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이론적 연구

        정지연(Jung, Ji-Yo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2

        지역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강원도와 관련된 수많은 자료를 한 곳에 모아 집적(集積)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할 수 있는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강원학 관련 자료를 총괄하여 집적하고 이를 서비스 하는 아카이브를 구축한다면, 연구자들이나 일반인들이 강원학 관련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강원학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축된 자료를 교육, 연구, 창작 산업 등 다양한 자원의 콘텐츠 개발 및 응용을 위한 원천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자료가치를 재생산할 수 있다. 강원학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강원도 관련 자료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리 및 DB화 방안, 저작권 문제, 자료 제공에 대한 표준화 방안 등 여러 가지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정밀한 설계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학 관련 자료의 방대함과 자료 유형의 다양성 등을 고려하여, 수집·관리·활용의 측면에서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본 요소를 분석하고, 단계별 전략을 마련하여 향후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이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수집 정책 수립, 행·재정적 지원, 협의체 구성 등을 선결과제로 제시하였다. With increasing interests in region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archive to collect the many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Province and to manage and use them systematically. An archive that can steer, collect, and service the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Studies would expand the accessibility of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Studies for researchers or the public and lead to more studies on Gangwon. Not only that, the value of resources may be reproduced by providing the constructed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resources in education, research, creative industries, and more. In order to construct the Gangwon Studies Archive, there are some problems to resolve, such as comprehensive and systemized organization and database construction of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Province, copyright issues, and standardization of resource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ecise design. The current study considered the expansiveness of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Studies and the diversity of resources to analyze the basic elements of building an archive in terms of collec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and establish step-by-step strategies to suggest a road map for the construction of Gangwon Studies Archive. In order for Gangwon Studies Archive to take eff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llection policies, provid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organize a council, etc.

      • KCI등재

        강원도 천주교의 정치 신학적 고찰

        이근세(Lee, Keun-S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9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의 현실적 역량과 잠재력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강원 지역정체성(Local Identity)의 형성과정을 체계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강원도 천주교는 교난(敎難) 과정의 박해를 피해온 일군의 신자들이 강원도 곳곳에 형성한 교우촌(敎友村)이 횡성 풍수원 성당 등의 제도권 교회로 변모하면서 구축되었다.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의 잠복기로 규정될 수 있는 교우촌의 의미를 중심으로 강원도 천주교를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적 규범을 제시한다. 강원도 천주교가 풍수원 성당 등으로 제도화된 과정은 중심부의 정치적․신학적 갈등이 중층적으로 규정되어 나타난 교우촌의 상황을 통해 의미를 부여받아야 한다. 교우촌은 민중의 삶에 기반을 두고 성장한 강원도 천주교 문화로서 중심부의 제도화에 대한 구체적 바탕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강원도 천주교에 대한 논의의 핵심 쟁점인 중심과 지역의 관계 및 정치와 종교의 관계를 재인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Gangwon’s local identity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real power and potential of the Gangwon’s Catholic. Gangwon’s Catholic has been constituted by the historical fact that during persecution period in the early 19th century, a group of catholics who had fleed from persecution took refuge in its backwoods, built several catholic communities, ‘Kyo-u-chon’ and that these communities became institutional churches such as Hoengseong"s Pung-su-won. In this paper I examine Gangwon’s Catholic in multilateral aspects and propose its future norm by focusing on the meaning of Gangwon’s catholic villages which constitute its latent period. The process through which Gangwon’s Catholicism such as Pung-su-won has been institutionalized could not acquire its concrete meaning withou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Kyo-u-chon’ which is produced through the over-determination of centeral authoritative area’s politico-theological conflict. So ‘Kyo-u-chon’ is crucial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as well as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which constitutes the key debate on Gangwon’s Catholicism, because ‘Kyo-u-chon’, as Gangwon’s Catholic culture developped on the basis of people’s life, offered the core substanc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central Catholicism.

