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Empirical Analysis on Japanese Import Demand Function in Comparison with Korea’s Import Demand

        윤일현(ll-Hyun Yoon),김용민(Yong-Min Kim)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4

        Purpose -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Japan’s short-run and long-run aggregate demand for imports, compared with the study on Korea’s import, using quarterly economic data for the period 2000-2020 including aggregate imports,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components, investment and relative price of import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paper has employed multivariate co-integration procedure and the short-run error correction model to find the existence of a cointegrat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import demand function. Findings - This paper shows that the variables are all cointegrated and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ference to different factors of final expenditure. Partial elasticities with respect to government expenditure, investment, exports and import prices are reported to be positive while imports seem to move negatively to changes in private consumption, in contrast to the case of Korea which shows that imports only move negatively with respect to investment. Export appears to indicate a relatively insignificant impact on Japan’s aggregate imports in the long run. However, an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demonstrates that only exports have an influence on the imports in the short run while, in Korea, the current period changes in the demand for imports are related only to the previous period changes in relative price of imports. Research Implications - This paper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in a nation seeking to improve the country’s trade balances. Exchange rate policies in Japan appear to have significant long-term impact on Japan’s import demand, but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short term. Policies to increase the private sector consumption could be of a crucial importance in decreasing aggregate imports in the long term, resulting in further improvement in Japan’s balance of trade. In contrast to Japan, the exchange rate scheme has a short-term effect on Korea’s demand for imports but not a long-term impact on the country’s imports while investment component plays a key role in reducing imports in the long run, leading to enhancement in the Korea’s balance of trade.

      • KCI등재

        Changes in the Balance of Japan’s Trade and Capital Account due to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김용민(Yong-Min Kim),윤일현(ll-Hyun Yoo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0 전자무역연구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일 양국 경제 갈등에 장기화되면서 일본의 대한국 주요 수출입 품목의 변화와 자본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동안 양국의 갈등이 역사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정경분리는 작동되었다. 그러나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의 시행은 정경분리를 와해시켰고 정치적 논리가 경제적 상호관계를 규정하게 되면서 양국의 경제관계를 왜곡시켰다. 논문구성/논리: 일본의 수출규제는 2019년 7월의 참의원선거를 목전에 두고 지지층 결집의 정치적 논리가 작용하면서 시행되었다. 경제적으로는 국제경쟁력을 상실한 산업구조 개혁의 실패가 한국의 핵심 산업인 반도체 산업에 수출규제조치를 단행시킨 요인이었다. 자국의 경제정책의 실패를 한국을 대상으로 정치적 논리를 적용한 것이다. 경제적 이익을 무시하면서까지 역사수정주의를 선택한 아베정권의 전략이었던 것이다. 결과: 분석은 양국의 대립과 갈등이 격화되었던 2019년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는 정부가 아닌 관저주도의 정치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졌다. 둘째, 분업과 수평무역도 활발히 이루지고 있어 양국의 경제 갈등은 장기화이 소지가 있고 세계적 공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셋째, 일본의 주요 수출품의 전년대비 비중변화는 운송용 기구에서 특히 현저하게 나타났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무역과 서비스 및 자본수지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독창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경제 갈등에 대한 분석은 대외경제의 무역과 투자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한다. 2019년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한 무역, 서비스, 자본수지에 대한 분석은 한일 경제 갈등이 자유무역을 어떻게 왜곡시켰는지 살펴보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spread of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o the economic issue on the balance of Japan’s trade and capital account. Until now,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centered around the historical issue, and the separation of economy and politics has operated. Composition/Logic: Japan’s export control was implemented as the political logic operated to energize the base of support right before the election of the House of Councilors in July 2019. Economically, the failure in the reform of the industrial structure that los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as the cause for the execution of the export control measure against the semiconductor industry, the key industry of South Korea. Japan applied political logic to South Korea for its failure in economic policy. Findings: The analysis was developed, focusing on 2019, when the two countries’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came fierce. Through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Japan’s export control measure was led by the Prime Minister’s political judgment, not by the government. Second, since the division of labor and horizontal trade are actively done, the economic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may extend over a long period, which would affect the global supplies. Third, the change in the share of Japan’s major export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year was especially noticeable in the apparatus for transportation. Originality/Value: This study has originality in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d changes in the balance of trade, service, and capital account. In general, the analysis of economic conflict is developed, focusing on trade and investment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The analysis of the conducted focusing on the balance of trade, service, and capital account in 2019 has a significance that it provided a chance to examine how the economic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distorted free trade.

