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 교원양성기관의 부설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영,강남희,하헌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4

        본 연구는 IB 학교 교사가 실천하는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IB 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IB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특징, IB MYP Unit Plan(템플릿의 구조)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구조와 지향점을 백워드 설계와의 연계성 속에서 밝혔다. 그리고 중등교사양성기관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IB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을 사례를 통해 수업과 평가상의 실행 변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구성주의 관점에서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의 탐구 사이클의 공통적 지향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IB MYP 수업 실행의 변화를 수업과 평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탐구중심 수업, 학습자 주도성의 강화, 현행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IB 평가 목표의 연결, 교육과정 혁신가의 관점에서 설계, 일반화와 전이 가능한 학습 실행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B 교육과정의 공교육 도입 사례를 통해, 향후 IB 학교 단계별 지원 강화, 이해를 통한 전이를 추구하는 IBEC 프로그램을 통한 IB 교사 교육 강화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of IB school teachers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IB education based on this.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B curriculum and the IB MYP Unit Plan (structure of the template) were analyzed, and these structures and directions were linked to the Backward Design. In addi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s affiliated with KNU's Teachers College, the reconstruction plan of the IB Curriculum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mmon direction of the backward design and the inquiry cycle of the IB Curriculum was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changes in IB MYP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class and evaluation. It emphasized inquiry-oriented classes, strengthening learner initiative, linking current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ith IB evaluation goals, and designing, generalizing, and transferabl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innovators. Therefore, through the ca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IB curriculum into public education, we have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strengthening support at each level of the IB school in the future, and strengthening IB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IBEC program, which seeks transfer through understanding.

      • KCI등재

        학교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인성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영향관계

        김익형,김창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3

        본 연구는 대학교육수요자의 감소와 교육시장의 개방, 대학환경의 변화 속에서 대학의 생존전략을 위한 대학 교육행정서비스 질을 어떻게 제고할 것인가를 모색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교육행정서비스, 학생들의 교육행정서비스만족과 학교생활만족, 인성에 대한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교육행정서비스 대상인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북도의 4년제 대학 4개소와 전문대학 4개소 총 8개 대학의 대학생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인성의 영향력이 부분적으로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는 인성과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감 사이의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도 간에 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지원 선호도가 떨어지는 지방대학, 또는 지역적, 환경적여건으로 신입생 확보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 곧 신입생 감소와 학교재정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대학의 부실화를 불러올 수 있다. 이에 대학은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질 높은 교육행정서비스와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2021~2022년 언론 보도 분석을 통한 정권의 변화와 고교학점제 담론 양상

        지미영,강주현,김수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1

        권이 바뀜에 따른 각 교육 계층의 이슈와 교육적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언론 보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페어클로가 제시한 비판적 담론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언론보도에 나타난 고교학점제의 주요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 사이트를 이용하여 대표진보언론인 <한겨례신문>과 대표보수언론인 <조선일보>, 4개 대표방송사 <MBC, KBS, SBS, YTN>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언론보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2021년 7월~12월과 2022년7월~12월로 조건을 두었다. 그 연구 결과로 첫째, 2021년과 2022년로 변화되며 나타난 교육계 사회적 이슈는 코로나19로부터의 정상 수업, 국가 정권의 변화와 보수 교육감의 높아진 비중으로 인한 고교학점제 운영에 관한 것이었다. 이 중 성취도 평가과 절대평가에 대한 논란이 큰 흐름의 중심에 있었다. 둘째, 정권이 바뀌면서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특히 초등학교에서부터 중학교, 고등학교에 거쳐 진로의 연계성이 강조되었다. 셋째, 2021년과 2022년의 각 교육부와 교육청의 입장에서 고교학점제의 시행은 그대로 실시될 것으로 보였다. 넷째, 언론에서는 대중에게 고교학점제에 대한 내용, 진행과정, 비판적 내용, 긍정적인 내용을 모두 소개하고 있었다. 이 연구로 언론이 국민들에게 국가교육정책 알림 역할을 함과 그 내용으로 정권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변화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공급자 위주의 보도가 이루어질 뿐 학습자 중심에 선 보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 KCI등재

