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전예술과 디지털

        박유정,PARK, Youj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8 트랜스- Vol.4 No.-

        본 논문은 2017년 10월 31일 개최된 제7회 트랜스미디어연구소 국제심포지움 <고전예술과 디지털>의 일부 발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한 내용을 담고 있다. 금년 국제심포지움은 '고전예술과 디지털'이란 다소 넓은 주제 아래에서 무용학을 비롯한 영상학과 영화학, 그리고 순수예술의 분야에 몸담고 있는 국내외의 학자들이 참여해 심도 깊고 미래지향적인 논의를 펼쳤다. 원본과 가상적 모방의 이중적 재현에 대한 제1부의 논의에서 '시각예술과 디지털'에 대한 3편의 논문이 중점적으로 소개되었다. 이 첫 번째 논의가 '일상적 심미화 과정의 체계변화'라는 새로운 관점으로의 이동을 촉구하며 정리되었다면, 이어지는 제2부 '공연예술과 디지털'에 대한 논의는 디지털 융합과 퍼포먼스의 시대에 발생하는 지시적 용어 체계의 구체화를 꼬집으며 새로운 미학적 토대의 발생에 대한 가능성을 언급되며 마무리되었다. 특히 2부의 전체 발표 논문 중 2편의 무용 매체에 대한 논문이 본고에 집중적으로 소개된다. <고전예술과 디지털>이라는 올해의 주제가 계속하여 '제2의 라오콘 논쟁'에 대한 발판을 제시하리라 기대하면서 본 논의는 정리될 수 있다. 요컨대, 미학의 역사상 나타난 다양한 논쟁의 이면에서 '예술'과 예술이 남긴 그 '정신적인 유산'에 대한 거대한 흐름을 읽어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촉구하며 학술대회가 마무리된 것이다. 미래지향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융복합 미디어 시대에 발맞추어 실무적이면서도 체계적인 이론의 기초를 금년 국제학술대회는 제시하고 있다고 자평할 수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some of the contents of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Classical Art and Digital" of the Transmedia Institute(TMI), held on October 31, 2017. The purpose of this year's International Symposium was to look back on the genre and the aesthetic history of classical art and to create a place for discourse about the recognition of classical art in the modern digital era. In the first part of the discussion about the duplication of the original and virtual imitation, three presentations on "Visual Image Art and Digital" were introduced. The conclusion of this first discussion is summarized by urging the movement of viewpoint as 'systematic change of the routine aesthetic process'. In the second part on "Performing Arts and Digital", we realize that we need to definitize the 'new directive term system' necessary for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and performance. In this process we can refer to the need for the emergence of a new aesthetic basis. Two papers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will introduce the study of 'dance' performance. Some of these studies are reintroduced at the conclusion. The theme of this year's International Symposium can be expected to provide a foothold for the forthcoming second 'Laocoon sculpture argue'. In short, behind the various controversies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this year's conference is concluded with a call for the need to flexibly read the enormous flow of 'art' and 'mental heritage left by art'. It is said that this year's international conferences are presenting the basis of practical and systematic theories for the upcoming fusion media era.

      • KCI등재후보

        댄스필름의 역사와 영상기법에 대한 연구 : 빔 반데키부스(Wim Vandekeybus)의 <블러쉬(Blush)>를 중심으로

        박유정,PARK, Youj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6 트랜스- Vol.1 No.-

        융·복합이라는 시대사조에 발맞추어 댄스필름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 영상기법에 대해 분석한다. 댄스필름은 무용이 영화라는 장르와 명백하게 결합하여 생성된 장르임을 이해하고 댄스필름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영화적 문법이 어떻게 사용되었고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나아가 댄스필름의 가치를 파악하고 장르특성규정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댄스필름 문법에 대한 분석과 자료가 미비하여 연구를 위해 영화에서 사용하는 기법을 차용하여 영상기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작품은 빔 반데키부스의 Blush를 선정하여 분석하는데 연구 제한점이 있다. 작품을 분석한 결과 영화의 기본 문법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연출에 반영하였으며 무용을 기반으로 한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작품들이 영상기법을 활용하는 방식에서도 감독의 예술 성향에 따라 차별성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또한 영화적 문법의 시용으로 움직임의 효과를 배로 증진시켰으며, 표현의 목적을 강조하여 주제가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영상문법을 통한 정확한 의도전달은 창작자와 관객과의 거리를 좁히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무용장르의 대중화에 기여를 할 것이며 융·복합 시대에 무용장르가 생존 할 수 있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댄스필름이 현재보다 다양한 스토리를 가지고 제작된다면 문화산업으로써 자리매김 할 수 있으며,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The study uses the image technique of the movie (analysis) since there are limited analyses and data of the dance film's (cinematic) grammar. The films are limited to the Wim Vandekeybus's Blush. From the analysis of the one film, films are directed using basic movie grammars. Although the films are of the same genre, it differs from the method of using image techniques as well as the director's personal art preference. The cinematic grammars enhance the effect of the movement and it emphasizes the objectives to deliver the audience true meaning of the films. Dance film is not a simple word combination of dance and film to record new type of art; dance is used for the movie's artistic and aesthetic enhancement. To find out dance is the language and important expressive tool of the dance film, at the same time cinematic grammar enhances effect of dance and objective of the film, the study uses image technique analysis. These are the results of dance film analysis by using image techniques. Firstly, Dance film can transcend time and space. Secondly, The creative director could emphasize some part that the audience should focus on to clearly deliver the intention of the choreographer. Lastly, To popularize the dance genre. If the dance film produces with more diversified stories than the resent, it will be a part of a cultural industry and could create profits. Dance film might lose the sense of realism,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stage art; however it could feel the beauty of the film through the mise en scene.

