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退溪의『大學』解釋과 그 意味

        최석기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이 논문은 퇴계 이황의 『대학』 해석에 대해 구체적으로 그 내용과 특징을 살핀 글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퇴계의 釋義類 經書解釋과 『대학』에 대한 인식을 먼저 살펴보고, 그의 『대학』 해석을 『대학석의』의 해석과 기타 자료에 산견되는 문인들과 문답한 해석으로 크게 나누어 고찰하였다.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15-6세기 학자들이 大全本을 텍스트로 사서삼경을 정밀히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종류의 釋義를 모아 정리하고 비평한 것으로, 후대 校正廳本 諺解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런 점에서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우리나라 경학사상 釋義時代에 생산된 釋義類의 集大成이라 하겠다. 퇴계는 『대학』을 大廈에 비유하고, 여타 경서는 그 대하를 수식하거나 장식하는 부속물로 보았다. 이것이 바로 『대학』을 경학의 根幹으로 보는 그의 經學觀이다. 또한 그는 『대학』을 修己治人之道를 담은 政治書로 보지 않고, 存心出治之本에 해당 하는 修身書로 보았다. 『대학석의』의 내용과 해석성향을 분석해 본 결과, 가장 큰 특징은 총 101항목 중 98항목이 字句의 諺解을 정리한 것이므로 註보다 本文 字句의 정확한 언해에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퇴계는 이를 위해, 첫째 語助辭 하나에도 신중을 기하였으며, 둘째 언해로 판가름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한문으로 그 의미를 정밀히 논변했으며, 셋째 字義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虛辭 등을 분변하였다. 이 가운데 한문 해석이 곁들여진 대목이 그의 『대학』 해석에 있어 주요한 설들이다. 기타 편지글 등에 수록된 『대학』 해석에 관한 자료를 살펴본 결과, 퇴계 『대학』 해석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퇴계는 '知止而后有定' 이하를 格物致知傳으로 보는 설에 대해 반대하였다. 둘째, 格物·物格의 해석에 있어 一身의 주재자인 마음이 대상에 있는 이치를 認知하는 것에 대해 정밀하게 논하였다. 셋째, 知止·定·靜·安·慮·得의 해석에 있어, 예컨대 誠意의 경우 誠意가 그칠 바를 알아 意誠을 얻는데 定·靜·安은 그 중간에 있는 것이라고 하여, 주자의 설보다 진전된 해석을 하였다. 넷째, 팔조목 중 誠意·正心·修身에 대한 해석에 있어 성의는 靜時의 存養工夫로 정심과 수신은 動時의 省察工夫로 보아, 意誠한 뒤에도 四有의 偏私處를 없애는 正心을 해야 하고 五僻의 偏私處를 없애는 修身을 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正心章의 兼體用說에 대해서는 주자의 설에 따라 心之用만을 말한 것으로 보고, '心不在焉'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는 心在軀殼說·心在視聽說 등을 모두 부정하고 主內應外說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is a detailed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Toi-gye(退溪), Yi Hwang(李滉)'s interpretation of [Dae-hak]. In this paper, I inquired into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and his cognition about it at first, and I studied classifying into the interpretation of [Dae-hak-seok-eui(大學釋義)] and several scattered datum like Q&A exchange letters with his pupils.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study way of arranging and commenting several kinds of Seok-eui(釋義) while minutely interpret the books of '四書三經' in 15~16th century, and he influenced very greatly in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校正廳本' of next gener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compilation of Seok-eui-ryu which produced in Seok-eui-rye period of Korea. Toi-gye regarded that many other classics are decorations or ornaments if [Dae-hak] is a mansion. This is his very viewpoint of the classics that of [Dae-hak] is the root and the trunk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he thought that [Dae-hak] is the moral culture textbook of '存心出治之本' not to the political theory of '修己治人之道'.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ment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is that he concentrated to the accurate Korean literal text interpretation of [Dae-hak] judging from that the 98 items of his book is consisted of Korean interpretation arrangements. Regard for this, Toi-gye paid attention to the choice of each character, and detailed commented with Chinese character on the difficult point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classified the expletive concerning about the exact meaning of each character. The additional Chinese interpretation among this are his major theories of [Dae-hak] interpretation. The result of several datum inspection like other private letters, the major features of the Toi-gye's interpretation of [Dae-hak]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i-gye opposed the theory that regard [格物致知傳] below the text of '知止而后有定'. Second, he discussed minutely the principle that the mentality is aware of its object while interpreting of '格物' and '物格' Third, while interpreting '知止·定·靜·安·慮·得'. he suggested a progressed theory than Chu-tzu(朱熹)'s one, for example. '定·靜·安' exist in the middle place when achieve '意誠' in case of '誠意'. Forth, in interpretation of '誠意·正心·修身' among '八條目', he regarded '誠意' as '靜時 存養工夫', and '正心' and '修身' as '動時 省察工夫', more over he insisted that it needs not only '正心' which exclude '四有 偏私處' but also after achieve ‘修身’ which exclude '五僻 偏私處' after achieve '意誠'. Fifth, he followed the Chu-tzu's theory that mentioned about '心之用' for '兼體用說' of the chapter of '正心', however, he insisted '主內應外說' denying '心在軀殼說' and '心在視聽說' for the interpretation of '心不在焉'.

