However, the vicarious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made the lost image and broken relationship in and of us completely restored and guides us to grow up to "mature manhood" in Him (Ephesians 4:13-15 from ESV). By showing throughout the Bible, God completes "us in every good work"(2 Timothy 3:15-17). Biblically educating students at KSU in every good way is thus the very reason why KSU chaplain"s office and bible related lectures are readily available. In this sense, I want to make a further suggestion on the forseeable picture of KSU committed to building up students" sound character in the third chapter.

      • KCI등재후보

        기독학교 교목의 정체성과 사역 비전

        김충만(Kim, Chung-Ma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논총 Vol.43 No.-

        경성대학교는 1955년 故 김길창 목사에 의해 ‘기독교 정신’으로 세워졌지만 건학 이념 보다는 대학의 성장과 발전이라는 현실적 목표를 추구해 왔다. 하지만 2014년에 경성채플과 기독교 정책과목들의 개설, 2015년에는 경성대학 교회를 설립하여 건학 이념 구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논문 2-3장에서는 이러한 사명을 감당하는 교목의 정체성과 사역에 대한 문헌 연구와, 교목실 사역을 돌아보았다. 특별히 2016년 2학기 경성채플을 수강하는 692명(성별/ 남–274/39.6%, 여–398/57.5%, 무응답–20/2.9%, 종교별/ 기독교-108/15.6%, 천주교-35/5.1%, 불교-102/14.7%, 무교-440/63.6%, 기타-7/1%)을 대상으로 실시한 채플 평가와 만족도 분석을 통해 교목사역의 현재적 유의미성과 앞으로의 사역 비전을 제안한다. KyungSung University committed to ‘Christian Gospel’ was founded by the late reverend Gil Chang Kim in 1955. KyungSung has put more efforts on the highest standards of academic excellence over the last 60 years. Since 2014, several core classes focused on Christian Gospel were instituted through KS Chapel and Global KS. Celebrating 60th anniversary in 2015, KSU Church was officially dedicated to strengthen Christian Gospel and Campus Ministry. While treating in the 2nd and 3rd chapter of this paper, I introduce the office of KS Campus Chapel to answer for the identity and Christian ministry with further written studies. Particularly, I analyzed 692 students" questionaries of 2016 Second Semester (sex: male students 274 or 39.6%, female 398 or 57.5%, and none 20 or 2.9%; religion: Christians 108 or 15.6%, roman catholics 35 or 5.1%, buddhists 102 or 14.7%, atheists 440 or 63.6%, and none 7 or 1%). By this way, I want to suggest the present significance of and future tasks of Christian schools" campus chaplain ministry.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동준(Kim, Dongjun),이성규(Lee, Sungkyu)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현재 전국에 있는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841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문제도박 수준은 중위험도박 11.3%(95명), 문제도박 3.0%(25명) 순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도박중독 유병률이 14.3%로 측정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도박행동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한 달 용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도박문제에 대한 적극적 개입과 예방의 필요성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gambl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on 841 college students for 10 days in March, 2016.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problem gambling was 14.3%. Among them, approximately 11% of the sample(n=95) was at a medium-risk of gambling and 3% (n=25) was at a high-risk of gambling. Gender and the amount of monthly allowa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ambling behaviors of the sample. As hypothesized, self-efficacy was found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gambling behaviors. That is, higher social support contributes to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which, in turn, decreases gambl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sum, gambl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re serious social problems and the development of active interventions and preven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is inevitable. Particularly, social work professionals should make an effort to provide programs for improving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학교 졸업 청년층의 외재적 직업가치, 내재적 직업가치, 직무만족도간의 연도별 관계 분석

        김동심,정수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6 산업혁신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7차 2011년 ∼ 9차 2013년 자료를 활용하여 시간에 흐름에 따른 대학교 졸업 청년층의 외재적 직업가치, 내재적 직업가치 및 직무만족도의 변화를 살펴봄과 동시에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외재적 직업가치, 내재적 직업가치, 직무만족도는 시간에 흐름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교 졸업 청년층의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는 시간이 흐를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직무만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외재적 직업가치가 내재적 직업가치에 비해 높았으며, 외재적 직업가치의 감소폭이 내재적 직업가치의 감소폭보다 크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외재적 직업가치, 내재적 직업가치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 초기값은 직무만족도 초기값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 초기값, 외재적 직업가치 변화율은 직무만족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외재적 직업가치 초기값과 외재적 직업가치 변화율은 직무만족도 변화율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며, 높은 외재적 직업가치 초기값과 변화율을 가져온다. 이는 직무만족도가 증가하는 변화율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학교 졸업 청년층의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종단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변화의 양상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인적자원개발(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 분야에 있어서 대학교 졸업 청년층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hanges in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job satisfaction of a college graduate through time and effect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relevant changes in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job satisfaction through time.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decrease significantly. Job satisfaction increases significantly. Also, extrinsic work value was higher than intrinsic work value, the extrinsic work value faster than decline of intrinsic work value. Besides, the relations among extrinsic work value, intrinsic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The initial valu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negative affected initial value of job satisfaction. And r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change influence on rate of job satisfaction change.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extrinsic work value make an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job satisfaction of change, then this brings high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extrinsic work value. This means that large rate of job satisfaction increase. This study may be meaningful in that checked out the change patterns longitudinally through take a look at proces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of college graduate a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is provide basic date for what the field of HRD of university or company’s organization better understand the a college graduat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장애인 고등교육 분야에서의 정책변화와 지원요인 탐색연구

