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약의 구약 사용의 설교학적 적용

        문광삼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5 No.-

        신약 저자들은 청중들에게 탄탄한 성경적 근거를 기반으로 적실한 설교를 하는 해석자요 설교 자였다. 본 연구는 신약 저자들이 구약을 사용하는 해석학적 전제와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를 통 해 오늘날 설교자들에게 필요한 해석학적, 방법론적 적용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가지 단계를 걸쳐 논지를 진행한다. 첫째, 신약의 구약 사용의 해석학적 전제가 되 는 신약과 구약의 관계에 대한 4가지 견해(본질적인 성경으로서의 신약, 동등한 기독교 경전으로 서의 구약과 신약, 본질적인 성경으로서의 구약, 하나의 구원사로서의 구약과 신약)를 평가하고 종합하여 상호보완적이며 균형 잡힌 관점이 중요함을 제시한다. 둘째, 신약의 구약 사용의 방법론에 대한 6가지 견해를 살펴보고(역사적-문법적 접근, 정경적 접근, 구속사적 접근, 문화적 접근, 그리스도 완결적 접근, 문학적 접근), 1세기 유대인의 구약 사용 방법(미드라쉬, 페쉐르)과 신약 저자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신약 저자들의 해석학적 전제와 방법론의 구분을 제안하고, 종합적 방법론의 요구를 피력 하며, 신약의 구약 사용의 그리스도 중심성을 소 결론으로 제시할 것이다. 셋째, 신약 저자들의 해석학적 전제와 방법론이 오늘날 설교자의 해석과 설교 방법에 주는 적 용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교를 위한 해석학적 적용으로는 해석학의 목적으로서 그리스도 완결 적 관점이 주는 유익과 함께 해석의 방법으로서 해석학적 평형이 주는 유익을 고찰할 것이다. 또 한, 신약 저자들이 구약을 사용한 방법론적 적용으로서, 21세기 설교자와 청중들에게도 적실할 수 있는 세 가지 설교 방법(상호텍스트성을 고려한 설교,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 뉴 레토릭 상황 화적 설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약의 저자들은 1세기 유대인이었지만, 유대인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으로 살았다. 본 연구는 신약 저자들이 구약을 사용하는 해석학적 전제에 있어서는 확고한 통일성을 가지지만, 각 구절을 사용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다양성이 있음을 인정하자고 제안한다. 그들은 1세기 유대인으로서 그 시대의 문화의 옷을 입은 자답게, 유대인들이 구약을 해석하는 방법을 거부감 없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신약 저자들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 사건으로 말미암아, 계시의 성취와 완성을 보았기에, 그리스도 완결적 관점에서 구약을 새롭게 읽는 해석학적 전제를 가지게 되었다. 이것 이 그리스도인으로서 구약을 사용하는 신약 저자들의 해석학적 독특성인 것이다. 나아가 신약의 저자들은 그리스도를 증언하는 본문으로서 구약을 사용할 때, 단순히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 안에서 구약 문맥을 그대로 전하지 않았다. 그들은 그레코-로만 사회를 살아가는 이 방인 그리스도인들에게 복음 안에서 구약을 상황화하여 설득력 있게 제시했다. 이는 신약의 구약 사용이 단순히 해석학적 전제와 방법론이라는 차원을 넘어 선교적 구약 사용이라는 또 다른 시각 을 열어 주고 있다. 오늘날 설교자들은 신약 저자들의 해석학적 전제를 본받아 구약과 신약을 하나의 정경으로써,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언약이요, 절정에 이른 이야기로 보아야 한다. 이러한 그리스도 완결적 해석은 설교자의 전제가 되어, 오늘날 청중들에게 택한 본문의 의미를 정경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신약 저자들의 다양한 방법론은 오늘날 설교자가 역사적-문법적이라는 하나 의 방법론에 국한하여 본문을 해석하려는 닫힌 사고를 열어 준다. 설교자는 본문을 해석하는 방 법에 있어서 해석학적 평형의 입장에 서서, 겸손과 확신의 해석학을 추구해야 한다. The New Testament authors were interpreters and preachers who delivered appropriate sermons to their audiences based on solid biblical evidence. This study examines the hermeneutical premise and methodologies used by New Testament authors in using the Old Testament, and through this, seeks to suggest hermeneutical and methodological applications necessary for today's preachers. This study proceeds through three stages. First, four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Testament and the Old Testament, which are the hermeneutical prerequisites for the use of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Testament (the New Testament as the essential Bible, the Old and New Testaments as equal Christian scriptures, the Old Testament as the essential Bible, and the Old and New Testament as a single history of salvation) By evaluating and synthesizing, we suggest that complementary and balanced perspectives are important. Second, we look at six views on the methodology of the New Testament's use of the Old Testament (historical-grammatical