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북지역 퇴계 선생 설화와 공민왕 설화의 지역공동체 형성의 의미

        류명옥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嶺南學 Vol.- No.88

        본 연구는 경북지역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는 퇴계 선생 설화의 전승양상을 살펴보고, 같은 지역에 전승되는 공민왕 설화와 비교하여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퇴계 선생 설화의 전승양상을 살펴보면, 異人의 모습과 인간적이고 본성적인 모습, 도학자로서의 모습으로 부각되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경북지역에서는 도학자의 모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퇴계 선생의 학문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경북지역에서 이러한 면모가 두드러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부정적인 평가를 보이는 설화들도 있다. 특히 퇴계 선생 관련 설화의 경우 퇴계 선생 외에, 지역의 대표적 인물 전설인 공민왕 전설이 함께 전승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도학자의 인물과 역사적 인물이 함께 전승되는 지역의 경우 인물 전설의 다양한 면모를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인물에 대한 평가 역시 설화를 전승하는 전승자들의 사회·문화적인 요소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널리 알려진 인물의 인물전설이 한 지역에서 함께 전승될 때 설화 구연자들의 전승 의식을 살펴보아, 공동체 또는 지역문화를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승 의식에 담겨진 설화 구연자들의 인물에 대한 평가는 인물전설의 전승 연행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Toegye's folktales, which are highly regarded in the Gyeongbuk region, and to find meaning by comparing them with the folktales of King Gongmin passed down in the same region. Looking at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Toegye's folktales, they emerge as a distinguished character, human and natural, and Taoist figures. In particular, in the Gyeongbuk region, the appearance of a Taoist is prominent. It is natural that this aspect stands out in the Gyeongbuk reg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oegye's studies,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olktales that show negative evaluations. In particular, in areas that show a negative evaluation of Toegye, the legend of King Gongmin, a representative character legend in the region, is passed down together in addition to Toegye. In areas where both the figures of the scholar and the historical figures are passed down, it is important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various aspects of the character legen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f the successors who pass on the folktal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transmission consciousness of the folktales to see how they form a community or local culture when the person legend of a widely known character is passed down together in one area. Additionally, the character evaluation of the folktales contained in the transmission consciousness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possible to comprehend the context of the character legend's transmission performance.