      • KCI등재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 평면에서 거실의 위상과 역할 연구

        신은기 ( Cinn Eungee ),박유정 ( Park Youj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을 통해 공급된 표준화된 주택 평면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주거 근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표준화된 주택 평면은 당시 사회의 다양한 논의와 필요를 반영하여 만들어졌으며, 당시 다른 주거 공간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택은 가족의 공용공간과 개인공간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주거의 서구화, 근대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는 미국의 소규모 주택 평면들과 차이를 보인다.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주택의 대량공급이 시작되던 시점에서 표준화된 주거 평면이 발전해가는 과정을 통해 현재 주거공간의 원형을 드러내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중간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 주택에서 표준화된 평면의 특징을 미국 FHA의 기본 평면의 구성과 규모에 따른 확장 방법을 통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에서 공급한 주거들의 평면들을 대상으로, 거실과 부엌, 침실을 포함하는 주요 실들의 구성과 관계들을 분석하고, 특히 규모에 따라 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하였으며, 이를 미국 FHA 평면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결과)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미국 FHA의 평면과 대한주택영단의 9평 평면은 2x2 구성에 기반한 장방형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지만, 내부 실의 배열에 있어서 부엌-거실-침실의 관계에서 차이를 보였다. 미국 FHA 평면의 경우 처음부터 거실과 부엌이 가족의 공용 영역을 형성했다면, 대한주택영단 평면은 서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동선으로도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확장 과정을 살펴보면, 미국 FHA 평면의 경우 가족의 공용 영역을 유지한 채 침실 영역을 확장해 갔다면, 대한주택영단의 평면은 기존 구성의 거실 옆으로 침실들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거실은 주거 공간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거실은 공간적으로는 중앙에 있었지만, 규모가 작아질 경우 가장 먼저 사라지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15평 이상의 규모가 될 경우에는 동선공간과 분리하여 거실 공간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결론)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 평면은 미국 FHA 평면과 기본 구성과 확장 과정에서 유사성을 보였지만, 전통적인 부엌 공간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거실의 역할에 대한 의문으로 기본 평면의 실의 구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거실 공간의 역할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된 평면의 확장 과정은 거실이 침실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를 만들었으며, 이는 이후 부엌이 거실과 연결되고 가족 공용공간이라는 개념이 확립된 이후에도 지속돈다. 이는 현재 평면에도 영향을 미치며 우리나라 근대 표준 평면의 한 특징이 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nalyzed plans of houses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KNHC) in the 1950s to reveal how residential spaces have changed and have been modernized since the Korean War. These plans are valuable because they are one of the initial types of modern Korean houses and were developed by the public agency for mass production to overcome the severe housing shortage problems. In particular, Korean residential spaces have been different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common and individual spaces from small houses in the United Stat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modern Korean housing. We expect that the KNHC will display the development process to form the unique properties of Korean residential spaces. (Method) First, we examined the layout of plans in the Technical Bulletin for the Small Houses provided by Federal Housing Association(FHA) in the mid century of US focused on how the basic plans were set up and then expanded in the aspect of the relation between living room, kitchen and bedrooms. Next, we analyzed the layout of plans in KNHC in same ways and then compared them to plans of FHA. (Results) The basic plan of FHA and 9-Pyeong plans have common features in the simple rectangular form with 2x2 configuration, but differentiated in relationship between kitchen-living room-bedrooms. While the livingroom and kitchen face each other and form the common area in the basic plans of FHA, the livingroom and kitchen are separated each other and not connected by interior corridors in the initial KNHC plans. The both plans increase by adding the bedrooms to the existing basic compositions, but it differs in where the additional bedrooms are added. The plans of FHA could mainta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ivate areas with individual bedrooms and the common area by adding the additional bedrooms adjacent to the existing bedrooms. However, in the plans of KNHC, the bedrooms are added next to the livingroom and then the livingroom is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surrounded by the bedrooms. Moreover, the livingroom was often considered as unnecessary space at that time, so often disappeared under 9-pyeng houses.(Conclusion) The KNHC plans in the 1950s show similarities to the plans of the FHA in the basic 2 × 2 configuration and the process of expansion, but differ in dealing with family common spaces. It comes not only from the physical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itchen spaces, but also from questions about the roles of living room. These have created distinctive locations for the living room and have remained the most recent residential plans in Korea since the concept of family common spaces was established by integrating the kitchen and the living 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