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국가 도시네트워크로서 동아시아 문화공동체에 관한 연구

        손예령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아시아문화연구 Vol.51 No.-

        Today,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localization’ is appearing. Based on ‘empathy’, regionalism and universalism coexist and new empathy society for mutual development is emerging. Accordingly exchanges have become active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between regionalism and universalism, and ‘Transnational Cultural City Network’ transcends the national boundary as a venu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is being formed.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and multi dimensionality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revolution in the transnational East Asia requires new analyzing instruments beyond the traditional state society dichotomy. At this time, Transnational City Network plays a role that a state cannot do and will become an important mechanism that effectively connects different forces within or transcending the boundary of transnational Asia.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cultur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at is more varied, complex and variable today than before, Transnational Cultural City Network’s role is important. Especially in the East Asia where issues in political, military, and historical dimensions still remain, cultural community is peace community and a window for empathy and communication. So Transnational Cultural City Network within East Asia will have to be activated. This will enable to improve the sense of belonging as East Asian citizen, enhance the regional identity of East Asia, and contribute to the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오늘날 ‘세계화’가 나타남과 동시에 ‘지역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공감’을 통해 지역주의와 보편주의가 공존하고 상호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감사회가 출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주의와 보편주의 간의 이해와 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문화 간 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장으로서 국가 경계를 초월한 초국가 문화도시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다. 초국가적 동아시아의 사회, 정치, 경제적 변혁의 복잡성과 다차원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국가 사회의 이분법을 넘어 새로운 분석 도구가 필요하며, 이때 ‘초국가 도시네트워크’는 국가가 할 수 없는 역할을 하며, 효과적으로 초국가적 아시아의 국경 안이나 국경을 초월한 서로 다른 세력을 연결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이 될 것이다. 또한 오늘날 이전보다 다양하고, 복잡하며, 가변적이게 된 세계화 시대의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초국가 문화도시네트워크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여전히 정치, 군사, 역사적 차원의 문제가 남아있는 동아시아에서 문화공동체는 평화공동체이자 공감과 소통의 창구가 되므로, 동아시아 내 초국가 문화도시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시민으로서 소속감이 증진되고, 동아시아 지역정체성을 제고하며, 그리고 지역 문화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아스팍영화제와 한국의 냉전 세계주의

        구민아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아시아문화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Cold War strategy through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Asian-Pacific Film Festival. The Asian-Pacific Film Festival is a non-competitiv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rganized by Cultural and Social Center for the Asian Pacific Region,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the Asian and Pacific Council,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free-world” Asian countries and to prevent the spread of communism in Asia. By holding the Asian-Pacific Film Festival, the Korean government pursue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Asian film industries and sought to build up a sense of cultural solidarity among member countries. The cultural policy of the United States had a great impact on the emergence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s the venues reflecting the desir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ilms. The Asia Foundation, which implemented the cultural enrichment programs in Asia, encouraged Korea to participate in the Asian Film Festival in order to consolidate a network of anti-communist filmmakers. The Asian Film Festival became a venue for the Korean film industry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 various ways. The Asian Film Festival provided opportunities not only to open up the overseas market for Korean films, but also to boost the Korea’s national image. Furthermore, it was also a venue to stimulate the postcolonial resistance against Japanese cultural imperialism.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the US cultural policy influenced the desir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ilms, and then explore the process in which the desire is realized as the Asian-Pacific Film Festival by national policy. By doing this,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historical research on Korean international festivals. 이 글의 목적은 1969년에 막을 올린 아스팍영화제의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의 문화적 냉전 전략이 아스팍영화제를 통해 구현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아스팍영화제는 한국의 주도로 출범한 아스팍 사회문화센터가 아시아 자유 진영 국가의 결속을 강화하고 공산 세력을 영향력을 저지하기 위해 주최한 비경쟁 국제영화제이다. 한국 정부는 아스팍영화제를 통해 회원국의 문화적 우수성을 선전하여 아시아 영화의 국제화를 꾀하고, 각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회원국 간의 문화적 연대감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냉전기에 국제영화제가 한국영화의 국제화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는 장으로 부상하게 된 데에는 미국의 문화정책이 큰 영향을 끼쳤다. 아시아지역을 대상으로 문화 원조 사업을 시행한 아시아재단은 반공 영화제작자 네트워크 형성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한국이 아시아영화제에 참가하도록 독려하였다. 아시아영화제는 한국영화계가 국제영화제의 가능성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장이 되었다. 아시아영화제는 한국영화의 해외시장 판로를 개척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으며, 국가 이미지를 쇄신하기 위한 기회로 활용되었다. 또한, 일본의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탈식민지적 욕망을 자극하는 장이기도 하였다. 아스팍영화제를 주관하였던 아스팍과 사회문화센터의 설립과정을 살펴보면 아스팍영화제가 아시아영화제를 거치며 배태되었던 국제화에 대한 열망과 일본의 헤게모니에 대한 견제 의식, 해방 이후부터 한국 정부가 견지해온 반공 이데올로기가 결합하여 탄생한 냉전 세계주의의 산물임을 알 수 있다. 이 글은 냉전기의 미국의 문화정책이 한국영화의 국제화에 관한 관심과 열망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열망이 아스팍영화제를 통해 국가 정책적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냉전의 맥락에서 검토하며, 한국의 국제영화제 역사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아시아ㆍ서구에 대한 인식 차이와 한국 미디어의 영향 연구