      • KCI등재

        魚得江이 명명한 <山陰十二詠>의 문화공간

        김세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7

        魚得江(1470~1550)은 조선 전기 문학사적으로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룬 詩人의 한 사람이다. 평생의 저작을 담은 灌圃詩集 이 전하고 이에 주목한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그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어득강이 지은 한시에는 경영 및 중수를 기념해 지은 작품이 다수 확인된다. 이는 당대 시인의 명성을 바탕으로 대부분 요청 등에 의해 창작된 가능성이 높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측면에 주목하여 山陰縣監 시절 지은 <山陰十二詠>을 통해 어득강의 한시가 지닌 문화사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어득강의 <산음십이영>은 산음의 경물 12개를 대상으로 지은 연작시이다. 산음의 대표적인 山川‧樓亭‧古跡 등의 명승을 비롯하여 자신만의 기준을 바탕으로 주목한 공간을 제재로 삼았다. 이 글에서는 그중 <산음십이영>의 특징이 드러난 몇몇에 주목했다. 그 내용을 보면, 자신이 경영한 건물, 인근의 마을을 개명한 사례, 산음 일대 명승의 향유, 선현의 기록 전승 및 전파, 유허의 역사적 고증, 문화공간의 명명 등과 관련한 다양한 사례가 확인된다. <산음십이영>은 製錦堂 및 換鵞亭 등에 걸려 후대 문인들에 의해 거듭 차운되었고 산음 지역의 문화공간을 결정짓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회자되었다. 단지 하나의 작품이지만 어득강이 지닌 역사적 위상이 명확하게 드러남을 알 수 있다. 어득강의 저작이 지닌 가치는 <산음십이영>뿐만 아니라 여러 작품에서 고루 드러난다. 물론, 이는 개인의 시문에 집중하지 못한 한계를 내재하지만 역사에서 그를 기억해야 하는 당위성을 보이기에 충분하다. 향후 어득강의 연구가 더욱 다양한 방면에서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Eo, Deuk-Gang(1470-1550) is one of the poets who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is status can be confirmed through several preceding studies about a collection of Gwanposijip containing lifelong works. In particular, in the poem written by Eo, Deuk-Gang, many pieces are secured to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is is likely to have been created at the request of most of the poets of the time. In this article, we tried to confirm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Eo, Deuk-Gang's poems through <Saneumsipyiyoung(山陰十二詠)>, written during Sanumhyeongam(山陰縣監). Eo, Deuk-Gang's <Saneumsipyiyoung> is a series of poems written for 12 landscape objects of Saneum. In addition to scenic spots such as Saneum(山陰)'s representative nature(山川), Nujeong(樓亭), and Historical sites(古跡), the space he paid attention to based on his standards was used as a sanction. In this article, attention was paid to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Saneumsipyiyoung>. Looking at the contents, various cases related to the building he founded, changing name the nearby village, the enjoyment of a scenic spot in the Saneum area, the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of records of Seonhyeon(先賢), the historical history of remains, and the naming of cultural spaces are confirmed. <Saneumsipyiyoung> was repeatedly written by later writers due to Jegeumdang(製錦堂) and Hwanajeong(換鵞亭). It has been discussed as a representative work that determines the cultural space of the Saneum area. Although it is only one work, it can be seen that the historical status of Eo, Deuk-Gang is revealed. The value of Eo, Deuk-Gang's work is evenly revealed in several positions and <Saneumsipyiyoung>. Of course, although this is just one, it is sufficient to justify remembering him in history. I hope that Eo, Deuk-Gang's research will make progress in more diverse fields in the future.

      • KCI등재

        성주지역 금석문의 존재 양상과 성격

        정우락 ( Jeong Woo-ra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 No.

        본 연구는 성주지역에 전하는 금석문을 통해 이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간적 범위는 2018년 4월 현재의 행정구역인 10개의 읍면(邑面)으로 하고, 시간적 범위는 1945년 이전의 인물이나 사건으로 한다. 금석문의 종류로는 신도비(神道碑), 묘도비(墓道碑), 효열비(孝烈碑), 유허비(遺墟碑), 선정비(善政碑), 사적비(事蹟碑), 암각자(巖刻字)나 암각시(巖刻詩) 등으로 하고 묘갈(墓碣)은 생략하였다. 성주의 금석문은 정치와 행정의 심장부인 성주읍을 중심으로 건립되었는데, 건립 시기는 대체로 20세기 이후의 것이 대종을 이룬다. 그리고 성주 금석문은 암각자가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는 가운데, 지역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위업을 길이 전하거나 선조를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되는 경우가 많았다. 찬서자(撰書者) 역시 지역 인사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사실이 다양한 형태의 금석문을 통해 발현되는 바, 이를 통해 지역민들은 성주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강하게 느끼기도 했다. 성주 금석문에는 자연과 인간이 서로 교감하는 소통론적 세계관이 존재한다고 하겠는데, 산수와 인간이 등치(等値)의 관계를 이루면서 그들의 자긍심을 적극 드러내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강한 우정을 느끼며 바위에 이름을 새기기도 하고, 사림(士林)의 정신을 빗돌에 새겨 성주의 지성사적 흐름을 드높이기도 했다. 특히 효열(孝烈)이나 불망(不忘)의 공덕에 여성이 자주 등장한다는 측면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성주 문화사에 이들 여성이 적극 동참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 지역 문화의 한 특징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ocal culture of Seongju based on the epigraphs around the area. The space scope of the study covered ten eups and myeons contained within the current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ongju in April, 2018. The time scope included figures and events in the area before 1945. Epigraphs would be categorized into Sindobi, Myodobi, Hyoeolbi, Yuheobi, Seonjeongbi, Sajeokbi, Amgakja and Amgaksi with Myogal omitted. In Seongju, epigraphs were made around Seongju-eup, which was the center of its politics and administration, mainly after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Of epigraphs in Seongju, Amgakja recorded the widest distribution. Many of its epigraphs were made by local figures to commemorate their achievements or honor their ancestors. Most of the writers and calligraphers were also local figures. These facts were manifested in epigraphs of various forms and made local residents take huge pride as the people of Seongju. The epigraphs of Seongju reflected a relational world view, which signifies communication between nature and man. Landscape and man had equal value, which was depicted by their efforts to express their pride actively. In the process, they would feel strong friendship and engrave their names in rocks or carve the spirit of Confucian scholars in a monumental stone, thus enhancing the flow of intelligence history in Seongju. It is especially noteworthy that women made often appearances in the deeds of filial duty and continuing remembrance. Women'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ultural history of Seongju is one of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ulture.

