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0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6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육에서 필수적인 아동의 문제해결능력의 증진에 대한 연구를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초등 교사 교육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여, 대학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되는지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실과교육학과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측정을 위해서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level Z가 사용되었다.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한 결과 평균은 15.51이었으며, F검증을 한 결과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의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능력의 7개 하위 영역별 수준 역시 학년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은 학년에 상관없이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거의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대학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이 신장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 체육교육과 교육과정 개선의 방향과 과제

        김만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1

        체육교육은 학교 내에서 체육 문화의 전통에 학생을 입문시키는 유일한 교과이다. 이러한 문화의 전수는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문화 입문기인 초등학교 시기의 체육의 긍정적인 체험은 아동의 움직임 욕구의 실현과 스포츠 생활화의 태도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세계적인 추세와도 상통하지만,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 초등체육의 파행적인 운영은 문화 전수의 기회 박탈은 물론 체육의 정체성마저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체육의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하는 일련의 연구 중 하나로서 교사교육기관의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체육교사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 대구교육대학교 체육과교육 과정의 체제와 운영의 실제와 (예비)교사들의 입장에서 바라 본 그것들의 문제점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의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

        이원희,최명숙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8 No.1

        본 연구는 교육대학 교육과정 개선의 위하여 대구교육대학교의 교수, 재학생, 그리고 대구·경북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대구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되거나 고려되어야 할 중점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는 전국의 교육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설문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초대로 현행 학생들의 수업부담을 줄이기 위한 총 이수학점의 축소, 예·체능교과의 전담제 도입, 교육실습기간의 연장 및 현장과의 연계등이 가장 큰 고려 사항으로 지적되었다. 문제는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에 대해서는 교수, 학생, 교사의 의견이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는가 보다 구체적인 측면에서는 상호간의 양보와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이를 조정하는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하겠다.

      • KCI등재후보

        장애대학생 교육권 보장을 위한 국내외 원격교육 지원 상황 연구

        홍성두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7 No.4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distance education support for guaranteeing the right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experiencing serious difficulties through the COVID-19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the Ministry of Education - universities - learners – teachers. And, based on these contents, we trie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a distance education support plan in Korea. To this end, we reviewed the recommend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response of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he case of establishing a plan to support distance education by domestic universities, the case of online learning strategy for learners, and the case of guidelines for developing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professor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made six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right to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2020,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Universities in Korea showed great adaptation and change in the establishment of response strategies and distance education support plans in 2021. Howev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here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implemented for a long time, the specificity of the guidelines and plans is much lower. In overseas cases, specific learning strategies and content development guidelines were prepared for distance education learners and instruct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 First, in order to support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pecific guidelines for developing content for distance education in countries that have been implementing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a long time. Second, the development of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the integrated educational situation within the university. Third,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s a program that can mix face-to-face + non-face-to-face as much as possible. Four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fessors. Fifth, each university should prep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use remote classes on how to use various software when using their own learning management system content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를 통해 교육권, 건강권, 거주권 등 다양한 권리 측면에서 심각한 침 해를 당하고 있는 장애대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국내외 원격교육 지원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기구, 교육부, 대학, 학습자, 교수자 측면에서 장애대학생 원격교육 지원 과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원격교육 지원 방안을 수립할 때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기구의 권고사항, 교육부의 대응, 국내 대학의 원 격교육 지원 계획 수립 사례, 장애대학생 학습자들을 위한 온라인 학습전략 사례, 장애대학생 교수자를 위한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 지침 사례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국제기구에 서는 장애인들의 교육권과 관련된 핵심 권고 사항을 국제사회에 제시하였다. 이런 국제사회의 대응과는 별개로 우리나라 교육부와 대학에서도 장애대학생 원격교육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런 원격교육 지원 계획 수립의 노력들은 코로나19 대응 초기였던 2020년에 비해 2021년에 더욱 커다란 적응과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장애대학생들의 원격교육을 오랫동안 실 행했던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지침이나 계획들의 구체성이 떨어졌다. 반면에 해외 의 장애대학생들을 위한 원격교육 지원 사례에서는 장애대학생 원격교육 학습자와 교수자를 위 한 구체적인 학습전략과 콘텐츠 개발 지침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 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장애대학생 원격교육을 오랫동안 실행해 온 여러 국가들의 구체적인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 지침들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을 위한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은 대학 내 통합교육적 상황을 고려한 유니버셜 디자인을 기초로 하는 것이어야 한 다. 셋째, 장애대학생들의 원격교육은 최대한 대면+비대면 혼합 가능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부는 장애대학생들과 교수자들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각 대학들은 자체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할 때마다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소프트 웨어 사용 방법에 대한 원격수업을 장애대학생들이 이용 가능하도록 준비해야 한다.

