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정은하(Jeong, Eunha),장현준(Jang, Hyeonjun),Ta Thi Ngoc Diep,김이경(Kim, Eegye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5

        본 연구는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변화 추이와 유형을 확인하는 한편,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2~6차년도 초6~고1 저소득층 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분석,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 GMM)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비 저소득층 학생과 비교할때 초6~고1을 거치는 동안 지속적으로 낮았으며, 학업 자아개념, 교육포부, 부모의 자녀 기대학력, 부모 자녀 상호작용, 부모의 학업관심, 사교육시간 등 학업성취 관련 요인도 지속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유형을 살펴본 결과 ‘저수준 유지형’, ‘중수준 유지형’, ‘상승형’ 등 총 3개의 잠재계층이 존재하였다. 초등학교 이후 학업성취도가 상승하는 ‘상승형’ 학생은 약 10%에 불과한 반면, 초등학생 시점의 중간수준 성취도를 계속 유지하는 ‘중수준 유지형’ 학생은 약 33.5%, 그리고 학업성취 수준도 낮고 변화도 거의 없는 ‘저수준 유지형’ 학생은 약 56.3%로 확인되었다. 셋째, 변화 유형 가운데 ‘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자기관리역량, 부모의 자녀 기대학력, 사교육 참여시간이었으며, 학업성취에 변화가 없는 집단 중에서는 학업자아개념과 교육포부 수준이 높을수록 ’저수준 유지형‘ 보다는 ’중수준 유지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 발견점을 토대로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조기 학업적 개입 강화,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 제고, 학교-가정-지역사회 파트너십 구축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ypes of chang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ow-income students and their effects on low-income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Growth Mixture Model(GMM),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KELS 2013 dat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a total of three potential types of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of low-income students which were low-level maintenance type, middle-level maintenance type, and rising type. Secondly,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self-concept and education aspirations, the higher the likelihood that students are being included in the middle-level maintenance type rather than the low-level maintenance type. Beside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the more likely students were to be included in “rising type” than “low-level maintenance type” and “middle-level maintenance type”. The findings overall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policies that effectively support low-income students by implementing periodic analysis on students’ learning conditions and early academic intervention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