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ISE-PCK)의 요소

        김용성,문동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통합과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인 통합과학교육 교수내용지식(ISE-PCK)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각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 ‘통합과학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수업 평가에 대한 지식’의 6가지 요소로 제안하였다.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은 통합과학교육을 진행하려는 동기와 연관이 있으며, ‘학생 중심 활동’, ‘구체적 조작 중심의 학습’, ‘실생활 연계 학습’, ‘인성 함양’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다루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예비 및 경력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교육 태도와 과학 교수효능감 연구

        백상수 ( Baek Sang-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Cochran(1990)이 고안한 통합교육태도 측정도구와 Rigg과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 효능감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학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2,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았다. 특히 특수교육학 수강, 장애 가족 및 친척 유무 등의 배경변인이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학교수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M=3.17)과 통합교육의 유익성(M=3.14)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평정을 하였으나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M=2.74)과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M=2.42) 낮게 평정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168, p<.05). 특히 과학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과도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02, p<.01)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연수 및 양성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STATIC) by Cochran(1990)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by Riggs and Enochs(1990) were adap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alysis between STATIC and STEBI was also conducted. Overall, Only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 rated them higher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TIC and STEBI.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

        외국의 시각장애교육에 대한 실태 연구 -미국 퍼킨스맹학교 ELP 참가 15개국을 대상으로-

        이신영 ( Lee Shin-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세계 각 나라와의 교육지원 및 협력을 위해 시각장애교육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ELP 참가자의 15개국에 대한 시각장애교육 교육환경과 전문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교육 교육환경에 대한 실태 점수는 교육관련 시설에서 특수학교(급), 리소스룸의 시각장애교육 시설이 가장 높았고, 수요에 맞는 교육시설 제공에 대한 실태가 가장 낮았으며, 국가중에는 Thailand의 교육환경실태가 가장 높았고, Nigeria가 가장 낮았다. 교육과정 실태에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연수가 가장 높았고, 적합한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의 제공이 낮았으며, 국가별로는 El Salvador, Tanzania가 교육과정에서 가장 높고, Ghana가 가장 낮았다. 또한, 교재 및 교구에 대한 실태는 교재교구, 보조공학기기, 보행도구 등의 제공이 가장 높았고, 적절한 평가와 사정 도구가 구비가 가장 낮았으며, 국가별로는 El Salvador, India가 가장 높고, Argentina가 가장 낮았다. 둘째, 시각장애교육 전문성에 대한 실태에서 교육서비스의 적합성에서는 학생 수의 비율에 맞는 교직원의 배치가 가장 높았고, 교직원의 시각장애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가장 낮으며, 국가별로는 Armenia가 가장 높고, Ghana가 가장 낮았다. 또한, 교사연수의 실태에서는 정부의 연수 및 워크샵 제공이 가장 높았고, 전문학회 혹은 저널 등 네트워크 형성이 가장 낮았으며, El Salvador, India, Russia가 가장 높고, Chile가 가장 낮았다. The study aims to study overseas education actual condi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o improv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ntinuous exchang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schools and resource rooms are most common in educational services provision. Thailand has the largest number out of the 15 countries. El Salvador and Tanzania are operating the highest-quality teacher training. Adapted materials, assistive technology, and mobility devices are the most common types of learning materials. El Salvador and India are the leading, and Argentina needs improvement in the area. Second, regarding the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students' ratio to teachers is most frequently considered. Armenia is the leading country in the area. El Salvador, India, and Russia are considering teacher training with priority.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regarding network and relationship buildings with the global countries and the need for high-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KCI등재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능감 수준과 영향요인

        이혜민,강영심,정혜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1

        본 연구는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능감 수준을 파악하고,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S시와 K도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126명이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능감과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능감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능감은 보통이상의 수준이었고,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능감에 대해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장애유아 통합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통합교육 효능감은 직무자체, 장애유아 통합교육 경험이 영향을 끼쳤고, 개인적 통합교육 효능감은 현직연수, 장애유아 통합경험, 특수교육 관련 과목 수강, 장애유아 학부모와의 관계, 보수 및 승진, 행정체제가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육 기관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능감을 발달시키기 위해 통합경험 증진 방안 마련과 장애유아 통합환경의 조직풍토와 직무환경 개선에 대한 방안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역별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특수교사의 견해