      • 韓·美 大學音樂敎育制度의 比較硏究 : 敎科課程을 中心으로 mainly on the music curriculum

        金鍾煥 대구교육대학교 1981 論文集 Vol.17 No.-

        以上에서 韓·美兩國의 大學音樂敎育制度에 對하여 主로 敎科課程上의 및 가지 問題를 比較하고 兩國의 共通點과 差異點을 考察해 보았는데 다음에 그 內容을 差異點에 對해서만 要約해 보고자 한다. 1) 大學音樂敎育의 目標와 學科의 構成에 있어서 ·目標 ① 韓國의 大學音樂敎育의 敎育目標는 專門音樂人의 養成을 指向하면서도 보다 包括的인 人間性의 發達을 期待하는 全人敎育의 理想이 强調되고 있다. ② 美國에 있어서는 大學音樂敎育의 目標가 韓國에 比해 보다 具體的으로 專門音樂人으로서의 社會的 役割分野를 明示하고 있다. ·學科의 構成 ① 韓國의 音樂大學 또는 大學院 音樂學科에서는 卒業과 同時에 音樂의 學位(音樂學士, 音樂學碩士)를 授與하며 그 學位課程內에 몇 개의 專攻學科를 두고 있으나 美國은 이러한 Degree course外에 Diploma course를 따로 設置하고 그 課程아래 여러 가지 多樣한 專功分野를 두고 있다. Diploma course는 音樂의 實技中心課程을 履修하고 一定水準의 音樂演奏能力을 證明하는 卒業證書制度로서 구라파에 있어서 音樂의 實技中心敎育을 하는 Music Concervatory 와 같은 system이다. ② 美國의 音樂大學에서는 이와 같은 Degree와 Diploma course外에도 非正規學生, 現職音樂敎師, 또는 學位를 取得한 音樂人에게 새로운 資格을 얻는데 必要한 特別 program을 多樣하게 開設하고 音樂의 開放大學으로서 平生敎育의 길을 열어놓고 있다. 2) 專功分野의 設定과 學位의 種別에 대하여 ·專功分野의 設定 ① 民族固有의 傳統音樂을 가진 韓國에서는 國樂의 專攻學科를 가진 音樂大學이 많은데 比해 美國은 이에 該當하는 專攻學科가 없다. ② 韓國의 音樂大學은 專攻學科의 區分이 包括的인데 比해 美國은 보다 細分되어 있다. 따라서 專攻의 種類가 韓國에 比해 越等하게 많고 多樣하다. ③ 韓國의 音樂大學에서는 大學院 課程에서 音樂의 博士學位 課程이 없으나 美國에는 音樂學, 音樂敎育學, 音樂理論, 作曲, 演奏分野에 이르기까지 專攻別 博士學位 課程을 두고 있다. ④ 美國의 音樂大學에서는 音樂藝術의 關聯分野인 舞臺디지인과 셋딩, 舞臺演出, 藝術監督, 樂器의 調律 및 製造工學 등을 專攻 course로 設定하고 있는 大學도 많다. ·學位의 種別 ① 韓國의 音樂大學에서는 專攻의 區別없이 學部課程을 履修하면 音樂學士, 大學院碩士課程을 마치면 音樂學碩士, 그리고 敎育大學院에서 音樂敎育을 專攻하면 敎育學(音樂敎育專攻) 碩士學位가 授與되는데 音樂專攻 分野의 學位는 이 세가지 種類밖에 없다. ② 美國의 大學에서는 音樂의 各 專功分野에 따라 學士, 碩士, 博士 등의 學位가 있고 그 種類는 前揭한 學位 program에서 보는 바와 같이 越等하게 많고 多樣하다. 3) 敎科目의 履修와 學點에 대하여 ① 音樂學士學位取得에 必要한 敎養, 專攻, 自由選擇의 全課程中 專功課程의 學點比率이 韓國은 美國에 比해 적게 配當되고 있다. ② 專功課程의 履修學點中 專功實技 履修에 必要한 學點比率이 韓國은 15%, 美國은 28% (Diploma course는 34%)로서 韓國이 적다. 4) 專攻敎科目의 開設과 그 種類에 대하여 ① 音樂의 基礎過程乃至 理論分野의 敎育에 있어서 韓國은 敎科目이 細分되어 있는 反面 美國은 보다 包括的인 傾向이 있다. 美國의 大學音樂敎育에 있어서의 이러한 傾向은 1960年代 後半頃부터 美國의 音樂敎育界에 胎頭된 Comprehensive Musicianship (包括性있는 音樂家的 素養)의 理念에 立脚하여 各 大學의 音樂敎科課程이 많이 改編되어진데서 오는 結果이다. ② 學位取得을 爲해서 履修해야 할 專功課程의 敎科目들이 韓國은 美國에 比해 그 種類가 많다. 