        기초 일본어교수법 연구 : 귀납적 교수법의 효과에 대하여

        김원미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한국에서의 오래된 일본어교육사에 비해 일본어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특히 제7차 교육과정 중인 중?고등학교, 그리고 일반대학 등에서 현장 활용이 가능한 교수법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더욱이 영어권 화자가 아닌 한국어화자를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수 테크닉에 관한 연구는 그 예가 적어 교사들을 7차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는 교육테크닉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교육 현장에서 교 · 강사들이 갖는 고민과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는 교수테크닉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고충 해결책으로써 인지주의 교수법의 연역법과 자연주의법의 흐름을 이어받는 귀납법을 교수테크닉의 중대 관점으로 간주하고, 일본어 동사 교수시의 기준 테크닉으로 취급하여 실험하였다. 양 교수법의 차이는 언어교육테크닉 중 언어의 틀을 먼저 가르칠 것인가 아니면 예를 많이 들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그 틀을 유추해내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차이이다. 연구결과로는 귀납법이 학생들에게는 비교적 알기 쉽고 흥미로운 방법이라는 것이다. 언어교육에서 중요 관점 중 하나가 학습자의 배경인 이상, 일본어교육현장에서는 한국어화자에게 적합하며 효과적인 테크닉이 존재해야한다고 생각한다. 현재로는 설문조사의 결과로도 알 수 있듯이 학문과 현장을 이어주는 하나의 통로로써 교수테크닉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된 시점에 와 있다고 생각된다. Considering the long history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the research on Japanese educational methods is not done as active. Especially the educational method study that can be exercis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seventh revision of education curriculum and in the universities, is even more unsatisfactory. Moreover,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for the students who use korean, not English as their first language, is even hard to find. Because of this fact, teachers in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are finding difficulties exercising the educational technique that is right for the seventh education process. In the research, I explored the difficulties that the teachers experi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the technique of teaching was the field of most interest. To find the resolution to this problem, I considered the deductive way of the cognitive teaching method and the inductive way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natural method of teaching to be the main point which I must focus on, and also a standard teaching method in educating verb of japanese language. The difference of these two educational methods is whether it teaches the students to learn the framework of the language first, or it induces the students to find out the framework by proving them with as many examples as possible.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that the inductive method is more easily accessible, and interesting for the student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important focus of language education is the background of the student, it is crucial that there is a effective educational technique for students of japanese language who use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As seen in the survey, to connect the teaching field and the academic research,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on the teaching technique takes on an important role.

      • KCI등재

        웹을 활용한 시조 창작교육의 모형과 실제

        김문기,김창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how to educate creating a Sijo by using the Web that fits the education paradigm at the ag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the 21C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and utilize creatively what we need among a huge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eb-Based instruction, which can improve the meaningfulness of learning using several advantages of web, is consider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educational methods as well. Being linked with the needs of the times, the necessity of creating education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under discussion. When creating Sijo,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educat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reating Sijo. Principles of creating Sijo investigates the preceding research regarding the form structure and the meaning structure of Sijo and propose patterns of the form structure and the meaning structure of Sijo. And it investigated the existing model of Sijo creating education, it applies the principal of creating Sijo to the Genre -Centered Composition Teaching and it proposed the new model of Sijo creating education. When embodying this from web to, in advance maked story -board and embodied from web with this. Web site divide into three branch according to character of the menu : process of creation Sijo of principal studying contents, web resources, communication tool. Web-Based Sijo creative writing education did to be possible Sijo creation ability extension and appreciation ability improvement, affirmative internalization of Sijo genre because of strong point of Web.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전통윤리' 에 대한 체계적 분석 및 평가