      • KCI등재

        대구지역 누정제영시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의미

        최은주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ujeong(樓亭) in the Daegu area and to examine how the people of the time perceived the space through works created in specific Nujeong(樓亭). The reason why Nujeong(樓亭) was chosen as the target among literary creative spaces is because Nujeong(樓亭) that many people come and go are usually built in places with excellent scenery, and in these cases, they are often accompanied by a geographical environment such as a river. Since the space in literary works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humans, that is, the artist who created the work, it is revealed in various forms in the work. Therefore, it is a material that can vividly examine the perceptions and culture of the people of the day. Daegu has been the center of Gyeongsang-do since Gyeongsang Gamyeong was located in 1601. During this period, Daegu was not only able to function as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because it was the place where observers stayed, but it was also able to occupy a central position in that it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kdong River that penetrated Yeongnam to the north and south. In particular, the Nakdong River was said to be a large river in Yeongnam, and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ocal culture, such as the divis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Gyeongsang-do around this river. Therefore, looking at the pavilion formed around this river and the literary works created there is also an important meaning in understanding local culture. First, by looking at the Nujeong(樓亭) presented in the geography,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avilions in the Daegu area was grasped. Based on this, we tri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contemporary people through specific works targeting the Nujeong(樓亭) where jeyeong poetry(題詠詩) remain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Nujeong(樓亭) in the Daegu area were closely related to the name given by the owner and the place where the Nujeong(樓亭) were located while building the Nujeong(樓亭). In the case of a Nujeong(樓亭) built for a public purpose, the emotion created in the space called the Nujeong(樓亭) is often revealed similarly. Therefore, most of the romance sensibilities created through the enjoyment of nature are ca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lso a Nujeong(樓亭) where moral sensibility was created through the naming act containing the intention of the founder. Through this, the Nujeong(樓亭) in the Daegu area was recognized as a space where various characters visited and enjoyed beautiful arithmetic based on the circularity of the riverfront area, while strengthening the blood ties of the Hyangchon society and connecting academic and literary networks. 이 연구는 대구지역의 누정을 살펴보고, 특정한 누정 공간에서 창작된 작품들을 통해 당대인들이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던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문학생성공간 가운데 누정을 그 대상으로 삼은 것은 누정이 보통 경관이 빼어난 곳에 세워지며, 강이라는 지리적 환경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때 누정은 지리적 환경에 기반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가며, 문학작품 창작의 공간으로 기능하게 된다. 문학의 생성공간이자 문학작품 속 공간은 인간, 즉 작품을 창작한 작가의 체험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채 작품 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학작품들은 당대인의 인식과 문화를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대구는 1601년 경상감영이 자리한 이후 경상도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지역이다. 이 시기 대구는 관찰사가 머무는 곳이었기 때문에 행정의 중심으로 기능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영남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낙동강의 중류에 위치하였다는 점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낙동강은 『世宗實錄地理志』에서도 영남의 대천으로 일컬어졌으며, 이 강을 중심으로 경상도의 좌우가 구분되는 등 지역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따라서 이 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누정과 그곳에서 생성된 문학작품을 살펴보는 것은 지역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먼저 지리지에 제시되어 있는 누정을 살펴 대구지역 누정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영시가 남아 있는 누정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당대인의 인식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구지역의 누정들은 대체로 누정을 건립하면서 주인이 부여한 명칭을 비롯해 그 누정이 위치한 곳과 밀접한 관련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공적인 목적을 띠고 건립된 누정이 아닌 경우 누정이라는 공간에서 생성되는 감성을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연 속에서의 흥취를 통해 생성된 낭만감성이 주조를 이루는 것이 대부분이나, 건립자의 의도가 담긴 명명행위를 통해 도학감성이 생성된 누정도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구지역의 누정은 강안지역이 지닌 회통성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인물들이 방문하여 아름다운 산수를 즐기는 한편, 향촌사회의 혈연적 결속을 다지고 학문, 문학적 연계망을 이어가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 KCI등재

