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Growth Inhibition of Colon Cancer through Inactivation of STAT3 Pathway by IL-10 and IL-1ra Released from Murine Macrophage

        Jin Tae Hong, Dohee Won1, Mi Hee Park, Sun Mi Kown, Miran Jo, Sang-Yoon Nam, Beom Jun Lee, Young Won Yun, Ki-Wan Oh, Sang Bae Han 충북대학교 동물의학연구소 2011 Journal of Biomed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Vol.12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crophages on growth of human colon cancer cells. The results showed that co-culture of colon cancer cells with macrophages inhibited the growth of colon cancer cells (HCT116 and SW620) depending on the number of macrophages, RAW 264.7 cells, and activated THP-1 cells accompanied by down regulation of pSTAT3 in cancer cells. We also found that expression and release of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cytokines, IL-1 receptor antagonist (IL-1ra) and IL-10, was increased in macrophages. Blocking of the STAT3 pathway with specific inhibitor and siRNA of STAT3 abolished the growth of colon cancer cells and expression of IL-1ra and IL-10. In addition, neutralization of IL-1ra and IL-10 with antibodies resulted in reversal of macrophage-induced inhibition of cancer cell growth. These data showed that IL-1ra and IL-10 released from macrophages inhibit growth of colon cancer cells through inhibition of the STAT3 pathway

      • 축구팀의 응집력이 성원만족 및 팀 성공에 미치는 영향

        원주연,김윤태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 Vol.8 No.2

        본 연구는 축구팀의 응집력이 성원 만족 및 팀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 연구를 기초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축구팀의 응집력, 성원만족, 팀성공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축구팀의 응집력이 성원만족에 미치는 영향, 둘째. 축구팀의 응집력이 팀성공에 미치는 영향, 셋째, 축구팀의 응집력, 성원만족, 팀성공간의 인과적 관계를 등을 분석. 규명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97년 경기도 협회장기 대회에 참가한 고등학교 축구팀을 대상을 감독이나 코치가 제출한 선수명단을 근거로 8개팀의 인원현황을 조사하여 각 팀당 25명을 선정하였다. 표집된 8개팀에서 실제 설문지조사에 참여한 인원은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63명이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적 기법은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축구팀의 응집력 네가지 하위요인 중 개인-과제적 응집력은 성원만족의 하위요인인 경기, 위치 성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축구팀의 응집력 네가지 하위요인 모두는 팀 득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구팀의 응집력 네가지 하위용인 중 집단-과제적 응집력은 팀 실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구팀의 응집력 네가지 하위요인 중 개인-사회적 응집력은 팀 승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축구팀의 응집력은 팀성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성원 만족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축구팀의 응집력은 팀성공을 매개하는 성원만족을 통하여 팀성공을 향상시키는데 직접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관련 변인간에 인과적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ypothetical model through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cohesiveness on member satisfaction and team success among Soccer teams.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8 high school Soccer teams and 163 players in Kyoung Gi Province The methods of statistic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er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hesiveness of soccer team have an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game, location, belonging. 2. The cohesiveness of soccer team has no influence on team points. The cohesiveness of soccer team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arks obtained by the opponents. The cohesiveness of Soccer team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ntage of victories. 3. The cohesiveness of soccer teams has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increasing the degree of team success through member satisfaction. The above results, when taken together, show that the cohesiveness of soccer team contributes to increasing teams success by increasing the degree of member satisfaction.

      • 합리적 정서 처치기법이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원주연,김병완,김윤태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0 自然科學 Vol.11 No.2

        이 연구는 여러 가지 심리적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합리적 처치기법(REBT)이 심리적 요인(경쟁불안 · 스포츠자신감 · 경쟁지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사격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년 이상 선수경력이 있는 고등부 남 · 여 사격선수 80명을 대상으로 REBT 프로그램을 통해 종속변인의 변화량을 성별, 처치집단별로 이원변량분석을(two way ANOVA)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적 상태불안 변화량의 성별, 처치집단별 차이에서 처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신체적 상태불안 수준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2. 인지적 상태불안 변화량의 성별, 처치집단별 차이에서 처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인지적 상태불안의 감소가 현저했다. 3. 스포츠 자신감 변화량의 성별, 처치집단별 차이에서 처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특성스포츠자신감과 상태스포츠자신감이 현격하게 증가하였다. 4. 과제지향성 변화량의 성별, 처치집단별 차이에서 처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처치집단은 사후검사와 사전검사의 변화량이 감소하였다. 5. 자아지향성의 성별, 처치집단별 차이에서 모두 처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지향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지향성이 향상되는 결과이다.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REBT program on somatic anxiety, cognitive anxiety, sport confidence,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The object of the study is made up of eighty high school shooting players who all possess individual career record over three yea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2-Way ANOVA and the change of dependent variable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der groups and treatment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hange in somatic anxiety The gender and treatment groups showed effect on the change of somatic anxiety in the post and the pre-test 2. Change in cognitive anxiety The gender and treatment groups showed effect on the change of cognitive anxiety in the post and the pre-test 3. Change in sport-confidence The gender and treatment groups showed effect on the change of traiustate spork-confidence in the post and the pre-test 4. Change in task orientation The gender and treatment groups showed effect on the change of task orientation in the post and the pre-test 5. Change in ego orientation The gender and treatment groups showed effect on the change of ego orientation in the post and the pre-test