      • KCI등재

        19세기 초 모스크바 대학의 외국인 교수들

        오두영(Oh, Doo-Yo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7

        모스크바 대학은 1755년 로마노소프(М.В.Ломоносов)의 주도로 설립된 이래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기에 러시아 사회의 핵심적인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지적 엘리트들을 배출해 왔을 뿐만 아니라 한편으로 당대 서구학문 및 문화를 수용하고 지식인 사회의 지식문화를 형성하는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특히 설립 초부터 모스크바 대학에 초빙된 외국인 교수들은 강의 및 학술활동 등을 통해서 재학생은 물론 지적 엘리트 계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아직까지 19세기 초 서유럽 사상과 문화의 러시아로의 유입이란 측면에서 이들 외국인 교수들의 활동과 그것이 러시아 지식인 계층에게 미친 사상적·철학적 영향을 체계적·종합적으로 연구한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알렉산드르 I세 치세 초기 모스크바 대학의 개혁 논의 및 외국인 교수들의 초빙 과정 그리고 그들의 활동을 전반적인 민중계몽정책과 관련한 교육개혁, 나아가 당시 서구사상의 유입 경로와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은 이들 외국인 교수들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9세기 전반기 러시아 지식인 계층의 사상적 형성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모스크바 대학 개혁을 실질적으로 주도한 것은 ‘교육관리관’ 무라비요프였으며, 모스크바 대학의 질적 위상을 높이려는 그의 노력과 헌신은 지대한 것이었다. 단기간에 모스크바 대학의 후진성을 극복하고 학문수준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그에 의해 초빙된 외국인 교수들은 1804년 ‘대학령’에 의한 대학개혁 논의에 적극 참여 했을 뿐만 아니라, 강의는 물론 출판 및 학회 활동 등을 통해 대학내외의 지식인들에게 서구학문과 사상 그리고 문화를 전수하며 러시아 자신의 학문적 풍토와 경향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들이 발간한 저서 혹은 강연록 등은 지식인 계층의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그들이 주도하여 설립된 여러 학회들은 당시 모스크바 대학에서 학문수준이 낮은 분야들로서 학문 발전에 적이 않은 기여를 하였다. 따라서 학문적 토대가 여전히 미약했던 모스크바 대학의 현실에서 외국인 교수들이 보여준 노력과 기여는 향후 모스크바 대학 자체의 발전은 물론 러시아 지식인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Among many reforms undertaken in the early year of the reign of Alexander I reform of the educational system or university was promoted at the level of national enlightenment and in the modernization of Russian Imperial. Attempts to overcome the backwardness of the Moscow University has been led from the age of Catherine II. "Proclamation of 1804" for the reform of education system and university was issued as a legal basis for education reforms that came at the end of the previous attempt several times. It practically was led by Muravev. The core of Muravev"s task in the Moscow university reform was to invite the competent faculty from Western Europe as rapidly as possible. This aimed to encourage and raise academic levels, and to recruit students, to implement the new system by providing something required secondary and lower school for the district. Muravev"s efforts in implementing faculty received benefits from his connections with Gottingen university where enable him to bring many able German scholars and professors to moscow university. He also sponsored the formation of a number of the learned society and the publication of many new journal and other works by foreign professors. Foreign professors were to improve the academic level of the university of Moscow through lectures, publication activities and academic society, had a huge impact to russian intellectuals. Especially in the period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the ideological or philosophical tendency in the Western Europe gradually was being converted from "Enlightenment" to German Romantic philosophy and ideas. Therefore, foreign professors in the moscow university gave so much affect on the new ideological formation of the Russian intellectuals. Furthermore this later gave a great influence on formation of a national consciousness in Russia society.

