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Bai-Yin Yang,이용환,Ji-Young Han 한국직업교육학회 2005 職業 敎育 硏究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HRD 전문가들에 의해 이용되는 조직적 책략 변수와 힘과 영향력 전략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HRD, T&D, OD 과정사이에 몇가지 변수가 있기도 했지만 이 과정은 선형적이고 논리적 절차에 의해 이루어졌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 동향은 교육과 훈련 활동에 있어 조직적 책략의 영향력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Yang과 그의 동료들은(1998, 2001) 힘과 영향력 전략 척도(POINTS)라고 불리우는 도구를 개발하였는데, 이 도구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프로그램 계획 행동을 측정하는 것이다. 즉,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사회적 정치적 과정이고 힘은 이러한 전문가들의 실제를 이해하는데 있어 핵심이 되는 요소라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북아메리카에서 개발된 이와 같은 이론적 틀이 다른 문화적 맥락에 적용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나라의 HRD 전문가들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힘과 영향력 전략을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즉, 첫째, POINTS의 우리나라 버전은 프로그램 개발에서 이용되는 전략들간에 내적 일치도라는 측면에서 신뢰로운 도구인가? 둘째, 힘과 영향력 전략의 7가지 차원의 틀이 우리나라 맥락에 적용가능한 것인가? 셋째, HRD 전문가의 프로그램 개발 행동과 조직적 책략 변수 사이에 의미있는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Baiyin Yang(1996)에 의해 개발된 Power and Influence Tactics Scale(POINTS)를 연구자 중 한 명이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이를 양국어가 유창한 HRD 전문가가 영어로 다시 번역하였다. 이와 같이 번역된 영어 버전과 한글 버전, 그리고 원 도구의 영어 버전이 영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할 수 있는 7명의 HRD 전문가들에 의해 번역이 잘 이루어졌는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한글판 검사도구를 수정 보완하고 예비조사를 거쳐 240명의 HRD 분야의 프로그램 계획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기업, 대학의 평생교육 센터, 공공 기관의 HRD 프로그램 계획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이었다. POINT의 한글판의 요인 구조와 차원을 결정짓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이를 위해 LISREL 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또한 조직적 책략 변수와 프로그램 개발 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측정학적인 분석 결과 POINTS의 한글 버전은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69). 둘째, 프로그램 개발 상황에서 Yang(1996)이 제한한 힘과 영향력 전략을 구성하는 7가지 차원은 우리나라 맥락에 적용함에 있어 무리가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셋째, 조직적 책략 변수를 프로그램 개발 행동과 상당히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한강둔치에서 재배된 농작물 중의 미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김연천,전옥경,양혜란,최영희,한선희,이강문,Kim, Youn-Choen,Chun, Ock-Kyoung,Yang, Hae-Ran,Choi, Young-Hee,Han, Sun-Hee,Lee, Kang-Moon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5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trace metals in crops cultivated in Han-riverside, Anyang stream, Tan stream, and Jungryang stream. Trace metals (Pb, Cr, Cd, Fe, Zn, Cu, Hg) were detected in 36 crops, 285 samples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Mercury Analyz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in crop samples was in the order of Fe (34.592 ppm)>Mn (11.071 ppm)$\geq$Zn(8.853 ppm)>Cu(1.795 ppm)>Cr(0.237 ppm)>Pb(0.100 ppm)>Cd(0.011 ppm)>Hg(0.003 ppm). In crop samples, the contents of Fe, Cu, Mn, and Zn, which ranges were 0.004-203.083 ppm, 0.017~22.727 ppm, 0.000~74.373 ppm, 0.080~37.166 ppm, respectively,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Pb, Cd, Cr, and Hg, which ranges were 0.000~0.654 ppm, 0.000~0.270 ppm, 0.000~l.229 ppm, 0.000~0.037 ppm,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in crop samples was in the order of leafy vegetables > stem vegetables > root vegetables > fruity vegetables. In the root vegetables, such as radish, the content of Pb was leaf(0.055 ppm)>root(0.035 ppm), that of Cr, leaf (0.118 ppm)>root(0.031 ppm), that of Cd, leaf(0.004 ppm)>root(0.001 ppm), that of Hg, leaf(0.004 ppm)>root(0.001 ppm). As the results, it could be thought that root is the organ which doesn't accumulate the heavy metal ions, but absorb them.