        한국 목간기록의 지식 정보 자원화 - 메타데이터 국제 記述 요소를 중심으로 -

        김경남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嶺南學 Vol.- No.88

        본고는 한국의 목간을 기록학적 관점에서 그 개념을 살펴보고, 메타데이터 국제 표준기술 요소를 설계하여, 역사기록으로서 지식 정보 자원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한 글이다. 이를 위해 목간기록을 디지털 데이터로 통합 관리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출처주의에 기반하여 기록물의 내용과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 기술요소를 국제 표준에 의해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따라서 목간을 기록물로 보고 디지털 방식으로 통합 정보자원화하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박물관에서 목간은 유물로서 다루어지고 있지만, 목간에 쓰여진 글자는 종이 기록이 많지 않았던 고대나 중세에 법제와 행정 등 문서나 수발기능을 하였다. 따라서 목간은 기록물로서 종이 기록물과 함께 다룰 때 완결성을 띤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목간 기록은 기록학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 목간의 총수는 약 1,100여 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 국내 박물관의 총합 채널인 e-뮤지엄에는 약 476건의 목간에 대하여 기술(記述, Description)하고 있다. 기술 요소는 기본적으로 명칭, 다른명칭, 국적/시대, 출토지, 분류, 재질, 크기, 소장품번호, 설명, 연관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정보만으로는 목간의 내용과 관련된 출처와 맥락 정보를 충분히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ISAD(G), NAK//RMMS 등의 국제 표준에 기반한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박물관 유물로서의 출토와 간단한 내용정보는 물론 고고학, 역사학계 등에서 연구된 정보를 활용하여 목간기록의 정보를 기술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대분류는 6개의 범주로 나누어 기술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목간의 디지털 지식 정보를 통합 체계로 만들어 냄으로써,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한국 목간의 지식 정보를 자원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handling of wooden tablets in existing museums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and examines the management practices. Based on provenance considerations, it proposes the design of metadata technical elements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to enabl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context of records. Drawing upon international standard technical elements such as ISAD(G), ISSAR, NAK/RMMS, it describes excavation details and contextual information related to wooden tablets, and categorizes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Korean wooden tablet archival materials into large, medium, and small classifications. Furthermore, it suggests subdividing the primary classification into six categories. Through these efforts, it presents a theoretical discussion on utilizing digital methods to digitize and resource wooden tablet records within museums, laying the groundwork for digital integration research on wooden tablet archival records across Korea, China, and Japan.