        오대영(Oh, Day-young)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7 No.-

        한국과 아시아간의 교류가 크게 늘고, 한국은 다문화사회가 되었다. 한국에게 아시아는 매우 중요해졌고, 아시아와 보다 긴밀한 관계를 맺어야 하는 시대가 됐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사회는 서구 중심적이고, 아시아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미디어는 외국에 대한 공중의 생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아시아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미디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대학생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서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해 한국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대학생들은 아시아와 서구를 모두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서구보다는 아시아와 더 관련이 많았다. 대학생들은 서구 뉴스보다 아시아 뉴스를 찾아보는 빈도가 더 많았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한국 미디어가 서구에 대해서는 충실하게 보도하지만, 아시아에 대해서는 그렇치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치, 경제, 사회, 외교안보, 문화ㆍ스포츠 등 5개 주제의 20개 항목에서 조사한 결과 대학생들은 모든 항목에서 아시아보다는 서구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아시아에 대해서는 14개 항목에서 부정적이고, 6개 항목에서만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3개 항목에서만 부정적이고, 10개 항목에서는 긍정적, 7개 항목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와 서구 뉴스에 대한 인식에서도 대학생들은 ‘경제성장’을 제외한 19개 항목에서 한국 미디어가 아시아보다 서구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시아에 대해서는 15개 항목에서 부정적이고, 5개 항목에서만 긍정적으로 보도한다고 평가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15개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5개 항목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보도한다고 인식했다. 대학생들의 개인적인 인식보다 한국 미디어가 아시아에 대해서는 더 부정적으로, 서구에 대해서는 더 긍정적으로 보도하고 있었다.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태도는 대학생들의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어,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에 대한 보도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Personnel and material exchanges have greatly increased with Korea and Asia, and Asia became more important to Korea. But Korean society is still the West-oriented and has a strong tendency to downplay Asia. Media has influenced greatly the idea of the public on foreign world. Media’s role is very important for changing perceptions of Korean people on Asia. I surveryed 323 college students of Korea. Students thought that both of Asia and the West(America and Europe) are important to them, but they have more relationships with Asia than the West. Students have consumed Asia-related news more than the West-related news, but they recognized that Korean media reported the West-related news dutifully and did not Asia. Students have better perceptions about the West than Asia in all 20 items of 5 themes(politics, economy, social matters, diplomacy and security, culture and sports). In the perceptions on Korean media’s coverage attitude regarding 20 same items, students thought that Korean media has better coverage attitude to the West than Asia in 19 items except ‘economic growth’. Korean media reported more negatively Asia and did the West more affirmatively than personal perceptions of students. The coverage attitude of Korean media has th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s of students, so it is necessary for the coverage attitude of Korean media to be improved.