approach, canonical approach, redemptive-historical approach, cultural approach, Christotelic approach, and literary approach), and examine how first-century Jews used the Old Testament (Midrash, Pesher) We will look 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nd the New Testament authors. Based on this study, we will propose a distinction between the hermeneutical premise and methodologies of the New Testament authors, expres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methodology, and present the Christ-centeredness of the New Testament's use of the Old Testament as a conclusion. Thir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application of the hermeneutical premises and methodology of the New Testament authors to the interpretation and preaching methods of today's preachers. In terms of hermeneutical application for preaching, we will examine the benefits of the Christotelic perspective as the purpose of hermeneutics and the benefits of hermeneutical equilibrium as a method of interpretation. In addition, as a methodological application of the New Testament authors' use of the Old Testament, we would like to present three preaching methods (Sermons Considering Intertextuality, Christ-centered Preaching, and New Rhetoric Contextualized Preaching) that are suitable for 21st century preachers and audiences. The authors of the New Testament were first-century Jews, but they lived as Christians, not Jews. This study proposes to recognize that although the New Testament authors have a firm unity in the hermeneutical premise of using the Old Testament, there is diversity in the way they use each passage. As first-century Jews, they wore the culture of that time and used the Jewish method of interpreting the Old Testament without hesitation. However, because the New Testament authors saw the fulfillment and completion of revelation through Christ's death on the cross and resurrection, they had the hermeneutical premise of reading the Old Testament anew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otelic. This is the hermeneutical uniqueness of the New Testament authors who use the Old Testament as Christians. Furthermore, when the New Testament authors used the Old Testament as a text testifying to Christ, they did not simply convey the Old Testament context within Jewish history and culture. They contextualized the Old Testament within the gospel and presented it persuasively to Gentile Christians living in Greco-Roman society. This opens another perspective in which the New Testament's use of the Old Testament goes beyond the level of simply hermeneutical premises and methodology and is a missionary use of the Old Testament. Preachers today should follow the hermeneutical premise of the New Testament authors and view the Old and New Testaments as one canon, a covenant fulfilled in Christ, and a story that has reached its climax. This Christotelic hermeneutics becomes the premise of the preacher, allowing today's audienc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elected text at a canonical level. Additionally, the diverse methodologies of the New Testament authors open up the closed mindset of today's preachers who try to interpret the text limited to a single historical-grammatical methodology. The preacher must stand in the position of hermeneutical equilibrium in how to interpret the text and pursue a hermeneutics of humility and confidence.