      • KCI등재

        지역문화와 대학(大學)의 상관성 연구

        엄현섭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3

        In order to revitalize local culture, academic system with consistency is required. When discussing the identity of Gangwon area, we seem to already presuppose the status of Gangwon province through regulations such as "lack", "alienation", "around", "poverty". At the same time, this regulation makes local research discuss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Gangwon area culture to show resistance to the center, but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 question becaus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unidentified cultural 'unique' when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unique culture of Gangwon area.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the concept of identity in Gangwon area by understanding locality of Gangwon as an emergent space that is constantly reconstructed, not a fixed object. In this regard, I explained the direction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regional archetypes, and I would like to consider what classes are connected to the region and make suggestions for the subject. Classes that utilize the lo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ditions of Gangwon-do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along with various cultural aspects and to examine how the base university can play a role through the status and role that Gangwon-do should have in unified Korea and the world.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합성을 갖춘 학문적 체계가 요청된다. 특히강원지역의 정체성을 논할 때 “낙후”, “소외”, “주변”, “빈곤” 등의 규정을 통해 강원도의 위상을 전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이런 규정은 지역연구로 하여금 중앙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기 위해 강원지역 문화의 독자성, 특이성 등을 논의하도록 하지만, 실제로 진정 강원지역 고유의 문화가 무엇인지정의해야 할 때면 정체불명의 문화적 ‘독특성’을 만들어내야 하므로 역시 적합한 답을 내리기가 힘들어진다. 강원의 지역성을 고정된 대상이 아니라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창발적 공간으로 이해함으로써 강원지역 정체성 개념을 확장하려는 것이 본고의 의도이다. 이에 지역원형을 중심으로 강원학의 방향성을 설명하고, 강원대학교가 지역과 연결된 수업이 무엇인가를 고찰하고 교과목 제언을 하고자 한다. 지역원형과 한국전쟁을 활용한 수업은 향후 강원대학교가 꼭 해야 될 수업 교과목인것이다. 강원도의 지리적·역사적 조건을 다양한 문화 양상들과 더불어 현재적관점에서 다시 고찰하면서 통일 한국과 세계 속에서 강원도가 가져야 할 위상과 역할을 통해 거점대학이 어떤 면에서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고구(考究)하였다.

      • 조선의 유람문화 공간으로서 강원지역에 정체(正體)된 장소적 표상 - 지역학에서 역사적 문화원형 찾기의 일례 -

        이상균 ( Lee¸ Sang-kyun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19 강원문화연구 Vol.40 No.-

        지역에서는 지역학을 통해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대표적 지역문화로 상정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강원학에서도 다양한 주제를 대상으로 강원도에서 파생된 문화의 실체를 찾아내는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시각을 조금 달리하여 역사적으로 파생된 문화의 실체들이 과연 강원도라는 공간을 어떻게 상징화시켰는가를 주목했다. 강원문화의 형성을 논하는 데 있어 가장 대표적 요소인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유행하였던 조선시대 유람문화 속에서 강원도가 획득한 장소적 표상을 고찰하고자 했다. 조선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강원도를 유람하고자 하는 열풍이 일었다. 금강산과 관동팔경 등의 수려한 산수명성이 확산되고 찬미되었다. 고려후기부터 조선 전 시기에 걸쳐 많은 지식인이 유람하고, 또 유람하길 소망한 지역이었다. 강원도는 조선의 유람문화 속에서 전국제일의 유람명소로 그 명성을 얻었다. 또한 자연에서 성정을 도야하여 시문 등을 창작하고자 했던 조선 지식인들의 문풍의식 속에서 강원도는 최적의 심미적 창작공간으로서 새로운 장소적 표상을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강원도의 문화원형은 오늘날 금강산 관광재개 등 남북강원도의 교류협력 전망 속에서 여전히 유용한 문화로 제고 하여 적용할 가치가 있다. Local studies are trying to reveal the identity in order to find cultural archetype. Gangwon local studies are now doing research of studies of cultural archetype. When it comes to discussing formation of culture of Gangwon, the representative element is natural view. This thesis studies how Gangwondo Province acquire images of go sightseeing culture during Joseon Dynasty period. There were fevers of go sightseeing Gangwon-do Province among intelligentsia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Beautiful picturesque scenery in Gangwon-do Province was the talk of the town and was praised. Gangwon-do province is the great region where intelligentsia wish to go and go sightseeing during the period from late Goryeo to Joseon Dynasty. Gangwon-do Province was the attraction of go sightseeing. There were many historical figures marks in the Gangwon-do Province. There are also numerous poetry and prose and pictures of Gangwon-do Provi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Gangwon-do Province was spotlighted as landscape of go sight seeing and it also had acquisition of a new model of the space of esthetic creation. The culture of go sightseeing of Joseon Dynasty had a big importance of detailed identity establishment and it is branch of application pending issue in region. Today Gangwon-do province overbearingly promotes the service industry of sightseeing and it also applied to resume sightseeing of Mt. Geumgang. The model of go sightseeing culture can apply to the model of cultural space(Gangwon-do Province) and it had a big value of applying to the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Gangwon-do Province.