        장승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2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 '윤리' 교과는 국민 기초 공통 과목인 '도덕'과 일반 선택 과목인 '시민윤리', 그리고 심화 선택 과목인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로 분화되었다. '전통윤리'는 선택 중심의 교육과정이라는 요구에서, '윤리 과목의 본질적 목표'와 '국가·사회적 요구'라는 필요성에 의해 개설되었다. 한국의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덕·윤리적 위기 해결 방안을 '전통적 가치'에서 찾고자 한 것이었다. 또 청소년들의 서구 지향적 가치관 편향에 대해 '한국의 전통적 혼과 정신'을 강조하기 위한 윤리 교육적 필요에 의한 것이기도 하였다. '전통윤리'는 새로운 선택 교과로 '윤리의 실제성'과 '한국적 주체성'의 확립을 목표로 하였다. 전자가 6차 교육과정 '윤리'에 대한 반작용이라면, 후자는 서구 중심 윤리교육에 대한 '반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실제 '전통윤리' 교과서는 이러한 '윤리적 실제성'과 '한국적 주체성' 확립을 제대로 반영하였으며, 현장에서는 이에 맞게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전통윤리'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체계, 방법 및 평가의 특성을 살펴보고, 교과서와 관련하여 집필 과정, 체제와 내용, 방법 및 평가에 대해 분석하고, 제반 문제점을 집어 보았다. 내용에서는 ① 학문적 합의 문제 ② 내용의 일관성 문제 ③ 중복의 문제, 교수방법과 평가에서는 ① 수능 평가의 문제 ② 교수 방법의 문제 ③ 교육적 효과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21세기 문명한 추세로 세계화는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이 조화를 추구하며, 이는 한국적 특수성을 통해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윤리'는 7차 교육과정의 시행착오를 통해 새롭게 거듭나서 한국 청소년들의 가치관과 민족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전통윤리' 교과에 대한 냉정한 비판과 대안 모색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Ethics' in high school was divided into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in common curriculum, 'Civil Ethics' as a basic elective subject, and 'Ethics and Ideal' and 'Traditional Ethics' as in-depth elective subjects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raditional Ethics' was set due to the stream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and the necessity of essential goal of 'ethics' and national, social demand. In other words, the reason to select 'Traditional Ethics' is the answers to handle the morally and ethically critical situation such as loss of value and rule violation caused by Korean rapid industrialization could be found in 'traditional value'. Also 'Traditional Ethics' harmonizes teenagers' westernized values with Korean traditional soul and spirit. 'Traditional Ethics' (which was not a existing subject in the past) as the very new elective subject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reality of ethics' and 'Korean identity.' The former is reaction to 'Ethics'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latter is 'reaction' to western-centered ethical education. If so, dose the real 'Traditional Ethics' reflects the establishment of 'reality of ethics' and 'Korean identity'? Also, was 'Traditional Ethics' taught for these goals on the real educational scene? Analysis on characters, goals, systems, methods and evaluations which are based on 'Traditional Ethics' derives from these issues. Analysis on process of writing, system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will be dealed with. Through this analysis, some problems of textbooks to deal with is proposed. As a aspect of contents of textbooks; there are some problems about ① academic agreement, ② coherence of contents, and ③ overlapping. As a aspect of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there are some problems about ①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② teaching methods, and ③ educational effect on teenagers. These problems will be analyzed in this dissertation. 'Traditional Ethics'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Korean youth's values and national identity through trial and error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s dissertation will propose the new alternative plans through criticism from 'Traditional Ethics'.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을 통한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 : 학습자 특성, 교육과정 특성, 상황적 특성, 학습을 중심으로

        현영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1

        예비중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은 ‘필수적’이지만, ‘형식적’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형식적’이라는 비판은 교육현장실습이 현장성 높은 지식 획득과 활용이라는 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현장실습을 통하여 학습한 것을 활용하는 학습전이에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 후 학습자 특성(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교육과정 특성(동일구성요소, 자극변산성), 상황적 특성(교육현장실습 교사의 지원,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 학습이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에 참가한 대구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427부의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현장실습교사의 지원과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은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가장 강하게 주는 변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도 예비중등교사의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였다. 셋째, 교육과정 특성 중 동일구성요소는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준 반면, 학습전이에 대한 자극변산성의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임유하,신주연,김진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2 중등교육연구 Vol.70 No.4

        본 연구는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분석, 전문가 협의와 현직교사 심층 인터뷰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지수(CVI)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정서역량 최종 측정도구는 8요인 3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인 구성요인은 개인차원(정서조절, 정서인식, 긍정성, 정서이해 및 평가)과 조직차원(의사소통, 조직정서이해, 조직문화이해, 긍정적분위기형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의 내적합치도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는 한국판 정서지능척도, 사회정서역량 척도, 교사 심리적 웰빙 척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등교사 정서역량 측정도구는 양호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후속연구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근대계몽기 국어교과의 성립 과정 연구