        이경준(Lee Kyong J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社會科學硏究 Vol.24 No.3

        장애인의 고등교육은 학령기의 지식과 가치를 확대 생산하여 장차 직업 및 사회생활에서의 자립생활을 준비케 하는 중요한 발전단계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교육재활적 측면에서의 기능과 과제는 법ㆍ제도적인 틀로 체계화됨으로써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고 이를 스스로 지지할 수 있는 사회정책적인 기회부여의 의미도 갖는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장애학생들의 고등교육권과 그에 따른 직업 및 사회교육적 차원의 지원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최근 장애인관련 주요법률의 제ㆍ개정으로 향후 장애인복지 및 교육의 발전적 시도들이 더욱 다양화 할 것으로 보여 어느 정도는 고무적이라 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이러한 분위기를 제대로 이어가면서 질적인 발전을 이루고자 한다면 정부와 각 대학들은 대학운영의 전체적 틀 속에서 체계적인 장애학생의 교육지원방안을 더욱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 우리나라 장애학생에 대한 고등교육정책의 법적 권리조항과 법제도적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장애학생들의 대학생활 및 지원관련 선행조사연구들을 기초로 주요지원 요인들을 도출함으로써, 장애대학생의 지원 실태를 요인별 분석ㆍ평가하였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 고등교육지원과 향후 정책변화를 모색하는 중요 요인들을 법ㆍ제도적 측면, 구조지원적 측면, 인적자원관리 측면, 평생교육 연계지원 측면, 그리고 인식제고 측면으로 새로이 도출하여 구체적인 발전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e higher education of adults with Disabilities since school age is an important step in the development of them, which is expansively made to produce the knowledge and value of school age, and prepare a self-supporting life from occupational and social life in the future. So the function and problem of edu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m have a significance of giving a socio-political chance which can lead a normal life, and support this by themselves by systematizing an educational rehabilitation a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 But the higher educational righ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support of occupational and socio-educational level based on this are not very enough in our country these days. Even so developmental attempts of the welfare and education for peoples with Disabilities in future will be more diversified by the recent enactment and revision of key laws related to the disabled, which can be a very bright situation to some extent. But to achieve qualitative development while well keeping this atmosphere, government and each college should more devise the systematic educational support plan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whole frame of college operatio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 of higher educational polic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t was to draw the support factor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ir college life and support, to analysis and value the support realities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종교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신태화,김해경,문상혁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3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population was selected for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impact of gender, religious type, self-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ligious tendency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non-Christian universities, and 27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religious orient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external and internal religious tendenc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external religious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y sub-factors of religious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non-Christian schools, and religious cases have relatively higher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종교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 종교의 유형, 기독교 대학교와 비기독교 대학교의 종교 성향에 따른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신앙생활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현재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선정하였으며, 27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연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성향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내재적 종교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종교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종교성향의 하위요인별 내재적 종교성향, 외재적 종교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독교 학교 학생들의 종교 활동기간이 비기독교 학생들보다 종교를 가진 기간이 긴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기독교 학교의 경우 비기독교 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종교가 있는 경우가 종교가 없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성향에 따라서 학생들의 진로상담 및 진로지도, 학교 교육 등에 의미 있는 함의와 정책적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사립대학의 재정과 납입금 정책에 관한 연구

        禹定基 慶星大學校 1993 論文集 Vol.1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financial problems in Korean priv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especially, in light of student tuition and fees, which are the major sources of instituional revenue. The study points out that the financial problems of the institutions are mainly ascribable to the weak supports from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Accordingly,students enrolled in priv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to pay higher tuition and fees in spite of relatively lover quality education in comparison with students in public institutions. The researcher holds the position that the high tuition policy based upon the beneficiary-pay principle is not relevant to higher education because the educational benefits should be regarded as social goods and the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should be equal regardless student's 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private economic sector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financial efforts for the private higher education, which is not for the shake of private on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