      • KCI등재

        강원도 천주교의 재인식

        이근세(Lee, Keun-S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본 논문의 목적은 강원도의 지역정체성(Local Identity)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그 현재적 의미와 미래적 가치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강원도 천주교를 재인식하는 것이다. 강원도 천주교는 19세기 초의 교난(敎難) 시기에 배교하지 않은 신자들이 박해를 피하여 강원도의 산중으로 이주한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후 강원도 천주교는 교우촌(敎友村)의 시련기를 통하여 잠재력을 강화하고 횡성의 풍수원 성당과 원주의 용소막 성당 등으로 제도화 되면서 정착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 천주교의 기원적 사건인 교난(敎難)의 의미를 배경으로 지역 연구의 관점에서 강원도 천주교를 고찰함으로써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규명한다. 천주교는 16세기에 서학(西學)이라는 신문화로서 인식되었다가 18세기 후반부터 종교의 위상으로서 조선에 수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천주교는 여러 차례의 교난을 거치면서 수많은 신자의 처형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배교하지 않은 신자들은 전국 각지로 도피해야 했다. 강원도 천주교의 뿌리는 교난으로 인한 신자들의 도피다. 신자들이 지역적 특성을 활용하여 도피하면서 형성된 강원 지역의 천주교 문화는 ‘주변적’인 것으로 인식되기 쉽다. 그러나 강원 천주교가 풍수원 성당 등으로 정착된 과정은 중심부의 정치적ㆍ신학적 갈등이 교우촌의 과도기를 거쳐 제도화를 통해 해소된 역사다. 따라서 한국 천주교에 있어서 강원 지역은 단지 외피나 주변으로서 전체에 참여하는 부분이 아니라 전체 체계가 그 안을 관통하는 ‘전체적 부분’(total part)이다. 강원도 천주교 문화는 중심부의 박해로 인하여 형성되었으나, 바로 그 때문에 민중의 삶에 기반을 두고 자생적으로 성장했으며 결국 중심부의 제도화를 촉발하고 그 바탕을 제공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가 중심과 지역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밝힌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n the Catholicism in Gangwon province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Gangwon province"s local identity and to systemize its actual signification and its future value. Catholicism in Gangwon area is rooted in historical fact that during persecution period in the early 19th century, some catholics who did reject renegade took refuge in its backwoods to avoid the oppression. Henceforth i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fortification of its potential in the period of transition during which several catholic communities were formed and its institutionalization by foundation of some churches such as Hoengseong"s Pung-su-won and Wonju"s Yong-so-mak. In this paper I consider in the viewpoint of area studies Gangwon"s catholicism and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local on a background of persecution which constitutes the fundamental evenement for Korean catholicism. The Catholicism has been received in the late 18th century as a proper religion after having been regarded as Western Learning. It has suffered, however, several rounds of persecution, and consequentially innumerable christians were executed in the most atrocious way. In this condition many christians who did not apostatize had to seek refuge all across the country. The origin of Gangwon"s catholicism consists to escape persecution and to take refuge in this region. Then catholic culture in Gangwon area would be easily regarded as "local" for it has been formed by the fact that under favor of Gangwon"s geographical condition christians took refuge in this province. But the process through which catholicism has been settled in Gangwon area by foundation of churches such as Pung-su-won, is an authentic history in which theologico-political conflicts of center have been resolved through the period transition of catholic communties and their institutionalization in legal church. Therefore, in Korean Catholicism Gangwon area is rather a "total part" in which total system projects itself than a surface or local which is only a portion of the whole. It is true that Catholic culture of Gangwon area has originated in the escape from the persecution of center. However, it could, by this fact itself, grow in autochthonic way on the public substratum, and it has finally stimulat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enter in constituting its basis. In this perspective I show that catholicism of Gangwon province contributes to a new understanding on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local.