      • 회심을 돕기 위한 Jonathan Edwards 의 설교 적용 방식에 관한 연구

        조성일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5 No.-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으로 다원화 되어가고 있는 세태 속에서 한국교회 안에는 참된 회심 을 좀처럼 찾아보기가 힘들다. 세속주의, 물질주의, 번영주의가 만연해 가면서 교회 안에서는 회 심 설교를 들어보기 어렵고, 그에 따른 영적 쇠퇴는 심화하여 가고 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 가야 할까? 상황이 어떠하든지 간에 한국교회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목회 현장에서 회심의 역사 가 멈추지 않고, 계속 일어나야 한다. 물론 이 회심의 역사는 성령이 주도적으로 일으키시는 영 적 현상이다. 인간이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회심은 말씀(진리)이라는 매 개체를 통해서 분명히 이루어진다. 즉 여기에서 설교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부흥의 시대를 살았고, 다양한 회심 현상을 경험한 Jonathan Edwards 와 그의 설교로부터 그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Edwards는 자신이 경험한 회심과 목회 현장에서 경험한 집단적인 회심의 현상을 바라보면서, 참된 회심의 촉매 역할을 했던 것이 바로 설교에 있 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정리하면 회심은 성령님의 주권적인 역사임을 인정하면서 더불어 강단에 서 선포하는 설교가 참된 회심을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확신을 갖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부분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방법은 Edwards가 선포한 회심 설교를 분석하여, 그가 회심 설교에 어떤 방식을 사용하였는지 세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설교 방식을 활용한 설교가 시대를 뛰어넘어 오늘날에도 참된 회심을 이끄는 촉매 역할을 한다고 여기고, 한국교회 강단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In a world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pluralistic with postmodern ideas, true conversion is hard to find in the Korean church. As secularism, materialism, and prosperity become more prevalent, it is difficult to hear conversion sermons in the church, and the spiritual decline is deepening. Regardless of the situation, in order for the Korean church to be restored, the work of conversion must continue to take place without stopping in the pastoral field. Of course, this work of conversion is a spiritual phenomenon that is led by the Holy Spirit. However, it is clear that conversion takes place through the medium of the Word (truth). Therefore, to address this issue, we will look to Jonathan Edwards, who lived through a powerful revival and experienced various conversion phenomena. As Edwards looked at his own conversion and the collective conversions he experienced in his ministry, he found that the catalyst for true conversion was preaching. In sum, while recognizing that conversion is the sovereign work of the Holy Spirit, he became convinced that the preaching of conversion from the pulp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ringing about true conversion. This is the focus of this paper. By analyzing Edwards's conversion sermons, I will categorize his sermons into three preaching styles, which I believe are timeless and still serve as catalysts for true conversion today, and apply them to the pulpits of the Korean church.

      • 성경적 반전을 통한 적실성 있는 설교 연구

        조원형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5 No.-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진행한다. 오늘의 포스트모던 시대에 반전은 설교의 목적인 생명의 역동과 변화를 일으키는 핵심 전달 장치인가? 하는 것이다. 이 질문의 대 답을 위하여 성경의 내러티브를 살피고, 그 핵심 전달 정치로서 반전에 주목한다. 특히 이야기식 설교가 청자의 인지 변화에 끼치는 과정을 살피므로 내러티브 설교의 효과에 주목한다. 이는 예 수께서 이미 그 비유에서 본을 보여주셨다. 예수께서는 반전의 통로를 통하여 하나님 나라와 하 나님의 속성을 밝혀주셨고, 청자의 구원과 변화를 이루셨다. 설교의 주목적을 성취케 하는 효과 적인 전달 장치인 반전은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청자에게 전달되고, 어떠한 적용을 통하여 내, 외적인 변화의 결과를 일으키는가에 대하여 본 논문은 성경에 근거한 반전을 통하여 밝힌다. 또 한 대표적인 내러티브 학자인 Steven D. Mathewson과 Eugene L. Lowry와 독일의 희극 작가 인 Gustav Freytag의 플롯 구조를 사용하여 반전 설교의 실제와 적용을 제시한다. Haddon W. Robinson의 언급대로 모든 설교형식이 다 내러티브로 가야 하는 것은 아니 다. 그는 자신의 저작 Biblical Preaching 에서 강해설교를 위한 세 가지 설교형식으로 연역적, 귀납적, 혼합적 방식을 다 설명하면서 한 가지 유일한 형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2) 그렇 기에 내러티브 장르의 본문은 그 기록 형식을 존중하여 그 장르를 살려야 합당하다. 본 논문은 내러티브 장르의 본문과 그 생명성인 반전을 살려 설교하므로 적실성 있는 설교를 하려는 의도를 지닌다. 특별히 원 논문에는 오늘의 사차 산업 AI 시대에도 반전은 한국 문화 속에서 한국인의 마 음에 역동과 변화를 일으키는 핵심 장치인가를 확증하려 했다. 이를 위해 고난을 반전시키는 한 국인의 표출 정서로서 우리성을 다루었고, 슬픔을 반전시키는 해학과 신명을 다루었다. 또한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영향력이 큰 영화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는 여건상 이 부분은 빼기로 한다. This paper proceeds by answer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n today's postmodern era, is anti-war a key delivery device that brings about the dynamics and change of life, which is the purpose of preaching? It is done. To answer this question, we examine the narrative of the Bible and focus on reversal as its core delivery politic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effects of narrative sermons by examin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narrative sermons affect the listener's cognitive changes. This is what Jesus has already shown in the parable. Jesus revealed the kingdom of God and God's attributes through a passage of reversal, and achieved salvation and change in the listeners. This thesis reveals through Bible-based reversals how reversals, which are an effective delivery device that achieves the main purpose of a sermon, are conveyed to the listener, and through what application they result in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addition, it presents the reality and application of anti-war sermons using the plot structures of representative narrative scholars Steven D. Mathewson and Eugene L. Lowry and German comedy writer Gustav Freytag. As Haddon W. Robinson mentioned, not all sermon formats have to be narrative. In his work Biblical Preaching, he explains the three sermon formats for expository preaching: deductive, inductive, and mixed, and says that there is no single format. Therefore, it is appropriate for the text of the narrative genre to respect the recording format and preserve the genre. This paper aims to deliver a relevant sermon by preaching using the text of the narrative genre and its vital twist. In particular, the original paper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inversion is a key device that creates dynamism and change in the minds of Koreans in Korean culture even in today's AI era of the quaternary industry. To this end, we dealt with our nature as the emotions expressed by Koreans that reverse hardships, and dealt with humor and excitement that reverse sadness. We also covered the most popular and influential movies. However, due to circumstances, this part will be omitted from this paper.