      •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

        김광순 慶北大學敎 退溪硏究所 200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7 No.-

        오늘 본교 퇴계연구소와 국제퇴계학회대구경북지부가 공동 주최하는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라는 큰 주제로 학술발표대회를 개최함에 있어 기조강연을 맡은 김광순입니다.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본래 과제 명제는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임을 양지 하시고 연구진은 본인이 연구책임교수이고, 박영호, 이문기, 강민구 교수가 공동연구원, 5명의 전임연구원, 박사과정 7명, 석사과정8명으로 구성되었다.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라는 원래의 과제 명칭에서 오늘 논문발표대회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의 전 단계이므로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라고 편의상 붙인 것이다. 그래서, 오늘 개최하는 학술 발표대회의 내용을 말하기 전에, 2002년도 8월 1일에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인문사회분야 기초학문 육성사업단으로 선정된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라는 과제 수행의 연구계획과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과 내용,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실적 등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한 후에, 오늘 학술발표대회에서 발표한 5편의 주제에 대한 기본 연구 방향을 언급함으로써 기조강연을 대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기조강연을 마치면 임종진교수의 사회로서 발표자는 이군선박사의 <매헌 금보의 도산기 고증과 정존재 잠고증에 대하여>, 김인철박사의 <퇴계학맥 문집소재잠명류에 대한고찰>, 이정화박사의 <퇴계문인의 학퇴계정신이 누정제영에 반영된 계승양상>: 서신혜박사의 <선산지방 서원의 훼철과 오유거사전>, 유영옥박사의 <학봉 김성일의 제례의식과 행례>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하게 될 것이다. 오늘 다섯 분의 주제발표를 마치면 곧 이어서 이문기 교수를 좌장으로 하여 김종철 교수, 오용원 교수, 우인수 교수, 이수환 교수, 정우락 교수의 종합토론이 진행되고, 또한 방청석의 질문을 함께 받아 논문완성에 참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늘 발표를 맡아 주실 다섯 분의 전임 연구원과 종합토론에 참가해 주실 교수님의 노고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It's my honor to make a keynote speech in Spring Conference of The Toegyehak(退溪學) in Yongnam(嶺南) area and its specific culture held by Toegye Studies Institute in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Daegu and Kyungbuk branch of the Society of International Toegye Studies. The conference included in prior step on The construction of data base for the Toegyehak in Yongnam are and its specific culture was named as such for convenience. The research team is composed of 3 professors as coworkers-Park Youngho. Lee Moongi. Kang Mingu and 5 full-time researchers. 7 Ph.D course students. 8 master's course students, and me as principal researcher. The subject of The construction of data base for the Toegyehak in Yongnam area and its specific culture was elected as one of the national policy subject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term of basis learning supporting program in August 1. 2002. Prior to the presentation of papers, it will be announced that the purpose and plan of the subject. research way and results up to now. And the basic research directions of today's papers being announced are as bellows. At first, professor Lee Kunsun will announc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Dasangi of Maeheon Geumbo. And next we will have the presentation about Self-cultivation Characteristics displayed in Exhortation and Inscription Works in Anthology of Toegye School Scholars by professor Kim Incheol. Professor Lee Jeonghwa will announce The aspects of succession of Nujeong Jeyoung in respect for the spirit of Toegye of Toegye's scholastic lineage then. And the next presentation by professor Seo Shinhye will be A Study on the removal of lecture-hall in Seonsan and Oyugeosajeon. With the presentation by professor Yu Youngog in the name of Hakbong Kim, Sung-il's thoughts and performance of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the presentation session will be ended. After presentation by 5 people, open debate will be held with professor Lee Mungi as chairperson, professor Oh Yongwon, professor U Insu and professor Jung Ulak. And also there will be session of receiving hearer's question. I think it will be great helpful to accomplish this project's purpose. Lastly. I'd like to show my special thank you for their great efforts to prepar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ession. Thank you again.

