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lobalization and the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윤기옥 韓國比較敎育學會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1

        비교교육학회는 세계비교교육학회, 지역비교육학회, 각 국의 비교교육학회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세계화시대의 학회이다. 원한다면 일 년에 최소한 2회 이상 원하는 곳에서 이루어지는 학회에 참여하여 실제로 문화를 접하며, 학회주제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고, 연구분야가 같은 학자와 지속적으로 대화와 자료를 나누며 함께 성장할 수도 있다. 학회의 주제는 개최지에서 학회참석자와 함께 공유하고 싶은 교육문제를 중심으로 결정된다. 2007년 9월 3~7일에 Bosnia and Herzegovina의 수도인 Sarajevo에서 열린 13차 세계비교교육학회의 주제는 Living together-Education and Intercultural Dialogue로 인종청소로 널리 알려진 1990년대에 발생한 내전의 후유증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한국비교교육학회는 세계비교교육학회, 아시아비교교육학회의 중요한 창립멤버이었을 뿐 아니라, 세계 사회에서의 한국의 위상을 생각할 때, 우리는 세계비교교육학회, 아시아비교교육학회 등의 국제학회의 발전과 비교교육의 발전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할 필요가 있다. 세계화된 지구촌에서 “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 자주 듣지만, 행동에 옮기기는 힘든 말인 듯하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선진국으로 알려진 나라의 교육과 우리의 경우를 비교하며 우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이끌어내는데 익숙해 있다. 이제 우리는 우리의 교육제도는 그 나름대로 우수성을 지니고 있고, 문제는 근본적으로 그 우수성과 문제의 본질을 찾아내어 발전시키고, 바로잡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또한 이제는 지역전문가-선진국에 대한 지역전문가 뿐 아니라,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나라들 가운데 관심있는 나라를 선택하여, 그 나라 사람이상으로 그 나라에 대하여 아는 그 나라 전문가가 되어, 진정성 있는 자세로 협력·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발전한 우리나라와 자신에 대한 자부심과 자신감을 마음속에 간직하고. 우리는 외국에서 이루어지는 비교교육학회에 참여할 때, 그 나라의 문화를 살펴볼 기회뿐 아니라, 개인이나 학자로서의 자신, 우리나라의 학교와 대학, 우리나라와 지구촌에 대하여 성찰할 기회를 갖게 된다. 비교교육학회에 참여하는 것은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할 뿐 아니라,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며, 국가와 지구촌의 좋은 시민이 되는 데도 기여한다. The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is a representative global education society, which is composed of national societies, regional societies, and a world council. Every year we can attend at least two comparative education societies, if we want, and enhance our awareness of the education problems that we face in the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perspective. As scholars interested in comparative education we can specialize in a couple of countries in need of help and hopefully with knowledge excelling the local people collaborate with them, that is, act locally. Providing us with the chance to reflect on us, the university we work for, and the country and the global village we love in, attending the conferences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societies help us become a better person, a better scholar, and a better global citizen.

      • KCI등재

        한국에서의 비교교육연구 성과와 과제

        정일환(Chung, Il-Hwan),이병진(Lee, Byung-Jin),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한국비교교육학회의 학문적 활동을 통하여 한국에서의 비교교육연구의 성과 과제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비교교육학회는 학회 설립 이후 세계 여러 나라의 교육 정보공유와 국제 교류에 있어서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특히 비교교육의 연구 능력을 제고하고 교육발전에 기여하고자 세계 여러 나라의 비교교육연구를 수행해 왔다. 한국비교교육학회는 비교교육 관련 학술행사와 학회지 발간을 통하여 많은 비교 교육연구를 장려해 왔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비교교육연구는 특수한 상황과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대학 내에 비교교육이 제도적으로 발달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정책 관계자나 학자들에게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비교교육학 연구의 활성화는 물론, 세계적인 차원에서의 비교교육 연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deal with the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It discussed KCES’s(Korean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contribution and tasks to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by examining the academic activities of KCES. The KCES has been active in the interchange of global education information among educators around the world. To be specific, the KCES has undertaken comparative research on education around the world with the goal of enhancing the research ability of comparative educ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oreover, the KCES has promoted the hosting of academic conferences and the publication of research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However, the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has its own circumstances and problems. It has been difficult for comparative education to develop institutionally in university systems in Korea, and to be understood clearly by academic world or policy makers. Thus, the KCES has to make efforts to promote the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and participate actively on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on a global dimension.