      • KCI등재

        행정주체 또는 그 행정기관(국립대학 포함) 사이의 항고소송에 관한 판례분석–당사자능력, 원고적격 및 처분성을 중심으로–

        이일세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江原法學 Vol.57 No.-

        행정청이 다른 행정기관이나 행정주체에게 권력적 조치를 발한 경우에 그 조치를 받은 행정기관이나 행정주체가 항고소송으로 다툴 수 있는지, 만일 다툴 수 있다면 누구를 원고로 하여야 하는지가 문제되는바, 이에 관한 판례의 입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고소송의 대상인 처분은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집행으로서 국민의 구체적인 권리ㆍ의무에 직접 관계가 있는 행위’를 말하므로, 행정기관 상호간의 행위는 행정조직 내부행위로서 국민의 권리ㆍ의무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므로 원칙적으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행정기관 사이의 행위라 하더라도 그것이 공권력의 행사작용으로서 그 조치를 받은 행정기관 또는 그가 속한 행정주체의 권리ㆍ의무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처분성이 인정될 수 있다고 본다. 먼저, 행정청이 다른 행정주체 또는 그 행정기관에 대해 발한 권력적 조치에 대해서는 처분성을 인정하고 있는바, 이 경우 행정기관은 소송법상 당사자능력이 없으므로 원고적격 역시 갖지 못하고, 따라서 그가 속한 행정주체를 원고로 하여 항고소송을 제기하여야 한다고 한다. 다음으로, 동일한 행정주체 내의 행정기관 사이의 권력적 조치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처분성을 부인하지만, 그러나 관계 법률이 그것을 이행하지 않는 자에 대해서는 형벌이나 과태료와 같은 제재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처분성을 인정하고 있는바, 이 경우 그 권력적 조치를 받은 행정기관이 직접 해당 처분에 대한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원고적격을 가진다고 본다. 둘째, 행정청이 다른 행정기관에 대해 발한 권력적 조치가 처분성이 인정되고 또한 원고적격이 있는 자가 항고소송을 제기하였다 하더라도 권리보호의 필요가 인정되지 않으면 그 소는 부적법하여 각하되게 된다. 판례에 따르면 권리보호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해당 처분에 관한 사무의 성질이 중요하다. 즉,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국가의 행정기관에게 기관위임사무의 처리로서 처분을 한 경우에는 국가는 지방자치법이나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에 근거하여 직접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시정명령을 발하거나 그 사무 처리를 취소ㆍ정지시키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행정주체나 행정기관에 대한 처분을 대상으로 하는 항고소송에 관해 판례의 입장을 정리하였는데, 이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치요구에 대한 취소소송 사건에서 그 조치요구를 받은 행정기관에게 원고적격을 인정한 판례에 비추어 볼 때, 교육부장관의 시정명령에 대한 취소소송 사건에서 국립대학 총장에게 원고적격을 인정하지 않은 서울행정법원의 태도는 옳지 않다. 둘째, 행정청이 법인화되지 않은 국립대학에게 발한 처분에 대해 항고소송으로 다투는 경우에 국립대학은 당사자능력이 없으므로 그가 속한 행정주체가 원고적격을 가진다는 것이 판례의 입장인바, 법인화되지 않은 국립대학도 대학의 자율성과 학문의 자유의 기본권 주체성을 가지므로 민사소송법 제52조의 ‘법인 아닌 사단으로서 대표자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아 국립대학에게 항고소송의 원고적격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It is a question of whether an administrative agency or an administrative entity that has been subjected to an authoritative measure by other administrative agency may be able to file an appeal suit, and if so, who is eligible. The position of precedents in this problem is as follows. (1) The disposition as the subject of appeal suit means ‘the exercise of or refusal to exercise public authority by an administrative agency as function of law enforcement in relation to a specific fact, other similar administrative actions’, so that the action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can not be the subject to an appeal suit. However, in special cases, the action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may be the subject to an appeal suit. First, the authoritative measure of administrative agency against another administrative entity or its administrative agency may be the subject to an appeal suit. In this case, the administrative agency shall not have the plaintiff's eligibility because it does not have the ability of a party to file a lawsuit. Therefore, the administrative entity to which the administrative agency belongs is able to file an appeal suit. Secondly, the authoritative measure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within the same administrative entity is not considered to be the subject to an appeal suit in principle, but if the relevant law stipulates the penalties for those who do not comply with it, the administrative agency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authoritative measure may file an appeal suit. (2) In order to file an appeal suit, the interest in litigation should be recognized. I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interest in litigation, the nature of the affair concerning the disposition is important. If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has issued an incorrect order as a delegated administrative affairs to the administrative agency of the State, the State shall be entitled to issue a corrective order directly to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based on 「Local Autonomy Act」 or 「Regulations on the Delegation or the Entrustment of Administrative Authority」. So, in this case, the State is not entitled to file an appeal suit against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 KCI등재