      • ‘(삼위) 하나님 중심적 설교’에 있어서 ‘성령 사역’에 대한 재고(再考)

        김창훈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4 No.-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국 교회와 강단은 심각한 위기 가운데 있다. 설상가상으 로 오늘날의 상황과 환경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소위 ‘뉴노멀 시대(New Normal Era)’의 상황과 환경은 한국 교회와 강단의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 한 변화와 위기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설교학적 과제는 ‘(삼위) 하나님 중심적 설교의 회복’임을 다양한 관점에서 강조하여 왔다. 그런데 필자가 제안하는 ‘(삼위) 하나님 중심적 설교’와 관련하여 ‘성령 사역’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먼저, 오늘날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설교에 있어서 성령 사역이 강조되지 않거나 또는 오해되 고 있기 때문이고, 다음으로 (삼위) 하나님 중심적 설교에 있어서 성령 사역에 대한 정리 와 보완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성령 사역의 관점에서 오늘날 설교의 문제가 무엇인 지 살펴보았다. 이후에 성경적 관점과 역사적 관점에서 설교 사역에 있어서 성령 사역이 왜 필요하며 또한 얼마나 중요한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실제적 관점에 서 ‘성령 사역과 설교 사역과의 관계, 성령 사역과 설교자와의 관계, 그리고 설교의 준비 와 전달 그리고 청중의 변화 등 설교의 모든 과정에서의 성령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설교 사역에 있어서 바르고 능력 있는 성령 사역을 위해 주의해야 할 부분 또는 명심해야 할 부분들을 제안하였다. 그것은 바른 성령론의 정립, 성령과 말씀의 상호 의존성, 그리고 설교자의 최선을 다하는 수고와 노력이다. 아무쪼록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우리의 설교가 더욱 바르고 더욱 능력 있고 더욱 효과적이 되어서 이 땅의 교회가 회복 과 부흥을 경험할 수 있기를 소원한다. As is well known, the Korean church and pulpit are in a serious crisis. To make matters worse, today’s situation and environment are also changing rapidly. The situation and environment of the so-called ‘New Normal Era’ are deepening the crisis of Korean churches and pulpit. The author has emphasi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at the preaching task necessary to overcome these changes and crises is the recovery of God-centered preaching. However, it is judged that more detailed discussions on the ‘Holy Spirit ministry’ are needed in relation to the ‘(triune) God-centered preaching’ that I have proposed. It is largely due to two reasons. First, it is because the Holy Spirit ministry is not emphasized or misunderstood in preaching for various reasons today, and next, it is judged that (triune) God-centered preaching needs to be more organized and supplemented.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s what the problem of preaching today 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oly Spirit ministry. Later, from a bibl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it is confirmed why and how important the Holy Spirit ministry is in preaching ministry. An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 look into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all the processes of preaching,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Spirit ministry and the preaching ministry, the preparation and delivery of the sermon, and the change of the audience. Finally, in preaching ministry, the parts that should be taken care of or kept in mind for the right and capable Holy Spirit ministry are proposed. It is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Holy Spirit theory, the interdependence of the Holy Spirit and the Word, and the efforts and efforts of the preacher to do his best. I hope that the Holy Spirit ministry will make our sermons more upright, more capable, and more effective so that the church of this land can experience recovery and revival.