      • KCI등재

        한국 비교교육학의 연구 동향

        박혜경(Hyekyung Park),김정희(Junghee Kim)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질적 고도화기에 들어선 2010년대 이후 한국의 비교교육학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이라는 맥락 속 비교교육학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비교교육학 연구 학술지인 「비교교육연구」에 투고된 논문 가운데 질적 고도화기라고 볼 수 있는 2010년도에서 2022년도까지 게재된 논문을 Bray&Thomas(1995)의 분석틀을 중심으로 지리적/지역수준, 비지역적 인구통계집단, 교육 및 사회측면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계적 측면에서 영문호가 증호되고 그 체계가 잡혀가는 2010년 이후 비교교육연구의 체계성이 점진적으로 확보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술적 측면에서 한국 비교교육 연구의 다양성이 2010년 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늘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방법에서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한 연구가 대폭 증가했으며, 지리적/지역수준 측면에서 선진국에 대한 관심이 유지되는 동시에 관심 대상 국가들의 확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 및 사회 측면에서 교육행정학적 전통이 유지되는 가운데 다른 교육학 영역의 참여가 확장되었으며, 인구통계집단 측면에서는 고등교육 및 교원집단에 관한 관심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2010년 이후 한국 비교교육학 연구는 점진적으로 체계화 되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주제와 대상 국가들의 다양성 등 점차적으로 학술적 측면에서도 학문영역 간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교교육학의 연구가 지향하는 중요한 가치 중 하나가 다면성과 총체성이라는 점에서 한국 비교교육학 내의 다양성 확보(예, 다양한 기관의 연구자, 국내·외 공동연구 등)와 더불어 학술공동체인 학회의 국내·외 네트워킹 활성화도 필요할 것이다. [Purpose]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in South Korea since the 2010s, when it entered a period of qualitative sophistication. With the purpose we tri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Methods]For this purpose, we analyzed 581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2 by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journal in South Korea with Bray&Thoams(1995) analysis frame. [Results]First, the systematic aspect of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gradually secured since 2010 as the number of English issues was increased. Second, from the academic aspect, it was found that the diversity of Korean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has relativel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2010.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applying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t the geographic/locational levels, interest in developed countries was maintained, while interest in developing countries also expaneded. In aspects of education and of society, it was expanded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erms of nonlocational demograhpic groups, it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interest in higher education and teacher groups. [Conclusion]The research trend since 2010 showed a shift of viewpoints in relation to the changes in the position of South Kor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Korean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 to secure diversity.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교육기본법 비교분석

        정기오(Jeong, Kioh)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이 논문은 1997년 한국교육기본법과 2006 전면개정 일본교육기본법을 비교 교육 비교법 측면에서 비교분석한다. 두 법률을 그 문장론, 법개념과 법리, 교육철학과 교육풍토의 세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한 일 약국 교육기본법의 특징을 도출하고 있다. 첫째, 한국교육기본법은 교육당사자들을 권리 권능의 주체로 명시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권리 권능의 주체에 대해 불분명하다. 둘째, 한국교육기본법은 시민적 권리와 법질서를 지향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공법적 질서를 지향한다. 셋째, 한국교육기본법은 당사자주의 일본교육기본법은 직권주의를 지향한다. 넷째, 한국교육기본법은 교사수권 교육과정을 지향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행정수권교육과 정을 지향한다. 다섯째, 학교의 공공성을 한국교육기본법은 공식교육과정으로 예상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국가독점성으로 상정한다. 여섯째, 한국교육기본법은 교직 전문직관에 기초해 있으나 일본교육기본법은 교직 성직관에 입각해 있다. 일곱째, 한국교육기본법은 종교적으로 세속화된 교육을 지향하나 일본교육기본법은 일본 전통종교와 조화된 교육을 지향한다. 여덟째, 한국교육기본법은 발전도상 시기의 발전교육관을 유지하고 있으나 일본교육기본법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강조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교육기본법은 시민적 교육법제를 위한 기본법을 지향하며 일본교육기본법 공법적 교육법제를 지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Korea’s Education Foundation Act and Japan’s Education Foundation Act in a comparative way. The frame of comparison consists of three dimension: syntax analysis, way of legal conceptualization, and the educational climate and institutionaliza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 1. Legal subjectives are clear in Korea but not clear in Japan 2. Civil relationship rules Korean education while public legal order rules Japanese education. 3. Partnership rules Korean education while administrative initiative rules Japanese education. 4. Curricular mandate is given to teachers in Korean education while to administrative hierarchy in Japanese education. 5. Public nature of schools means public credential in Korean education while public monopoly in Japanese education. 6. Professionalism is adopted for Korean teachers while missionary perspective adopted for Japanese teachers. 7. Korean education is expected to be secular while Japanese education is expected to reconcile with the traditional religious belief in Japan 8. Develop education still strongly orients the Korean education whil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Japanese education In summary, civil law frame is adopted in Korean education while in Japan public law frame is adopted in legalizing their Education Foundation Act. National climate influenced the education legislation in the two countries. Japan has strong missionary climate while Korea has secular perspective to education. Thess differences colored the way of literary expression in the legal text of the Education Foundation Act i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몽골과 한국의 초·중등 교육제도 비교

