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관련자들의 인식 차이 및요구 분석: B 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정,유신복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those involved in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professors, staff, and field teachers for the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9 professors, 46 staffs, and 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related to education related to students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core competencies of B education universities were survey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aired-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ducation-related people, and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using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core competencies by those involved in education. The field teachers was the highest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core competencies. Second, in all core competencies except for multicultural-global competenc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ir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using the Borich formula, professors and staff had high educational needs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emotional competency, and in the case of field teachers, the educational needs for emotional competency,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was high.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관련자들의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요구도를 분석하여 예비교사 교육에서 중요시되는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 광역시에 소재한 B 교육대학교의 관련자인 교수 19명, 직원 46명, 현직 초등교사 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B 교육대학교의 핵심역량 지표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요구도를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관련자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인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과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교육요구도는 Borich 공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자의 초등 예비교사 핵심역량 중요도와 실행도 각각에 대한 인식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초등교사가 인식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자별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이를 검증한 결과, 다문화·글로벌역량을 제외한 모든 핵심역량에서 관련자별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orich 공식을 활용하여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산출한 결과, 교수와 직원은 의사소통역량과 정서적 역량과 공감의 교육요구도가 높았으며, 현장 초등교사의 경우 정서적 역량과 공감, 교직인성 및 전문성 개발역량의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대학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구성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 부산교육대학교의 교육목적에 관한 연구

        최관경 釜山敎育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8 學生指導硏究 Vol.18 No.-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ideal, goals and objective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PNUE) newly. To achieve the purpose, following methods were employed. Firstly, theoretical research included the documentary review and analysis. The materials applied were the books, periodicals and research articles on educational aims. In addition, The handbooks published from 132 domestic universiti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Secondly, the relevancy of elements of PNUE educational aims was mokified and refined by 6 expert panels. Thirdly, a comparative study of concepts represented by such cognates as "objectives", "goals" and "ideals" was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found that although there are essential differences among them the terms(objectives, goals and ideals) can be mutually appropriate depending on contexts. It is noted, however, that unprincipled indiscriminate use of, such terms may lead to the mistake, for instance, of identifying the attainment of mere curricular objectives with that of educational goals and ideals.In fine, the new educational aims of PNUE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Motto : To make a contribution for the nation and humankind with love and wisdom. 2) Ideal : Love, Wisdom and Service. 3) Goal : To educate students to be qualifi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leadership and a sense of duty under the educational ideal of the university. 4) Objectives : ① To cultivate loving educators who are virtuous, patriotic and gumanitarian.           ② To educate students to be good citizens.           ③ To provide student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④ To develop students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ursuit of truth and academics.           ⑤ To educate students to do their best for self-growht and self-realization as educators.           ⑥ To educate students to develop strong beliefs and a committment towards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과 해외의 초등교원양성체제 변천 과정 비교 분석