      • KCI등재

        신어로 바라본 한국의 대중문화 - 1994년, 2004년, 2014년 신어를 중심으로

        정한데로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아시아문화연구 Vol.53 No.-

        단어를 만드는 것은 특정 화자 개인이지만, 단어는 언어 공동체 내에 수용(공인화)될 때 비로소 온전한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 초기 단어 형성 과정도 사회적(언어 외적) 맥락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단어의 탄생과 확산은 사회‧문화적 요소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신어는 사회 변화와 새로운 문화 현상의 출현을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결과물이다. 구성원 다수의 삶 속에서 활발히 생산되고 소비되는 문화 전반을 ‘대중문화’로 이해한다면, 대중문화는 ‘텍스트의 생산, 생산된 텍스트, 텍스트의 수용’이 복합된 결정체이다. 이러한 대중문화의 특성은 신어가 지닌 ‘임시어의 형성, 임시어, 임시어의 공인화’와도 정합적으로 대응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곧 ‘대중문화’와 ‘신어’의 상관성에 집중함으로써 신어를 매개로 각 시대별 대준문화의 제 양상을 정밀하게 관찰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글은 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해 온 1994년, 2004년, 2014년 신어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각 단어가 형성 당시의 사회적 맥락과 어떠한 연결 고리를 지니는지 찾고, 이를 통해 일부 신어로부터 시대별 사회 및 문화 요소를 포착해 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각 시기 신어에서 드러나는 구성적 형식은 물론이고, 몇 가지 주제별(‘의식주’, ‘방송/미디어, 공연/영화/음악’, ‘컴퓨터/통신, 인터넷/휴대폰’, ‘건강/스포츠, 취미/여행, 미용/쇼핑’) 내용에 따른 경향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해당 시기의 기사 자료를 참고하면서 신어 형성 과정에 당시의 어떠한 사회적 사건과 배경이 관여하였는지 기술하였다. 아울러 오늘날까지도 지속적으로 쓰이고 있는 단어와 현재 그 쓰임을 거의 찾기 어려운 단어들도 함께 언급하였다. People can make a new word(nonce word), afterward the word can be accepted by members of own speech community.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s considerably important factor for word formation study because words basically include atmosphere and interest of people at that time. Therefore neologism is visible output of things that show social change and occurrence of new culture. Popular culture consist of three constituents, that is producing of text, produced text, and acceptance of text. Remarkably, these characters are parallel with that of neologisms. Neologisms need three factors, that is nonce formation, nonce word, and institutionalization. It means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popular culture and neologisms. This paper aims to examine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from 1990’s to 2010’s by monitoring neologisms of each time. We can find some patterns from both their structural feature and contents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we deal with some representative subjects, which is ‘food, clothing, and shelter, which is the necessities of life’, ‘broadcasting/media, concert/film/music’, ‘computer/communication, internet/mobile phone’, ‘health/sports, hobby/travel, beauty/shopping’ in a concrete way.