발달성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의 선별과 진단
양한나,김의수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7 스포츠과학리뷰 Vol.1 No.2
Deficits of motor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ffect negatively to both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ccording to research tendency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since 2000, study in Korea was few compare to the studies of overseas were plenty. Also, only motor skill test is used to be classified a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Korea whereas at least 3~4 strict tests of screening process is used in overseas. To activate the research about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Korea and to classify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with confidence, more various but accurate and standardized tests should be developed. 발달성협응장애(DCD) 아동의 운동발달 지체 및 운동기술의 부족은 신체적, 사회심리학적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국내외 연구 경향을 살펴본 결과 외국에서는 2000년 이후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반면 국내의 연구는 매우 부진한 상태이다. 또한 외국의 연구는 발달성협응장애(DCD) 아동의 선별과 진단과정이 엄격하고 최소 3-4단계 이상의 과정을 거치는데 반해 국내의 연구는 운동기술검사만으로 발달성협응장애(DCD)를 선별하고 있다. 국내 발달성협응장애(DCD)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대상자에 대한 선별기준이 설정되어야 하며 보다 다양한 운동기술 검사도구의 한국형 표준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서울과 청주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의 식생활 형성요인 비교연구
한양일,김선희,설민영 西原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1 基礎科學硏究論叢 Vol.4 No.-
This paper aims to study and analyze the dominant factors of college students' dietary life. College students resident in Seoul and Chongju(1169 students : 534 students resident in Seoul and 595 students in Chongju) are subject to this research. The several results are as follow ; 1. Most of students resident in Seoul and in Chongju have many dietary problems : food quantity and interval of meal time is not regular and disharmonized. 2. Students regident in Seoul are better in nutrition condition but are worse in nutrition substantiality than the other because the former have the irregular dietary havits. Both of them are generally inclined to take the instant foods ; the frequency of taking those foods is increasing in number. 3. In general, women students have the better dietary habits than men students. There appears many problems of their physical condition : the problems of anemia and fatigue is supposed to cause by the irregular balance of their dietary habits.
한양수,류병로 大田産業大學校 1997 한밭대학교 논문집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ochastic stream water qualify model for the intaking station of Kongju City waterworks in the Keum River system. The monthly water dissolved oxygen with periodicity and trend were forcasted by multiplicative ARIMA models and then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s was tested based oil 13years of the historical monthly water qualify data at Kongju City intaking site. The parameter estimation was made with the monthly observed data. The last one year data was used to compare the forcasted water qualify by ARIMA model with the observed. The models are ARIMA(2.1.2)x(2.1.1)_l2 for dissolved oxygen. The forecasting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It is implying the applicability of multiplicative ARIMA model for forecasting monthly water qualify at the Kongju site.
한양일,설민영,김선희 서원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1992 응용과학연구 Vol.1 No.1
A Study was done to study and compare with Dongkooksesiki(東國歲時記), Youlyangsesiki(洌陽歲時記), Kyoungdojabji(京都雜志), and a study of the gala foods in the other area. Those annual custom which are celebrating in Choongju area are Seolnal(New Year's Day) (100%), Chuseok(Harvest Moon Day) (97.0%), Daeboreum(the 15th of January) (93.6%), Dongji(the winter solstice) (60.7%), and Sambok(the period of summer heat) (46.5%) in the other of higher percentages. No subjects for this survey are keeping on celebrating Yudu(the 15th of June) and Nabpyoung. Foods of annual custom on Chuseok, Daeboreum and Seolnal had a greater variety, compared with those enjoyed on other annual custom. Foods of annual custom such as Ddugguk, Mandoo on Seolnal. Ogokbab, Mugeunnamul, and Buryum on Daeboreum, Songpyun on Chuseok, Patjuk on Dongji were being enjoyed by most people. But the other foods of annual custom are enjoyed in a lower percentage or almost forgotten.