        간치멕(Ganchimeg Gantumur),차희영(Cha Hee 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6

        이 연구는 몽골과 한국의 교육적 교류를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몽골과 한국의 교육제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다. 연구를 위해 두 나라의 교육 관련 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비교했다. 먼저 몽골과 한국 사회의 역사적인 변천과정에서 교육 제도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알아보았고, 두 나라의 현행 교육 제도를 분석하여 비교해 보았으며, 향후 양국의 교육 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몽골 교육은 구소련식 교육 제도로부터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고, 한국 교육은 미국식 교육 제도로부터 영향을 받아 오늘날까지 발전해 왔다. 몽골과 한국의 현행 학제도 각각 5-4-3제와 6-3-3제로 차이가 있었다. 학교 운영 방식도 단일형 학교 제도를 근간으로 하는 한국과는 달리 인구 밀도가 낮은 몽골은 통합형 학교 제도로 운영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시간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몽골이 한국보다 연간 수업시수가 더 적었다. 연구 결과들은 기존에 한국에 많이 소개된 바 없는 몽골의 교육 제도에 관한 정보를 한국에 제공해 줄 것이며, 몽골에는 향후 교육 제도의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educational exchanges between Mongolia and Korea by comparing educational system between Mongolia and Korea. For the study, we compared the educational documents of the two countries. The contents of the study first examined how the educational system has changed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Mongolia and Korean society.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of the two countries is analyzed and compared.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system in both countries in the future. As results, Mongolia has been influenced by the Soviet education system and Korea by the American educational system and has evolved to this da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urrent academic system between Mongolia and Korea, which were 5-4-3 and 6-3-3 respectively. Unlike in Korea, where the school system is based on a single school management system, Mongolia, which has a low population density, operates as an integrated school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time. Mongolia had less lessons per year tha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system in Mongolia that has not been widely introduced in Korea and will be provid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future improvement of education system in Mongolia.

      • KCI등재

        교육민영화 관점에서 미국과 한국의 홈스쿨링 비교연구

        육권인(Youk, Kwon-In),백일우(Paik, Il-W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민영화 관점에서 미국과 한국의 홈스쿨링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한국 홈스쿨링의 제도화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교육민영화관점을 검토하고, 이를 분석준거로 삼아 미국과 한국 홈스쿨링 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설립 면에서 홈스쿨링 학생 수는 미국과 한국 모두 증가하고 있다. 둘째, 교육비용부담면에서 정부 비용에 대하여, 미국에서는 정부가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을 부담하고 있으나, 한국 법률안에는 정부 비용부담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고 있다. 셋째, 교육서비스생산 면에서 부모 가계소득과 부모 학력은 미국과 한국 모두 중산층, 고학력의 학부모가 많이 참여하고 있다. 넷째, 교육관리 면에서 부모 교육권 과 정부 규제는 한국은 미국에 비해 교육권 확보에 소극적이고, 한국 법률안은약한 규제 수준이다. 다섯째, 교육성과 면에서 사적수익인 학업성취도는 미국은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국은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논의를 하였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how the homeschooling system in Korea can be institutionalized in comparison with its system in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educational privatization. The literature review made it possible to provide a critical criterion through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major finding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homeschooling students has been on the rise in terms of sponsorship. Second, regarding funding, whereas the US government has paid for both direct costs and indirect costs, the government’s funding is not legally defined in Korea. Third, homeschooling parents are more likely to be in middle-income and highly educated groups in both countries when it comes to production. Fourth, in terms of governance, not only Korean parents seem to be less proactive in possessing their educational rights but also Korean legislation’s regulation level is being low. Finally, with regard to outcom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homeschooling has been measured and verified in the States while it has not been monitored in Korea yet