        김연옥,최상배,임경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이 연구에서는 단위학교의 통합교육 지원과 지역사회중심의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지역별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네 그룹 30명의 특수교사가 참여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특수교사들의 견해는 5개 상위범주와 14개 하위범주,59개 의미단위로 분석 되었다. 분석된 상위범주는 다음과 같다: 첫째,지역자원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의 확대와 다양한 방식의 참여형 활동 운영,둘째,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시들의 역량강화와 학교 재구조화,셋째, 학교평가지표의 활용 및 학내 구성원 역량강화 지원,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인력보강 및 재구조화, 지역네트워크의 단위학교 통합교육 지원체제 구축,다섯째,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지역중심의 네트워크 구축 및 통합교육 실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지역중심 통합교육이 효율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자원 활용과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교사 지원의 필요성과 교사 지원을 위해서 온 • 오프라인의 다양한 통합 교육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pin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support of integrated education in unit school and building regional integrated network for the realization of regional-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Focus group interview were implemen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four groups of 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participated. As a result, opin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into 5 upper categories, 14 lower categories and 59 meaning units. The analyzed upper categories are as followings.; First, expanding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s using community resources and managing participatory activities in various ways. Second, empowerments of teachers and restructuring schools for integration of curriculums. Third, using school value index and supporting empowerments of members in schools. Forth, reinforcement of human resources and re-strucluralization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stablishment of integrated education support system at schools of community network‘ Fifth, community focused network establishment and integrated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For efficient community focused integrated education, the necessity of teachers' support through ecological approach considering community resources and features of community, and establishing various integrated education network on line and off line are suggested.

      • KCI등재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수업 참여 경험

        김건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 중 하나인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을 살피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면담내용은 다양한 관점의 교사들과의 토의, 보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서로 마음을 열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들, 변화가 필요한 교육과정과 같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학원의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가진 교사들이 서로 함께 경계 없이 현재의 교육관이나 교육방법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면서 스스로를 성찰하고, 편견을 깨뜨리기도 하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모색하기도 하는 등의 변화를 겪으면서, 상호협력과 통합교육에 대해서도 희망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수업은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에게 함께 토론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었고, 이것이 통합교육과 협력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로 이어졌음이 나타났다. 반면,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따라서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함께 전문적인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어야 하고,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수업이 진행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방법 개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역 특수교육원 진로⋅직업교육 운영 계획 및 성과 분석

        박윤정,박경원,정가희,김가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2 No.2

        본 연구는 4개 지역(경남, 대구, 대전, 충북) 특수교육원의 역할에 대한 미래 방향을 탐색하고자 진로⋅직업교육 사업의 운영 계획 및 성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3년(2020~2022년) 간 특수교육원에서 추진한 진로⋅직업교육 사업을 3가지 분석틀: 이론적특징, 교수적 실제, 실제 성과를 개발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특징에 대한 연구 결과로, 첫째, 4개 지역 특수교육원은 학생중심계획, 학생역량개발, 기관 간 협력, 프로그램 구조, 가족참여 영역에서 3년 간 유사한 사업을 운영해 왔다. 하지만, 사업의 세부적인 특징은 지역여건에 따라 특색을 달리하였다. 둘째, 지역 특수교육원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개인생활, 사회생활, 진로⋅직업생활, 진학 및 평생교육 영역의 총 26개의 지도 요소를 비교적 높은 비율(65.4%에서 88.5% 범위)로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 특수교육원의 사업 운영 여건, 예산, 협력 등의 세부 운영은 지역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각 지역의 여건에 맞는 운영 체제를 갖추었으며 졸업생의 취업률 및 진학률 성과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나타냈다. 이러한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직업교육에 주안점을 둔 지역 특수교육원의 전문화된 역할에 대해 구체적인 운영 방안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가족유형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분석

        정영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가족유형별로 특수교육 및 재활교육 프로그램 이용실태와 욕구를 분석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포함한 생활영역이 이들 가족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전국 6대 도시에 거주하는 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수집한 료를 분석한 결과 부모 모두 또는 부나 모가 장애인인 가족에 비해 자녀가 발달장애를 지닌 가족이 특수교육 및 재활기관을 더 많이 이용하고 그에 대한 교육 수요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유형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분석에서는 의료재활의 우 부모 모두 또는 부나 모가 장애인인 가족은 물리치료와 방문 진료에 대한 욕구가 높았고, 자녀가 발달장애인 가족은 물리치료와 언어치료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재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부모 모두 장애인인 가족은 컴퓨터 교육, 직업훈련, 기능교육 등에 한 욕구가 높았으나 자녀가 발달장애인 가족은 특수교육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재활상담과 심리치료에 대한 욕구는 자녀가달장애를 지닌 가족이 더 높았고, 가족상담은 부모 모두 장애인인 가족이 더 높았다. 장애인 가족의 특수교육에 대한 욕구는 다른 요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할 경우 이들 가족의 삶의 질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문화와 정보생활도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 가족유형별로 특수교육 및 재활 교육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