數種의 增量劑 粒度와 增量比率에 따른 尿素樹脂合板의 接着 特性
楊翰承,尹炯雲,李弼宇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개발연구소 1993 서울대농학연구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and to examine the substitutional feasibility of paper sludge extender instead of wheat flour. As the extending materials, taro flour, paper sludge, wood flour and wheat were selected and dried at 103±2℃ during 24 hours in the drying oven and pulverized into three levels(-50∼+100, -100∼+200, -200∼mesh). The extenders were mixed with urea formaldehyde resin in the ratio of 10, 20 and 30%. After plywoods were manufactured by the above extended ratios, dry and wet shear strength were examined. The results obtained at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10% extionsion on -50∼+100 mesh particle size, paper sludge showed the highest dry and wet shear strength among the extenders. 2) As 20% extension, wheat showed the highest value. 3) the shear strength was affected by the particle size and extending ratios, and the shear strength extended by paper sludge powder was sensitively varied with particle sizes and extending ratios. 4) The shear strength extended by taro and wheat flour were less affected by the particle size of extender. Therefore, the particle size of extender would be considered along the extention ratios and extender types.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과 정신분열증의 정신병리
한상익,전양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목 적 : 이 연구를 통하여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지형학적 청각사건관련전위 P300 요소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정신병리와 P300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대상군은 28명의 정신분열증 환자와 나이 및 성별을 일치시킨 28명의 정상인으로 하였다. 지형학적 청각사건관련 P300은 'oddball'모형으로 기록하였고 컴퓨터화된 뇌전위검사기(brain mapping system)로 분석하였다. P300잠복기는 Global Held power measurement에 의해 결정하였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정신병리는 PAESS로 평가하였다. 결 과 : 잠복기와 전위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P300 최고부위의 전극위치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P300잠복기는 정신분열증환자에서 PANSS점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위 결과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에서 양성 및 음성증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지과정 측면의 정신 기능 장애가 있음을 시사한다. 0bject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of topographic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ndings of components of P300 and psychopathology.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28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28 normal controls who were matched by age and sex. The topographic auditory event-related P300 was recorded in oddball paradigm and analized by computerized brain mapping system. The latency of P300 was determined by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 The psychopathology of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rated by PANS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latency(schizophrenia : 369.5±40.6msec, normal controls 332.6± 34.8msec) and amplitude(schizophrenia 4.1 ±3.1μV, normal controls: 6.7 ± 3.2μV).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lectrode location of maximum area of P300 betwee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s. The latency of P300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mplitud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PANSS scores of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onclusion : The results implicate that the patients with schizoprenia might have mental dysfunction in the aspects of cognitive process affected by both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한경호,윤연미,양한춘 여수대학교 1998 論文集 Vol.13 No.2
전라남도 광양만 묘도 주변의 연안어장에서 1997년 2월부터 12월까지 6회에 걸쳐 소형 저인망을 이용하여 어획물을 채집하여 魚類 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8目 38科 56屬 66種 21,541개체, 175,330g 으로 농어目(Perciformes), 쏨뱅이目(Scorpaeniformes) 및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 어류가 총 50種으로 전체 출현종수의 75.8%를 차지하였으며, 科別로는 망둑어科() 어류가 8種 出現하여 가장 많았다. 총 66種의 어류중 개체수는 주둥치(Leiognathus ruchalis), 전어(Konosirus punctatus), 멸치(Engraulis japonicus), 준치(Ilisha elongata), 실양태(Repomucenus valencinnei), 보구치(Argyrosomus argentatus), 및 청멸(Thryssa kammalensis)의 7種이 전 개체수의 95.4%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生體量은주둥치, 전어, 꼼치(Liparis tanakai), 숭어(Mugil cephalus), 준치, 보구치,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 멸치,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및 실양태의 順으로 이들 10種이 全生體量의 86.1%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출현 개체수와 생체량은 고수온기인 봄과 여름에 높게 나타났으며, 저수온기의 가을과 겨울에 낮게 나타나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월별 출현종수는 수온이 낮은 2월과 높은 8월에 각 19種과 20種이 出現하여 적었고, 수온이 상승하기 시작한 4월에 37種으로 가장 많았다. 종다양도지수는 0.460∼1.833으로 2월에 가장 높았으며, 6월에 낮았다. 주요 魚種의 出現頻度는 주둥치, 전어, 준치 및 실양태가 年中 出現하여 본 해역에 우점하는 주거종으로 나타났다. To determine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a bottom trawl from February to December 1997 off Myo-do in Kwangyang Bay. A total of 21,541 fishes were sampled and indentified into 66 species, 38 families and 8 orders. Of the eight orders, Perciformes, Scorpaniformes and Pleuronectiform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5.8% of the fish fauna in this area. Gobiidae was dominant representing 8 species. Of 66 species identified, Leiognathus nuchalis, Konosirus punctatus, Engraulis japonicus, Ilisha elongata, Repomucenus valenciennei, Argyrosomus argentatus and Thryssa kammalensis accounted for 95.4% of the individuals collected. Leiognathus nuchalis, Konosirus punctatus, Liparis tanakai, Mugil cephalus, Ilisha elongata, Argyrosomus argentus, Acanthogobius flavimanus, Engraulis japonicus, Hexagramus otakii and Repomucenus valenciennei constituted 88.1% of the total biomass. Fish fauna in both number and biomass were higher in spring and summer, than other in autumn and winter. A peak abundance of total fishes occurred in April: the following abundance July: the lowest abundance in February. The number of species showed some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however, a larger number of individuals and greater biomass was observed from July to August than October to the next Febru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