      • KCI등재

        ‘동인녀(同人女)’의 발견과 재현

        김효진(Kim, Hyo-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초국가적인 대중문화의 생산, 유통, 소비와 함께 대중문화의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상황을 배경으로 한국에서 ‘동인녀’의 발견과 재현, 그리고 이 현상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일본 야오이(やおい)?BL(Boys’Love)문화의 수용과 확산을 분석한다. 아마추어 만화?소설텍스트인 동인지의 생산과 유통, 수용을 포괄하는 동인문화에 참가하는 여성을 의미하는 동인녀는 아마추어창작물의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 1980년대 이후 한국 동인문화를 이끌어온 주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중반 한국사회에서 동성애 소재 대중문화 콘텐츠가 인기를 얻게 되면서 매스미디어에 의해 새로운 문화소비층으로 ‘발견’되고 재현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내부자적 관점에 바탕한 동인녀 재현의 사례로서 본 연구는 순정만화, ?오덕후 이야기:보통연애,모두 하고 있습니까??및 블로그인 <보통연애 블로그(http://normallove.egloos.com)>를 분석한다. 이 만화는 1)생산자이자 진정한 자신으로서 동인녀 정체성, 2)한국 동인문화의 패러디로서의 측면, 3)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동인녀 정체성의 강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한국 동인문화의 특징을 재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매스미디어가 발견한 동성애 관련 콘텐츠의 소비자로서 동인녀의 이미지와는 달리 한국인 작가에 의해 내부자적 입장에서 재현되는 동인녀는 역사적으로 일본 대중문화의 적극적인 소비자일 뿐만 아니라 한국 아마추어 만화문화를 지탱해온 생산자로서의 이중적인 정체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최근 동성애 관련 콘텐츠의 소비자로서 부녀자(腐女子)개념의 유입과 확산 또한 일본 후조시 문화의 영향뿐만 아니라 한국 동인문화의 변모라는 측면에서도 세밀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discovery and representation of Dong-in-nyo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reception and proliferation of Japanese Yaoi and Boys’ Love (BL) culture. Dong-in-nyo, which means women who actively participate in Dong-in culture, including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reception of Dong-in-ji as amateur comics and/or novel magazines, have been discovered as a new group with unique cultural tastes by Korean mass media, as male homosexuality have recently become a popular theme in the Korean content industry. Contrary to Korean mass media’s interests in Dong-in-nyo as new consumers of contents on male homosexuality, Korean girls’ comics The Odeokku Story:Does Everybody Fall in Normal Love? and its blog shows a way of representing Dong-in-nyo on the basis of insiders’ viewpoints, such as 1) Dong-in-nyo identity as producer and true self, 2) the parody of Korean dong-in culture, which has its own unique history since 1980s, and 3) the reinforcement of dong-in-nyo identity through communication among the artist/editor and readers. As conclusion, I argue that dong-in-nyo have played both roles as active consumers of Japanese popular culture and as producers of Korean dong-in culture, contrary to their representation in Korean mass media.