      •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내적동기

        원주연,김윤태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8 自然科學 Vol.9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 지향성 (과제와 자아)과 스포츠 활동에 대한 그들의 내적동기가 어떻게 상호작용적으로 관계를 갖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조사 대상은 다양한 종목에 참여하고 있는 (축구, 야구, 배구, 농구, 핸드볼, 하키) 대전·충남 고등학교 팀 운동선수들 221명을 무선표집하여 그들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내적동기 요인의 차이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분석(two way ANOVA) 및 정준 상관관계(Canonical Correlation)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높은 과제 지향성을 갖는 운동선수들은 낮은 과제 지향성을 갖는 운동 선수들 보다 스포츠 활동에 유의성 있게 높은 내적동기(흥미, 유능감, 노력)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낮은 긴장감 수준을 보이고 있다. 2. 높고 낮은 자아 지향성을 갖는 운동선수들의 내적동기 수준은 유의한 차가 없다. 3. 과제와 자아 지향성의 상호작용적 집단들의 재적 동기 수중은 유의한 차가 없다. 4. 스포츠 활동에 대한 과제 지향성은 내적동기 요인들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ory predicts that an adaptive achievement pattern will be observed among athletes who are task involved in sport situations. However Ego-oriented athletes with low levels of perceived ability are assumed to exhibit negative, adaptive-nonadaptive achievement-related behaviors. Based on this theoretical predi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ask or Ego) to intrinsic motivation in a sport setting. It was Hypothesized that task oriented would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while ego would nega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221 male athletes from nine visit high school teams were asked to completed the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TEOSQ) and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IMI). Results indicated that Athletes who perceived their sport environments to be strongly task oriented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enjoyment, competence,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tension an compared to athletes who perceived team climates positively related to the enjoyment, competence, and effort, but negatively related to tension.

      •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Life Stress에 미치는 영향

        원주연,김윤태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6 自然科學 Vol.7 No.2

        본 연구는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밝힐 목적으로 대전시내에 거주자중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가정주부로서 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운동참여 욕구가 높으면서도 일상생활에서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한 가정주부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스트레스 측정검사는 Holmes & Rahe(1965)의 스트레스 검사를 안병철과 반기봉(1990)이 번안한 것을 요인분석과 Crombach's Alpha를 고려, 수정 보완하여 2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기간은 3개월로서 운동프로그램(에어로빅 및 수영, 주 3회) 적용전 1회, 적용후 1개월 간격으로 각각 1회 총 4회 스트레스량 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보았다. 통계분석 방법은 반복측정 변량분석(reprated measure ANOVA)과 종속 t검증(paired t-test) 및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1. 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사전, 사후 스트레스 수준은 실시전의 스트레스 수준에 비해 운동실시 1개월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상승하였으나 운동실시 2개월, 3개월 후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로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2. 운동참여의 동기유형에 따른 사전, 사후 스트레스 수준은 운동실시전의 스트레스 수준에는 차이는 없었으나 운동참여 1개월, 2개월 후 모두 내적동기 집단이 외적동기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낮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으며 운동실시 3개월 후에는 두 집단 모두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3. 운동프로그램 만족도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은 운동 실시 후 1개월, 2개월, 3개월 모두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 변화는 두집단 모두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운동참여에 대한 가족성원의 지지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스트레스 사전측정에서는 두 집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측정에서는 전과정에서 모두 가족의 지지도가 높은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had the purpose of identifying how continuous exercise affect life stress. The main vailables were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exercise program, the program satisfaction, the support from the family. The subjects were 131 housewives in the age from 20 to 59 who were living in Taejon and were not the regular participants the exercise program. The stress scale consisted of 24 items which were developed by Ahn, Byung-chul and Ba, Ki-Bong(1990) on the basic of Holmes and Rahe's stress scale(1965). Aerobic exercise and Swimming were employed as exercise program four times a week during three months. The amount of stress scale was obtained four times(before the exercise program and at the end of every mon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the stress at pre-test was compared with the stress at post-test, the stress at post-test increased after one month and decreased after two and three months significantly. 2. The intrinsic and the extrinsic motivation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ress at pre test and the on at post-test. However the intrinsic motivation group showed the stress less than the extrinsic motivation group in one and two months. 3. For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exercise program, the group of higher satisfaction showed the stress less than the group of low satisfaction about the exercise program. The gradual decrement of stress was noted for the both group. 4. In the stress at pre-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ress between ,the group of high family support and the group of lower family support. But the group of high family support showed the stress less than the group of lower family support.