      • KCI등재

        단행본에 드러난 미국 비교교육학 연구 특성 및 흐름 분석

        박남기(Park, Namgi)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비교교육학과 관련된 미국 단향본 분석을 통해 미국 비교교육학 연구의 특성과 그 흐름을 분석하고자한다. 아울러 이민자가 상당수를 차지하는 미국의 다문화적맥락에서 형성된 미국 비교교육학 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의 비교교육학 연구에 있어 명확한 연구영역 정립 및 학문적 정체성을 구축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Bray와 Thomas(1995).Alexiadou와 Brock(2013)등의 분류를 참고하여 재구성한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본석 대상측면에 있어'누가, 어디에'는 미국 출판서 혹은 다국적 주요 출판사에서 발간한 단향본에 ,'무엇을'에 해당하는 부분은 학술검색엔진에서 찾은 단향본 가운데 비교교육에 적합한 단행본들을 일일이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둘쨰, 연구주제 및 영역 중심으로 보얐을 떄, 복합주제, 특징주제,비교고등교육, 국제교육, 발전교육 등 다양한 연구영역들은 다루고 있었다. 셋째, 특정학문분야의 활성화 여부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인 대학에서의 정구과정 개설 여부에 있어 미국의 경우, 1899년에 이미 콜롬비아대학교 교육대학에 비교교육전공 과장이 최초로 설치되었다. 비교교육학 발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대학원 비교교육전공 프로그램 개설이 요청되고, 이는 시대적 흐름에도 적절하고 개척할 분야가 많은 비굑교육 분야에 대해 향후 수요도 증가하리라 예상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eam of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in the United Ststes by reviewing a variety of books from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for the future studies in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establish the academic identity in the field of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end in the U. S. that comprised many immigrants in the multicultural context. The analysis demonstrates thes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alysis 'who and where', we selected the books from the American publishers or multinational major publishing company. Referring to the framework of Thomas and Bray,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the academic book-forms that collected by the keyword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or the "international education" through the search engines. Second, in the terms of specific field of topic, research areas are found as follows: regional study encompassing composite and specific topics,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Third, it is a very important measure to judge the developmental academic status whether opening the specific field of study at university. In the case of United States, in 1899, the indeoendent program of Comparativ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the Columbia Universitiy.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academic program in universities in Korea in order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 KCI등재