      • 하나님 나라 적용을 위한 체험적 설교 연구

        문태환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5 No.-

        개혁주의의 핵심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그리고 이 말씀의 중심에는 ‘설교’가 크게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한국교회는 이러한 개혁주의 전통을 따르고 있고 개혁주의가 잘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 한국교회의 위기는 설교의 위기고 이는 ‘말씀’이 바르게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고는 이러한 위기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설교의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 설교를 제안한 다. 그 대안으로 제시되는 설교가 ‘체험적 설교’이다. 체험적 설교는 설교에서 지성과 마음을 통 합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통합적인 설교를 통해 청중의 마음을 움직이는 설교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체험적 설교 중심에 ‘하나님 나라’가 있다. 말씀에서 전하고 싶은 바와 청중이 체험되어 야 하는 것을 ‘하나님 나라’로 보았다. 설교자가 하나님 나라를 체험하고 체험한 하나님 나라를 청중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말씀으로 초청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를 청중이 체험 하면 하나님 나라를 적용하는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 그 결과는 개인의 삶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신앙 공동체를 넘어 하나님 나라 시민의 윤리로 드러난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설교 자는 기술자가 아닌 체험한 말씀을 체험케 하는 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At the heart of Reformed theology is the Word of God. And at the center of this Word is the preaching. And the Korean church follows this Reformed tradition and thinks it is well established. But ironically, the crisis in the Korean church is a crisis of preaching, which means that the Word is not working properly. This paper starts from this sense of crisis and proposes preaching as an alternative to the crisis of preaching. The alternative is 'experiential preaching'. Experiential preaching is the integration of intellect and heart in preaching. Through such an integrated sermon, I propose a sermon that moves the hearts of the audience. And the kingdom of God is at the center of experiential preaching. The kingdom of God is seen as what the preacher wants to convey and what the audience needs to experience. The preacher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the kingdom of God and invite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kingdom of God through the word. And when the audience experiences the kingdom of God, they can move on to a life of applying the kingdom of God. The result is not just in the lives of individuals, but in the ethics of citizens of the kingdom beyond the community of faith. To achieve these results, The preacher will be the one who makes the experienced Word experiential, not a technician.