      • 鶴峯의 樓亭詩 硏究

        이정화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4

        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계와 같은 도학적 시인임을 입증하는 것이 되며, 이것이 학본의 누정시와 퇴계의 그것에서 보여지는 공통된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학봉은 스승 퇴계가 시를 남겼던 누정에 올랐을 때의 감회를 읊은 次韻詩를 제작하였다. 또한, 학봉의 누정시에서는 公人意識과 치열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亂世를 잘 극복해보려는 지식인의 鬪志를 담아내기도 하는 등 독자적인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의 公平無私한 삶의 片鱗은 宦路에서 제작된 누정시에서 찾아지는데, 「矗石樓一絶」을 제작하는 순간에 公人意識이 가장 절정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42세 때에 함경도 巡撫御史로 있으며 제작한 「登惠山鎭掛弓亭」, 「鎭戎樓」에서, 학봉의 정신은 지난날 이 지역에서 호령하였던 尹瓘, 金宗瑞 장군의 기개를 닮고 있다. 시 속에 투영된 그의 義血은 愛民意識과 관련된 것이다. 왜나하면, 그가 수자리하는 병사들의 지친 모습을 놓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定平府次軒韻」에서는 국가를 위해 한 목숨을 기꺼이 바친다는 一念이 邊方의 오랑캐를 향한 殺伐한 기상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로써 보면, 학봉은 퇴계의 누정시에서 확인된 도학적 서정시의 경계를 창조적으로 계승하였다고 하겠다. 그의 시에는 스승을 닮으려는 溫柔敦厚한 資稟과 칼을 찬 선비의 굳센 기상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ak-bong poetry considering a scholar-official poet of 16C in Joseon. Generally he was a accomplished scholar as study of human nature(性理學).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strate the poetic spirit of Hak-bong.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starts from the view of life. We can find the fact that his personality is based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Toegye. The arbor poetry of Toegye reveals a remark full of meaning. having no concern with poetical title. Hak-bong were inclined to approach him from the Cha Woon of Toegye poetry. The arbor poetry of Hak-bong embody the truth of life and exhibit the sympathy of the poor His poetry expresses his poetical words suggest that he reveals the recognition of reality.

      • 퇴계(退溪)와 지산(芝山)의 『주역(周易)』해석(解釋)