        강원의 ‘얼’ 선양사업 추진성과와 개선 방안 -인물 선양사업을 중심으로-

        임호민(Lim, Ho-M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2

        본 논고는 20여년에 걸쳐 진행된 강원 얼 선양사업 중 인물선양과 관련된 사업의 추진성과를 점검한 후,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추진되는 강원 ‘얼’ 선양사업의 발전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20여년의 사업 추진과정에서 지역 편중, 인물 편중, 반복적이며 연례적인 사업의 고착화, 신규 인물 진입에 있어서 객관적 선정 기준에 근거하지 못한 점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강원의 ‘얼’ 선양사업은 인물 선양이고, 그것을 통해 강원도의 정체성을 확립하겠다는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강원도의 역사, 문화 그리고 도민들의 사상 변화의 발전 자취를 탐구하여 강원정신 즉 강원인의 마음[江原人心]이 무엇인지를 우리 도민들에게 인식시켜 주어야 한다. 강원도의 정체성 탐색은 첫째, 도민 자신이 강원도의 구성원으로 생각하는 신념과 강원도라는 집단과 일체감을 느끼는 무엇, 소속된 집단[강원도]의 체제적 존속과 발전 과정에서 도민으로서 인지적․정서적으로 보람과 긍지를 느낄 수 있는 무엇, 그리고 강원 도민으로서 애도심(愛道心)을 갖고 그 애도심을 실천할 수 있는 무엇 등에서 찾아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Gangwon"s ‘Earl’ enhancement project, which has been in operation for over 20 years, draws out problems, suggests ways to improve them, and presents a developmental model for the Gangwon"s ‘Earl’ enhancement project. Problems raised during the 20-year project, such as regional bias, personality bias, recurring and annual fixation of business, and lack of objective selection criteria for entry of new characters. We must make our people awareness of the spirit of Gangwon. Gangwon-do"s identity search is as follows. First, what do people feel as a member of Gangwon-do and their unity with the group called Gangwon-do? What can be proud cognitively and emotionally as a citizen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ystemic survival of the group [Gangwon-do]? A good example of Gangwon-do"s identity search is the Joseon Academic movement, which was develop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Joseon Academic Movement explored the link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rough ‘Earl’ and connects our ancestors with me as a kind of kinship community that forms us. The framework for Gangwonhak Studies should be prepared, covering all of Gangwon"s humanities including Gangwon"s history. After collecting the Gangwon culture discourse, which emphasizes the absolute necessity of Gangwonhak stud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launch a comprehensive plan for sustainable and long-term promotion of Gangwonhak Studies.

      • KCI등재

        대학입학 전형과 기회공정성: 수도권 대학 선호를 고려한 전형 간 차이를 중심으로

        김성훈,우명숙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연구 Vol.62 No.3

        이 연구는 수시 전형 대비 정시 전형 비교에서 어느 전형을 통한 대학입학에서 기회격차가 더 발생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그간의 대학입학 전형에 관한 상당수 연구들은 어느 전형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학교 특성이 입학 결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뤄보고자 했다. 공정성의 관점에서 볼 때, 선행연구들의 주요한 관심은 특정 전형이 특정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 더 유리하거나 불리한 기회를 주고 있느냐의 문제이다. 선행연구의 주된 관심을 이어가면서, 이 연구는 우선 전국단위의 최신 자료를 분석하여 실증연구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수시 전형과 정시 전형을 비교할 뿐만 아니라 수도권 대학 선호를 조합한 전형들을 비교함으로써 대학입학에서 기회격차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한다. 2016년에 고등학교 2학년이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교육고용패널II 자료를 활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수시 전형 대비 정시 전형을 비교해 보면, 전반적으로 정시 전형을 통한 입학에 부모요인과 학교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되는 대학 선호를 조합한 전형들을 비교해 볼 때, 가장 뚜렷한 특징은 전형에 상관없이 수도권 대학의 입학에는 고등학교 특성이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수시 전형은 부모요인의 영향을 줄인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수시 전형의 확대가 수도권 대학의 입학에 고등학교 특성이 미치는 강한 영향을 약화시키기는 어렵다는 점을 말해준다. 따라서 고등학교 특성이 수도권 대학 입학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간 차이를 확대하는 교육정책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대학입학의 기회공정성을 위해서는수도권 대학들이 상위권에 위치하는 대학서열화에 대한 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朱子 · 晦齋의 『大學』 註釋 比較 硏究