例컨대 韓國의 音樂大學敎科課程에서 보이는 詩唱·聽音, 音樂分析, 和聲, 鍵盤和聲, 對位法, 樂式論등의 獨立된 敎科目을 美國은 Music Theory 로서 單一敎科로 묶어 統合的인 指導를 하고 있다. 5) 敎職課程의 履修와 音樂敎師資格免許에 대하여 ① 韓國은 敎育法과 文交法令의 規定에 따라 音樂敎師資格證의 種類가 全國 同一하나 美國은 州에 따라서 資格要件은 물론 資格證의 名稱과 種類가 各各 다르다. ② 韓國에서는 大學學部 레벨의 音樂 專攻者에거 發給되는 音樂敎師資格證으로는 中等學校 2級正敎師 뿐이며, 敎育大學院(音樂敎育專攻)을 修了하거나 2級正敎師資格證을 가지고 3年以上의 敎育經歷을 가진 후 240時間 以上의 硏修敎育을 받음으로써 1級正敎師의 資格을 取得할 수 있다. 이에 比해 美國은 中·高等學校는 물론 國民學校의 音樂 專擔 敎師, 音樂奬學士, 音樂行政官 등의 資格證에 이르기까지 여러 種類의 資格證 制度가 있다. 그리고 初級의 資格으로부터 上級資格證의 取得도 州에 따라서는 大學의 夏季 또는 冬期의 季節 大學에서 所定의 學點을 取得할 때 發給되는 制度가 있다. ③ 敎職專門課程의 敎科目中 韓國은 音樂科 指導法의 한 개 敎科만 履修하는 反面, 美國은 總履修學點中 그 折半은 音樂敎育學分野의 여러 敎科目을 履修케 하고 있다.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system of the college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America, and to point out the diffirence in its guality. My study was mainly dependent on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music college in Korea and America,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compare the purpose of the college music education. 2. To compare the major fields and degree programs. 3. To compare how proportionately the credit point requirements for graduation, which requirements are composed of general education, major course, and free elective programs are allocated. 4. To compare the kinds of major subjects offered in the undergraduate division and graduate division. 5. To compare the courses of the certification for music teachers and the teacher education subjects. According to the above study, I was able to find out the distinctive features on the college music educational system between Korea and America. Consequently, on the basis of my study. I commented a few problems in our educational system and college music curriculum. Futhermore, to improve our music educationl system against these problems, some recomendation was also suggested, and I hope these my suggetions are available for the improvement of our country's college music education.