        김인철 ( In Cheol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6 No.-

        본고는 퇴계의 周易釋義와 지산의 易象說에 나타나 있는 解易樣相을 검토함으로써 周易해석에 있어 退溪學派가 보여주고 있는 특징적인 성격의 一端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義理的 解釋에 입각한 정확한 訓釋과 象으로 의리를 補翼하였다는 것으로 요약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해당 구절에 대한 퇴계의 석의가 없는 경우는 논외로 한다 하더라도, 석의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程傳을 훈석의 일차적인 근거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주역석의가 지니고 있는 의리 위주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겠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지산의 역상설은 비록 다수의 象數易學的 方式을 적용해 卦爻辭를 해석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근저에 엄연히 義理易學的인 논리가 주동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주역해석의 특징을 象으로 義理를 補翼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周易釋義와 易象說이 갖는 이러한 특성을 근거로 전자는 퇴계 당대의 주역연구의 방향과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해 줌은 물론 주역을 학문적으로 정초토착화 시켰다는 점이, 후자는 퇴계학파내의 역학 사상의 긍정적인 발전을 성취하였다는 점이 각각 그 연구사적 의의로 인정된다고 지적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studying the features of Toegye(退溪)‘s school in interpreting Choi-i by reviewing the interpretation style shown in Chou-i shi yi(周易釋義) of Toegye and Yi hsiang shuo(易象說) of Jisan Cho Ho-ik(芝山 曺好益:1545-1609). The features can be summarized as precise translation based on moral interpretation and complementing moral principle with symbolic image or hsiang(象). This is because Chou-i shi yi is characterized as focusing on moral principle as the explanation is primarily based on Cheng chuan(程傳) case Toegye‘s commentary does exist. On the contrary, Yi hsiang shuo of Jisan interprets Chou-i by complementing moral principle with symbolic image because its interpretation is mainly generated by moral-principle science of I(義理易學) logic even though it interprets the annotations on hexagram-lines based on multiple the emblemo-numeroloy of I(象數易學) method. Chou-i shi yi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understanding the direction and quality of Chou-i study of Toegye‘s time and academically laid the foundation of and settled Chou-i. Yi hsiang shuo is significant in that it achieved a positiv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Chou-i. This assessment was made based on such features of Chou-i shi yi and Yi hsiang shuo.

      • 퇴계와 다산의 심성론 비교

        유권종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 연구는 퇴계학이 기호지역에 전개되면서 학문적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하는 사실을 퇴계와 다산의 학문 사이의 유사성과 연관성을 통해서 설명한 것이다. 특히 심성수양과 관련된 분야에서 퇴계에 대한 다산의 학문적 태도를 중심으로 점검하면서, 다산에 의해서 계승된 퇴계학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여 고찰된 까닭에 이 연구는 다산의 실학과 퇴계의 성리학 사이에는 차별성이나 단절성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똑같은 유학으로서 상호 연관성이나 연속성이 존재한다는 것도 아울러 추론하였다. 그 동안 성리학과 실학을 서구의 철학적 관점에 의하여 조명한 결과는 철학적 사고 차원의 차이를 선명하게 구별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두 학자의 학문적 관계를 철학보다는 유학이라는 관점에서 비교하면 차별성 못지 않게 동질성도 매우 강하게 관찰된다. 그것을 본 연구에서는 다산이 퇴계의 학문으로부터 유교의 도를 계승하고자 하는 태도가 분명하다는 점으로 설명하였다. 그 태도는 그의「西巖講學記」, 「陶山私淑錄」, 「理發氣發辨」 및 각종 경전의 주석에서 고찰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egyes Neo-Confucianism and Dasans Practical Learning. Especially in the sphere of moral self-cultivation the relationship keeps so much similarity. Dasans works as like Seo-am-gang-hak-gi, Do-san-sa-suk-lok, I-bal-ki-bal-byeon1,2 etc., succeeded to Toegyes viewpoint. Ever though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Neo-Confucianism used by Toegye were not accepted by Dasan, but Dasan recognized Toegyes idea of two ways to start ones feelings or emotions, that is I-bal and ki-bal. and accepted as his useful method to explain the appearances of ones mind. And Dasan admired Toegye and copied after him in his true heart. These facts told us that even though philosophically Dasans thoughts were different from Toegyes, but in the Confucian Way, Do(道), it is certain that Dasan succeeded to Toegye. From this inference, Toegyes learnig kept an important portion in Dasans Practical Learning, specially in the ideas of moral self cultivation. Now we can insist on a continuity of Confucian learning between Toegye and Dasan.