      • KCI등재

        신라 元聖王의 <身空 詞䐉歌>와 관련 설화의 역사적 이해

        이장웅 ( Lee Jang-wo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7

        <身空 詞䐉歌>의 배경 설화로 볼 수 있는 『三國遺事』 元聖大王條는 신라 下代를 개창하는 元聖王의 신화적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먼저 원성왕의 즉위 설화에는 天官寺의 우물과 北川(閼川)이 등장하고 있는 데, 이는 그가 신라 시조로부터 이어지는 上代의 의식을 이어받았다는 왕권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상징이다. 신라에서 우물은 시조 赫居世와 閼英과 같은 신성한 생명이 잉태된 곳으로, 水神인 용이 거주하거나 오고 가는 곳이었다. 閼川(北川)은 辰韓 6村 중 閼川 楊山村으로 6部 조상들이 모여 왕을 맞이하고자 회의했던 장소이며, 우물에서 태어난 혁거세와 알영이 東泉과 北川에서의 목욕이라는 통과 의례를 거쳐 신성한 인물로 재탄생하였다. 또한, 원성왕이 즉위하자 아버지 孝讓은 신라 中代 왕권의 계승자임을 보여주는 상징물인 萬波息笛을 전해주었고, 이로 인하여 일본의 신라 침략을 막았다. 이어 원성왕은 唐과의 외교를 원만하게 하면서, 왜소해진 중대 왕권을 상징하는 護國龍을 보호하고, 河西國 사람의 술수를 물리쳤다. 이는 그가 中代 무열왕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下代 왕권의 개척자라는 모습을 보여준다. 원성왕의 설화 속 신비한 모습은 역사적으로도 佛敎 寺院에 기초를 둔 경제적 기반, 저수지 축조 등의 治水 능력, 많은 災異 속에서도 몇가지 보이는 祥瑞 기록, 외교 관계 등을 통해 정치적·경제적·종교적으로 실체가 있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원성왕은 즉위 전부터 儒·佛·仙이 합쳐진 國仙처럼 종교적 성격을 가진 祭儀를 주관하였다. 그리고 鄕歌 중에서 집단의 결속과 천지 귀신을 감동시키는 영역에 속하는 <身空 詞䐉歌>라는 작품을 직접 지어 이를 제사 행위에서 演行한 인물이었다. The passage on King Wonseong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an be seen as the background narrative for the poem Singongsanoega. It vividly portrays the mythical image of King Wonseong, who is credited with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later stages of the Silla dynasty. The inaugural narrative of King Wonseong features both the well of Cheongwansa Temple and Bukcheon (Alcheon) Stream. These symbols signify the continuity of royal authority, demonstrating that the king inherited the rites of the early period that originated from the founder of Silla. In Silla, wells were considered sacred, where divine life, similar to revered figures like Hyeokgeose and Lady Aryeong, were believed to be conceived. Legends say that water deities, such as dragons, resided in or frequented these wells. Bukcheon (Alcheon) Stream of the Alcheon Yangsan Village served as the gathering place of the six ancestral tribes of the Jinhan confederacy, where they convened to welcome the king. The stream is where the legendary figures Hyukgeose and Lady Aryeong were reborn as sacred individuals through a ritual that involved bathing in the East Spring and the Bukcheon Stream. Furthermore, upon King Wonseong’s ascension to the throne, his father handed down the symbolic item known as Manpasikjeok (a pipe), signifying the continuity of royal authority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This event played a crucial role in preventing Japan’s invasion of Silla. In addition, by maintaining friendly ties with the Tang dynasty, King Wonseong protected the “Guardian Dragon,” a symbol of the diminished central authority of Silla, and thwarted the schemes of individuals from the state of Haseo. This illustrates that King Wonseong emerged as a pioneer of a new royal authority in the later period, one capable of addressing the challenges faced by the powerful middle-stage kingship of Silla during the King Muyeol era. The mystical portrayal of King Wonseong in the narratives is substantiated historically through his demonstrated abilities in politics, economy, and religion. This includes his foundation of an economic base rooted in Buddhist temples, his expertise in water management demonstrated in the construction of reservoirs, records of auspicious signs even in the face of numerous disasters, and his diplomatic relations. Even before his enthronement, King Wonseong presided over religious ceremonies that combined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resembling a divine ritual with a religious character akin to a hwarang or an elite warrior of the country. Moreover, he personally composed the work Singongsanoega, which belongs to the category of “hometown songs.” This piece falls into the realm of moving the spirits of heaven and earth, fostering unity within the community. He performed this composition during ritual ceremonies.