      • 勤勞靑小年 敎育에 關한 一考察

        安福禮 대구교육대학교 1984 論文集 Vol.20 No.-

        靑少年 및 勤勞靑少年의 人口現況 우리나라의 敎育程度別 靑少年人口는 6歲에서 24歲까지의 人口가운데 國民學校 卒業者 6,973千名(42.6%), 中學校 卒業者 41,874千名(25.6%), 高等學校 卒業者 2,760千名(23.0%), 初大 및 專門大學 卒業者 206千名(1.3%), 大學以上 卒業者 605千名(3.7%)로 나타내 보이고 있고 不就業者가 624千名(3.8%)으로 되어 있다. 이같은 우리나라의 敎育的 現實은 그동안 알찬 敎育政策과 制度에 의해서 1500萬名에 달하는 初 ·中·高等學校의 學力을 가지게 되었고 專門 ·初大 以上의 學力도 5%에 해당하는 敎育人口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不就學人口의 624千名은 永遠한 文盲人이 된 셈이다. 또한 靑少年 人口의 過半數(42.6%) 가 中學校 以下의 學力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나라 敎育이 아직도 未明의 水準에 있다는 一面을 보여주고 있다 하겠고 勤勞靑少年의 敎育問題와도 關聯性이 있다는 하겠다. 學生의 進學은 初等에서 97%, 中學에서 87.2%, 高等學校에서 37.7%를 나타내고 있어 韓國敎育의 展望을 더욱 밝게 하고 있다 하겠다. 學生의 就業은 中卒者 3.9%, 高卒者 23.7%, 專門 ·初大에서 36.0%, 大學以上 卒業者 79.2%의 就業率을 보이고 있어 學力이 낮을수록 就業率이 낮고 學力이 높을 수록 就業率이 높게 나타내 보이고 있어 여기 學力社會의 一面을 볼 수 있다 하겠다. 靑少年 勤勞者 現況은 全體로 1,313,449名이며 그中 男子가 429,320名(32.7%)이고 女자가 884,129名(67.3%)으로 되어 있다. 男者에 比해 女者 勤勞靑少年의 數가 越等하다. 靑少年勤勞者 學力別 現況은 中卒以下가 765, 445名(69.1%)으로 가장 많은 數를 보이고 있고 高卒이 323,512名(29.2%), 初卒과 專門大學卒이 11,514名(1.0%), 大學卒業以上이 7,887名(0.7%)으로 되어 있다. 勤勞靑少年의 98.3%가 高卒以下로 되어 있어 여기 또 勤勞靑少年의 敎育問題가 預想되는 것이다. 産業體 勤勞者 規模別 現況은 全部 1,303, 605名으로 産業體 勤勞者 規模別 人口는 1規模(5-29人)가 16.2%, 2規模(30-99人)가 18.4%, 3規模(100-299人)가 20.6%, 4規模(300-499人)가 9.1%, 5規模(500名以上)가 35.7%로서 女子가 數가 男子보다 2.5培가 더 많게 보이고 있다. 오기서 小規模別 産業體의 勤勞靑少年의 敎育問題가 소홀히 될 수도 있다고 할 것이다. 勤勞靑少年의 敎育實態는 먼저 夜間學校와 産業體附設高等學校를 생각할 수 있는데 就學人員이 各各 38,976名과 35,106名으로 나타나고 있다. 通信高等學校는 83年度 現在 49學校 38,197名을 就學시키고 있고 84年度에는 50學級으로 增加시키고 있다, 또한 通信大學은 83年度 現在 130,300名을 就學시키고 있다. 通信大學과 通信高等學校는 勤勞靑少年 以外도 上級學校에 進學하지 못한 靑少年들이 入學하고 있다. 위의 이같은 數値는 靑少年 勤勞者의 學力別 統計에서 보는 中學校以下 學力者 765, 455名(69.1%)와 高等學校 卒業者 323,512名(29.2%)의 數値와 比較해 볼 때 너무나 徵弱한 數가 아닐 수 없다. 또한 産業別 規模別 靑少年 勤勞者 現況에서와 같이 1, 303, 605名이 産業體에 從事하고 있음을 생각할 때 勤勞靑少年의 敎育問題는 再考되어야 할 것이다. 이외의 勤勞靑少年을 위한 專門大學과 開放大學이 있고 靑少年織業學校와 새마을靑少年學校 等이 있으나 赤是 勤勞靑少年問題를 해결라기에는 너무나 徵弱하며 不足한 敎育的 與件과 함께 勤勞靑少年 問題는 緊要한 敎育的인 問題가 아닐 수 없다 하겠다. 또한 勤勞靑少年들의 敎育的 期待調査에서는 그들 勤勞靑少年들은 大部分이 生涯를 통해 平生敎育을 바라고 있다. 能力과 時間과 經濟의 어려움과 不足함을 自認하면서도 幅넓은 人間으로서 社會에서 뒤떨어지지 않으려고 하고 있으며 이것을 위해 國家에 對한 期待를 크게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oday, education has been an important element automatically by the national requirement of high industrious society and national development in Korean, and personally it has become a necessary means of socially rising movement.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the modern education in democracy is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hen it is not equally shared each other and socially, the society will become a phenomenon of unequal civilization and split society, and an obstacle element of national development. Thus education must be gravity of a national level. The youth will be a future protagonist of the countr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junevile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nd stressed here again. In this paper it is intended to study the present status of working youth who has not the equaliyt of opportunity in education and the policy and content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Contents of this study : a. The popula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youth education. b. The pres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working juneviles c. A survey of the questionaires about educational exception for the working juneviles. 2. Suggestions of educational idea for the working juneviles a. Recongition of educational idea for the working juneviles. b. Inclease of organization and facilities to extend educational opportunity. c.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ir education. d. The practical way of their education. e. Establishment of research institutes for their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 학생의 학년별 대학생활 적응