      • 언약-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실제 : 여호수아 2장을 중심으로

        배혁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5 No.-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주창자들인 Sidney Greidanus, Bryan Chapell, Timothy Keller는 본문의 내용을 간접적으로 그리스도와 연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 방법론의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의 방법론들이 언약이라는 성경의 뼈대 위에 자리하고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원 복음부터 노아 언약, 아브라함 언약, 모세 언약, 다윗 언약, 새 언약에 이르기까지 그리스도께서 궁극적 성취를 이루신다. 그러 므로 언약을 제쳐놓고 구약 본문과 그리스도를 연결하려는 시도는 중요한 부분을 놓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는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다. 구약 본문을 성급하게 그리스 도와 연결한다는 점, 구약 본문의 풍성한 의미를 놓친다는 점, 적용이 약하고 천편일률적이라는 점 등이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언약-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는 다섯 가지 요소를 대안으로 제시 한다. 첫째, 청중의 상황을 설교해야 한다. 둘째, 구약 본문의 의미를 충분히 설교해야 한다. 셋 째, 언약과 그리스도를 설교해야 한다. 넷째, 인물을 넘어 그리스도를 모범으로 설교해야 한다. 다섯째,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설교해야 한다. 그리스도의 이름만 언급하고 하나님의 은혜가 드러나지 않으면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라고 말할 수 없다. 그리스도로 가득 차 있는 설교자들의 마음에서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이 흘러넘치기를 기대한다. Sidney Greidanus, Bryan Chapell, and Timothy Keller, advocates of Christ-centered preaching, presented various methodologies to indirectly connect the content of the text to Christ. However, the basis for the methodology is not clear.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tate that existing Christ-centered preaching methodologies are based on the biblical framework of the covenant. From the original Gospel to the Noahic Covenant, the Abrahamic Covenant, the Mosaic Covenant, the Davidic Covenant, and the New Covenant, Christ achieves the ultimate fulfillment. Therefore, attempting to connect the Old Testament text with Christ, leaving the covenant aside, is missing an important part. Additionally, existing Christ-centered sermons are receiving various criticisms. The points are that the Old Testament text is hastily connected to Christ, the rich meaning of the Old Testament text is missed, and the application is weak and uniform. In response to these criticisms, covenant-Christ-centered preaching presents five elements as alternatives. First, you must preach to the audience's situation. Second, the meaning of the Old Testament text must be sufficiently preached. Third, we must preach the covenant and Christ. Fourth, we must preach Christ as an example beyond the person. Fifth, we must preach God’s grace and love. A sermon cannot be said to be Christ-centered if it only mentions the name of Christ and does not reveal the grace of God. I expect that God's grace and love will overflow from the hearts of preachers who are filled with Christ.

      • 하나님은 선하시다면서 왜 고통을 주시는가 : 팀 켈러의 건강한 실천 원리를 적용한 설교 작성 연구

        조사무엘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4 No.-

        세상에 재앙이 닥칠 때, 사람들은 초월적 존재에 대하여 질문을 한다. ‘신은 있 는 것인가?’, ‘신이 있다면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인가?’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사람들은 인문학을 통해 답을 내놓곤 하였다. 하지만 그 답들이 세상 사람들에게 진 정한 답을 주지 못하였고 사람들은 끊임없이 답을 찾아 헤매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 기독교가 답을 주어야 한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고통에 대하여, 고통을 통해서도 일하시는 하나님에 대해서 알려주어야 한다. 이 연구는 바로 그러한 목적 때문에 이루어 지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선하신 하나님’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하나님은 현재 우리의 삶 속에서 살아계신 분이시며, 지금도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 이시다. 이러한 점을 사람들에게 알리며 고통을 겪는 청중이 하나님을 만나고, 복음으로 새로운 힘을 얻게 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고통에 대한 세상 관점에 대하여 다룬다. 세상 사람들이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언급을 먼저 한 후에 선하신 하나님께서 고통을 주신 다는 관점에 대한 언급을 하였다. 왜냐하면 처음부터 하나님에 대해 말하면 청중이 고통 에 대해 갖는 생각들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고통에 대한 부정적인 관 점과 하나님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다룬 후에 팀 켈러의 접근 방식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설교자가 실제적으로 설교할 수 있도록 예시를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선하신 하나님에 초점을 맞춘다. 이 세상에 고통이 있어도 하나님은 선하신 분이시라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설교자는 고통을 겪는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선하신 하나님을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When disaster strikes the world, people ask questions about the transcendent. Is there a God? If there is a God, why did this happen? And to answer these questions, people have turned to the humanities for answers. However, these answers have not given the world true answers, and people are constantly searching for answers. In this situation, our Christianity must provide answers. We need to tell people about the suffering that exists in the world and how God works even through suffer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do just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municate the good God to those who suffer. God is a God who is alive in our lives now and a God who is with us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municate this to the suffering audience so that they can encounter God and be empowered by the Gospel. The research methodology first addresses the world's view of suffering. After mentioning how the world views suffering, the idea that a good God gives suffering is mentioned because if we talk about God first, we will not understand the audience's ideas about suffering. Then, after addressing the negative view of suffering and the negative view of God, he mentions Tim Keller's approach. Finally, examples are given to help preachers preach practically.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es on God as good. It focuses on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re is suffering in the world, God is good. Through this study, preacher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mmunicate a good God to a suffering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