      • KCI등재

        惺齋 琴蘭秀의 心齋의 추구와 그 의미

        신소윤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嶺南學 Vol.- No.88

        본고는 惺齋 琴蘭秀의 마음공부와 이러한 학문적 노력이 시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마음공부와 그 시문학이 지닌 의미를 밝힘으로써 성재를 종합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성재는 退溪의 문인으로, 24세 때부터 『心經』을 접하며 마음공부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마음공부에 있어서 敬을 중시했는데, 특히 顏淵의 ‘心齋’를 닮고자 노력했다. 심재의 마음 상태를 지향하며 虛心을 유지하기 위해 경을 통한 ‘고요함’의 확보와 ‘조장하지 않는[勿助長]’ 태도를 강조했다. 성재는 꾸준히 일상에서도 마음공부를 도모했으므로, 그의 시에 이에 대한 노력과 성취를 찾아볼 수 있다. 시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本然之性을 회복하기 위해 비어있으면서도 고요한[虛靜] 상태를 지향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심재의 마음으로 자연을 관조하며 興趣를 느끼는 것이다. 전자는 마음공부의 실천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면, 후자는 마음공부가 體化되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그 안에 내재된 즐거움을 나타낸다. 한편, 성재의 마음공부와 그 시문학이 지닌 의미로서, 현실 인식과 대응 문제를 주목하였다. 성재는 다양한 일상에 관심을 가졌으며, 자신이 마주한 현실에 대하여 도학적 이념을 실천하는 것으로 대응하고자 했다. 즉, 성재는 도학적 세계관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 것인데, 그 이면에는 실천과 自得이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ungjae's mind study and how these academic efforts were embodied in poetry. In addition, I tri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Sungjae by revealing the meaning of mind study and its poetry literature. Sungjae is a writer of Toegye(退溪) and has been interested in studying his mind since he was 24 years old. He emphasized Gyeong(敬) in studying the mind, especially trying to resemble the "Shimjae(心齋)" of Anyeon(顏淵). He maintained his heart by emphasizing the securing of "silence" through Gyeong(敬) and emphasized an "unpromising[勿助長]" attitude. Sungjae steadily promoted mental study in his daily life, so he can find effort and achievement in his poetry. Poetry is largely divided into two aspects. One is to pursue a Hujung (虛靜) state in order to restore Bonyonjisong(本然之性) and the other is to see nature with the heart of Shimjae and feel pleasure. The former shows an active practice of mind study, while the latter shows the joy inherent in it, although it is embodied. On the other hand, as the meaning of Sungjae's mind study and its poetry literature, the problem of reality recognition and response was noted. He had interested in various things, and wanted to respond to the reality of reality. In other words, Sungjae made an effort to realize a moral worldview, and behind it, it can be seen that practice and self-satisfaction(自得) work importantly.