        전 명 남․설 양 환․ 이 명 숙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초등교육을 담당하게 될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조사를 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나라 전체 11개 교육대학교의 교육대학생들을 유층표집을 하여 학년별 적응 상태를 기술하고 설명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를 구축하여, 교육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전국 6개 교육대학생 총 1,404명을 대상으로 학년에 따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학교에 대한 애착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Baker와 Siryk(1984)가 개발한 대학생활 적응 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를 사용하여 종속변인을 측정하고 학년별로 비교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다변량 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교육대학생의 학업적 적응과 학교에 대한 애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년별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교육대학교 4학년생은 다른 학년에 비해 학업적 적응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애착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 學校體育敎育 强化를 위한 國家 施策의 成果分析 : 國民學校 體操競技를 中心으로 Centered on a Primary School Gymnastics Competition

        金日煥 대구교육대학교 1975 論文集 Vol.11 No.-

        表題로써 學校體育敎育 强化를 위한 國家 施策과 連關지어 各 市·道別 國民學校 體操競技의 發展相, 施設, 指導者 問題, 그리고 이와 깊은 관계가 있는 全國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 등에 대한 實態調査의 結果는 前節의 分析 및 解釋을 通해서 大體的인 傾向을 살펴 보았으나 이를 土臺로 해서 그 大要를 結論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各 市·道 國民學校 體操競技의 實態 (1) 1972年 以前에도 各 市·道 體操協會에서는 國民學校 體操競技의 重要性을 認識하고 每年 體操大會를 開催한 市·道가 50%(5개 市·道)인 데 反해서, 全혀 開催한 事實이 없는 市·道가 40%(4個 市·道)이다. 그리고 1972年의 學校體育敎育 强化 方案, 第1回 스포오츠少年大會의 開催 등 學校體育 振興을 위한 國家 施策이 發表된지 不過 4年이 지난 1975年 10月 現在, 全國的으로, 國民學校 體操 티임이 60개(男子 26, 女子34)로 늘어 났으며 施設面에서도 크게 向上되었다. 즉 1個校에서 男子 施設 完備가 12개校 男子 施設 完備가 16個校, 女子 施設 完備가 17個校로서 全國的으로는 45個校에서 體操競技를 위한 施設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特히 技術面에서는 飛躍的인 發展相을 나타내고 있다. 表4에서와 같이 國民學校 全國 上位 티임의 水準(難度面에서)은 男子의 경우 매트운동에서 90%(9個 市·道), 뜀틀운동에서느 80%(8個 市·道)가 一般 및 大學과 같은 水準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女子는 매트운동에서 70%(7個 市·道), 뜀틀운동에서 60%(6個 市·道)가 男子의 경우와 같이 一般 및 大學의 水準이며 特히 女子의 平均臺運動은 60%(6個 市·道)가 國際級 水準이란 奇跡을 낳았다. (2) 外國 女子 體操選手들의 年齡과 특히 우리 나라 女子 體操選手들의 發展相을 考慮하여 表9에서와 같이 國民學校 女子 種目에 女子 平均棒의 必要性을 質疑한바 70%(7個 市·道)가 贊成을 表示하고 時期尙早가 20%(2個 市·道)의 順으로 보아, 꼭 實踐에 옮겨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둘째 全國敎育大學 體操施設 現況 이것은 學校體育敎育 强化 方案에서 "體育 施設의 擴充에는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에 優先 投資한다."와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은 體操 競技場으로 活用한다"에 根據를 두고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을 調査한 바 表11-1과 같이 男子 6種目, 女子 4種目의 完全한 施設을 갖추고 있는 곳이 13%(2個 大學), 男子 6種目의 施設을 갖춘 곳이 6.7%(1個 大學), 그리고 75%(12個 大學)가 아직 施設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表11-2와 같이 國民學校 體操競技의 可能性에 대해서는 46.7%(7個 大學)가 可能하며 53.3%(8個 大學)가 不可能하다로 나타났다. 