      • 退溪와 芝山의『周易』解釋

        김인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본고는 퇴계의 『周易釋義』와 지산의 『易象說』에 나타나 있는 解易樣相을 검토함으로써 『周易』해석에 있어 退溪學派가 보여주고 있는 특징적인 성격의 一端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義理的 解釋에 입각한 정확한 訓釋과 象으로 의리를 補翼하였다는 것으로 요약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해당 구절에 대한 퇴계의 석의가 없는 경우는 논외로 한다 하더라도, 석의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程傳』을 훈석의 일차적인 근거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주역석의』가 지니고 있는 의리 위주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겠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지산의 『역상설』은 비록 다수의 象數易學的 方式을 적용해 卦·爻辭를 해석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근저에 엄연히 義理易學的인 논리가 주동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주역』해석의 특징을 象으로 義理를 補翼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周易釋義』와 『易象說』이 갖는 이러한 특성을 근거로 전자는 퇴계 당대의 『주역』연구의 방향과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해 줌은 물론 『주역』을 학문적으로 정초·토착화 시켰다는 점이, 후자는 퇴계학파내의 역학 사상의 긍정적인 발전을 성취하였다는 점이 각각 그 연구사적 의의로 인정된다고 지적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studying the features of Toegye(退溪)'s school in interpreting Choi-i by reviewing the interpretation style shown in Chou-i shi yi(周易釋義) of Toegye and Yi hsiang shuo(易象說) of Jisan Cho Ho-ik(芝山 曺好益:1545-1609). The features can be summarized as precise translation based on moral interpretation and complementing moral principle with symbolic image or hsiang(象). This is because Chou-i shi yi is characterized as focusing on moral principle as the explanation is primarily based on Cheng chuan(程傳) case Toegye's commentary does exist. On the contrary. Yi hsiang shuo of Jisan interprets Chou-i by complementing moral principle with symbolic image because its interpretation is mainly generated by moral-principle science of I(義理易學) logic even though it interprets the annotations on hexagram-lines based on multiple the emblemo-numeroloy of I(象數易學) method. Chou-i shi yi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understanding the direction and quality of Chou-i study of Toegye's time and academically laid the foundation of and settled Chou-i. Yi hsiang shuo is significant in that it achieved a positiv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Chou-i. This assessment was made based on such features of Chou-i shi yi and Yi hsiang shuo.

      • 퇴계(退溪)의 『시경(詩經)』 해석과 그 특징

        심경호 ( Kyung Ho S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6 No.-

        퇴계는 사서와 역경의 연찬에 주력하되, 번쇄한 訓를 第一義로 삼지 않았다. 하지만 퇴계는 경학 연구에서 기초학으로서의 小學(philology)을 결코 소홀히 하지 않았다. 퇴계가 경학 연구에서 소학을 중시한 사실은 四書三經釋義 곧 經書釋義에 잘 나타나 있다. 퇴계는 시집전과 시전대전의 小註를 참고로 하여 시편의 義理를 해석하였다. 대전본 小註가 시집전과 모순되는 경우나 小註 사이에 취지가 상이한 경우에는 정설을 마련하고자 하였다.퇴계는 시편의 본지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경문이나 新註 및 대전본 小註의 난독자[僻字]나 破讀字에 대하여 그 음과 훈을 살폈다. 구 석의본의 음주나 속음을 정정하기 위해서 주희의 음이나 대전본의 음을 환기시키고, 여러 운서와 자서(옥편)의 음과 훈을 참고로 하였다. 특히 퇴계는 광운과 예부운략을 활용하였다. 간혹 광운의 간략한 훈석에 의거하여 한자음을 추정하다가 성조의 차이와 의미 분화를 바르게 파악하지 못한 예도 있다. 또한 新註나 대전본 음주의 破讀을 분석할 때 오류를 범한 예도 있다. 그러나 자음과 자훈을 고려하여 經文과 傳文을 해석한 것은 장구 해석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인 것임에 틀림없다. Since Toegye pursued meanings to promote moral character, his primary focus was not to prove literary analysis; rather his philology questions whether contemporary philology should pursue proof of words and phrases or higher humanistic meanings. But Toegye more than ot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asic research which means philology in the period of literature in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what he studied. He introduced the method of commentaries to comprehend true meanings of writings, applied bibliographical methods to comment on literature, and was involved in publishing books. His commentaries were not limited to technical analysis, but extended to reflect his inner thoughts and proceed to sincerity.