      • KCI등재

        전통 중국의 권력엘리트 충원문화와 시스템

        전인갑(Jeon In-gap)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첫째, 전통 중국의 엘리트 충원 문화의 속성을 해명하고, 둘째, 전통 중국 엘리트 충원 시스템과 그 특징을 분석하여 전통적 정치문화 및 권력엘리트 충원 구조의 단절과 연속을 해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교적 전통, 고도의 신분 유동성, 권력 엘리트의 지역적 편중 현상은 엘리트 충원 문화의 특징이었다. 특히 엘리트 충원문화는 유교이념을 근간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을 무엇보다 강조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엘리트는 통치행위 그 자체가 도덕적 행위 혹은 도덕을 구현하는 행위여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유교적 이념을 실천하는 것이 권력 엘리트의 정당성과 권위의 원천이었다. 다시 말해 유교적 문화주의 전통 속에서 도덕(문화) 국가를 만들기 위한 자질은 엘리트의 필수적인 능력임과 동시에 권력에 다가 설 수 있는 유일한 길이었다. 이러한 문화 속에서 학문과 권력이 일체화가 가능했음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전통 중국의 엘리트 충원 시스템은 과거제도였다. 과거제도는 문화주의 전통을 가장 전형적으로 실현시킨 엘리트 충원 시스템이었다. 그런데 이 방식의 엘리트 충원은 관료주의와 파벌주의를 심화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했다. 이 점은 공식적 충원 시스템의 한계라 할 수 있다. 한편 비공식적 엘리트 충원 시스템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막우는 공식적인 관료체계 속에 편입되지는 못했으나 고위 관리나 지방관의 사설고문 내지 비서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정책 결정에 깊숙이 개입하거나 지방행정의 한 축을 이루었다. 이러한 제도는 과거제를 기반으로 운영되었던 관료제도의 맹점 즉 관료의 실무 능력 결여를 보완하는 동시에 권력 엘리트의 풀을 확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근대 이후 전통적 엘리트 충원 문화와 시스템은 외견상 완전한 붕괴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면 엘리트 충원 문화 특히 국가권력의 역할과 엘리트의 사회적 소명에 대한 전통적 인식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고 보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강고한 뿌리를 갖고 있는 문화주의적 전통이 지속되고 있다. 중국 정치문화에 있어 현재와 전통의 중층적 공존의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야 말로 중국의 엘리트 충원문화와 시스템을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traditional political culture and power elites' recruit structure through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the system evident in pre-modern China. In Confucius ideology, high social mobility and unequal distribution of power elite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in China before. It is also necessary to stress that the such ideology made the basis of power elite's recuit culture.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is a formal recruit system in tradition China. It was in the frame of culturism. But it poses serious effects as it generates government bureaucracy and factional strife. It is also appropriate to mention the system of informal elites' recruit. Muyou(幕友) wasn't placed on official bureaucrat but was deeply involved in the policy decision playing a role of private staffs or secretaries. Such a system leads to expand the range of power elites and compensate the limits of bureaucracy being run based on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Seemingly, the traditional elites' recruit system seems to disappear in modern China. But if it is analysed further, it is difficult to think of the fundamental change i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for elites' social duty and the roles of the state power. We need to focus on the continuity of culturism rather than emphasis on new elites' recruit system in China.

      • KCI등재

        세계화 과정과 문화패권주의 지역분화 경향

        조명계(Joh, Myung-gye)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프랑스를 거쳐 유럽대륙으로 확산되었던 중세 서구의 사고와 지식 그리고 문화가 지금까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는 프랑스 문화와 합리주의를 내세우는 앵글로색스니즘의 문화가 그 중앙에 서 있다. 그리고 이들 문화 권력은 대량소비사회를 만들어낸 미국사회에서 꽃을 피우게 되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문화패권주의라고 부른다. 문화패권의 흐름은 그리스 로마의 지역문화 패권을 거쳐 중세 유럽 두 곳에서 18-19세기에 다시 나타났는데 바로 프랑스 문화패권주의와 앵글로색스니즘이다. 이들 두 문화패권주의의 흐름과 경향 및 충돌은 현재진행형으로 대부분의 세계가 아직도 이들 영향권 내에 있다. 그러나 문화는 수용보다는 거부의 측면도 존재한다. 헤게모니는 반드시 반작용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경제적 독립개념은 문화적 독립개념까지 불러오게 되었으며 바로 문화적 헤게모니에 대항하는 지역 분화된 문화패권주의를 불러오게 되었다. 그간의 문화패권주의는 기존 열강들이 도전에 직면하고 해체되면서 힘의 균형이 재편되어 지역별로 새로운 힘의 구도가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지역문화패권주의가 떠오르고 있다. 해당 지역마다 고유한 문화패권주의가 자라나기 시작했으며 힘으로 대항하는 때가 도래했다. 즉 기존의 세계화 과정에서 검토했던 전략들보다 새로운 지역문화패권주의 속에서 새로운 전략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The thoughts, knowledge, and culture of medieval Europe-proliferated in Europe from France?are currently influencing the entire world. The French culture and the rational culture of Anglo-Saxonism form the center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urope. This cultural power has also flourished in the American society where the culture of mass consumption has grown. All these phenomena are commonly known as “cultural hegemony.” The trend of cultural hegemony was evident in localized cultural hegemony in Greece and Rome and then in Europ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hich is known as French cultural hegemony and Anglo-Saxonism. Unlike Anglo-Saxonism, French cultural hegemony, which has driven the universal proliferation of French culture, was developed while striving to overcome the mighty power of America since World War II. However, the culture may be refused rather than accepted. The concept of economic independence is accompanied by the concept of cultural independence, which pits localized cultural hegemony against cultural hegemony of an economic power. Meanwhile, the balance of power has been reorganized, while the cultural hegemony of the existing powers disintegrated when faced with various challenges. As a result, regions created a new power map characterized by localized cultural hegemony. Now, there appears a unique cultural hegemony in every region and there is conflict between local hegemonies. Therefore, a new strategy may be required in new local cultural hegemony rather than strategies that have been considered in the existing globalization process.