        이광현,권용재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2 초등교육연구 Vol.37 No.2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s in Korea, the U.S., Japan, and France, and the development of som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s in the U.S. and Japan. Through thi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s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that is,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discussed. In the United States, as teachers' schools developed into teachers' colleges and universities, universities have developed into an open education system that train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ase of Japa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eachers' schools were consolidated into educational institutions similar to those of Korea's Kyowon University. However, due to limitations in university operation, etc., it has developed into a semi-university by opening and operating general departments such a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stead of the faculty training department. As a result, it seems that it has the character of an open-bred system. A small number of universities (University of Tsukuba, former Tokyo University of Education) have developed into comprehensive research universities, and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y have developed into universities that focus on pedagogical research along with teacher training. In France,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 training has been promoted through an integrated two-year master's degree program. In the process, the 2-year master's degree program has been operated as 1 (subject education) year + 1 year (on-site apprenticeship teacher), so it is actually a 3-year bachelor's course, 1-year subject education, and 1-year on-the-job training system. In the first year of the master's degree, if candidates do not pass the teacher admission test, they can complete the master's degree and advance into other fields. North Korea seems to be the only educational university system that separates and trains on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ke South Korea. In North Korea,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trained at the three-year Teachers College. According to the global tren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South Korea to develop into a comprehensive teacher training system through integration with Regional National Universities rather than integration between Teachers Colleges.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미국, 일본, 프랑스의 초등교원양성체제의 역사와 일부 미국과 일본의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발전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초등교원양성체제, 즉 교육대학교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먼저 한국은 역사적으로 보면 초등교사양성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미비로 분리형 단과 전문대학 체제가 이어져 왔다. 그에 따라 교대교육의 딜레마가 발생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미국은 사범학교가 교원대학, 그리고 종합대학으로 발전하면서 종합대학내에서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개방형 양성 체제로 발전해왔다. 일본의 경우 사범학교들이 통합되면서 한국의 교원대학교와 유사한 유초중등교원양성기관으로 변화한 사례가 많다. 그러나 대학운영상의 한계 등으로 교원양성학과가 아닌 인문사회 계열 등의 일반학과를 개설 운영하면서 일본의 교육대학들은 준(semi) 종합대학의 성격을 가지며 개방형 교원양성체제이다. 소수의 일부 대학(예: 쓰쿠바 대학. 구 도쿄교육대학)은 교원양성과 함께 교육학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는 종합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한 사례도 존재한다. 프랑스의 경우 초중등교원양성을 통합적으로 2년제 석사학위과정으로 교원양성을 추진해왔다. 그 과정에서 2년의 석사학위 과정은 1(교과교육)+1(현장수습교사)로 운영해왔기 때문에 실제로는 3년의 학사과정과 1년 교과교육, 1년 현장수습교사 체제이다. 그리고 석사 1년차에 임용시험에 불합격할 경우 석사학위를 이수하고 다른 분야로 진출하도록 개방형 체제로 교원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초등교원만 분리 양성하는 교육대학 체제는 한국 외에는 북한이 유일하다. 북한은 3년제 교원대학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하고 있다. 한국은 향후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서 교대 간 통합 보다는 거점 국립대와의 통합을 통해서 종합적 교원양성체제로 발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프랑스처럼 현장과의 연계성 강화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 교사 양성 기관의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강현구,김경린,류재규,소금현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 양성기관인 부산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교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Kember와 Leung(2009)이 개발한 도구를 교육대학교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으며, 완성된 검사도구는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해 함양될 수 있는 개인적 소양에 대한 인식(8항목, 16문항)과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9항목, 1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한 개인적 소양 함양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으나,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중요성이 높은 만큼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에서의 커리큘럼 개선을 통해 교사로서의 소양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창의적 자기표현 능력함양에 관한 연구-창작무용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홍지영,이유리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 their creative self-expression ability through a creative dance program that applies Laban Movement Analysis (LMA) theory. Because of cultural and educational issues that we are currently facing,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loss of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The elementary school period is an important time for mental and physical whole personality development, and we help form a proper self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harmonious education. Among these, the dance field in elementary education helps the development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It can b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awakening the sense of free expression and, by extension, expanding creative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creative dance program based on Laban movement analysis theory and applied it to 23 5th grade students of H elementary school in U area. The research proceeded for a total of six months from July 2020 to January 2021, excluding August, and the creative danc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6 sessions with expert advice (FGI).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tudents were able to cultivate self-expression (confidence) ability, and second, they were able to develop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choosing and expressing various topics, students were able to gain confidence and naturally think creatively. Third, it was possible to build up a sense of cooperation. In group activities, they showed consideration by distributing roles well and showed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completing the piece of work. It can be say that this process has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students who were engaged in school life with a passive attitude. Ultimately, it is believed that it has been jump as a growth process that allows students to feel closer to their friends and enjoy school life. For more advanced dance education, sufficient interest and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eagerly needed.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arts education to students, teachers must develop sufficient artistic competency through art-related occupational training. And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a more in-depth art education rather than a simple dance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I consider that to improve and expand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expression activities, it is needed that not only from individual teachers but also from the institutional dimension's practical efforts. 본 연구는 라반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 LMA) 이론을 적용한 창작 무용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창의적 자기표현 능력을 어떻게 함양하게 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화적, 교육적 이슈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 간 소통의 부재, 자기표현 기회의 상실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초등교육에서 무용 영역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의 발달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이는 자유로운 표현에 대한 감각을 일깨워 창의적인 사고로 확장할 수 있는데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라반의 움직임 분석 이론을 기반 하여 창작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U지역 H초등학교 5학년 학생 23명에게 적용해보았다. 연구 진행은 2020년 7월부터 2021년 1월까지, 8월을 제외하고 총 6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전문가 자문(FGI)를 받아 총 16차시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학생들은 자기표현(자신감)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으며, 둘째,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 여러 가지 주제를 정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고, 자연스럽게 창의적 사고를 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협동심을 함양할 수 있었다. 모둠 활동에서도 역할 분배를 잘하며 배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작품을 완성하여 성취감을 얻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정이 소극적인 자세로 학교생활에 임하던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할 수 있겠다. 궁극적으로, 친구들과 더 친밀감을 느끼며 즐겁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성장 과정으로 거듭났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더욱 발전적인 무용 교육을 위해서는 초등교사의 충분한 관심과 역량 또한 절실히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는 교사가 예술 교육과 관련된 직무연수를 통해 충분한 예술적 역량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 예술 교육을 질 높은 예술교육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회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또한, 단순한 교육과정 내에서의 무용 교육이 아닌, 한 층 더 심화된 예술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표현활동 교육의 질적인 향상과 확장을 위해서는 교사뿐만 아니라 제도권 차원의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해본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재생에너지와 재생에너지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연구

        이홍은,정호용,소금현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재생에너지와 재생에너지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현직 교사 78명과 예비 교사 89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초등 현직 교사들은 부산과 경남에서 재직 중인 교사들이며, 예비 교사는 부산교육대학교에서 재학 중인 2, 3학년 학생들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 재생에너지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미래의 대체에너지로서 재생에너지를 가장 바람직한 자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재생에너지 발전소 설치에 대한 님비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들은 재생에너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교육적 요구에 대한 차이가 크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