      • KCI등재

        일본의 서비스 무역 동향 분석

        김용민(Yong-Min Kim),윤일현(ll-Hyun Yoo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0 전자무역연구 Vol.1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본의 경제활동별 생산과 가계의 최종소비지출 통계를 이용하여 경제 서비스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고, 그것이 서비스 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구성/논리: 경제가 성장하면 산업구조의 중심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이동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서비스 산업의 발전이 서비스 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경제성장으로 소득의 향상, 도시화, 여가시간의 증가, 교육수준의 상승, 고령화 진전 등을 배경으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대응하는 여러 서비스가 생산, 제공되어 서비스 산업이 발전하였다. 이에 서비스 무역이 어느 정도 성장하였는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결과: 경상수지 흑자가 계속되고 있고 많은 부분이 소득수지의 흑자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산구조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서비스 산업의 발전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 산업의 발전이 일부산업에 편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수지를 구성하는 항목 중 금융과 여행, 저작권 사용에서 흑자를 기록할 뿐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창성/가치: 일본의 경제 서비스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생산과 지출의 통계를 이용하여 산업의 구조변화를 파악하고, 서비스 수출의 동향에 대해 검토하였다는 것에 독창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무역의 변화는 국제수지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서비스 무역은 제조업이 발전이 기반이 되어야 확대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산업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고 서비스 무역의 동향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the servitization of the economy has progressed, using the statistics of the production of households by Japan’s economic activities and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and the impact of that on service trade. Composition/Logic: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on service trade,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enter of the industrial structure moves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the service industry if the economy grows up. Demands for service increased with income improvement with economic growth, urbanization, the increase of leisure, the rise of education level, and the advancement of aging as backgrounds, and thus, as various services were produced and provided, corresponding to this,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would analyze how much service trade has grown up. Findings: The current account surplus continues, and many parts are maintained by the surplus of the income account balance. Also, in the production structure, the shar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decreas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appeared to be remarkable.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is biased to some industries. There was a surplus only in the finance, travel, and copyright use, of the items constituting service income and expenditure, but there is room to improve. Originality/Value: This study has originality in that it assessed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reviewed the trend of service exportation, using the statistics of production and spending, concerning to what extent Japan s economic service progresses. In general, changes in service trade focus on changes in international payments. Service trade should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business to expand. In this sens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ssessed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analyzed the trend of service trade.

      • KCI등재

        Changes in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Yong-Min Kim(김용민),ll-Hyun Yoon(윤일현)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9 전자무역연구 Vol.1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한일 무역과 투자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국은 1965년 이후 과거사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과 대립이 반복적으로 발생 하였지만, 경제적 협력이 계속되어 상호 의존관계가 형성되어 왔다. 이러한 관계가 2000년 이후 무역과 투자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양국의 관계는 산업구조 형성단계에서부터 밀접함을 유지되었다. 대일 의존도가 높았지만, 2000년대부터 변화가 시작되었다. 한국은 세계화에 편승하여 지속적 성장을 이루었고, 일본은 장기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을 늘리는 엔화 약세 전략을 사용하고도 상정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양국의 무역과 투자의 변화에 관한 분석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 본 연구는 한일 무역과 투자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과 일본은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다. 그렇지만, 둘째, 대일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일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그것은 셋째, 소재 분야에서의 적자가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넷 째, 일본인 투자가 직접 및 간접투자에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직접투자는 제조업 비율이 높고, 제조업 분야에서도 화공분야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서비스 분야에서도 소매(유통)의 감소가 높게 나타났고, 금융 보험의 비율이 상승하고 있다. 이는 기존 보조역할에 지나지 않았던 금융이 전면에 대두되면서 투자를 견인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독창성/가치: 이 연구는 무역과 투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는 것에 독창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역과 투자를 분리하여 분석하고 있어 국제수지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무역은 금융거래를 동반한다는 데에 착안한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in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since 2000. In the two countries, conflict and confrontation occurred repeatedly, surrounding problems in the past since 1965; however, economic cooperation continued to form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This study would analyze changes in trade and investment in this relationship since 2000. Composition/Logic: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maintained close since the stage of the form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The dependency ratio on Japan was high, but the change started in the 2000s. Korea achieved sustainable growth, taking advantage of globalization while Japan did not have effects as presumed in spite of using the weak yen strategy for increasing exports to overcome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In this sense, it is judged that an analysis of changes in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meaningful.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aiming to analyze changes in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Japan. First, Korea and Japan are in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And yet, second, dependency ratio on Japan decreases. Although the dependency ratio on Japan decreases, records a trade deficit. This is because, third, there is a large deficit in the material field. Also, fourth, Japanese investment decreases in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 Especially, in the direct investment, the ratio of the manufacturing business is high, and in the manufacturing field, especially, the chemical field takes up a great part. In addition, in the service area, wholesale and retail (distribution) decrease sharply, and the ratios of finance and insurance increases. It is judged that investment was towed as finance came to the fore, which had just played a secondary role previously. Originality/Value: There is originality that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rade and investment. Generally, trade and investment were analyzed separately, so there was a limitation in analyzing the international balance of paym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was based on the fact that trade was accompanied by financial trans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