        趙昌烈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07 강원문화연구 Vol.27 No.-

        This study analyzed on notes of "Daehak Jangguboyu(大學章句補遺)" and "Sok Daehak Hokmun(續大學或問)" to compare the characterics around note form "TaHsueh(大學). Hoe-Jae rejected the editorial sequence of Chu Hsi's "Ta-hsueh Zhangju(大學章句)" and converted the paragraphs of 'Jiji(知止; Know how to stop)' and 'Mul-yu(物有)' from Confucian scriptures into a set of paragraphs exclusive for metaphysical reasoning in terms of Chosun's Neo-Confucianism. Meanwhile, he transferred the paragraph of 'Cheongsong(聽訟)' into the conclusion of Confucian scriptures over 1 chapter of scripture and 9 chapters of tradition. While evolving based on what is the nearest and human morality, his theory of Gyeokmul Chw(格物致知; metaphysical reasoning toward ultimate principle) referred to a theoretical argument focusing on human beings. For the interpretation of knowledge, Hoe-Joe also referred to empirical awareness, not limited to a sort of intellectualism like Chu Hsi, and provided a series of considerations about self-culture in the level of comprehensive significance. It motivated our own Neo-Confucianism to evolve based on the theories of mental nature since the mid of Chosun dynasty. As described above, "Daehak Jangguboyu(大學章句補遺)" and "Sok Daehak Hokmun(續大學或問)" described the viewpoints or insight of Hoe-Jae about "Ta Hsueh大學)", so they become the most essential materials to identify his thoughts about Confucian classics. In his "Jungyong Gugyeong Yeoneui(中庸九經衍義)"Hoe-Jae recognized Ta Hsueh as a study for self-culture and Chung Yung as a study for reign and administration. His writings played a crucial role in yielding Toegye's "Seonghak Shipdo(聖學輯圖)" and Yulgok's "Seohhak Jibyo(聖學輯要)".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he built up scholar opportunities and foundation to motivate Neo-Confucianism to evolve based on the theories of mental nature since the mid of Chosun dynasty. 晦齋는 朱子의 『大學章句』에 대하여 程子의 說을 토대로 의욕을 가지고 編次를 개정하였다. 그 編次上의 특징은 첫째로 格物致知의 전문에 대하여 朱子의 亡失되었다는 설을 부정하고 朱子의 格致補傳을 註釋으로 삼아 朱子의 格物致知說을 수용하고 있다. 그래서 『犬學章句』의 經文에 있는 '知止' 節과 '物有' 節을 환치하여 '格物致知'章으로 삼았고, 둘째로 『大學章句』의 本末章인 '聽訟' 節을 經文의 結語로 옮겨 經1章과 傳9장의 『大學章句補遺』로 改編하였다. 또, 格物致知說에 있어서도 至近한 것과 人倫을 근본으로 하여 전개함으로서 인간중심의 格致說을 주장하고 있다. 朱子가 物을 猶事로 字訓하고 '凡天下之物'과 '衆物'로 이해하여 格物致知說을 泛然하게 주장한데 반하여, 晦齋는 物을 兼事로 字訓하여 物이 事를 포함하고 있다고 보고 君臣·父·子夫婦·毘弟·朋友에서부터 萬物에 이르기까지 格物致知의 先後本末의 次序를 중시하고 있다. 또한 慮를 思로 봄으로써 晦齋는 朱子가 말한 인식으로서의 知를 體得으로서의 心의 문제에까지 확산시켰다. 이 문제는 主知的인 側面을 價値認識에 까지 겸한 心得知로 확산하였음을 뜻한다. 그리고 朱子는 知를 窮理로 行을 居敬으로 삼았음에 대하여 晦齋는 知를 主知的인데 치우치지 않고 경험적 認識도 같이 말함으로써 종합적 의미로서의 修己의 문제까지 포괄하고 있다. 이는 朱子의 『大學章句』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大學』의 本義를 밝히려고 노력하였으며, 『大學』을 중심으로 性理學을 理解하려는 논리적 기초와 학문적 기반을 확립하고 心性爲主의 性理學으로 발전하는데 긴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