        비교교육학과 교육재정경제학

        김병주(Kim, Byoung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6

        교육의 모든 측면이 국제적 관점에서 비교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비교교육학은 교육학의 대부분 분과학문과 연구주제를 공유할 수 있다. 특히 제도와 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교육재정경제학은 비교교육연구에서 중요한 영역의 하나가 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비교교육학과 교육재정경제학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교육재정경제학 자체의 발전뿐만 아니라, 비교교육학적 관점에서 교육재정경제학이 지금보다 발전하기 위한 몇 가지 과제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재정경제학 연구방법 및 접근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교육재정경제학에 대한 비교교육학적 연구나 탐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재정경제학의 독자적인 이론체계 구축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비교교육학은 이러한 교육재정경제학의 이론적 지향점이나 방향에 대 한 국제적 비교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적 교육재정경제학연구의 독자성을 확보해야 한다. 토착화되고 독자성을 확보한 교육재정경제학의 토대 위에서 국제적인 관점의 교육재정 및 교육경제학에 대한 다양한 비교교육학 적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재정경제학은 교육학의 어느 분야보다 비교교육학적 분석이 필요한 분야이다. 앞으로 이들에 대하여 비교교육학적 관점에서 더욱 활발한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In that all aspects of education can be compared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Comparative Education can share research subjects with most of the subdisciplinary study of Education. Especially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institutions and policies of education,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areas in Comparative Education studies. In this regard, this paper summed up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rative Education and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itself, but also in point of view of Comparative Education, it is as follows to discuss several tasks for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to develop from now on.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methods and approaches to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Comparative Educational studies or exploration o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should require additional analysi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Second,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n independent theoretical framework for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Comparative Education may also be interested in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these theoretical orientations or directions of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Third, we have to secure the identity of the Korea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Various comparative educational studies o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of Educ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should be attempted on the basis of indigenous and independent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are areas in which comparative educational analysis is needed more than any other study field of Education. We look forward to more active research o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in the future from a comparative educational standpoint.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정보교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김한성(Han-Sung Kim),정혜진(Hye-Jin Chung),이원규(Won-Gyu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개정된 정보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정보 교육과정의 개선과 정착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2007 개정 정보 교육과정’, 일본의 ‘2008 고등학교학습지도요령 정보편’ 등을 주된 분석 문헌으로 사용하여, 양국의 정보 교육 발전 과정과 함께,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양국의 정보 교육과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보교육 발전 과정에 있어서, 양국 모두 초기의 컴퓨터 활용중심 교육에서 컴퓨터과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으로 전환하였으나, 한국의 정보교육은 교과교육의 선택적 운영과 함께,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가르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을 활용하는 등 보조 교과로서의 분산된 접근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은 고등학교 정보교과를 통해 관련 내용을 필수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정보교육의 목적을 세분화하여 두 개의 과목으로 구성하며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의 비교를 통해 일본 정보교육의 STS(Science, Technology, Society) 중심의 접근과,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다각적인 내용 구성,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 제시 등의 특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사회적인 측면과 윤리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 일본의 정보 교육과정은 한국의 정보 교육과정에 비하여 실효성과 계통성면에서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정보 교육과정의 체제나 구성, 내용 보완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개선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and find out Implications for Korea’s Informatics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in Korea and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8 in Japan were compared.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development process,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Informatics curriculum between two countri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are as following: Firstly, in the development process, both countries change the curriculum from Computer Literacy education to Computer Science education. But Korea concentrates on assisted subject by optional course of Informatics in secondary education and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curriculum, while Japan focuses on mandatory subjects through the secondary education and has two subjects that are designed with the learner’s level and needs in high school. Secondly, in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Informatics curriculum. Korea values the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while Japan values STS(Science, Technology, Society), various approaches on problem solving, and Information ethics. Accordingly, This study is worth of giving several implication for solving some problems of Korea Informatics curriculum.

      • KCI등재

        한국과 일본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 영향요인 비교 연구

        정성경,기한솔,박환보 한국비교교육학회 2022 比較敎育硏究 Vol.3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dividual level and school level of teacher self-efficacy in multicultural classrooms(TSMC) of Korean and Japanese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tried to derive some implications on what policy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and promote the TSMC of school teachers wh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practice of global civic education schools. [Methods]This study used TALIS 2018 diversity and equity data for analysis, and conducted a multi-level model analysis to explore the impact factor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school level. [Result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ith a lot of teaching experience in Korea and Japan showed high efficacy in TSMC. Second, multicultural-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 were found to be positive influencing factors on TSMC of Korean and Japanese teachers. Third, in Korea,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have higher TSMC than middle school teacher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school-level factor that positively affects TSMC is important in Korea and the operation of multicultural curriculum in Japan. [Conclusion] At the level of international comparison, the multicultural competencies and qualities of teachers leading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fell far short of the international average. In order to improve the TSMC of Korean and Japanese teachers,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for incumbent teachers should be utilized. In Korea,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sure that all middle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incumbent teachers have TSMC. In addition, for improving the TSMC, it is important that Korea promotes the innovation of fellow teachers in schools, and Japan includes multicultural-related curriculum i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chool.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개인수준 및 학교수준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를 통해 세계시민교육 학교 실천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학교 교사들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개선하고 촉진하는 데에 있어서 어떠한 정책적 지원이 마련될 필요가 있는지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TALIS 2018 다양성과 형평성 영역의 한국과 일본 교사와 학교장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수준 및 학교수준 영향요인 탐색을 위해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에서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의 다문화교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일본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다문화 관련 교육·훈련 경험은 긍정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에서는 중학교 교사보다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교수준 요인으로 한국에서는 학교의 풍토가, 일본에서는 다문화교육과정 운영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국제비교수준에서 한국과 일본의 친다문화적 교실 환경과 다문화교육 그리고 세계시민교육의 실천을 주도적으로 끌어가는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과 자질은 국제 평균에 못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한국과 일본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양성교육 단계의 교사교육과 현직교사 대상 연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특히, 한국에서는 담당 교과와 무관하게 모든 중학교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가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갖추도록 하는 지원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한국은 학교 내 동료교사들의 혁신성을 촉진하는 것이, 그리고 일본은 다문화 관련 교육과정을 학교 내 전반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