        허재영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이 글은 근대계몽기(1880~1910)의 국어교과 성립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진 글이다. 교과교육이 성립된 시기는 1895년 소학령과 1899년 중학교령에서부터이다. 그러나 1880년대 『한성주보』 및 개화사상가들의 상소문 등에서는 근대식 교육 제도의 도입과 교과교육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체계적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었고, 갑오경장 이후로는 근대식 학제가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 근대식 학제 아래에서의 교과목은 주로 실용과목 중심이었다. 이는 각종 논설류나 학교 시행규칙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개화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가 실용주의에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학제의 도입을 뒷받침할 만한 경험적 토대도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학제 도입, 학교 설립, 교과목 설치 등이 체계적일 수 없었고, 따라서 교육 내용과 교수 학습 방법 등도 초기의 상태를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1900년대를 지나면서, 근대식 교육 이론의 도입이나 교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새로운 교육의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 시기는 통감시대의 학정잠식이라는 시대적 한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고려한다 할지라도 국어교과가 공식적으로 등장하는 과정은 국어교과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일로 평가된다. 이는 국문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이 글은 ‘교과의 필요성과 국문의 실용성을 인식했던 시기(1880~1895)’, ‘독서 · 작문 · 습자라는 교과목이 존재했던 시기(1895~1905)’, ‘국어교과가 등장했던 시기(1906~1910)’,으로 시대를 세분하고, 그 과정에서 교과론의 전개 양상, 국문 인식의 변화, 국어교과의 변천을 살폈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ed the history of established to Korean Subject in Enlightenment of Modern Recent Time(EMRT). In this time, civilization thinkers recognized the needs of educational system and the course of study. For example, PARK YOUNG HYO(박영효) appealed the needs of Korean education in school. But in this time, Korean government couldn't established school system. In 1895, Korean government promulgated to the rules of Educational Principles, so called ‘Kyo-Yuk Ip-Kuk Jo-Sed(교육입국조사)’ and the law of elementary school system(So-Hakgyo Ryeong : 소학교령). In 1899, the government promulgated the law of middle school system(Jung-Hakgyo Ryeong : 중학교령). The government promulgated these management principles of these school system, so called ‘So-Hakgyo Si-Haeng Gyu-Chik(중학교 시행 규칙)’. In these management principle, Korean subject was not founded, but we founded Dok-Seo(독서 : reading), Jak-Mun(작문 : writing), Se-Beop(서법 : the study of letters). But in this time, Korean enlightenment thinkers wrote many articles of importance of Korean. In 1906, Government promulgated Bo-Thong Hak-Gyo Ryeong(보통학교령) and Go-Dung Hak-Gyo Ryeong(고등학교령). The Subject of Korean established in these management of two Hak-Gyo Ryeong. The field of Korean constructed of Dok-Beop(독법 : the method of reading), Cheol-Beop(철법 : the method of writing) Se-Beop(서법 : the method of letters). In this time, Korean thinkers introduced scientific pedagogy, linguistics and the course study. For example, RYU GUN(류근, 1906), JANG EUNG-JIN(장웅진, 1907), JEONG YOUNG THAK(정영택, 1908) introduced these science. In 1910, Hak-Bu(the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ed the textbook of educational subject. The name of this textbooks was Bo-Thong Gyo-Yuk-Hak(보통교육학). We could found the changing shape of subject, and teaching method. But these changing were not meaned development, because in this time we were interfered by colonial power, so called Thong-Gam Bu(통감부).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탐구

        이윤복,이지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2

        최근,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증가와 이를 기반으로 한 학교 현장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관점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현황, 문제점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워드 프로세서와 Nvivo 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6가지의 주요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과 도입에 대한 공감. 둘째, 현재 학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시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가능성이 충분함. 넷째, 교육과정 디자이너로서 교사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음. 다섯째, 통합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의 적용 가능함. 여섯째, 교사 연수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진정한 이해를 실현하는 교실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