이러한 現狀은 飛躍的으로 發展하고 있는 國民學校의 實情에 비추어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이 너무나 未備함은, 表7에서와 같이 各 市·道 大表티임을 指導할 수 있는 敎師의 數가 不足한것과도 깊은 關係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體育 振興을 위한 國家 施策 그대로, 敎育大學의 體操 施設은 體操競技場으로도 活用할 뿐만 아니라 敎師의 資質 向上을 위해서도 반드 完備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four years after the national policy for strengthening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we have now an increased number of 60 gymmastics teams and 45 schools which are provided with gymnastic equipmens and facilities throughout the nation. 2. the primary school gymnastic level of high technical skill comes nearly to tha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especially the female balance beam developed to about the international level. 3. considering fact that the 60% of such technical development relies nearly on the team coaches, the complete provision of facilities and the strengthening of gymnastic by the Junior Teachers College are urgent for the improving of teachers quality.

      • KCI등재후보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실과교육과정 변천 및 내용분석 연구

        정진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2

        대학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가운데에서도 교육과정이야말로 그 대학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핵심적 요소이다. 우리의 대학들은 교육과정의 구성과 그 운영에 있어서 독창성보다는 공통성이 더 강조되는 풍토 속에서 성장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초등교원 양성을 위한 대학에서의 교육과정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각 교육대학에서 운영되는 실과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초등교육을 담당할 유능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시점에서, 교수, 학생, 교사, 지역사회 등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은 실과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은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교육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실과교육과정의 구성을 지식기반사회의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제시하기 위해 초등교원 양성기관 실과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敎育大學의 法人化 展望과 發展的 體制革新의 方向

        박인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8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4 No.2

        국립대학의 법인화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그 의견이라는 것은 결국 그 대학이 처해 있는 현실적 상황과 맞물려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도 진행 중인 국립대학 법인화 추진계획의 핵심인 국립대학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의 골자와 내용을 일본의 국립대학법인법과 비교하여 분석해 보고, 국립대학 구조개혁과 맞물려 추진되는 법인화의 의도와 교육대학의 발전적 체제 전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교육대학의 구조개혁의 방안은 대체로 세 가지의 큰 흐름을 가지고 추진되어 왔다. 종합대학내의 사범대학과의 통합과 교육대학끼리의 연합적 교육대학 체제, 그리고 권역별 거점대학인 종합대학 중심의 통합론이 그것이다. 그러나 그 어느 것도 역사적인 교육대학의 사명과 그 존재론적 의미를 고려해 볼 때 합리적이고 타당한 통합의 방식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교육대학의 사명과 역할 그리고 역사적인 과정을 종합하여 보거나, 교육대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볼 때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무교육기관에 종사할 교원의 양성대학으로 거듭나도록 지원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고 의미있는 발전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