      • KCI등재

        가사(歌辭)를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주뢰(Zhou Lei),문복희(Moon, Bok-hee)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31 No.-

        율문(律文)이면서도 서정, 교술 등 다양한 성격을 지닌 월령체 내방가사인 「사친가」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문화/문학 통합적 교육에 있어서 가치가 아주 높은 고전문학작품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주해 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 본 ?사친가?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한국어/문화/문학 통합적 교육의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중국 고사(故事)가 많이 인용되었다는 이유로 지적을 많이 받았던 ?사친가?를 활용한 한국어/문화/문학 통합적 교육의 가치를 논의하였고, 그 다음에?사친가?의 내용 및 텍스트 분석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친가?에 담겨 있는 어학적, 문화적, 문학적 교육 요소를 각각 추출하여 어학, 문화, 문학 등 3영역에서 각각의 분리 교육방법과 통합적 교육방법 및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통합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제적인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SaChinGa is not only the verse, but also has the lyrical and educational character of Kyubanggasa. For Chinese students as the object of the combined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SaChinGa is a high value of classical literary works. So this article takes SaChinGa as the research object and discusses the plan for the combined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First, this article discusses SaChinGa`s value on the combined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The second, it analyses the content and the original texts of SaChinGa. Finally, it summarizes the educational factor of SaChinGa which is in linguistics, literature and culture. And further, from the three aspects of linguistics, literature and culture, the author reveals the method of the Combined education and the actual teaching guide which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an be made good use of at the scene of the Combined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동요의 활용 방안 연구

        김진호(Kim, Jin-ho)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한국 문화의 이해가 한국어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동요 ‘우리의 소원은 통일’에 대한 언어 및 문화 교육적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육에 있어 동요는 당시 시대상과 관련한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가치를 지닐 뿐만 아니라 언어의 제요소를 교육함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텍스트 내용이 단순하고 음악적 요소인 리듬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로 표현된 타 장르와 다른 특징이 있으며, 학습 현장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용의 가치가 크다. 둘째, ‘동요’ 텍스트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 절차를 모색하고, 과정별 절차에 따르는 구체적인 교수 방안을 마련하여 지도를 해야 한다. 동요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방안은 (1) 생각하기 및 추리하기(상상하기), (2) 동요가사를 통한 내용 이해하기, (3) 동요 악보로 노래 부르기의 활동하기로 발전할 수 있다. 셋째, 연구 대상 작품의 주제인 남북 분단과 관련한 문화 교육에서는 장르를 달리하는 제재들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내용의 다양성만으로 교육의 효과를 담보할 수는 없으며, 어떻게 활용하는가가 중요하다. 한상마(2005 : 412-4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인 수업을 위해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우선 한국의 역사적 변천사 속에서의 남북 전쟁 및 남북 분단이라는 민족의 아픔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사의 기본 지식 그리고 외침과 관련한 내용들을 익히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남북 분단 및 통일 관련 학습 자료를 보충 자료로 제시한 후, 문학 작품의 감상을 통해 사고력을 확장하게 한다. This paper searched for the ways to use Korean pedagogy of the nursery rhyme, ‘Our Wishes’ which has not been handled so far. In Korean education, nursery rhyme repeats short texts on and on and has rhythm basically. So, it occurs learners’ interests and makes them join in classes actively. Also, due to the features that nursery rhyme has, there is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vocabularies or sentences of texts. And it also reflects era and social aspect at that time when the nursery rhyme has been sung. So, it has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s. The linguistical use premising contents of nursery rhyme can be found in Korean ‘phoneme, form, vocabulary, and grammar’. Through it, the contents can be understood. And thoughts and feelings about cultural phenomenon understood can be summarized. At the same time, singing a song activity can lead learners to be interested and join. The basic understanding nursery rhyme texts linguistically and cultural phenomenon can lead to advanced courses. Through tracing historical traces about text cultural phenomenon, cultural themes should be inferred from the needs of the times. Moreover, prepare for materials of various areas about cultural themes and show its close relation with Korean daily life.