      • KCI등재

        한시로 그려 낸 19세기 남계서원의 풍경

        이미진 ( Lee Mi-j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7

        경남 함양은 북인 계열의 南冥 曺植(1501~1572) 문인들의 주요 활동지역이자, 인조반정을 전후하여 서인과 남인의 개입으로 다양한 당파가 공존한 곳이라는 점 등에서 학문·정치사적으로 의미 있는 지역이다. 함양 수동면 원평리에 자리한 藍溪書院은 잘 알려져 있듯 一蠹 鄭汝昌(1450~1504)의 학덕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이다. 남계서원은 건립 시기를 전후하여 북인계 서원의 모습을 보이다가 桐溪 鄭蘊 배향을 즈음하여 남인화를 도모한 이후, 무신란 이후 하동 정씨를 중심으로 서인계가 득세하였고, 이후 京院長 제도의 도입을 통해 노론계 서원으로의 전환에 가속화 단계를 밟는 등 서원 운영 주체가 여러 번 교체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기존 논의에 대한 구체적인 실상을 문집에 수록된 남계서원에 대한 한시를 통해 살펴 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그 결과 19세기 이후 남계서원을 그려낸 한시 작가군의 대부분은 주로 강우 지역의 인사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영·호남 지역의 노사학파·한주학파 계열 인물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던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상은 19세기 이후 남계서원이 당색을 막론하고 영·호남 인사들의 공존공간이자, 강우 지역 지식인들의 학술 교류의 구심점이면서, 한말 유학자들이 유학의 부흥을 염원하는 공간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Hamyang, South Gyeongsang Province, is a significant area in academic and political history in that it is a major activity area for writers of Nammyeong Josik (1501~1572) and a place where various factions coexisted due to the intervention of Seoin and Namin around the time of King Injo's Rebellion. Namgyeseowon Confucian Academy, located in Hamyang, is a space designed to commemorate 'Ildu Jeongyeochang (1450~1504)' as it is well known. Namgyeseowon Confucian Academy showed the appearance of Bukingyeseowon Confucian Academy around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and then promoted Naminhwa by oriented to 'Donggye Jeongon', and after Mushinran, Seoingye prevailed around Jeong clan in Ha-dong, and after that, the subject of the operation of the Confucian Academy was changed several times, such as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 Noronseowon Confucian Academ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Gyeongwonjang system'. In order to examine the concrete reality of these existing discus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hinese poems about Namgyeseowon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writers of Chinese poetry who have drawn Namgyeseowon since the 19th century are mainly composed of 'rainfall local figures', especially the characters of Nosahakpa and Hanjuhakpa in Yeongnam ,Honam area.This fact can be said to show that since the 19th century, Namgyeseowon Confucian Academy has been a space for coexistence of various schools regardless of color, a center of academic exchanges among intellectuals in the rainfall area, and a space where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shed to revive Confucianism.

      • KCI등재

        정원을 통해 본 영남선비의 思惟樣式과 價値志向 -연못을 중심으로-

        윤호진 ( Ho Jin Yu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8

        We looked through how scholars thought about their ponds, and what values they pursued. Gardens were only parts of their living spaces, but could represent features of living spaces and life styles of the scholars who expressed themselves through organised beautiful plants grew around the ponds inside the gardens. Yeongnam scholars had their exceptional features, comparing with other areas` scholars and they also had their distinctions about gardens and ponds. However, in the respect of general perspectives of ponds, it was not easy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There were no distinguishable difference in the respect of appreciations of planted flowers and trees around the ponds. On the other hand, in the respect of valuation of ponds and plants, there were contrasting aspects between them. Firstly, comparing with other scholars Yeongnam scholars sang a lot about ponds and environed plants watching Suck Ga Mountain. Probably, they lived far away from hometowns so that it was natural they missed their hometowns watching Suck Ga Mountain. Secondly, Yeongnam scholars showing their values through ponds` lotus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areas. Expecially, after Yi Huang made Jung Wu Dang and wrote about lotus the concept that lotus is a friend of noble men was natural among Yeongnam scholars. Finally, Yeongnam scholars thought that a lake is a mirror which reflects mental states, and tried to develop themselves mentally. After Yi Huang read ``Bang Dang Poem he wrote many poems and continuously deliberated them with his students. Moreover, he digged a lake and named it Guang Yung Dang. This story influenced Yeongnam scholars and the other areas` scholars also. Particularly, a contemporary scholar, Yi Yick, showing enormous interest in this represent the trend at that time. Like above Yeongnam scholars were mostly similar with other scholars, but their perspectives and appreciations were little bit different from other scholars. Yeongnam scholars were very active expressing their values through objects.