      • 傳記資料에 나타난 書名을 중심으로 본 퇴계 학맥의 전개

        이군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4

        본고는 퇴계 문인들의 전기자료에 나오는 서명을 중심으로 퇴계 학맥 전개의 한 단면을 살펴본 것이다. 퇴계 문인의 전기자료를 살펴보면 퇴계가 문인들을 가르칠 적에 사용한 교재는 주로 『심경』『근사록』『주자서절요』등의 책이었으며, 퇴계의 문인들이 학문의 요체로 생각했던 책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은 첫째, 퇴계가 문인들에게 교학하며 가장 중요시한 서적이 『심경』과『근사록』이라는 것이다. 『심경』과『근사록』을 공부하는 것이 당시 학문적 성향이기는 하지만 여타의 문하에서는 퇴계 일문에서처럼 집중적인 강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퇴계의 학문성향이 心學(理學)을 위주로 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퇴계의 문인들이 중시한 서명 역시 『심경』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근사록』과 『주자서절요』역시 많은 문인들이 애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자서절요』는 퇴계에 의해 정리되어 퇴계의 학문체계가 녹아 있는 것으로 퇴계의 문인들은 독실하게 공부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향은 퇴계의 학맥이 『심경』과『주자서절요』를 중심으로 心學(理學) 위주로 전개되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위에서 정리한 퇴계 문인의 전기 자료에 나오는 서명을 토대로 살펴본 퇴계 학맥은 어디까지나 전기자료에 나오는 것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향후 개별 문집을 통한 정밀한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Through this thesis, a phase of the development of Toegye's scholastic lineage is looked around mainly the titles of books represented on biographic material cf Toegye's disciples Examining biographic material of Toegye's disciples. Toegye used textbooks named 『Simkyung(心經)』『Jujaseojeolyo(朱子書節要』, 『Geunsarok(近思錄)』, etc when taught his disciples, and they regarded the books as the secret of studies, too. The contents of this thesis was argued, above all that Toegye considered 『Simkyung』『Geunsarok』as the most important books while he communicated with his disciples Studying those books was scholastic propensity of those days, but intensive course of lectures as Toegye's family was not accomplished under other instruction. That might show that his scholastic propensity made Simhak(心學)-it is very similar t o psychology- the prime object. Second, the title whose books Toegye's disciples thought to be cardinal was also mainly 『Sixkyung』, Moreover, a lot of disciples were fond of reading 『Geunsarok』. 『Jujaseojeolyo』, as well, 『 Jujaseojeolyo』 was especially organized by Toegye and his disciples learned it enthusiastically because it fused his scholastic system. This propensity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ing which his scholastic lineage was Simhak-centered development like. 『Sixkyung』and『Jujaseojeolyo』. Toegye's scholastic lineage that I previously organized mainly the titles of books stood on just biographic material. Therefore, it needs minute researches through collections of individual works from now on.