      • KCI등재

        성남시의 문화정책 현황과 과제

        윤우준(Yoon Woo J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6 아시아문화연구 Vol.10 No.-

        Since it is culture that is a topic for the 21st century, every city in the world shares advocacy for making itself city of culture. Whatever such advocacy by cities implies, nowadays it becomes the most popular slogan and cities competitively propose and formulate a variety of programs and plans for its fulfillment. The reason of advocacy for making culture city by cities is that cityscape is one of the firsthand indices representing the culture, identity and opulence of city residents and, in global paradigm for the 21<SUP>st</SUP> century, a city as such comes to be recognized as a brand. In other words, culture of a city becomes one of the most pivotal factors making up competitiveness of the city. Local governments or municipalities have already made out specified action plans for making culture city which is being acknowledged as a crux of urban competitiveness. Similarly, Seongnam city enormously proposes a variety of culture policies, orienting toward a culture city. Nonetheless, it seems necessary for the city to put a lot of effort in setting the basic direction of its culture policies. Mostly, culture policies by Seongnam city work around the establishment of large-scale hardware without well-defined objectives and hollow, event-like programs. Because such policies are mostly implemented on beneficent basis, city residents remain as mere objects or spectators, not subjects or participants. For the rebirth of Seongnam city as a culture city of genuine value, its culture policies premise clear understanding of its specific historical background and current problems as well. The most urgent problems that Seongnam city now ha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dissemination of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its residen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former negative image of the city as a poor region and the conflict resolutions between residents living at old and new downtown; establishment of the city identity which can be shared among its residents and satisfaction of their cultural needs; and development and commercial use of a variety of cultural assets. For success in its culture policies, Seongnam city should need radical reconsideration and well-placed implementation process of such policies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First of all, the municipality should build cooperative network with the experts and relevant organizations from diverse fields and be well equipped with administrative leadership and planning capacity based on such network. Basically, Seongnam city is required to inquire and develop those cultural-historic assets and narratives that help the city identify and establish its historical root and cultural identity and make use of such assets and narratives in educational facilities for cultural experience, tourism and cultural industry, enhancement of the city image, activation of various city festivals, and so on. It is expected that such policies enable the municipality to earn financial advantages as well as provide a breeding ground for the city that is necessary to lead its residents into a sense of cultural homogeneity and change and improve their life into more cultural one. In short, based on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bovementioned fundamental cultural and historic assets, Seongnam city should consider outcomes from relevant academic fields including urban planning and conduct coordination and consultation with them in order to formulate comprehensive, integrated medium-and long-term plans for culture city that present persuasive and specified future vision of the city for the 21st century. Only if above processes precede, Senognam city will be able to grow to a city of culture in a real sense, a state that is the very essence of urban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Kyungwon University is the best partner for Seongnam city in its progress into culture city. Though Kyungwon University is the only a big, well-established university rooted in the Seongnam city, it 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