      • 오존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의 처리특성에 관한 연구

        강용태,원태준,한상윤,고영발,박경덕 東亞大學校 建設技術硏究所 2008 硏究論文集 Vol.32 No.1

        The wastewater from textile industry typically containing high alkalify, salts, organic matter, and high color. Textile wastewater is usually treated by anaerobic-aerobic activated-sludge process. The activated-sludge process is effective the reduction of organic matter, but generally does not remove color. Ozone process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process in removal of color for the textile wastewater. Ozone has a strong oxidized dissolution of organism, deceleration, deodorization, fumigation, etc., regarding to water. This study focused on the color removal of textile wastewater. In this study, textile wastewater was treated strongly with ozone at 650mg/hr and the flow rate through ozone contact tank was adjusted to 5L/min. In an application Ozone treatment, Color was generally decreased with time, however, COD removal effect was not that good. In this stud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ODcr and Color were 23.5%, 80.4% respectively.

      • 여성 운동 선수의 월경, 섭식, 신체 구성과 골성장에 관한 연구 : 리듬체조 선수를 중심으로

        도윤경,김태욱,박원화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keletal growth in rhythmic gymnastic athlete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8 rhythmic gymnastic athletes and B non-rhythmic gymnastic athletes. The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their intention after drawing up the consent papers. Radiographs of right hand and wrist were taken by X-ray. Skeletal age was determined by RUS(radius, ulna, and short bones) with TM. method(Tanner et al., 1983), Body composition was solved by body composition analyzer(Inbody version 3.0) and eating pattern was looked into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Body %fat(p<.001), body at weight(p<.001) and lean body mass(p<.05) of a rhythmic gymnastic group were statistically lower than a non-rhythmic group, 2. In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of answer was that the non- rhythmic group experienced all menarche, but the rhythmic group was 6 persons in "yes"(80%), for menarche. The regulation of menses was that the answers of 2 persons in rhythmic group in "yes"(20%), and 7 persons in the non-rhythmic group in "yes"(90%). In case of rare menses, the answers of 4 persons in rhythmic group in "yes"(60%) and 1 person in non-rhythmic group in "yes"(10%). 3. Age of menarche, manse duration and the duration after menarche were denoted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rhythmic group and non-rhythmic group, but except for length of menses. 4. The questionnaire, which was about the eating pattern of rhythmic and non-rhythmic group showed that was considerable difference statistically(p<.05) between those two groups in only 2 items("eating in hiding" and "eating pattern against the will"), but the other items showed no difference in their eating patterns. 5. The result of TW2 for skeletal growth was shown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in 20 BONIE(p<.05), RUS(p<.05), and CARPAL(P<.05) statistically. 6. Only the age of menarche and RU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r=-.857, P<.01) in the rhythmic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non-rhythmic group. Through this result, the rhythmic group had higher skeletal growth than non-rhythmic group. In concern with skeletal growth, menses, eating pattern{ and body Composition, only the age of menarche and RUS had significant correlation(r=-.857, P<.01) in the rhythmic group, thus skeletal growth of the rhythmic group of late age of menarche was lower than the non-rhythmic group of early age of menarche.

      • KCI등재

        IMT-2000 기지국용 이중 편파를 위한 광대역 단일 소자 안테나 설계 및 특성 개선

        장원호,박주성,태재훈,이윤현 한국항행학회 2002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6 No.3

        본 논문에서는 편파 다이버시티 특성을 갖는 이중 편파(Dual-Polarization)방식의 INT-2000(1.885㎓-2.17㎓)기기국용 안테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기존 Folded Dipole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였다. 제작된 안테나는 PCB기판에 몰디드 다이폴 안테나 구조에 적층 형태를 갖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로서 각 단자별 반사게수가 -20㏈ 이하, 이중 편파 구조에서 중요한 규격인 단자간 분리도는 -20㏈ 를 가지며, 이들은 전 대역에서 약 7 dBi 이상의 특성을 보였다. Design and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existing folded dipole antenna is presented to adopt W-CDMA(1.885~2.170 ㎓) wideband antenna radiators. The antenna structure has +/- 45 degrees dual polariz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narrow bandwidth and low gain characteristic typical of the microstrip antenna, double layered structure was employed. The antenna achieved below -20 ㏈ reflection coefficients each ports. -20 ㏈ of port isolation, above 7 dBi of gain, providing evidence that the proposed design can be used in the W-CDMA service frequency band antenna.

      • 새로운 Ca^2+ 길항제의 혈압강하효과

        함원훈,임태균,정윤성,정윤호,양재권,최원철 성균관대학교 약학연구소 1993 成均藥硏論文集 Vol.5 No.1

        Diltiazem and nifedipine, have been used throughout the world as an effective antianginal and antihypertensive agent. In order to increase the activity of these drugs, we synthesized the diltiazem-nifedipine coupling compounds. These compounds^(1-8) were tested for antihypertensive effect. Unfortunately, these compounds didn't show any promis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