      • 투고논문 : 퇴계의 마음치료와 도덕교육

        권상우 ( Sang Woo Kw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1 No.-

        현행 도덕교육이 학습자의 실존적 고통을 등한시 한 채 지식 위주에 치우쳐 있는 상황에서 퇴계의 마음치료를 대안적 도덕교육으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퇴계 철학은 사변적이고 이론적인 학문이 아니라 실천적인 학문이다. 퇴계학의 실천성 은 욕망을 극복하고 도덕 본성을 회복하는 공부론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퇴계는 도덕본성의 상실을 心病으로 칭하고, 이를 치료하는 방법론으로 공부(수행)를 강 조한다. 그래서 퇴계철학을 ``도덕치료학``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때 도덕치료는 신 체적인 질병이나 우울증, 신경증 등의 신경정신과 질병과는 달리 욕망을 제거하고 도덕성을 회복시키는 치료이다. 퇴계에서의 도덕성 상실이라는 내적원인이 바로 폐쇄적이고 고립적인 인간행위의 근본이 된다고 본다. 그래서 퇴계철학에서 도덕 치료는 소통도덕교육의 핵심내용이다. 퇴계의 도덕치료는 상담적 방법 또한 중시한다. 즉, 교수와 학습자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로 설정하면서, 수평적이고 평등한 인간관계에서 내담자의 공감을 형성하고 내담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내담자가 도덕본성을 자각하도록 인 도하는 과정이며, 상담내용은 敬공부를 주로 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論文談了批判了現行道德敎育而探索作退溪的道德敎育. 因此, 論文從心理治療和相談觀點來討論退溪的工夫論, 退溪哲學不是思辨的和理論的學問, 而是實踐的學問. 退溪把道德本性的喪失看做是心理障碍, 而要從退溪思想之工夫論來治療現代人的心理障碍. 退溪認爲心理障碍的原因在于氣質的慾望,氣質變容疏通的自我了. 因此, 人不能獲得了能和他人一起高興, 而向外部追求物慾, 名譽, 資本, 因此. 個人不是和世界疏通的主人公. 外部大賞屈伏外物,而要發生了樂心, 而制限于慾望和外物而發生心理的不安, 昏亂, 在這時, 此人不能成爲和世界的疏通的主人公, 而發生了心理的不安和混亂. 儒家的疏通本性是人的內面所具有的, 因此必需自己治療心理的障碍. 人喪失了疏通本性的時候, 退溪通過敬工夫恢復所本來具有的疏通本性. 其方法是居敬, 窮理, 省察, 主一無適的具體方法.

      • 退溪 人性論에 있어서 善惡과 道德意志

        李永慶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2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1

        퇴계는 인성론에서 心性情의 선악과 인격형성의 문제를 理氣, 개념을 중심으로 풀어나가는데, 이는 도덕선천성과 道德意志의 문제와 연결된다. 퇴계는 理氣對論的 관점에서 인성의 善惡과 心性情의 문제를 다루면서 氣에 대한 理의 主宰가 강하면 善이 발출되고, 理에 대한 氣의 지배가 강화되면 惡이 발출된다고 한다. 따라서 철저하게 理를 통해 인간의 至純한 善性을 확보하고 惡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표명한다. 퇴계는 氣의 淸濁 정도에 따라 인격 유형을 上智·中人·下愚로 나누고, 도덕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실천 능력이 천부적인 氣의 淸濁·粹駁에 의해 어느 정도 결정된다고 하는 도덕 선천성의 입장을 표명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퇴계는 '下愚는 粹駁한 氣를 받고 태어났으므로 邪惡하다'고 규정한다. 그러나 퇴계는 동시에 '下愚라고 하더라고 天理를 성찰하는 수양으로 上智가 될 수 있다'고도 주장한다. 퇴계는 下愚에서 上智로 변화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의지가 推動되는 마음의 主體力으로 惡을 善으로 轉變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한편, 퇴계는 인간 본성의 善함이라는 천부적 특성과 본성상의 惡의 단초 문제를 후천적 도덕의지와 관련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七情이 과연 善惡의 특성을 가진 것인지를 검증하지 않았고, 후천적 도덕의지를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理氣의 특성에 의해서 인간의 도덕성이 어느 정도 결정된다고 하는 모순적 양상을 분명히 해결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맥락으로 볼 때, 퇴계는 下愚가 도덕의지로써 上智로 될 수 있다는 논지를 비교적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다. The Toegye's viewpoint of human nature is based upon the relation of li(理) and chi(氣), which confront each other. The li and chi consist of human nature and body, and the two factors have moral properties. Toegye thought that human beings innately have good nature, and have the probability that they can devote to the evil. So Toegye intends to conquer the evil and to reinforce the good to build up moral character. Toegye asserts that every human is granted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li & chi in born, and the li & chi decide the good & evil of the human nature. Toegye recognizes that li and chi are struggling each other in human mind. Then, Toegye asserts that the essence of moral problem is in the control of chi, so his aim of study set the focus on the correction of chi. Toegye insists that the lowest moral man can and must become the highest moral man, He, therefore, strengthen moral will to take the initiative against ch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