      • KCI등재

        신라 헌덕왕대 副君의 성격과 貞嬌夫人 - 김헌창의 亂과 관련하여 -

        김목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嶺南學 Vol.- No.88

        新羅 東宮은 지속적인 발굴 성과와 함께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신라 동궁의 성격과 관련하여, 현재 동궁과 月池宮과의 관계에 대하여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바,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궁과 월지궁과의 관계에 있어 중요한 주제인 副君 秀宗과 太子와의 관계, 太子妃 貞嬌의 혼인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부군의 성격은 憲德王이 자칭하였던 副王과 동일한 것으로, 차기 왕위계승권자인 태자를 의미하는 것이며, 정교는 헌덕왕의 次妃로서 맞이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는 모두 김헌창의 亂과 관련되었다고 하겠다. 수종을 부군으로 삼은 것이 그 난이 신속히 진압되는 이유 중의 하나로 귀결되었고, 그 난에 대한 사후 대응책으로 忠恭의 딸 정교부인을 헌덕왕의 차비로 맞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종을 부군으로 삼았던 이유는 수종이 上大等을 역임하였고, 부왕의 사례를 遵用하였던 것이다. 부왕은 헌덕왕이, 그 자신이 왕위계승권자의 지위로 있었음을 공식화시키기 위하여 새로이 만들었던 지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태자의 거소 공간을 포함한 더 넓은 의미인 ‘國王의 동쪽 宮闕’로 변화된 동궁인 월지궁에 부군 수종이 入宮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헌덕왕이 정교를 차비로 맞이한 것은 哀莊王대부터 興德王대까지 정치를 주도하였으며 유력 權力者들의 丈人이었던 충공의 子女였다는 점이다. 이는 王權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였던 대책이었으며, 김헌창의 亂에 功이 있는 충공에 대한 論功行賞의 의미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부군 수종의 월지궁 입궁, 정교의 혼인 문제 등을 이유로 인하여 동궁과 월지궁이 서로 다르다는 견해는 타당하지 않다고 하겠다. Silla’s Donggung Palace (東宮, Crown Prince’s Palace or, literally, East Palace)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scholars over the years, aided by the continued archaeological achievements in the area. Controversy continues over the nature of Donggu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lace and Woljigung Palace(月池宮, Moon Pond Palace)). As such, this study discusses important topic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gung and Woljigung,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gun Sujong(副君 秀宗) and the crown prince, as well as the marriage of 太子妃(Crown Princess) Jeonggyo(貞嬌). Bugun (副君, vice king) has the same meaning as buwang (副王), a title self-proclaimed by King Heondeok (憲德王). Both terms refer to the crown prince (太子, taeja), the first heir to the throne. Therefore, Jeonggyo married King Heondeok as his chabi (次妃, consort). These are related to the Rebellion of Kim Heon-chang. One of the reasons why the rebellion was quickly suppressed was that Sujong was appointed as bugun, and King Heongdeok married Lady Jeonggyo (Chunggong (忠恭)’s daughter) as his consort as a follow-up measure. Sujong was appointed as bugun because he served as Sangdaedeung (上大等, the highest government official of Silla). For this reason, following the precedent of buwang, he created a new position, bugun, to officially declare that he is the heir to the throne. It seems to be the reason why Bugun Sujong moved to Woljigung, which was a Donggung in a broader sense, which includes the crown prince’s residence as well as a palace east of the king. King Heondeok married Jeonggyo as his consort because she was the child of Chunggong, who led Silla’s politics from King Aejang to King Heungdeok and had his daughters marry prominent figures. The marriage was intended as a measure to secure the king’s power, as well as a reward for Chunggong’s contribution to ending the Rebellion of Kim Heon-chang. Therefore, we cannot reasonably claim that Donggung and Woljigung are two different palaces on the ground of Sujong’s relocation to Woljigung and the marriage issue of Jeonggyo. All of these elements appear to be related to the precaution and follow-up measures against the Rebellion of Kim Heon-ch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